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99A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99A
KR20200000799A KR1020190058651A KR20190058651A KR20200000799A KR 20200000799 A KR20200000799 A KR 20200000799A KR 1020190058651 A KR1020190058651 A KR 1020190058651A KR 20190058651 A KR20190058651 A KR 20190058651A KR 20200000799 A KR20200000799 A KR 2020000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essure
heating
detec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251B1 (ko
Inventor
마사아키 키무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47J36/22Wire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조작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오조작을 방지한 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가열수단(3)에 의한 가열운전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여 가열수단(3)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2)을 구비한다. 조작수단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조작되는 접촉조작부(4,5,6)와, 접촉조작부(4,5,6)로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17)과, 접촉조작부(4,5,6)로의 압압을 검출하는 압압검출수단(18)을 구비한다. 제어수단(12)은, 접촉검출수단(17)에 의해 접촉조작부(4,5,6)로의 접촉이 검출되고, 또한, 압압검출수단(18)에 의해서 접촉조작부(4,5,6)로의 압압이 검출되었을 때에,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는 가열수단의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Apparatus for cooking}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가열운전에 관한 조작이 행해지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리제 천판을 구비한 곤로 등의 가열조리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천판의 일부를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가열운전에 관한 조작이 행해진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1 참조).
사용자가 천판의 일부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때에 닿는 접촉조작부가, 가열운전의 내용(ON/OFF나 화력변경 등)에 대응하여 복수설정되어 있다. 각 접촉조작부에는 정전용량식의 스위치(소위 터치 키)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접촉조작부에 손가락으로 댄 것을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접촉조작부로의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조작된 것이 판단되면, 가열조리기의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접촉을 검출한 접촉조작부에 대응하는 가열운전의 내용(ON/OFF이나 화력변경 등)에서의 가열운전을 실행한다.
JP 2016-186846 A
그런데, 예를 들면, 천판상에 부착하는 조리시의 끓어넘침이나 물방울을 닦아낼 때 등에는, 사용자가 접촉조작부에 실수로 접촉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사용자에게 조작 의사가 없더라도, 사용자가 접촉조작부에 실수로 살짝 닿은 것만으로 조작되었다고 판단되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행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통상은,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무효로 하는 잠금상태로 하고, 잠금해제부가 조작된 경우에,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원하는 조작을 행할 때마다, 잠금해제부를 조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면 안되고, 번거로움이 생겨서 조작성이 나쁘다.
상기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조작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오조작을 방지한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운전에 관한 조작을 실시하는 조작수단과, 해당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조작되는 접촉조작부와,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과,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을 검출하는 압압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압압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는 상기 가열수단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검출수단과 압압검출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접촉조작부에 있어서의 접촉과 압압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접촉검출수단이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검출하고, 동시에, 압압검출수단이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을 검출했을 때에만, 가열수단에 대한 제어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의 의사를 갖고 접촉조작부를 압압했을 때에 원하는 조작이 실시되고, 사용자가 실수로 접촉조작부에 가볍게 닿았을 경우에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접촉조작부를 압압하는 것만으로 오조작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오조작 방지의 잠금해제라는 번거로운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이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압압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는 상기 가열수단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압압검출수단이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계속하여, 접촉검출수단이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검출해도, 가열수단의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접촉조작부의 주위를 비교적 강한 힘으로 걸레질을 하고 있을 때, 압압검출수단이 압압을 검출하지만, 압압검출수단이 압압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촉조작부에 실수로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사용자에 의한 접촉조작부로의 조작이 아닌 것으로 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접촉조작부가 표면에 설정된 플레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전기적 절연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검출수단은, 정전용량식의 접촉검지소자를 구비하여, 해당 접촉검지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접촉조작부에 있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검출하고, 상기 압압검출수단은, 감압소자를 구비하여, 해당 감압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플레이트부가 받은 압압력에 따른 상기 접촉조작부에서의 해당 플레이트부의 변위와 변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접촉조작부의 압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검출수단이 구비하는 정전용량식의 접촉검지소자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압압검출수단이 구비하는 감압소자에 의해, 접촉조작부에서의 플레이트부의 변위나 변형을 검지하여, 접촉조작부가 압압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과 압압 각각이 명확하게 검출가능하고, 오조작인지 아닌지를 높은 정밀도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검출수단의 상기 감압소자는, 상기 접촉조작부가 받은 압압이 검출가능한 범위에서 해당 접촉조작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접촉조작부가 복수일때, 각 접촉조작부의 각각에 접촉검지소자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접촉하고 있는 것이 어느 접촉조작부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접촉조작부를 압압했는지 아닌지는, 그 때의 압압에 따른 플레이트부의 변위나 변형이 검지될 수 있어도 좋다. 따라서, 감압소자는 각 접촉조작부의 각각에 설치될 필요가 없고, 모든 접촉조작부가 받은 압압이 검출가능한 범위라면, 단일 감압소자라도 사용자가 접촉조작부를 압압했는지 아닌지를 판단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압압이 검출가능한 범위에서 접촉검지소자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감압소자를 설치하여, 접촉조작부의 수에 비해서 감압소자의 수를 적게 하여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조작부가 단일일 때에는, 감압소자를 접촉조작부로부터 이간시켜서 접촉검지소자를 위해서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부가 유리제 천판이고, 상기 가열수단이 상기 천판상의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조리기에 알맞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유리제 천판에 접촉조작부를 설정했을 경우에는, 접촉검출수단에 의해서 천판의 상면을 평활한 면으로 유지할 수 있고, 천판의 상면의 청소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접촉조작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열수단이 천판상의 피조리물을 가열하고 있을 때에 천판상에 끓어넘침에 의한 오염물이 붙으면, 이것을 닦아내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 때, 사용자가 실수로 접촉조작부에 닿아도, 압압검출수단이 압압을 검출하지 않으면 안되는 오조작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리동작이 행해지는 일이 없고, 조리실패를 방지할 수 있어서, 쓰기에 편리하다.
조작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오조작을 방지한 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운전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여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조작수단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조작되는 접촉조작부와,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과,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을 검출하는 압압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제어수단은, 접촉검출수단에 의해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이 검출되고, 또한, 압압검출수단에 의해서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이 검출되었을 때에,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는 가열수단의 제어를 행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열조리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적 평면도이다.
도2는, 본 실시예의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접촉조작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3(A)는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3(B)는 조작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4는, 압전소자의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선도면이고, 도4(A)는 짧게 누를 때, 도4(B)는 길게 누를 때를 나타낸다.
도5는, 터치스위치와 압전소자와의 위치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열조리기(1)는, 전기적 절연물인 유리에 의해 형성된 천판(2)과, 천판(2)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하는 곤로버너(3)을 구비하는 가스곤로이다. 천판(2)의 앞쪽영역에는, 전원마크가 표시된 전원조작부(4), 화력마크가 표시된 화력조정조작부(5), 타이머마크가 표시된 타이머설정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다. 곤로버너(3)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에 해당하고, 전원조작부(4), 화력조정조작부(5), 및 타이머설정조작부(6)는, 각각, 본 발명의 접촉조작부에 해당한다. 또한, 천판(2)의 일부(전원조작부(4), 화력조정조작부(5), 타이머설정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부에 해당한다.
전원조작부(4), 화력조정조작부(5), 및 타이머설정조작부(6)에는, 각각의 천판(2)의 이면측에 정전용량식의 터치스위치(7,8a,8b,9a,9b)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스위치(8a,8b)는, 화력조정조작부(5)의 플러스/마이너스 마크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터치스위치(9a,9b)는, 타이머설정조작부(6)의 업/다운 마크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터치스위치(7,8a,8b,9a,9b)는 본 발명의 접촉검지소자에 해당한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곤로버너(3)에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공급관(10)에는, 곤로버너(3)의 화력에 대응하는 연료가스량으로 조정하는 밸브장치(11)가 개설되어 있다. 밸브장치(11)는 운전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된다. 곤로버너(3)는, 이그나이터(13)에 구동되는 점화플러그(14)에 의해 점화되고, 열전대(15)에 의해 불꽃의 검지가 행해진다. 이그나이터(13)와 열전대(15)는 운전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운전제어부(12)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에 해당한다.
천판(2)의 이면측의, 터치스위치(7,8a,8b,9a,9b)로부터 이간된 위치에는, 압전필름센서 등의 압전소자(16)가 설치되어 있다. 압전소자(16)는 본 발명의 감압(感壓)소자에 해당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스위치(7)는, 접촉검출부(17)를 통해서 운전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압전소자(16)는, 압압검출부(18)를 통해서 운전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터치스위치(7,8a,8b,9a,9b)(도1참조), 접촉검출부(17), 압전소자(16), 압압검출부(18), 및 천판(2)의 일부(전원조작부(4), 화력조정조작부(5), 타이머설정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로, 본 발명의 조작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2에서는, 전원조작부(4)의 터치스위치(7)만을 나타내고, 다른 터치스위치(8a,8b,9a,9b)를 생략하고 있다.
접촉검출부(17)는, 예를 들면, 전원조작부(4)의 터치스위치(7)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용량의 변위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천판(2)의 전원조작부(4)(전원마크)의 위치에 닿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전원조작부(4)(전원마크)의 위치에 닿아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압압검출부(18)는, 압전소자(1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변위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천판(2)의 전원조작부(4)(전원마크의 위치)를 압압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전원조작부(4)(전원마크의 위치)를 압압했을 경우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다른 조작부(5,6)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 압전소자(1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변위는, 예를 들면,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2)이 평탄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전원조작부(4)(전원마크의 위치)가 압압된 영향에 의해, 도3(B)에 설명하는 편의상 과장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2)에 휨, 뒤틀림, 압축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거나, 압전소자(16)의 변위가 발생한 것에 의한 것이다.
천판(2)의 변형이나 변위에 따른 압전소자(16)의 출력전압은, 짧게 누르는 경우,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위치(X)에 대해서 급격하게 상하하는 변위가 발생한다. 압압검출부(18)는, 압전소자(1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변위가 상하했을 때, 압압조작(통상은 짧게 누룸)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압전소자(16)의 출력전압은, 길게 누르는 경우,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2)에 대하여 눌러 내릴 때 일단은 정상위치(X)보다 상승하여 정상위치(X)로 되돌아가고, 천판(2)의 압압을 해제했을 때는 정상위치(X)보다 강하하여 정상위치(X)로 되돌아간다. 압압검출부(18)에 있어서는, 압전소자(1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변위가 도4(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었을 때, 길게 누름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검출부(17)와 압압검출부(18)가 운전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운전제어부(12)는, 접촉검출부(17)의 검출에 의한 각 조작부(4,5,6)로의 접촉에 관한 정보(어느 조작부에 접촉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압압검출부(18)의 검출에 의한 각 조작부(4,5,6)의 압압에 관한 정보(어느 조작부가 압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운전제어부(12)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원조작부(4)로의 접촉과 압압을 행했다고 판단했을 때, 가열조리기(1)의 전원을 ON으로 하고, 운전준비상태가 된다. 한편, 운전제어부(12)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원조작부(4)에 접촉한 것을 접촉검출부(17)로부터 취득했다고 하더라도, 압압검출부(18)로부터의 압압의 검출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는, 가열조리기(1)의 전원을 ON으로 하지 않고, OFF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조작부(5,6)에 있어서도 동일한 판단으로 제어가 행해진다.
나아가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운전제어부(1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원조작부(4)에 접촉하고, 접촉검출부(17)로부터의 접촉의 검출신호가 얻어진 상태(접촉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계속해서 사용자가 전원조작부(4)를 압압하여, 압압검출부(18)로부터의 압압의 검출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만, 운전제어부(12)는, 가열조리기(1)의 전원을 ON으로 한다. 다른 조작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각 조작부(4,5,6)의 어느 것에 실수로 살짝 닿거나, 끓어넘친 국물이나 물이 각 조작부(4,5,6)에 부착한 경우에, 접촉검출부(17)로부터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되어도, 운전제어부(12)는, 압압검출부(18)로부터의 압압의 검출정보를 얻지 못하면,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혹은, 사용자가 천판(2)상을 비교적 강한 힘으로 걸레질을 하고 있을 때, 압압검출부(18)로부터의 압압의 검출정보를 얻은 상태에서, 계속해서 사용자가 실수로 어떤 조작부로 접촉하여 접촉검출부(17)로부터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되어도, 운전제어부(12)는,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부(4,5,6)를 압압함으로써, 오조작이 아닌 것이 판단되어 원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조작성이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촉검출부(17)로부터의 접촉의 검출신호를 얻은 상태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속해서, 압압검출부(18)로부터의 압압의 검출정보를 얻은 경우에만, 운전제어부(12)는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오조작을 확실하게 배제하도록 했지만, 이 이외에, 접촉검출부(17)로부터의 접촉의 검출신호를 얻거나 또는 압압검출부(18)로부터의 압압의 검출정보를 얻었을 때에, 운전제어부(12)가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오조작을 인식하는 기능은 저하하지만,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위치(7,8a,8b,9a,9b)는, 전원조작부(4), 화력조정조작부(5), 및 타이머설정조작부(6) 각각의 위치에 설치되지만, 압전소자(16)는, 어느 조작부(4,5,6)가 압압되었을 때라도, 그 때의 압압력이 파급하여 변형이나 변위가 생기는 범위내에 조작부의 수보다 적어도 수개(본 실시예에서는 1개)만 설치해 두면 좋다. 이것에 의해, 압전소자(16)를 터치스위치(7,8a,8b,9a,9b)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터치스위치(7,8a,8b,9a,9b)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압전소자(16)에 의해 좁아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6)를 적용하면, 압압력의 대소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압전소자(16)의 출력전압에 의거하여 압압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조작부(4)로부터의 거리(a)와 타이머설정조작부(6)로부터의 거리(b)가 거의 동일하게 되는 위치에 압전소자(16)를 설치하고, 압전소자(16)와 화력조정조작부(5)와의 사이의 거리(c)를 전원조작부(4)나 타이머설정조작부(6)보다 크게 함으로써, 화력조정조작부(5)의 조작과 다른 조작부(4,6)의 조작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고, 어느 조작부(4,5,6)가 압압되었는지를 높은 정밀도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가열조리기(1)로서 들었던 가스곤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부를 천판(2)에 설치했지만, 천판(2)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곤로의 전면패널(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설치해도 좋다. 이 때, 가스곤로의 전면패널에 있어서의 플레이트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전기적 절연물(금속이외)에 의해 형성한다.
나아가, 접촉조작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부를 가스곤로의 천판(2)이나 전면패널의 일부에 일체로 설치하는 것 이외에, 천판(2)이나 전면패널과 플레이트부를 별체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도, 압압검출부는, 접촉조작부의 변위나 변형으로부터 해당 접촉조작부의 압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열수단으로서 곤로버너(3)를 구비하는 가열조리기(1)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가열수단으로서 유도가열코일을 구비하는 가열조리기나, 전자레인지나, 오븐 등에도 알맞게 적용할 수 있다.
1: 가열조리기, 2: 천판(플레이트부)
3: 곤로버너(가열수단), 4: 전원조작부(접촉조작부)
5: 화력조정조작부(접촉조작부), 6: 타이머설정조작부(접촉조작부)
7, 8a, 8b, 9a, 9b: 터치스위치(접촉검지소자),
12: 운전제어부(제어수단)
16: 압전소자(감압소자), 17: 접촉검출부(접촉검출수단)
18: 압압검출수단(압압검출수단)

Claims (5)

  1.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운전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해당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조작되는 접촉조작부와,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과,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을 검출하는 압압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압압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는 상기 가열수단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이 검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압압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압압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거하는 상기 가열수단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접촉조작부가 표면에 설정된 플레이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전기적 절연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검출수단은, 정전용량식의 접촉검지소자를 구비하여, 해당 접촉검지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접촉조작부에 있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접촉조작부로의 접촉을 검출하고,
    상기 압압검출수단은, 감압(感壓)소자를 구비하여, 해당 감압(感壓)소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상기 플레이트부가 받은 압압력에 따른 상기 접촉조작부에서의 해당 플레이트부의 변위와 변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접촉조작부의 압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검출수단의 상기 감압소자는, 상기 접촉조작부가 받은 압압이 검출가능한 범위에서 해당 접촉조작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유리제 천판이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천판상의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20190058651A 2018-06-25 2019-05-20 가열조리기 KR102673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9831A JP7122884B2 (ja) 2018-06-25 2018-06-25 加熱調理器
JPJP-P-2018-119831 2018-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99A true KR20200000799A (ko) 2020-01-03
KR102673251B1 KR102673251B1 (ko) 2024-06-1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6846A (ja) 2015-03-27 2016-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6846A (ja) 2015-03-27 2016-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2884B2 (ja) 2022-08-22
JP2020003087A (ja) 2020-01-09
TWI801489B (zh) 2023-05-11
TW202002715A (zh) 2020-01-01
CN110631063B (zh) 2023-07-04
CN110631063A (zh)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6280B1 (en) Heating cooker
US7741858B2 (en) Capacitive switch of electric/electronic device
JP4444129B2 (ja) 加熱調理器
US20060243462A1 (en) Operating device with a capacitive sensor element and electrical appliance with such an operating device
US20160296056A1 (en) An exhaust hood for cookers
TW201017479A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6769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commands in the same
JP5094501B2 (ja) 加熱調理器
JP5380115B2 (ja) 加熱調理器
KR20200000799A (ko) 가열조리기
JP4371854B2 (ja) 加熱調理器
KR102673251B1 (ko) 가열조리기
JP2009139019A (ja) 加熱調理器
JP4542725B2 (ja) 加熱調理機器の操作パネル
US20080150705A1 (en) Contaminant detecting touch sensitive element
JP2012088015A (ja) 加熱調理器
JP2013119953A (ja) 加熱調理器、加熱調理器の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021459A1 (ja) 調理器
JP2005251504A (ja) 加熱調理器
JP2012017882A (ja) 調理器
JP2018096607A (ja) 加熱調理器
JP7145778B2 (ja) 加熱調理器
KR101818056B1 (ko) 조작키 이상 상태에 대응가능한 전기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의 조작키 이상 상태에 대한 대응 방법
JP2013054907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6549658B (zh) 一种控制面板及其按键防串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