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926A -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926A
KR20200000926A KR1020180073204A KR20180073204A KR20200000926A KR 20200000926 A KR20200000926 A KR 20200000926A KR 1020180073204 A KR1020180073204 A KR 1020180073204A KR 20180073204 A KR20180073204 A KR 20180073204A KR 20200000926 A KR20200000926 A KR 2020000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riveway
layer
blocks
road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박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박문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Priority to KR102018007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926A/ko
Publication of KR2020000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 블록(block)을 이용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車道)를 포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블록으로 시공된 차도 구간에서 차량 하중의 빈도나 제동에 의해 블록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되는 경계블록을 이용하여 차도를 종,횡방향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포장구역에 대하여, 직물제 토목섬유시트, 제1완충포설층, 기층블록층,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 제2완충포설층 및 표면 차도블록을 연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차량의 주행과 정지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력으로 인한 블록의 수평방향 변위를 경계블록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기층 블록에 의해 차도블록을 지지함으로써, 차도블록이 불균일하게 침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평탄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Method of Car Load using Blocks}
본 발명은 차도 블록(block)을 이용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車道)를 포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블록으로 시공된 차도 구간에서 차량 하중의 빈도나 제동에 의해 블록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되는 경계블록을 이용하여 차도를 종,횡방향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포장구역에 대하여, 직물제 토목섬유시트, 제1완충포설층, 기층블록층,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 제2완충포설층 및 표면 차도블록을 연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차량의 주행과 정지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력으로 인한 블록의 수평방향 변위를 경계블록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기층 블록에 의해 차도블록을 지지함으로써, 차도블록이 불균일하게 침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평탄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차도블록의 지지를 위한 보강층을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블록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형성함으로써, 시공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시켜서 우수한 시공경제성을 발휘하게 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車道)의 경우, 종래에는 아스팔트를 포설하거나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는 형식으로 포장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긴 공기(工期)로 인한 차량통행의 제한과 파손시 부분 보수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전에 제작된 블록(block)을 이용하여 차도를 포장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제안되어온 종래 기술은, 차량의 주행과 빈번한 정지로 인하여 차도에 작용하게 되는 수평력에 대한 대책, 블록의 부등침하에 따른 표면 요철 발생에 대한 대책 등에 있어서는 매우 미흡하며, 단순히 블록을 차도에 이용한 것으로 부등침하가 발생하거나 차륜이 일정한 위치의 블록을 반복적으로 지나가면서 하중의 집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42997호(2018. 03. 29.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사전에 제작된 차도블록을 이용하여 차도를 포장하므로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수 있고, 차량의 주행과 빈번한 정지로 인하여 차도에 작용하게 되는 수평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블록의 부등침하에 따른 표면 요철 발생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응함으로써 평평한 표면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실용화 가능한 구성의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도의 포장구역에 동상방지층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보조기층을 형성하는 노반형성단계; 상기 형성된 노반의 상면에 차도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종방향경계블록과 차도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경계블록을 사전 설정된 간격에 따라 설치하는 단계; 보조기층 상면에 직물제 토목섬유 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직물제 토목섬유시트 상면에 제1완충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완충포설층 상면에 연직 두께를 가지는 사각패널 형상의 기층블록층을 설치하는 단계; 기층블록층 상면에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 상면에 제2 완충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완충포설층 상면에 차도블록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차도블록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의 포장시공방법로서, 차도블록층은 차량의 진행방향과 차도블록의 폭방향이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종방향 경계블록과 차도블록의 사이 공간에는 반블록이 결합되고, 횡방향 경계블록과 차도블록의 사이공간에는 마감블록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포장구역내에서 기층블록층과 표면 차도블록층의 가장자리 측면이 종,횡방향 경계블록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기층 블록층 및 표면 차도블록층의 수평변위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제 토목섬유시트는 경사 및 위사가 인치당 16~18개의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중량이 200~26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강우 등으로 인한 지반침하 방지 역할을 가지며, 하중-신장 특성을 이용해 지반 보강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는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이 중량비로 40:60의 혼용율, 50~90㎛ 의 유효 공극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차도블록은 길이보다 폭이 크며,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차도블록오목부가 형성되고, 폭방향 양단에 차도블록볼록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차도블록볼록부의 크기는 차도블록오목부의 절반 크기로 인접하는 두개의 차도블록의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기층블록층은 직사각형 형태의 기층블록이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각 기층블록의 인접한 두 측면에는 익스펜션 조인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층블록과 차도블록을 이용하여 평탄한 표면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차도 포장구조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차도블록을 이용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도를 포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공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시켜서 우수한 시공경제성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기층블록 위에는 복수개의 차도블록이 놓이는 형태로, 기층블록층과 표면 차도블록층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하나의 기층블록 위에 놓인 복수개의 차도블록 간에 연직방향으로 불균일한 침하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표면 차도블록층의 상면은 차량의 통행에도 불구하고 표면 요철 없이 평탄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차도블록이 인접한 차도블록 6개 및 하부의 기층블록과 접촉하여 효과적으로 맞물리게 되므로 차량의 축하중, 윤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도블록의 밀림 및 피로누적으로 인한 요철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차도가 종,횡방향 경계블록에 의해 복수개의 포장구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포장구역에서는 기층블록층과 표면 차도블록층의 가장자리 측면이 종,횡방향 경계블록의 측면에 밀착되어, 종,횡방향 경계블록에 의해 지지되므로, 차량의 주행 및 빈번한 정지로 인하여 큰 수평력이 포장구조에 작용하더라도, 보강 블록층 및 표면 차도블록층이 수평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며, 그에 따라 표면의 평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기층블록의 인접한 두 쪽면에 인스펜션 조인트가 설치되어 있어 기층부분의 변위를 익스펜션 조인트가 흡수하여 표층 차도블록층의 배부름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겨울철 해동 이후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유도하여 차도블록층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반적인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종방향 경계블록과 횡방향 경계블록을 배치하여 차도를 포장구역으로 구획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도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구조에서의 적층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도블록의 시공 상세도이다.
도 7은 기층블록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기층블록과 익스펜션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차도에서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 즉, 차도가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하고, 이와 수평방향으로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블록을 이용하여 차도의 포장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방향 경계블록(1)과 횡방향 경계블록(2)을 배치하여 차도를 포장구역으로 구획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화살표 X는 종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Y 방향은 횡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도의 포장구조에서는, 차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경계블록(1)이 설치되고, 종방향 경계블록(1)에 직교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경계블록(2)이 종방향으로 가면서 간격을 두고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차도가 평면에서 볼 때 복수개의 포장구역으로 구획된다.
즉, 종방향 경계블록(1)과 횡방향 경계블록(2)에 의해, 포장이 이루어질 차도가 복수개의 사각형 포장구역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종방향 경계블록(1)은 차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나, 차도 폭이 큰 경우에는 복수개의 종방향 경계블록(1)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종방향 경계블록(1)과 횡방향 경계블록(2)의 시공방법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구조 및 차도 포장시공방법(특허등록번호 10-1842997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도블록(810)의 사시도이다. 차도블록(810)은 폭방향(W)이 길이방향(L)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제조되는 블록이다. 차도블록(810)은 폭방향(W)의 중심부에 차도블록오목부(811)가 형성되고, 폭방향(W) 양단에 차도블록볼록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차도블록볼록부(812)의 길이는 차도블록오목부(811)의 절반 길이에 해당되므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개의 차도블록(810)의 차도블록볼록부(812)가 하나의 차도블록오목부(811)에 끼움결합되어 인터록킹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블록(820)의 사시도이다. 반블록(820)은 차도블록(810)의 절반폭에서 절단한 형상으로 "T"자형 형상을 가지며, 종방향 경계블록(1)과 차도블록(810)이 배치에 따라 발생되는 공간부에 삽입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록(830)의 사시도이다. 마감블록(830)은 차도블록(810)과 같은 크기의 폭을 가지며 폭방향 일측에 차도블록(810)과 동일한 마감블록오목부(831)과 마감블록볼록부(832)를 형성하고 있다. 마감블록(830)은 횡방향 경계블록(2)와 차도블록(810)이 형성하는 공간부에 삽입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구성의 적층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의 선 A-A에 따른 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위로 가면서 노반(200), 직물제 토목섬유시트(3), 제1완충포설층(4), 기층블록층(5),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6), 제2완충포설층(7), 차도블록층(8)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적층조성하게 된다.
도로공사표준시방서에 따라 차도를 따라 포장구역에 아래에서 위로 가면서 동상방지층(210)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보조기층(220)을 조성하여 노반(200)을 조성한다. 보조기층(220)에 앞서 종방향 경계블록(1)과 횡방향 경계블록(2)을 설치하여, 포장이 필요한 차도를 복수개의 포장구역으로 구획하게 된다. 이 때, 종방향 경계블록(1)의 하면이 보조기층(220)의 상면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보조기층(220)에서 종방향 경계블록(1)이 놓이게 될 면적을 소정 깊이로 굴착한 후, 종방향 경계블록(1)을 설치할 수도 있다. 노반(200)이 조성된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차도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종방향 경계블록(1)과 차도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 경계블록(2)을 설치한다. 종방향 경계블록(1)과 횡방향 경계블록(2)은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차도가 평면에서 볼 때 복수개의 포장구역으로 구획되게 된다.
이렇게 구획된 포장구역의 노반(200)의 상면에 직물제 토목섬유시트(3)를 설치한다. 이 직물제 토목섬유시트(3)는 강우로 인한 지반침하 방지기능, 하중-신장 특성을 이용해 토체 또는 건축재료의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반 보강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직물제 토목섬유시트(3)는 경사와 위사가 각각 인치당 16~18개의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중량이 200 내지 260g/m2이내 범위여야 한다. 경사와 위사의 본수가 16 이하인 경우에는 투수도가 증가하여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어렵고, 경사와 위사 본수가 18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수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직물제 토목섬유시트(3)은 그 중량이 200g/m2이하인 경우에는 하중-신장 특성을 고려할 때 지반보강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260g/m2을 초과하게 되면 투수도가 저하된다. 본 출원인은 수많은 실험을 통하여 투수도와 지반보강기능을 고려할 때 상기 직물제 토목섬유시트(3)는 경사와 위사 가각 18 본의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고, 240g/m2을 가질 때 가장 바람직한 투수도와 지반보강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직물제 토목섬유시트(3)의 상면에 제1완충포설층(4)이 형성된다. 제1완충포설층(4)은 모래 등의 잔골재를 소정 연직높이로 고르게 포설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차량 등의 하중 작용시의 완충 작용을 하게 됨은 물론이고, 후술하는 기층블록층(5)이 평탄하게 조성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7은 기층블록층의 사시도이며, 도 8은 기층블록과 익스펜션조인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제1완충포설층(4)의 상면 위로는 기층블록층(5)이 적층 형성된다. 기층블록층(5)은, 사각형 평면형상을 가지며 연직 두께를 가지는 패널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기층블록(510)으로 해당 포장구역을 덮도록 설치됨으로써 형성된다. 기층블록(510)은 시멘트계 재료로 사전 제작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서, 복수개가 그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해당 포장구역을 덮게 된다. 이 때, 해당 포장구역의 가장자리에서 기층블록은 종,횡방향 경계블록(1, 2)의 측면에 밀착된다. 만일 기층블록(510)을 설치할 때, 포장구역의 종,횡방향 경계블록(1, 2)과 밀착되는 부분에서, 공장 제작된 기층블록(510)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만이 존재하여 기층블록(510)을 그대로 배치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그 좁은 간격에는 시공 편의성을 위하여 쇄석을 채우고 모르타르 등과 같은 시멘트계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분해사시도에서 각 기층블록(510)의 인접하여 직각을 이루는 두 측면에 익스펜션 조인트(520)가 부착되어 있다. 익스펜션 조인트(52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기층블록(510)간의 수축작용과 팽창작용을 흡수 및 완화시켜주는 작용을 수행한다. 특히 기층 부분의 변위를 익스펜션 조인트(520)가 흡수하여 차도블록층(8)의 배부름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겨울철 해동 이후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유도하여 보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반적인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익스팬션 조인트(520)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폭시 접착제로 기층블록(510)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접착결합된다.
또한 기층블록층(5)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블록(510)을 포설함에 있어서, 측구(300)와 밀착하게 되는 기층블록(510)의 측면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익스펜션 조인트(520)가 부착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층블록(510)에서 측구(300)와 밀착하는 측면에 익스펜션 조인트(520)가 설치되면, 동결융해가 발생하였을 때 후술하는 표면 차도블록층(8)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겨울철 해동 이후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유도하여 표면 차도블록층(8)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반적인 하자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기층블록층(5)의 구축이 완료되면, 기층블록층(5)의 위쪽으로는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6)가 적층된다.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6)는 왕사와 쇄석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층에서의 흙이나 입자의 유동성을 제한하거나 방지하여 표층의 침식을 예방한다.
상기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6)은 폴리에스테르 : 폴리프로필렌의 혼용율이 중량비로 40:60, 유효공극 크기가 50 내지 90㎛ 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폴리에스테르 원료 부직포는 흡수성이 없고 공기투과성이 높으며, 내마모성이 뛰어난 반면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가볍고, 탄성회복성,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를 40:60으로 혼용하여, 유효공극 크기를 50 내지 90㎛ 범위로 제조한 부직포는 하중에 대한 탄성회복성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형태한정성을 가지며, 투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6)의 상면에 제2완충포설층(7)이 적층 형성된다. 제2완충포설층(7) 역시 모래 등의 잔골재가 소정 연직높이로 고르게 포설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완충포설층(4)과 마찬가지로, 차량 등의 하중 작용시의 완충 작용을 하게 됨은 물론이고, 후술하는 표면 차도블록층(7)이 설계된 구배를 가지면서 평탄하게 조성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2완충포설층(7)의 위에는 차도블록층(8)이 해당 포장구역을 덮도록 설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차도블록층(8) 역시 시멘트계 재료로 사전 제작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복수개가 그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해당 포장구역을 덮게 된다. 이 때, 해당 포장구역의 가장자리에서 차도블록층(8)은 종,횡방향 경계블록(1, 2)의 측면에 밀착된다.
도 6은 차도블록층(8)의 시공상세도이다. 이에 따르면, 차도블록층(8)은 구체적으로 차도블록(810), 반블록(820), 마감블록(830) 및 종, 횡방향 경계블록(1, 2)와 밀착 결합하여 구성된다. 차도블록(810)은 그 폭방향(W)이 차도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열된다. 차도블록(810)이 폭방향(W)으로 배열되어 종방향 경계블록(1)과 형성되는 공간에는 반블록(820)이 삽입 결합된다. 한편, 횡방향 경계블록(2)은 마감블록(820)과 접촉결합되고, 마감블록(820)의 다음 행에서 인접한 2개의 차도블록(810)의 차도블록볼록부(812)가 마감블록(830)의 마감블록오목부(831)에 삽입결합된다. 그 다음 행에서는 차도블록(810)의 차도블록오목부(811)에 2개의 차도블록볼록부(812)가 반복적으로 삽입되면서 차도방향으로 진행되어, 횡방향 경계블록(2)와 마감블록(830)의 형상에 해당하는 공간을 남기고 배치가 중단되며, 해당 공간에 마감블록(830)이 차도블록(810)과 횡방향 경계블록(2)사이의 공간에 결합되어 구획된 차도블록층(8)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형성된 표면 차도블록층(8)은 최상층으로서, 하나의 차도블록(810)이 인접하는 6개의 차도블록(810)과 인터록킹 결합되어, 기층블록(510)을 포함하여 7개면이 접촉하여 축하중과 윤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차량의 주행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표면 차도블록층(8)과 제2완충포설층(7)을 통해서 기층블록층(5)으로 전달된다. 기층블록층(5)은 두께를 가지는 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패널 자체의 강성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데, 기층블록층(5)에 작용하는 하중은 제1완충포설층(4)을 통해서 그 하부의 보조기층(220) 및 동상방지층(210)을 거쳐 지반으로 전달된다.
또한, 각 포장구역의 가장자리에서는 기층블록층(5)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종,횡방향 경계블록(1, 2)으로 분산되어 지반으로 전달된다. 즉, 하중이 분산되어 지반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집중하중으로 인한 지반의 부등침하 등의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차도블록(810)은, 기층블록층(5)을 이루는 기층블록(510)보다 그 평면 면적이 작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기층블록(510) 위에는 복수개의 차도블록(810)이 놓이게 된다. 즉, 복수개의 차도블록(810)이 하나의 기층블록(510)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표면 차도블록층(8)이 기층블록층(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하나의 기층블록(510) 위에 놓인 복수개의 차도블록 간에 연직방향으로 불규일한 침하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복수개의 차도블록이 기층블록(510)에 의해 지지되므로, 하나의 기층블록(510) 위에 놓인 차도블록 간에는 불규칙한 요철 형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표면 차도블록층(8)의 상면은 차량의 통행에도 불구하고 표면 요철 없이 평탄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층블록층(5)과 표면 차도블록층(8)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포장구조를 구축할 때, 기층블록층(5)과 표면 차도블록층(8)의 가장자리 측면은 종,횡방향 경계블록(1, 2)의 측면에 밀착된다. 종,횡방향 경계블록(1, 2)은 보조기층(22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층블록층(5) 및 표면 차도블록층(8)이 각각 종,횡방향 경계블록(1, 2)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기층블록층(5) 및 표면 차도블록층(8)의 수평변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포장구조가 완성되고 그 상면으로 차량이 주행할 때, 차량의 주행 및 정지에 따라 수평력이 발생하여, 차도블록 및 기층블록에 각각 수평력이 작용하더라도, 표면 차도블록층(8) 및 기층블록층(5)의 수평방향 가장자리를 종,횡방향 경계블록(1, 2)이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표면 차도블록층(8) 및 기층블록층(5)의 수평방향 변위는 발생하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표면 차도블록층(8)의 연직 변위도 억제되고, 그에 따라 표면 차도블록층(8)의 상면은 차량의 통행에도 불구하고 평탄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 종방향 경계블록 510: 기층블록
2: 횡방향 경계블록 520: 익스펜션 조인트
3: 직물제 토목섬유시트 810: 차도블록
4: 제1완충포설층 811: 차도블록오목부
5: 기층블록층 812: 차도블록볼록부
6: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 820: 반블록
7: 제2완충포설층 830: 마감블록
8: 표면 차도블록층 831: 마감블록오목부
200: 노반 832: 마감블록볼록부
210: 동상방지층
220: 보조기층

Claims (6)

  1. 차도를 따라 포장구역상에 동상방지층과 그 상면에 보조기층을 조성하는 노반형성단계;
    상기 형성된 노반의 상면에 차도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종방향경계블록과 차도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횡방향경계블록을 사전 설정된 간격에 따라 설치하는 단계;
    보조기층 상면에 직물제 토목섬유 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직물제 토목섬유시트 상면에 제1완충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완충포설층 상면에 연직 두께를 가지는 사각패널 형상의 기층블록층을 설치하는 단계;
    기층블록층 상면에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 상면에 제2 완충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완충포설층 상면에 차도블록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차도블록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도블록층은 차량의 진행방향과 차도블록의 폭방향이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종방향 경계블록과 차도블록 사이의 공간에 반블록이 결합되고, 횡방향 경계블록과 차도블록의 사이에 마감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제 토목섬유시트는 경사 및 위사가 인치당 16~18개의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중량이 200~26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제 토목섬유시트는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이 중량비로 40:60의 혼용율, 50~90㎛ 의 유효 공극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차도블록은 길이보다 폭이 크며, 폭방향으로 중심부에 차도블록오목부와 양단부에 차도블록블록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차도블록볼록부의 크기는 차도블록오목부의 절반 크기로, 인접하는 2개의 차도블록블록부가 차도블록오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기층블록층을 구성하는 기층블록의 인접하는 두 측면에 익스펜션 조인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포장시공방법.

KR1020180073204A 2018-06-26 2018-06-26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 KR20200000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04A KR20200000926A (ko) 2018-06-26 2018-06-26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04A KR20200000926A (ko) 2018-06-26 2018-06-26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26A true KR20200000926A (ko) 2020-01-06

Family

ID=6915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04A KR20200000926A (ko) 2018-06-26 2018-06-26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9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073A (zh) * 2021-08-30 2021-12-28 中航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拉挤成型复合材料模块化气瓶支架的制备工艺
KR20230005482A (ko) * 2021-07-01 2023-01-10 콘비젼스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 보도블록 포장공법 및 이에 의한 포장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482A (ko) * 2021-07-01 2023-01-10 콘비젼스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 보도블록 포장공법 및 이에 의한 포장구조
CN113844073A (zh) * 2021-08-30 2021-12-28 中航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拉挤成型复合材料模块化气瓶支架的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3049B2 (en) Pavement systems with geocell and geogrid
KR101701164B1 (ko) 도로용 다기능 합성수지블록
AU2014326302A1 (en) Pavement systems with geocell and geogrid
RU2353724C1 (ru) Бетонное дорожное полотно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A2209787A1 (en) Anchoring of outdoor traffic areas provided with cobblestones or paving stones
KR20200000926A (ko) 차도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 시공방법
KR20140132144A (ko)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을 구비한 철도 슬래브 궤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US20030223819A1 (en) Void-maintaining synthetic drainable base courses and methods for extending the useful life of paved structures
CN109338840B (zh) 一种高强度路面的施工方法
EP0898623B1 (en) Pavement for conveying vehicular traffic
KR101842997B1 (ko) 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구조 및 차도 포장 시공방법
EP1703020B1 (en) Road verge
US20120269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Sub-surface Water
CN105887624A (zh) 一种透水行道面层铺装结构及铺装方法
JP4237005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舗装構造
CN213625043U (zh) 一种路基路面用排水结构
CN211142682U (zh) 防止城市道路路基不均匀沉降结构
WO2008153432A1 (fr) Système d'appui pour sols mous
CN209907141U (zh) 一种水泥砼与沥青砼刚柔过渡段路面结构
KR101425709B1 (ko) 바닥 돌기를 구비한 보도 블럭 케이스
RU2357037C2 (ru) Способ и конструкция возвед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й дороги с твердым покрытием
KR101264601B1 (ko) 보차도 구조 및 보차도 시공방법
KR100613845B1 (ko) 포장도로 표층 보강부재
JP2020029731A (ja) 舗装システムおよび施工方法
CN220598030U (zh) 一种凹凸连锁式缝隙透水铺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