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91A -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91A
KR20200000891A KR1020180073122A KR20180073122A KR20200000891A KR 20200000891 A KR20200000891 A KR 20200000891A KR 1020180073122 A KR1020180073122 A KR 1020180073122A KR 20180073122 A KR20180073122 A KR 20180073122A KR 20200000891 A KR20200000891 A KR 20200000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le
inner housing
discharge ba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965B1 (ko
Inventor
채금옥
Original Assignee
채금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금옥 filed Critical 채금옥
Priority to KR102018007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9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콘센트 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가 구비된 내부 하우징, 한 쌍의 플러그 단자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플러그 토출용 바, 및 플러그 토출용 바를 내부 하우징의 전면(前面)으로 토출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Plug Structure with Automatic Plug-Out Function}
본 발명은 플러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플러그와 전기 콘센트가 높은 결합 강도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분리 과정에서 전기 콘센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전기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결합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기 콘센트와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전기 콘센트와 플러그와의 견고한 결합 상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플러그가 전기 콘센트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에 따른 문제점은 해결하고 있으나,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와의 과도한 결합 상태가 유발됨에 따라 정작 사용자가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당한 힘을 가하여 플러그를 인발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분리함에 있어서,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플러그의 분리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전기 콘센트의 부품 내구성이 훼손되거나, 심지어는 전기 콘센트의 커버가 전기 콘센트가 시공되어 있는 벽체면으로부터 이탈되기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플러그와 전기 콘센트가 높은 결합 강도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분리 과정에서 전기 콘센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는, 콘센트 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가 구비된 내부 하우징(120);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 및 상기 플러그 토출용 바(130)를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전면(前面)으로 토출시키는 탄성체(1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135)가 상기 플러그 토출용 바(130)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135)의 복원을 차단하는 차단구(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구(1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체(135)의 복원 차단이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체(1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상기 플러그 구조체의 전면(前面)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구(150)에는 상기 플러그 토출용 바(130)에 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15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와 전기 콘센트가 높은 결합 강도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플러그의 분리 과정에서 전기 콘센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의 동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플러그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토출용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버튼부가 구비된 차단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차단구의 구조를 반대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의 내부 하우징에 플러그 토출용 바와 차단구를 설치하기 이전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의 내부 하우징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에서의 내부 하우징에 구비된 관통홀을 후방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버튼부가 눌려진 상태에서의 차단구의 내부 하우징에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버튼부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단구의 내부 하우징에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 외부 하우징(200), 플러그 토출용 바(130), 및 버튼부(151)를 포함한다.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는 외부 하우징(200)의 전면(前面)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를 벽체에 설치된 콘센트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콘센트 홀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구조체를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의 사이에서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가 콘센트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콘센트의 벽면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외부 하우징(20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한편, 이후 사용자가 플러그 구조체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버튼부(151)를 누름에 따라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도 1에서와 같이 외부 하우징(20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돌출되게 되며, 이와 같이 외부 하우징(20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콘센트 벽면을 밀어냄으로써 결과적으로 플러그 구조체는 콘센트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도 3은 도 1에서의 플러그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와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설치되는 내부 하우징(120), 및 내부 하우징(120)을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는 버튼부(151)가 설치되며,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200)에는 버튼부(151)가 삽입되어 외부 하우징(20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버튼홀(25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조자는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200)에 각각 구비된 결합홀(210)에 나사를 결합함으로써 외부 하우징(200)을 내부 하우징(120)에 견고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본체부(133), 및 본체부(133)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토출부(131)를 포함한다.
본체부(133)와 토출부(131)는 각각 원통형으로 제조되며, 토출부(131)의 단면은 본체부(133)보다 작은 단면을 형성한다.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내부 하우징(120) 내부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토출부(131)는 내부 하우징(120)의 전면(前面)으로 토출되거나,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되지만, 본체부(133)는 내부 하우징(120)의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으며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에서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체부(133)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날개부(137)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부(137)는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27)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날개부(137)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인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구비하며, 도 4에서와 같이 날개부(137)의 후방측 상단에는 경사면(139)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날개부(137)의 후방측 상단에 구비된 경사면(139)은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2의 상태로 되기 위해 후방으로 원활하게 복귀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3에서의 버튼부(151)가 구비된 차단구(1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차단구(150)에서의 하부에는 평판형 구조의 버튼부(151)가 구비되어 있으며, 버튼부(151)의 상부면의 중앙에는 스프링 등의 복원체(159)가 버튼부(15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부(151)의 상부면의 측부에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삽입되는 중앙홀(157)이 형성된 링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단구(150)의 링형 부재의 좌우 내측면에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통과홈(15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차단구(150)의 링형 부재의 내측면에는 차단구(150)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날개부(137)가 걸림으로써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원체(159)가 압축된 상태로부터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차단구(150)의 수직 방향으로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면,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는 차단구(150)의 통과홈(152)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가 차단구(150)의 링형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된 차단부(153)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도 2에서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도 5에서의 차단구(150)의 구조를 반대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차단구(150)의 링형 부재의 좌우측 내측면에 형성된 통과홈(152)의 상면은 경사면(154)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2의 상태로 복귀 이동하는 경우에 통과홈(152)의 상부면에 형성된 경사면(154)은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에 형성된 경사면(139)과 결합하게 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은 날개부(137)와 통과홈(152)의 수직 위치가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날개부(137)는 경사면(139)을 이용하여 통과홈(15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3에서의 내부 하우징(120)에 플러그 토출용 바(130)와 차단구(150)를 설치하기 이전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내부 하우징(120)에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플러그 단자(1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 단자(115)에 결합된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자 기기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면에는 도 5에서의 차단구(150)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복원체(159)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121)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면에는 도 5에서의 차단구(150)에 구비된 링형 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결합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통홀(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8에서와 같이 차단구(150)가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됨에 따라 차단구(150)에 구비된 링형 부재의 중앙홀(157)은 관통홀(127)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9는 도 7에서의 내부 하우징(120)에 구비된 관통홀(127)을 후방(플러그 단자(110)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통홀(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127)의 좌우 내측에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좌우측면에 구비된 날개부(137)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122)이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관통홀(127)의 플러그 단자(110) 방향(전방)으로의 단부 내측에는 이탈 방지턱(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전개됨에 따라 본체부(133)의 돌출부와의 결합 단부가 이탈 방지턱(124)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돌출 길이를 제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외부 하우징(200)의 전면(前面)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는 최소 10mm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안전 인증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151)를 수직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복원체(159)가 압축되는 경우에 차단구(150)에 구비된 중앙홀(157)의 수직 위치는 관통홀(127)의 수직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단구(150)의 중앙홀(157)에 형성된 통과홈(152)은 관통홀(127)에 형성된 가이드 홈(12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는 차단구(150)의 중앙홀(157)에 구비된 통과홈(152)을 통과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도 1에서와 같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151)의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복원체(159)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단구(150)에 구비된 중앙홀(157)의 수직 위치는 관통홀(127)의 수직 위치와 불일치하게 되며, 그 결과 차단구(150)의 중앙홀(157)에 형성된 통과홈(152)은 관통홀(127)에 형성된 가이드 홈(122)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그 대신 차단구(150)에 구비된 차단부(153)가 가이드 홈(122)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가 차단부(153)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도 2에서와 같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구조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도 8에서와 같이 제조자는 차단구(150)를 내부 하우징(120)에 먼저 설치한 다음, 도 12에서와 같이 플러그 토출용 바(130)를 내부 하우징(120)의 관통홀(127)에 삽입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조자는 도 13에서와 같이 버튼부(151)를 누름으로써 차단구(150)의 중앙홀(157)의 수직 위치와 관통홀(127)의 수직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플러그 토출용 바(130)를 관통홀(127)의 내부에 삽입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도 12에서와 같이 제조자는 도 4에서의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에서의 경사면(139)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관통홀(127)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날개부(137)에서의 경사면(139)과 도 6에서의 통과홈(152)에서의 경사면(154)이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는 평행면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 도 14에서와 같이 제조자는 버튼부(151)가 눌려진 상태에서, 관통홀(127)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본체부(133)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공간인 공동부(132)에 용수철 등의 탄성체(135)를 삽입 설치한다.
그 다음, 제조자는 탄성체(135)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바 형태의 삽입구가 중앙에 구비된 패널형 부재인 고정구(140)를 내부 하우징(120)의 후면(플러그 단자(110)가 형성된 전면(前面)의 반대면)에 고정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고정부의 하단에는 삽입부(145)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관통홀(127)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129)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147)을 형성함으로써 고정구(140)가 내부 하우징(1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고정구(140)의 좌우측에 구비된 고정홀(143)과, 내부 하우징(120)의 후면의 좌우측에 구비된 나사홀(123)을 관통하는 나사(10)를 설치함으로써 고정구(140)가 내부 하우징(1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결과, 내부 하우징(120)은 도 15에서와 같은 결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로서, 내부 하우징(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외부 하우징(200)을 결합 설치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은 플러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의 플러그 구조체를 콘센트에 삽입함에 따라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돌출 단부는 콘센트 벽면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플러그 구조체의 내부로 복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콘센트 벽면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후방으로 복귀 이동함에 따라,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39)은 차단구(150)의 통과홈(152)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54)과 결합을 형성하게 되며, 그 상태에서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후방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의 경사면(139)이 차단구(150)의 경사면(15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가 차단구(150)의 통과홈(15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구(150)의 경사면(154)을 통해 날개부(137)가 차단구(150)의 통과홈(152)을 통과하는 동안 복원체(159)는 일시적으로 압축되며 외부 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151)는 아래로 일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후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가 차단구(150)의 통과홈(152)을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복원체(159)는 압축이 해제된 상태로 복귀되며 외부 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151) 또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 결과 도 11에서와 같이 차단구(150)에 구비된 중앙홀(157)의 수직 위치는 관통홀(127)의 수직 위치와 불일치하게 됨으로써, 차단구(150)의 중앙홀(157)에 형성된 통과홈(152)은 관통홀(127)에 형성된 가이드 홈(122)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차단구(150)의 차단부(153)가 가이드 홈(122)과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그 결과 플러그 토출용 바(130)의 날개부(137)가 차단부(153)에 걸림으로써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차단구(15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도 2에서와 같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은 상태로 콘센트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구조체를 사용자가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려는 경우에 사용자는 버튼부(151)를 수직 방향으로 누르게 되며, 버튼부(151)를 누름으로써 고정핀(121)에 설치된 복원체(159)가 압축되면서 차단구(150)에 구비된 중앙홀(157)의 수직 위치는 관통홀(127)의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단구(150)의 중앙홀(157)에 형성된 통과홈(152)은 관통홀(127)에 형성된 가이드 홈(122)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차단구(150)의 중앙홀(157)을 통과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러그 토출용 바(130)는 도 1에서와 같이 외부로 토출되며 플러그 구조체를 콘센트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나사, 110: 플러그 단자,
115: 접속 단자, 120: 내부 하우징,
121: 고정핀, 122: 가이드 홈,
123: 나사홀, 124: 이탈 방지턱,
125: 결합홈, 127: 관통홀,
125: 결합홈, 129: 고정홈,
130: 플러그 토출용 바, 131: 토출부,
132: 공동부, 133: 본체부,
135: 탄성체, 137: 날개부
139: 경사면, 140: 고정구,
143: 고정홀, 145: 삽입부,
147: 고정편, 150: 차단구,
151: 버튼부, 152: 통과홈,
153: 차단부, 154: 경사면,
157: 중앙홀, 159: 복원체,
200: 외부 하우징, 210: 결합홀,
250: 버튼홀.

Claims (3)

  1. 콘센트 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가 구비된 내부 하우징(120);
    상기 한 쌍의 플러그 단자(110)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플러그 토출용 바(130); 및
    상기 플러그 토출용 바(130)를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전면(前面)으로 토출시키는 탄성체(135)
    를 포함하는 플러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35)가 상기 플러그 토출용 바(130)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135)의 복원을 차단하는 차단구(150)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탄성체(135)의 복원 차단이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체(1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 토출용 바(130)가 상기 플러그 구조체의 전면(前面)으로 토출되는 것인 플러그 구조체.

KR1020180073122A 2018-06-26 2018-06-26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KR102126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22A KR102126965B1 (ko) 2018-06-26 2018-06-26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22A KR102126965B1 (ko) 2018-06-26 2018-06-26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91A true KR20200000891A (ko) 2020-01-06
KR102126965B1 KR102126965B1 (ko) 2020-06-25

Family

ID=6915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22A KR102126965B1 (ko) 2018-06-26 2018-06-26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9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720A (ja) * 2000-06-06 2001-12-21 Smk Corp 回動式電源プラグ装置
KR100707690B1 (ko) * 2006-09-11 2007-04-16 김용현 자동취출식 플러그
KR20100099609A (ko) * 2009-03-03 2010-09-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 인출수단이 구비된 콘센트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KR101388045B1 (ko) * 2013-01-15 2014-04-23 최근식 원터치 자동 분리 플러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720A (ja) * 2000-06-06 2001-12-21 Smk Corp 回動式電源プラグ装置
KR100707690B1 (ko) * 2006-09-11 2007-04-16 김용현 자동취출식 플러그
KR20100099609A (ko) * 2009-03-03 2010-09-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 인출수단이 구비된 콘센트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KR101388045B1 (ko) * 2013-01-15 2014-04-23 최근식 원터치 자동 분리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965B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6499A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10153590B2 (en) Socke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plugs from dropping off
US20180366871A1 (en) Socket structure
JP5736062B2 (ja) 電気接続デバイス
US20080299811A1 (en) Power inlets and power connectors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08305598A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01160431A (ja) 端子台ソケット
US1088664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US20060194473A1 (en) Clamping screw or plug through-wall connection, a wedge-shaped fixation
RU2504874C2 (ru) Сетевой штекерный разъем
EP2240983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20200000891A (ko)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KR101984876B1 (ko)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RU2266593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соединение
CN213692520U (zh) 一种按动式插拔的插线板
US20040132333A1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KR20100001179U (ko) 커넥터
EP3477779B1 (en) System comprising a ferrule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block and electrical equipment comprising such system
KR101891695B1 (ko) 플러그 확장 모듈 구조체
CN107925232B (zh) 电力布线装置
US20180026390A1 (en) Connector
CN217788811U (zh) 一种接线件与接线器
KR101578128B1 (ko) 커넥터 조립체
CN111816518B (zh) 一种接线端子及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