KR20200000929A -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929A
KR20200000929A KR1020180073210A KR20180073210A KR20200000929A KR 20200000929 A KR20200000929 A KR 20200000929A KR 1020180073210 A KR1020180073210 A KR 1020180073210A KR 20180073210 A KR20180073210 A KR 20180073210A KR 20200000929 A KR20200000929 A KR 20200000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ser terminal
product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김하윤
Original Assignee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929A/ko
Publication of KR2020000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서비스 장치는 서버 통신 회로 및 상기 서버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서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통신 회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관련 이미지 검색을 위한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와 상기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Method for Providing of Image Searching Information and servic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에 있어서,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인터넷 쇼핑몰이 생겨나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상품 거래는 일상 생활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상품의 이름이나 제조 회사 등과 같이 상품과 관련된 텍스트를 입력하여 유사 상품들을 검색하거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 정보들 중에서 소정 카테고리 정보를 선택하여, 유사 상품들을 검색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나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을 검색하기 때문에 키워드나 카테고리 정보로 분류하기 어려운 상품들을 검색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컨대, 텍스트를 이용하여 특정 대상을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특정 대상이 분류되는 속성 정보를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특정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를 상품 검색을 위한 쿼리 이미지로 제공하면, 상기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이 수행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 범위가 매우 넓게 설정되어,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또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검색 결과까지도 제공되어 검색 결과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미국 등록 특허 8990199호 (명칭: Content search with category-aware visual similarity)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공한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되 사용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또는 검색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서버 통신 회로 및 서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통신 회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 검색을 위한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아 이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와 상기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상품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 시 제공된 로그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웹 사이트 방문시 제공되는 쿠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쿠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상 정보, 관계 정보, 환경 정보, 웹 이용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상품 구매 이력, 상품 판매 이력, 상품 검색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웹 이용 이력 정보를 저장 관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상품 관련 객체를 선택하여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들의 가중치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중치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이력 선택 항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하는 이력 선택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성가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성이 있는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의 카테고리 정보별로 분류 구분한 후, 지정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장치 운용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서비스 장치 운용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서버 통신 회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관련 이미지 검색을 위한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상기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이력 항목 선택을 위한 이력 선택 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력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력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쿼리 이미지에서 추출한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 검색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또는 사용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검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신뢰도를 개선하고, 불필요한 추가 검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니즈에 맞는 검색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검색 이력, 구매 이력, 연령 및 성별과 같은 개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카테고리를 제외환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이미지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운용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검색에 기반하여 상품을 검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 검색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정보 검색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적용 범위를 상품 검색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장치(200) 및 네트워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50)는, 인터넷 망과 같은 IP 기반의 유선 통신망뿐만 아니라, LTE(Long term evolution) 망, WCDMA 망과 같은 이동통신망, Wi-Fi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선망,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에 구별 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50)는 서비스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100)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50)는 서비스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100)이 운용할 수 있는 3G, 4G, 5G 무선 이동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50)는 유선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서비스 장치(200)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50)는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되어 상용화될 각종 유선망, 무선망 및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하여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장치 접속이 가능한 웹 브라우저를 저장 및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데이터 예컨대,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 또는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 검색과 관련한 쿼리 이미지(예: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또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이미지 등)를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검색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제2 사용자 단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2개의 사용자 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본 발명의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제1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사업자에 등록한 단말기이고,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제2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사업자에 등록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제2 사용자 단말(102)은 각각 장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서비스 장치(200) 접속 시, 장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접속 시 제공되는 장치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제2 사용자 단말(102)이 브라우저를 통해 소정의 서버(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접속할 때, 해당 서버로부터 상기 제1,2 사용자 단말(101,102)의 브라우저로 식별 가능한 쿠키(Cookie)가 제공된다. 상기 쿠키는 하이퍼텍스트의 기록서의 한 종류로서, 임의의 웹 사이트 방문 시,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기록 정보 파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쿠키에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생성되는 식별 정보, 방문 사이트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제1,2 사용자 단말(101,102)로부터 이러한 쿠키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함에 의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거나, 사용자 별 웹 사이트 이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에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쿼리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쿼리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상품 검색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상기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고, 획득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성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1)과 제2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동일한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더라도, 사용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제2 사용자 단말(102)에 검색 결과는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이력 정보 구분은 사용자 단말들의 고유 식별 정보 또는 로그인 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사용자 단말(100) 및 서비스 장치(200)의 세부 구성과 운용에 대하여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회로(110), 입력 장치(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110)는 네트워크(5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네트워크(50)를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200)와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회로(110)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 수신, 쿼리 이미지의 송신, 검색 결과 수신과 관련한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회로(110)는 3G, 4G, 5G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00) 조작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장치(120)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키 또는 가상 버튼 키, 음성 입력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20)는 쿼리 이미지 획득 또는 쿼리 이미지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 등을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 또는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서버 정보)의 변경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변경된 사용자 이력 정보를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기능의 디스플레이(130)는 입력 장치(12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장치(120)는 음성 입력 기능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하고, 키워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을 획득하여,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 단말(100) 운용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 화면, 서비스 장치(200) 접속 화면(예: 가상 페이지 표시 화면), 쿼리 이미지 획득 화면, 쿼리 이미지 선택 화면, 쿼리 이미지 전송 화면, 사용자 이력 정보 확인 또는 변경 화면, 검색 결과 수신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사용자 단말(100)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140)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을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적어도 하나의 쿼리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쿼리 이미지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사용자 이력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사용자 이력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신상 정보 또는 가족관계나 친구 관계 등과 같은 관계 정보,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서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를 임시 또는 반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100)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의 처리 또는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품 검색 정보 제공 프로그램(예: 상품 검색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상기 통신 회로(110)를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서비스 장치(200)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 확인(예: 로그인 정보 및 패스워드 입력)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 접속이 최초인 경우 사용자 확인 과정을 거쳐 사용자 이력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장치 고유 식별 정보, 신상 정보(예: 사용자 이름, 사용자 나이, 체중, 키, 학력), 관계 정보(예: 가족 구성원, 친구, 직장 등), 환경 정보(예: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 시간 또는 계절 정보, 날씨 정보 등), 상품 구매 이력 등과 같은 웹 이용 이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를 사용자 확인 또는 승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한 가상 페이지를 통해 상기 장치 고유 식별 정보, 신상 정보, 관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서버 정보)를 등록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장치(100)는 별도의 데이터 관리 서버(도시생략)를 통해서 상술한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쿼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지정된 피사체에 관한 이미지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140)에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 접속을 수행하고,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쿼리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쿼리 이미지들을 썸네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특정 썸네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선택된 썸네일을 전체 화면을 출력하면서, 쿼리 이미지 선택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쿼리 이미지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선택된 쿼리 이미지를 통신 회로(110)를 통해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는 설정에 따라 상기 쿼리 이미지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 정보(예: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쿼리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 결과 역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와 관련한 검색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쿼리 이미지에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가 포함된 경우, 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들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쿼리 이미지에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관련 객체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150)는 쿼리 이미지에서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가 검출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 중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쿼리 이미지 내 가장 큰 크기를 가지는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예: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 또는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 서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검색된 상품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프로세서(150)는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화면 영역에 상기 쿼리 이미지를 출력하고, 분할된 제2 화면 영역에 수신된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130) 전체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쿼리 이미지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상기 검색 결과 전체 화면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검색 결과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검색 결과 중 일부 검색 결과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일부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나머지 검색 결과를 서비스 장치(200)에 요청하고, 수신된 나머지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130)에 새롭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품 검색을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이력 정보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이력 정보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특정 카테고리 정보의 사용자 이력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이력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가중치 설정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신상 정보, 사용자 관계 정보, 사용자 환경 정보,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상품 판매 이력, 상품 검색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또는 서버 장치)는 서버 통신 회로(210), 데이터베이스(240) 및 서버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에 포함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와 독립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별도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240)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검색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 통신 회로(210)는 서비스 장치(200)의 통신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 회로(210)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 회로(210)는 서버 프로세서(250) 제어에 대응하여 쿼리 이미지의 수신, 사용자 이력 정보 수신, 또는 사용자 이력 정보 변경을 요청하는 정보 수신, 로그인과 관련한 사용자 정보 수신, 검색 결과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서비스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 운용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이미지(241) 및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이미지(241)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한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될 수 있는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이미지(241)는 구두, 가방, 옷, 모자, 전자 기기, 액세서리 등 다양한 상품들의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이미지(241)에 포함된 객체들의 특징점들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쿼리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다양한 상품 관련 이미지(241)들 중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특징점에 대응되는 객체를 포함한 상품 관련 이미지가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한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장치 식별 고유 정보, 신상 정보, 관계 정보,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카테고리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이력 서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는 특정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 이용한 서비스 이용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 중 사용자 이력 서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 구매 또는 판매한 상품 정보, 상기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 검색한 상품 정보, 타 사용자에게 선물한 선물 제공 정보, 타 사용자로부터 선물 받은 선물 수신 정보, 가상 장바구니 정보 등을 카테고리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는 정보 내에 포함된 각 카테고리 정보들에 대한 가중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설정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상기 서버 통신 회로(21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화면(예: 가상 페이지 또는 웹 페이지)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서버 프로세서(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프로세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관리부(251), 검색부(253), 필터링부(255), 및 추가 정보 처리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관리부(251), 검색부(253), 필터링부(255), 추가 정보 처리부(257)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기능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부(251)는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인 수행 및 사용자 이력 정보(242)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관리부(251)는 특정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면, 로그인과 관련한 사용자 정보 입력이 가능한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25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정상적인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로그인된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부(251)는 사용자 단말(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의 갱신 여부를 사용자 단말(100)에 묻고, 사용자 확인을 거쳐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갱신된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품 검색과 관련한 쿼리 이미지를 서비스 장치(200)가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관리부(251)에 요청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검색부(253)는 로그인 정보를 기반으로, 쿼리 이미지를 제공한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수신된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검색부(253)는 쿼리 이미지 내에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상품 관련 객체의 특징점과 일정 비율 이상 유사한 특징점 분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색부(253)는 딥러닝과 같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일정 기준의 유사도를 갖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부(253)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확인하고, 사용자 이력 정보(242)와 연관성이 높은 상품 관련 이미지들을 수집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색부(253)는 상품 관련 이미지 검색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 중 적어도 일부를 검색 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상품 관련 이미지들은 사용자 이력 정보(242)별 또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와 관련한 일정 키워드별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력 정보(242) 중 특정 상품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검색부(253)는 구매 이력을 가진 상품의 범위 내에서 상기 쿼리 이미지의 상품 관련 객체와 특징점이 유사한 상품 관련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부(253)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에서 사용자가 주로 검색한 상품 검색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검색 이력의 범위 내에서,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관련 객체와 관련성을 가지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들의 가중치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중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다르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상품 검색과 관련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자동으로 적용하도록 설정된 경우, 지정된 정책에 따라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242)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상품 검색과 관련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수동으로 적용하도록 설정된 경우, 쿼리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가중치 설정을 위한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쿼리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력 정보(242)에 상품 구매 이력, 상품 판매 이력, 상품 검색 이력을 포함하는 3개의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품 구매 이력의 가중치가 가장 높게 설정된 경우, 상기 검색부(253)는 상품 구매 이력으로부터 사용자가 가장 많이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부(253)는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를 포함한 쿼리 이미지에서 상기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추출된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매 이력 또는 상품 판매 이력은 예컨대, 상품명 정보, 가격대 정보, 수량 정보, 상품 구매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이력은 예컨대, 상품명 정보, 가격대 정보, 상품 검색 시간 정보, 검색 횟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검색부(253)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로부터 복수의 상품 구매 이력 및 각 상품별 구매 횟수 또는 양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 설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부(253)는 상대적으로 가중치가 큰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수신된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객체들 중 상기 가중치가 큰 상품 정보와 관련한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관련 이미지들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부(253)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검색부(253)는 쿼리 이미지 수신 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부(253)는 사용자 단말(100)로 환경 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시지 동의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상기 쿼리 이미지 및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환경 정보 기반 상품 검색과 관련하여, 상기 검색부(253)는 환경 정보로부터 지역 정보를 추출하고,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들 중 해당 지역 정보와 관련한 상품 관련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253)는 지역 정보와 관련한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지역 정보와 상품 객체를 매핑한 매핑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부(253)는 상기 지역 정보와 관련한 정보를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로부터 상기 지역 정보와 관련한 상품 정보를 획득한 후,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객체를 수집할 수 있다.
환경 정보 기반 상품 검색과 관련한 다른 예로서, 상기 검색부(253)는 쿼리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품 관련 객체를 이용하여 상품 검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의 지역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부(253)는 설정에 따라,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의 시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부(253)는 지역과 관련된 상품 관련 이미지들 중에서,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관련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부(253)는 상품 검색 시, 현재 사용자 단말(100)이 있는 지역의 계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검색 시, 계절과 관련한 상품 검색 정보들을 우선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부(253)는 설정에 따라,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쿼리 이미지에서 추출할 상품 관련 객체의 종류를 다르게 하거나, 추출된 상품 관련 객체의 검색 과정에서 날씨 정보를 적용하여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정보는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있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행정구역을 포함하거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이내의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255)는 상기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 정보를 수집하고,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 상품 검색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기반으로 필터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필터링부(255)는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255)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상품 관련 이미지들 중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255)는 쿼리 이미지에서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가 추출된 경우, 각각의 상품 관련 객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이미지들을 각각 수집할 수 있다. 상품 관련 이미지가 수집되면, 상기 필터링부(255)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품 관련 이미지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상품 관련 이미지들은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에 포함된 각 카테고리 정보들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240)는 상품 관련 이미지(241)들과 상기 카테고리 정보들과의 연관 정보(또는 연관 정도)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정보는 상품 관련 이미지(241)를 최초 저장하는 과정에서 설정되거나, 상품 관련 이미지(241)를 검색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검색 횟수 및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이력 정보(242)에 따라 설정 및 갱신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255)는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획득한 상품 관련 이미지들에 대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각 카테고리 정보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255)는 상기 카테고리 정보들 중 가중치 설정 값에 따라 가장 높은 가중치가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한 상품 관련 이미지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상품 관련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필터링부(255)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들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 및 카테고리 정보 선택 시 대응되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설정된 기능을 포함하는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255)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카테고리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단말(100)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열람 또는 변경할 수 있는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거나, 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가중치 설정을 열람 또는 변경할 수 있는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 이력 정보(242)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들의 가중치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가중치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쿼리 이미지 기반 상품 검색 수행이 완료되거나, 쿼리 이미지 기반 상품 구매나 판매가 완료되면, 검색 또는 거래 완료에 따라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 갱신 시, 가중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상품 구매 이력이 상품 판매 이력보다 많아지는 경우, 상품 구매 이력의 가중치 값을 상품 판매 이력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가중치 값에 대하여 기본 가중치 값 및 변경 가중치 값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가중치 값은 특정 카테고리 정보 항목에 설정되는 기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경 가중치 값은 상기 기본 가중치 값에 추가적으로 더 설정되는 값이거나 기본 가중치 값에 곱해지는 값으로서, 사용자 입력 또는 서비스 장치(200)의 서비스 이용에 따라 변경되는 가중치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각 카테고리 정보별 기본 가중치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 중 대체적으로 변경이 적은 신상 정보 등의 기본 가중치 값은 상대적으로 낮게(또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 중 대체적으로 변경의 요소가 큰 상품 검색 이력이나 상품 구매 이력 등의 기본 가중치 값은 상대적으로 높게(또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기본 가중치 값이 큰 경우, 변경 가중치 값의 변경에 따라 가중치 설정 값의 변경 폭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변경이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쿼리 이미지가 수신되는 경우, 변경된 사용자 이력 정보(24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 페이지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가족, 친구들의 사용자 이력 정보 변경에 따라 관계된 사용자 이력 정보(242)의 관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변경된 관계 정보는 쿼리 이미지 기반의 상품 관련 이미지 검색 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친구의 상품 구매 이력이 변경된 경우, 해당 상품 구매 이력은 친구 관계인 사용자 단말(100)의 상품 구매 이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추가 정보 처리부(257)는 특정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이 변경되면, 변경 사항을 친구 관계의 상품 구매 이력에 추가할 수 있다. 추가 과정에서, 일정 가중치(예: 0.2)를 적용하여 친구 관계의 상품 구매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검색 정보 제공과 관련한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0)은 501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을 수행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상 페이지에 포함된 로그인 항목과 관련하여, 사용자 정보(예: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전달되고,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로그인 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되는지 확인하여 로그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503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로그인된 상품 검색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로그인 이전까지 서비스 장치(200)는 로그인되지 않은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로그인된 상품 검색 가상 페이지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에 해당 가상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5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쿼리 이미지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페이지는 쿼리 이미지 입력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쿼리 이미지 입력을 위한 사용자 단말(100)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포함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쿼리 이미지로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쿼리 이미지로 입력할 수 있다. 쿼리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쿼리 이미지를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200)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기 저장된 상품 관련 객체에 관한 특징점 정보들을 기반으로, 쿼리 이미지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쿼리 이미지 내에 포함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한 후, 인식된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품 관련 객체의 종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쿼리 이미지 내에 상품 관련 객체가 없는 경우, 새로운 쿼리 이미지 제공을 사용자 단말(100)에 요청할 수 있다.
507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쿼리 이미지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한 사용자 이력 로컬 정보와, 서비스 장치(20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이력 서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쿼리 이미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와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쿼리로서, 관련된 상품 관련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사용자 이력 정보와 관련성이 있는 상품 관련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품 관련 객체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이력 정보 중 상품 구매 이력을 확인하고,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상기 상품 구매 이력과 관련한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이력 정보의 가중치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가중치 설정 정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 가중치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 관련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이력 정보의 각 카테고리 정보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선택한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 관련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509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검색 결과의 전달 순서를 사용자 이력 정보에 따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이력 정보 중 상품 검색 이력을 확인하고, 최근 상품 검색 이력과 관련한 검색 결과를 우선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추가 요청에 대응하여 나머지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51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출력 시, 사용자 단말(100)은 쿼리 이미지와 검색 결과를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쿼리 이미지 및 사용자 이력 정보 중 검색에 적용된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검색 결과를 한 화면에 동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추가 검색 결과 요청을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한 후,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한 추가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운용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601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의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100)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6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 접속이 없는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603 단계에서, 스케줄링된 기능 또는 관리자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상품 관련 이미지 수집, 분류,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인 동작이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 프로세서(250)는 로그인 수행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예: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정상적인 사용자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정상적인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인을 허용하고, 로그인된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자동 로그인 설정이 있는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장치 식별 정보가 자동 로그인 설정이 있는 사용자 단말(100)인 경우, 자동 로그인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장치 식별 정보와 자동 로그인 설정을 매핑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 접속 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로그인 동작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603 단계로 분기하여, 로그인되지 않은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정상적인 로그인 동작이 완료되면, 607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또는 로그인된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페이지는 쿼리 이미지 입력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609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쿼리 이미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쿼리 이미지 수신이 없는 경우,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 종료와 관련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 관련 입력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가상 페이지를 제공하면서, 쿼리 이미지 입력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609 단계에서, 쿼리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면, 611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로그인이 완료되면, 로그인 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에서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이력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이력 정보 추출 과정에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이력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 프로세서(250)는 가중치 설정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 값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613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쿼리 이미지 기반 검색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프로세서(250)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쿼리 이미지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개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가 추출된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 프로세서(250)는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 프로세서(250)는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 각각의 특징점들과 상품 관련 이미지들에 포함된 객체들의 특징점들을 상호 비교하고,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615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상품 검색에 이용된 사용자 이력 정보의 카테고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617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상품 검색 정보 제공과 관련한 기능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현재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과 관련한 상품 검색 정보 제공 기능을 종료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기능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직전 수행 동작에 따라 607 단계 또는 61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운용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701 단계 내지 711 단계는 이전 도 6에서 설명한 601 단계 내지 611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01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의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100)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701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사용자 단말(100) 접속이 없는 경우 703 단계에서, 지정된 기능 또는 스케줄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7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7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707 단계에서 상품 검색 가상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709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쿼리 이미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711 단계에서,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로그인 과정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관련된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713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이력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 프로세서(250)는 수집된 사용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이력 선택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력 선택 페이지는 예컨대,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들을 포함하는 가상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력 선택 페이지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관계 정보, 환경 정보, 상품 구매 이력, 상품 판매 이력, 상품 검색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가상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이력 선택 페이지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715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이력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이력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717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선택 이력 및 쿼리 이미지 기반 검색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 프로세서(250)는 선택된 이력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쿼리 이미지에서 검출할 상품 관련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 프로세서(250)는 검색할 상품 관련 이미지들의 검색 범위를 상기 선택된 이력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로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서버 프로세서(250)는 선택된 이력과 관련한 검색어를 결정하고, 상기 검색어와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이용하여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상품 관련 이미지는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이력 선택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변경된 이력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와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재수행할 수 있다.
719 단계에서, 서버 프로세서(250)는 상품 검색 관련 기능의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서버 프로세서(250)는 직전 수행된 상태에 따라 707 단계, 713 단계, 717 단계 등으로 분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쿼리 이미지 수신이 안된 경우, 기능 종료 여부 확인에 따라 7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이력 선택 정보 미수신의 경우, 기능 종료 여부에 따라, 71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프로세서(250)는 검색 결과 수집 및 제공 이후 기능 종료 여부에 따라, 71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새로운 검색 결과를 수집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아직 제공하지 않았거나, 사용자 단말(100) 요청에 따른 추가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1)은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로그인 수행이 완료되면,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품 검색과 관련한 가상 페이지를 수신하여 801 화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관련 가상 페이지 801 화면은 예컨대,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은 상품 검색과 관련한 쿼리 이미지(811)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창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은 제1 사용자 단말(101)에 포함된 카메라 활성화에 따른 프리뷰 표시창 또는 이미지 획득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검색과 관련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자동으로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프리뷰 화면을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이미지 촬영을 통해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쿼리 이미지(811)를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에 표시하고, 상품 검색을 요청하는 “검색” 기능의 가상 키 버튼(810)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은 제1 사용자 단말(101)의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상기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을 통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쿼리 이미지(811)를 제1 쿼리 이미지 입력창(800)에 출력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새로운 이미지 획득을 위한 화면 또는 새로운 쿼리 이미지 선택을 위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801 화면 상태에서, 가상 키 버튼(810)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1)은 상기 쿼리 이미지(811)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하면서, 상품 검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쿼리 이미지(811)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1)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관련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1 검색 결과(813)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8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검색 결과(813)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이력 선택 항목을 수신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력 선택 메뉴(83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력 선택 메뉴(830)는 예컨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1)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력 선택 메뉴(830)는 제1 검색 결과(813)에 적용된 카테고리 정보 항목(예: H3)이 다른 항목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적용 카테고리 정보 항목은 하이라이트 되거나 주변 항목들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이력 선택 메뉴(830)에 포함된 다른 카테고리 정보 항목(예: H1)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 항목을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가 새로 선택한 카테고리 정보 항목 및 쿼리 이미지(811)를 기반으로 새로운 제2 검색 결과(815)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805 화면에서와 같이, 제2 검색 결과(815)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이력 선택 메뉴(830)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한 후, 로그인 수행에 대응하여 901 화면에서와 같이, 상품 검색 관련 가상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관련 가상 페이지 901 화면은 제2 쿼리 이미지 입력창(900), 상품 검색 요청을 위한 가상 키 버튼(9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쿼리 이미지 입력창(900)은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제1 사용자 단말(101)의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되는 쿼리 이미지 입력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입력창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쿼리 이미지(811)는 제1 사용자 단말(101)의 사용자가 선택된 쿼리 이미지와 동일한 쿼리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901 화면에 표시된 쿼리 이미지와 801 화면에 표시된 쿼리 이미지를 동일하게 설정한 것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사용자 취향이나 욕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쿼리 이미지(811)가 선택된 상태에서, 가상 키 버튼(910)이 눌려지면(또는 설정에 따라 쿼리 이미지(811)가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쿼리 이미지(811)는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쿼리 이미지(811)를 수신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단말(102)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상기 쿼리 이미지(811)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검색 수행에 따라 제3 검색 결과(913)를 획득하고, 이를 제2 사용자 단말(102)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장치(200)는 동일한 쿼리 이미지(811)를 수신하더라도, 제2 사용자 단말(102)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의 상이성으로 인하여 제1 검색 결과(813)와 다른 제3 검색 결과(913)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검색 결과(913)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102)은 903 화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에 상기 제3 검색 결과(913)를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가 제2 사용자 단말(102)과 관련한 이력 선택 항목을 제공하면,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이력 선택 항목과 관련한 제2 이력 선택 메뉴(93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력 선택 메뉴(930)는 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102)과 관련한 제1 내지 제3 카테고리 정보들(T1, T2, T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제2 이력 선택 메뉴(930) 표시 과정에서, 현재 제3 검색 결과(913)에 적용된 카테고리 정보 항목(예: T1)을 다른 항목들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 정보 예컨대, 제3 카테고리 정보(T3)가 선택되면,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제3 카테고리 정보(T3)를 서비스 장치(200)에 제공하고, 상기 제3 카테고리 정보(T3) 및 쿼리 이미지(811)를 기반으로 검색된 제4 검색 결과(915) 및 제5 검색 결과(917)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905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102)은 화면을 분할하고, 제1 화면 영역(예: 좌측 화면 영역)에 제3 검색 결과(913)를 표시하고, 제2 화면 영역에 제4 검색 결과(915)를 표시하고, 제3 화면 영역에 제5 검색 결과(917)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4 검색 결과(915) 및 제5 검색 결과(917)는 상기 제3 카테고리 정보(T3)에 대응하여 수집된 복수개의 검색 결과들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상기 제1 화면 영역에 제3 검색 결과(913) 대신에 상기 쿼리 이미지(811)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검색 분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상품 이미지 검색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상품 검색 정보 제공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또는 사용자에게 쓸모 있는 검색 정보를 우선 제공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추가 검색 요청을 줄일 수 있다.
10: 서비스 시스템 50: 네트워크
100, 101, 102: 사용자 단말 110: 통신 회로
120: 입력 장치 130: 디스플레이
140: 메모리 150: 프로세서
200: 서비스 장치 210: 서버 통신 회로
240: 데이터베이스 250: 서버 프로세서

Claims (11)

  1. 서버 통신 회로;
    상기 서버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서버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통신 회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관련 이미지 검색을 위한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 이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와 상기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 시 제공된 로그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웹 사이트 방문시 제공되는 쿠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쿠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상 정보, 관계 정보, 환경 정보, 및 웹 이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상품 구매 이력, 상품 판매 이력, 상품 검색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웹 이용 이력 정보를 저장 관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된 상품 관련 객체를 선택하여 상품 검색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들의 가중치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중치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이력 선택 항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하는 이력 선택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관련 객체들 중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와 관련성이 있는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상품 검색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프로세서는
    상기 쿼리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의 카테고리 정보별로 분류 구분한 후, 지정된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0. 서비스 장치가,
    서버 통신 회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 관련 이미지 검색을 위한 쿼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한 사용자 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 및 상기 쿼리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의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이력 항목 선택을 위한 이력 선택 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력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이력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쿼리 이미지에서 추출한 상품 관련 객체를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의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073210A 2018-06-26 2018-06-26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KR20200000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10A KR20200000929A (ko) 2018-06-26 2018-06-26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10A KR20200000929A (ko) 2018-06-26 2018-06-26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29A true KR20200000929A (ko) 2020-01-06

Family

ID=6915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10A KR20200000929A (ko) 2018-06-26 2018-06-26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9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23169B (zh) 用于网络中的可搜索数据的索引配置
US9047386B2 (en) Creating a link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 objects and storing in a link directory
KR101953303B1 (ko) 브라우징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정합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기법
CN109902224A (zh) 基于用户行为分析的房源推荐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09181468A (ja) 画像検索ログ収集システム、画像検索ログ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0832167A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ally adapting a user interface
KR101955463B1 (ko) 컨텐츠 분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2000187666A (ja) 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嗜好類似度評価システム、情報紹介システム、関心情報取得方法、嗜好類似度評価方法及び記録媒体
KR20200003577A (ko) 이미지 검색 기반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JP6422583B2 (ja) ウェブページ上で認証情報を提供する方法、装置、システム、記憶媒体、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US201702870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938737B2 (ja) 商品検索システム、商品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326418A (zh) 用于确定网页信息源及网页质量的方法和装置
KR20090117108A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상품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87135B1 (ko) 도서 추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US20220335101A1 (en) Device for generating user profile and system comprising the device
KR20200024538A (ko) 이미지 검색과 관련한 정보 추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CN108369590A (zh) 用来指导自助服务分析的推荐系统、装置及其方法
KR20200024536A (ko)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JP5615423B2 (ja) 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200023095A (ko) 상품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20200000929A (ko) 이미지 검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KR102536057B1 (ko) 이미지 검색을 위한 요약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20200024539A (ko) 이미지 검색과 관련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20220054990A (ko) 이미지 및 영상 검색 바탕의 의류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