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80U - 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80U
KR20200000780U KR2020180004610U KR20180004610U KR20200000780U KR 20200000780 U KR20200000780 U KR 20200000780U KR 2020180004610 U KR2020180004610 U KR 2020180004610U KR 20180004610 U KR20180004610 U KR 20180004610U KR 20200000780 U KR20200000780 U KR 202000007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levator
operated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무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서울교통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교통공사 filed Critical 서울교통공사
Priority to KR2020180004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780U/en
Publication of KR20200000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8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비상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은, 정전 시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상 운전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발생시키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 및 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을 포함하고,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도록 하는 비상 버튼 장치를 포함한다.An emergency button device and an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generates an emergency driving signal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when an outage condition is satisfied in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during a power failure, and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t includes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uto Rescue Device) and an emergency button provided to be operated by the user, and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devic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tha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operates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

Description

비상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비상 구출 기술과 관련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elevator emergency rescue technology.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이 늘어나면서 엘리베이터의 고장으로 갇힘 사고 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엘리베이터 갇힘 사고의 경우, 종래에는 브레이크 전압 조정으로 브레이크를 개방한 후 자연력에 의해 정해지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승강장 도어 오픈 존에 도달하면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여 승객을 구출하였다. As the number of buildings in which elevators are installed increases, the number of trapped accidents due to the failure of elevators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an elevator trapped accident, conventionally, after opening the brake by adjusting the brake voltage, the elevator cage is raised or lowered in a direction determined by natural force to reach the platform door open zone, and the platform door is opened to rescue passengers.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개방에 의해 케이지를 구동시키는 경우, 케이지와 균형추의 무게 차에 따라 케이지의 이동 방향이 정해지며 케이지는 가속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케이지의 총 중량(케이지 자체의 무게 + 탑승 인원의 무게)과 균형추의 무게 차이가 크면, 케이지의 급하강 또는 급상승이 발생하기 때문에, 탑승객에 충격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탑승객이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However, when the cage is driven by the brake opening of the elevat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and the cage is accelerated. That i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weight of the cage (the weight of the cage itself and the weight of the occupants) and the weight of the counterweight is large, a descent or a sudden rise of the cage occurs, which not only shocks the passenger, but also makes the passenger feel fear do.

또한, 케이지가 층간에 정지한 상태에서 케이지와 균형추의 밸런스가 일치하는 경우, 브레이크를 개방하여도 케이지에 갇힌 탑승객을 구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lance between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is in a state where the cage is stopped between floo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scue passengers trapped in the cage even when the brake is open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9037호(2018.06.0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9037 (2018.06.04)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정전 이외의 비상 상황에서도 자동 비상 구출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전시킬 수 있는 비상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button device and an emergency control system for elevators having the same, which can emergencyly operate the elevator using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other than a power failure.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은, 정전 시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상 운전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발생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도록 하는 비상 버튼 장치를 포함한다.The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generates an emergency operation signal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when an outage condition is satisfied in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during a power failure, and provides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uto Rescue Device provided to supply; And an emergency button device provided to be operable by a user, and when an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is satisfied.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로 정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과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연결이 무효화되도록 하여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The emergency button devic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by the user and operates, generates a power failure signal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nd mak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nvali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may be recognized as having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devices.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어 동작되며,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butt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by applying a current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is provided so as not to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It may further include a relay.

상기 릴레이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A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단자와 B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3 단자와 개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통전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입력 측에 마련되는 제1 접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출력 측에 마련되는 제2 접점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통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2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lay, the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provided to form an A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 third terminal provided to form a B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nd a coil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and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second terminal is opened to the third terminal and energized to the first terminal. It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rovided on the in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rovided on the out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the current to the coil When is applied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nergized,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e provided so that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not formed. have.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평상 시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시키고,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비상 전원으로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charges power supplied from commercial power to a battery at normal times, and when the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is satisfied,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s used as the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Can supply.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배터리;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상용 전원과 상기 충전부를 연결하는 제1 전자 접촉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 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제2 전자 접촉기; 및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ncludes a battery;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supplied from commercial power; A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charging unit; An inverter that converts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nto AC power; A transformer that boosts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to a preset voltage; A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transformer an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상기 제어부는, 평상 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rmally operates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to char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through the charging unit to the battery,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is turned off,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When this is satisfied,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is operated to supply emergency power output from the transform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비상 운전 신호의 수신 시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전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정전 시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비상 운전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발생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도록 하는 비상 버튼 장치를 포함한다.Elevator emergency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vator, and emergency operation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 preset manual upon receiving an emergency operation signal; In case of a power failure, when a condition that is not abnormal in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is satisfied,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provided to generate the emergency driving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uto Rescue Device) ); And an emergency button device provided to be operable by a user, and when an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is satisfied.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비상 운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를 기 설정된 대피층으로 저속 운전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대피층에 도달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픈시킬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emergency operation signal, the elevator control device may operate the elevator at a low speed with a predetermined evacuation layer, and when the elevator reaches the evacuation layer, open the door of the elevator for a preset time. have.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배터리;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상용 전원과 상기 충전부를 연결하는 제1 전자 접촉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 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제2 전자 접촉기; 및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ncludes a battery;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supplied from commercial power; A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charging unit; An inverter that converts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nto AC power; A transformer that boosts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to a preset voltage; A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transformer an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상기 제어부는, 평상 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rmally operates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to char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through the charging unit to the battery,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is turned off,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When this is satisfied,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is operated to supply emergency power output from the transform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오픈 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로 비상 운전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elevator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n emergency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when a preset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운전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킬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oper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and turn off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로 정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과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연결이 무효화되도록 하여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The emergency button devic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by the user and operates, generates a power failure signal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nd mak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nvali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may be recognized as having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devices.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어 동작되며,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butt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by applying a current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is provided so as not to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It may further include a relay.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운전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정전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로 발생시키는 비상 버튼; 및 상기 비상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과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연결이 무효화되도록 하여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s an apparatus for emergency operation of an elevator, and is provided to be operable by a user, and when an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user, an electric power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elevator is automatically operated (Auto Rescue) Device) emergency button; An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by the user to oper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afety devices associated with the elevator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invalidated, so tha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has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devices. It includes a relay to be recognized as.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정전 시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상 운전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발생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generates an emergency operation signal as an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levator when a condition in which the safety devices are not satisfied during a power failure, and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Can be provided.

상기 릴레이는,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어 동작되며,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lay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to be operated by applying a current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to not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

상기 릴레이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A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단자와 B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3 단자와 개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통전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입력 측에 마련되는 제1 접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출력 측에 마련되는 제2 접점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통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2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lay, the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provided to form an A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 third terminal provided to form a B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nd a coil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and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second terminal is opened to the third terminal and energized to the first terminal. It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rovided on the in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rovided on the out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the current to the coil When is applied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nergized,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e provided so that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not formed. have.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정전 시 안전 장치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하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를 비상 버튼 장치를 통해 정전 이외의 비상 상황에도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저속 운전하여 기 설정된 대피층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에 갇힌 승객도 급격한 운행에 따른 충격이나 공포심을 가지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which is operated only when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device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is also op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other than a power failure through the emergency button device to operate the elevator at a low speed to a predetermined evacuation layer. It can be safely moved. As a result, passengers trapped in elevators do not have shock or fear due to sudden operation.

또한, 승객이 엘리베이터에 갇히는 것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관리자는 비상 버튼 장치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숙련된 전문가가 없어도 비상 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assenger being trapped in an elevator occurs, the elevator manager only needs to operate the emergency button device, so that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solved without a separate exper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비상 구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버튼 장치와 자동 비상 구출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mergency button device and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illustrat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a singular form includes a plural form.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equipment”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characteristic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other than described.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characteristic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or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the like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re not only those in which a signal 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directly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This includes passing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to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not a direct destination. The same is true for the "reception" of a signal or information. 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two or more pieces of data or information are “related” means that acquiring one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can acquire at least part of the other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based on it.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 : ARD)(104), 및 비상 버튼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an elevator control device 102, an auto rescue device (ARD) 104, and an emergency button device 106.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는 상용 전원(5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엘리베이터(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부터 비상 운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비상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엘리베이터(60)를 비상 운전할 수 있다.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50 to control driving of the elevator 60. When receiving the emergency operation signal from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may emergencyly operate the elevator 60 according to a preset emergency control program.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는 비상 운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엘리베이터(60)를 기 설정된 대피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부터 비상 전원을 공급받아 엘리베이터(60)를 비상 운전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may move the elevator 60 to a predetermined evacuation layer when receiving an emergency driving signal. At this tim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may receive emergency power from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to emergencyly operate the elevator 6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는 엘리베이터(60)가 기 설정된 대피층으로 이동한 경우, 엘리베이터(60)의 도어를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 등) 동안 오픈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는 엘리베이터(60)의 도어를 오픈 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 비상 운전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elevator 60 moves to a predetermined evacuation layer,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may open the door of the elevator 60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seconds). When the preset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60 is opene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may transmit an emergency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부터 비상 전원을 공급받아 엘리베이터(60)를 비상 운전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60)를 저속 운전하여 기 설정된 층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즉, 비상 전원은 평상 시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배터리에 충전시킨 전원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60)를 고속 운전할 정도의 전원량은 되지 않는 바, 엘리베이터(60)를 저속 운전하게 되며,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60) 내의 승객들에게 충격이나 공포심을 주지 않게 된다.Here, sinc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receives emergency power from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to emergencyly operate the elevator 60, the elevator 60 is operated at a low speed to move to a predetermined floor. That is, since the emergency power is the power tha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normally charges in the battery, the power does not become sufficient to drive the elevator 60 at high speed, and thus the elevator 60 is operated at low speed. Therefore, shock or fear is not given to the passengers in the elevator 60.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는 상용 전원(5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는 정전 시(즉, 상용 전원(50)으로부터 전원 공급 차단 시) 비상 운전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발생시키고, 배터리에 충전된 비상 전원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공급할 수 있다.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50 to charge the battery.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generates an emergency opera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that is,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50), and the emergency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

여기서,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는 정전 시라도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복수 개의 안전 장치(70)들이 하나라도 작동하면 비상 운전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전 장치(70)는 예를 들어, 비상 정지 장치에 설치된 전기 장치, 조속기에 설치된 전기 장치, 엘리베이터의 상승 과속 방지 수단에 설치된 전기 장치, 완충기에 설치된 전기 장치, 및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generate an emergency operation signal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safety devices 70 related to the elevator operates even during a power failure. The safety device 7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ectrical device installed in an emergency stop device, an electrical device installed in a governor, an electrical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overspeed preventing means, an electrical device installed in a shock absorber, and a final limit switch. .

즉,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는 2가지 조건(정전 및 안전 장치 이상 없음)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비상 운전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발생시키고, 비상 전원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generates an emergency driving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only when two conditions (no power failure and safety device abnormalities) are satisfied, and the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It can be arranged to supply.

비상 버튼 장치(106)는 정전 이외의 비상 상황(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내 승객 갇힘 등)에서도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비상 운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상 전원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비상 버튼 장치(106)는 엘리베이터 제어반 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엘리베이터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generates an emergency operation signal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other than a power failure (for example, trapping passengers in an elevator, etc.), and supplies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You can do it.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may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control pa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구체적으로, 비상 버튼 장치(106)는 사용자가 비상 버튼을 누르는 경우,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비상 운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건이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상 버튼 장치(106)는 사용자가 비상 버튼을 누르는 경우,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 정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6)는 정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비상 버튼 장치(106)는 사용자가 비상 버튼을 누르는 경우, 실제로는 정전 상황이 아니라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는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도록 정전 신호를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 발생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may allow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to satisfy a condition that generates an emergency driving signal.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may generate a power failure signal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When receiving the power failure signal,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6 may recognize that a power failure has occurred.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generates a power failure signal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so tha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recognizes that a power failure has occurred, not a power failure situation. You can.

또한, 비상 버튼 장치(106)는 사용자가 비상 버튼을 누르는 경우,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복수 개의 안전 장치(70)들이 이상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비상 버튼 장치(106)는 사용자가 비상 버튼을 누르는 경우, 복수 개의 안전 장치(70) 및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 간 연결이 무효화 되도록 하여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복수 개의 안전 장치(70)들이 이상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may allow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to recognize that the plurality of safety devices 70 associated with the elevator are not abnormal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cau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afety devices 70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to be invalid, so tha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is associated with the elevator. Dog safety devices 70 may be recognized as being abnorma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비상 구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는 제1 전자 접촉기(111), 제2 전자 접촉기(113), 충전부(115), 배터리(117), 인버터(119), 변압기(121), 및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includes a first electronic contactor 111, a second electronic contactor 113, a charging unit 115, a battery 117, an inverter 119, a transformer 121,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23.

제1 전자 접촉기(111)는 상용 전원(R, S, T)(50)과 충전부(11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전자 접촉기(111)는 평상 시 상용 전원(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부(115)로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111 may connect commercial power sources (R, S, T) 50 and the charging unit 115.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111 may operate to transfer power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50 to the charging unit 115 at normal times.

제2 전자 접촉기(113)는 변압기(121)와 엘리베이터 구동부(1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전자 접촉기(113)는 정전 시 변압기(121)로부터 출력되는 비상 전원을 엘리베이터 구동부(61)로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구동부(61)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 전자 접촉기(113)가 비상 전원을 엘리베이터 구동부(61)로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113 may connect the transformer 121 and the elevator driving unit 11. The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113 may operate to supply the emergency power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21 to the elevator driving unit 61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The elevator driving unit 61 may be controlled by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Here, although the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113 is described as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driving unit 61, this may include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여기서, 제1 전자 접촉기(111)가 동작되는 경우 제2 전자 접촉기(113)는 오프되고, 제2 전자 접촉기(113)가 동작되는 경우 제1 전자 접촉기(111)는 오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when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111 is operated,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113 is turned off, and when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113 is operated, the first electronic contactor 111 may be provided to be turned off.

충전부(115)는 제1 전자 접촉기(111)로부터 전달되는 상용 전원을 배터리(117)에 충전할 수 있다. 인버터(119)는 배터리(117)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압기(121)는 인버터(119)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예를 들어, 380V)으로 승압 시킬 수 있다. The charging unit 115 may charge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111 to the battery 117. The inverter 119 may convert the DC power of the battery 117 into AC power. The transformer 121 may boost the voltage of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119 to a preset voltage (for example, 380V).

제어부(123)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3)는 평상 시에 제1 전자 접촉기(111)를 동작시켜 상용 전원(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부(115)를 통해 배터리(117)에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3)는 제2 전자 접촉기(113)는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23 may overall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3 may charge the battery 117 through the charging unit 115 through the charging unit 115 by operating the first electronic contactor 111 in a normal mann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3 may turn off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113.

정전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23)는 안전 장치(70)들에 이상이 없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안전 장치(70)들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제어부(123)는 제1 전자 접촉기(111)를 오프시키고, 제2 전자 접촉기(1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23)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비상 운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When a power outage occurs, the control unit 123 may check whether there are no abnormalities in the safety devices 70. When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devices 70, the control unit 123 may turn off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111 and operate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113. The control unit 123 may generate an emergency driving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또한, 제어부(123)는 배터리(117)에 충전된 전원(직류 전원)을 인버터(119)를 통해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고, 변압기(121)를 통해 교류 전원의 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켜 비상 전원을 제2 전자 접촉기(113)를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부(11)로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3 converts the power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117 into AC power through the inverter 119, and boosts the voltage of the AC power to a predetermined voltage through the transformer 121 to make an emergency.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elevator driving unit 11 through the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113.

제어부(123)는 비상 버튼 장치(106)의 동작에 따라 비상 운전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전송한 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부터 비상 운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전자 접촉기(111)는 동작시키고 경우 제2 전자 접촉기(113)는 오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3 transmits the emergency driving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and when receiving the emergency opera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02, the first electronic contactor If the 111 is operated, the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113 may be turned off.

즉, 정전 이외의 비상 상황으로 비상 운전이 실행되고 비상 운전이 완료된 경우, 제1 전자 접촉기(111)는 동작시키고 경우 제2 전자 접촉기(113)는 오프시킴으로써, 상용 전원(50)으로 배터리(117)를 충전시켜 배터리(117)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emergency operation is execu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other than a power failure and the emergency operation is completed, the first electronic contactor 111 is operated and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113 is turned off, thereby turning the battery 117 into commercial power 50. ) To prevent the battery 117 from being discharged.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버튼 장치와 자동 비상 구출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3 and 4 are views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emergency button device and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비상 버튼 장치(106)는 비상 버튼(106-1) 및 릴레이(10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106-2)는 편의상 하나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릴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 개의 안전 장치(70)를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의 안전 장치(70)들의 경우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3,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may include an emergency button 106-1 and a relay 106-2. Here, the relay 106-2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but a plurality of relays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In addition, although one safety device 70 is illustrated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of the plurality of safety devices 70 may be applied to the same or similar.

비상 버튼(106-1)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비상 버튼(106-1)은 푸쉬 타입의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상 버튼(106-1)은 터치 형태의 버튼 등 그 이외의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emergency button 106-1 may be provided to be pressed by the user. That is, the push button 106-1 may be used as the emergency button 106-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mergency button 106-1 may be provided as various types of buttons that can be operated by other users, such as a touch type button.

릴레이(106-2)는 비상 버튼(106-1)과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106-2)는 코일(131), 제1 단자(133), 제2 단자(135), 및 제3 단자(137)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131)은 비상 버튼(106-1)과 연결될 수 있다. 코일(131)은 비상 버튼(106-1)이 온 동작하는 경우, 전류가 인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relay 106-2 may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106-1. The relay 106-2 may include a coil 131, a first terminal 133, a second terminal 135, and a third terminal 137. The coil 131 may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106-1. The coil 131 may be provided so that a current is applied when the emergency button 106-1 is turned on.

제1 단자(133)는 제2 단자(135)와 A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단자(133)와 제2 단자(135)는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코일(131)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통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133 may be provided to form an A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135. That is, the first terminal 133 and the second terminal 135 may be provided to be energized when they are normally opened and then applied with current to the coil 131.

제2 단자(135)는 제3 단자(137)와 B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단자(135)와 제3 단자(137)는 평상시에 통전되어 있다가 코일(131)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135 may be provided to form a B contact with the third terminal 137. That is, the second terminal 135 and the third terminal 137 may be provided so that they are normally energized and then open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3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전 장치(70)는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전 장치(70)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안전 장치(70)의 입력측에는 제1 접점(P1)이 마련되고, 안전 장치(70)의 출력측에는 제2 접점(P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점(P1)은 제1 단자(1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점(P2)은 제2 단자(135)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버튼(106-1)이 온 동작되지 않는 경우, 전기 흐름은 안전 장치(70)를 거쳐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 가기 때문에,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안전 장치(7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afety device 7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witch, but the form is not limited thereto. The safety device 70 may b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A first contact point P1 may be provided on the in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70, and a second contact point P2 may be provided on the out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70. The first contact 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33. The second contact point P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35. Here, when the emergency button 106-1 is not operated, the electric flow goes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via the safety device 70, s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is a safety device 7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비상 버튼(106-1)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비상 버튼(106-1)은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 정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상 버튼(106-1)이 온 동작하는 경우, 릴레이(106-2)의 코일(131)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operates the emergency button 106-1, the emergency button 106-1 may generate a power failure signal by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Then, when the emergency button 106-1 is turned on,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131 of the relay 106-2.

그러면, 제2 단자(135)가 제1 단자(133) 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 단자(135)와 제3 단자(137)는 개방되고 제1 단자(133)와 제2 단자(135)가 통전되게 된다. 한편, 제1 단자(133)는 제1 접점(P1)과 연결되고, 제2 단자(135)는 제2 접점(P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접점(P1)과 제2 접점(P2)이 통전되게 된다. 이 경우, 전기 흐름이 안전 장치(70)를 거치지 않고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로 가기 때문에,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는 실제 안전 장치(7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안전 장치(70)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Then, while the second terminal 135 moves toward the first terminal 133, the second terminal 135 and the third terminal 137 are opened and the first terminal 133 and the second terminal 135 are energized. do. Meanwhile, since the first terminal 13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1 and the second terminal 135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2, the first contact P1 and the second contact P2 It becomes energized.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ic flow goes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without going through the safety device 70,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is connected to the safety device 70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actual safety device 70.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nothing wrong.

이와 같이, 사용자가 비상 버튼(106-1)을 온 동작시키는 경우, 비상 버튼 장치(106)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동작하는 조건을 만족시켜,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로 비상 운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urns on the emergency button 106-1,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satisfies the condition tha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operates,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controls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emergency operation signal to the device 102 and supply emergency power.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정전 시 안전 장치(70)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하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를 비상 버튼 장치(106)를 통해 정전 이외의 비상 상황에도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60)를 저속 운전하여 기 설정된 대피층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60)에 갇힌 승객도 급격한 운행에 따른 충격이나 공포심을 가지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which is operated only when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device 70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is operated through an emergency button device 106 in an emergency situation other than a power failure. By operating the low speed 60, it is possible to safely move to a predetermined evacuation layer. Therefore, the passenger trapped in the elevator 60 does not have a shock or fear due to the sudden operation.

또한, 승객이 엘리베이터(60)에 갇히는 것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60)의 관리자(또는 승객)는 비상 버튼 장치(106)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숙련된 전문가가 없어도 비상 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assenger being trapped in the elevator 60 occurs, the manager (or passenger) of the elevator 60 only needs to operate th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expert. You can solve the situation.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illustrating a computing environment 10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2))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자동 비상 구출 장치(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비상 버튼 장치(비상 버튼 장치(106))일 수 있다.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10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2. In one embodiment, computing device 12 may be an elevator control device (eg, elevator control device 102). Further, the computing device 12 may be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4). Further, the computing device 12 may be an emergency button device (emergency button device 106).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4,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and a communication bus 18. The processor 14 can cause the computing device 12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 mentioned above. For example, processor 14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The one or more programs can include one or m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14, configure the computing device 12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be.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s configured to store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 / or other suitable types of information. The program 20 stored on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14. 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is a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optical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ther types of storag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the computing device 12 and store desired information,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The communication bus 18 interconnects various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12, including a processor 14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Computing device 12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 / O interfaces 22 and one or mor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26 that provide an interface for one or more I / O devices 24.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26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18. The input / output device 24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12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 Exemplary input / output devices 24 include pointing devices (such as a mouse or trackpad), keyboards, touch input devices (such as touch pads or touch screens), voice or sound input devices, various types of sensor devices, and / or imaging devices. Input devices, and / or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printers, speakers, and / or network cards. The exemplary input / output device 24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uting device 12 and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2 or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computing device 12. It might be.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being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102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04 : 자동 비상 구출 장치
106 : 비상 버튼 장치
106-1 : 비상 버튼
106-2 : 릴레이
111 : 제1 전자 접촉기
113 : 제2 전자 접촉기
115 : 충전부
117 : 배터리
119 : 인버터
121 : 변압기
123 : 제어부
131 : 코일
133 : 제1 단자
135 : 제2 단자
137 : 제3 단자
100: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102: elevator control device
104: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106: emergency button device
106-1: Emergency button
106-2: Relay
111: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113: second electronic contactor
115: charging unit
117: battery
119: inverter
121: transformer
123: control unit
131: coil
133: first terminal
135: second terminal
137: third terminal

Claims (19)

정전 시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상 운전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발생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도록 하는 비상 버튼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for generating an emergency driving signal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when a predetermined power failure condition is satisfied during a power failure; And
And an emergency button device provided to be operable by a user, and an emergency button device configured to satisfy a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로 정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과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연결이 무효화되도록 하여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button devic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operated by the user,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generates a power failure signal,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invalidated by cau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to be invalidated. An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that allows the safety devices to be recognized as having no abnormalities.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어 동작되며,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mergency button device,
It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a current is applied and operat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further comprising a relay provided so that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not form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A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단자와 B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3 단자와 개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통전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입력 측에 마련되는 제1 접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출력 측에 마련되는 제2 접점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통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2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elay,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provided to form an A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 third terminal provided to form a B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nd
It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and includes a coil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second terminal is opened to the third terminal and is provided to be energized with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a first contact provided on the in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cond contact provided on the out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so tha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nergized,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The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is provided so as not 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평상 시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시키고,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비상 전원으로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공급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control, which normally charges power supplied from commercial power to a battery and supplies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as an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when a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is satisfied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배터리;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상용 전원과 상기 충전부를 연결하는 제1 전자 접촉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 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제2 전자 접촉기; 및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battery;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supplied from commercial power;
A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charging unit;
An inverter that converts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nto AC power;
A transformer that boosts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to a preset voltage;
A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transformer an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상 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공급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Normally,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is operated to charge power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through the charging unit to the battery,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ff,
When the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is satisfied,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is operated to supply emergency power output from the transform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비상 운전 신호의 수신 시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를 비상 운전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정전 시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비상 운전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발생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도록 하는 비상 버튼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An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elevator and emergencyly operates the elevator according to a preset manual upon receiving an emergency driving signal;
In case of a power failure, when a condition that is not abnormal in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is satisfied, an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provided to generate the emergency driving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uto Rescue Device) ); And
And an emergency button device provided to be operable by a user, and an emergency button device configured to satisfy a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비상 운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를 기 설정된 대피층으로 저속 운전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대피층에 도달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픈시키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elevator control device,
When the emergency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the elevator is operated at a low speed with a predetermined evacuation layer, and when the elevator reaches the evacuation layer, the elevator door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control system.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배터리;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상용 전원과 상기 충전부를 연결하는 제1 전자 접촉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 설정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제2 전자 접촉기; 및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battery;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supplied from commercial power;
A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charging unit;
An inverter that converts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nto AC power;
A transformer that boosts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to a preset voltage;
A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necting the transformer and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상 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동작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켜 상기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비상 전원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공급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Normally,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is operated to charge power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through the charging unit to the battery, and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ff,
When the condition in which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operated is satisfied,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is operated to supply emergency power output from the transform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오픈 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로 비상 운전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When a preset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 emergency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is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운전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전자 접촉기는 동작시키고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는 오프시키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control unit,
When the emergency opera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the elevator first operation control system operates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and turns off the second electronic contacto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로 정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과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연결이 무효화되도록 하여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emergency button devic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operated by the user,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generates a power failure signal,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invalidated by cau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determined safety devices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to be invalidated. An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that allows the safety devices to be recognized as having no abnormalitie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비상 버튼 장치는,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어 동작되며,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emergency button device,
It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a current is applied and operat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further comprising a relay provided so that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not form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Elevator emergency driving control system.
엘리베이터의 비상 운전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정전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자동 비상 구출 장치(Auto Rescue Device)로 발생시키는 비상 버튼; 및
상기 비상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기 설정된 안전 장치들과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연결이 무효화되도록 하여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가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비상 버튼 장치.
As a device for emergency operation of the elevator,
An emergency button that is provided to be operable by a user and generates a power failure signal to an automatic rescue device of the elevator when operated by the user; An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operated by the us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afety devices related to the elevator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invalidated, so that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has no abnormality in the safety devices. Emergency button device comprising a relay to be recognize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는,
정전 시 상기 안전 장치들에 이상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비상 운전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발생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When a condition in which the safety devices are not satisfied during a power failure, an emergency button signal is generated to generate an emergency driving signal to an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elevator, and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어 동작되며,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relay,
The emergency butt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the current is applied and operat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is not form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와 A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2 단자;
상기 제2 단자와 B 접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제3 단자; 및
상기 비상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비상 버튼의 동작 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3 단자와 개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통전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입력 측에 마련되는 제1 접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안전 장치의 출력 측에 마련되는 제2 접점과 연결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통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점과 상기 제2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 장치와 상기 자동 비상 구출 장치 간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비상 버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The relay,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provided to form an A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 third terminal provided to form a B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nd
It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and includes a coil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second terminal is opened to the third terminal and is provided to be energized with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a first contact provided on the in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cond contact provided on the output side of the safety devic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so tha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nergized,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safety device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device. Emergency button device provided to prevent.
KR2020180004610U 2018-10-10 2018-10-10 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KR2020000078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10U KR20200000780U (en) 2018-10-10 2018-10-10 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10U KR20200000780U (en) 2018-10-10 2018-10-10 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80U true KR20200000780U (en) 2020-04-20

Family

ID=7045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10U KR20200000780U (en) 2018-10-10 2018-10-10 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780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037A (en) 2016-11-25 2018-06-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Automatic rescue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037A (en) 2016-11-25 2018-06-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Automatic rescue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3502B1 (en) Elevator with a semiconductor switch for brake control
JP4277888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EP2697146B1 (en) Elevator drive power supply control
KR20120032019A (en) Elevator rescue system
CN107428498B (en) Brak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brake
EP2763925B1 (en) Elevator brake control
US11440773B2 (en) Automatic rescue operation in an elevator system
US10144615B2 (en) Jolt-free elevator power transition
CN106687403B (en) Elevator brake control system
AU2013339656B2 (en) Electronic wire bridge with safety circuit
JP7120428B2 (en) elevator system
KR20200000780U (en) Emergency butto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having the same
US11469749B2 (en) Power controller configured to distinguish an intentional signal associated with a manual rescue mode from an unintentional signal associated with a short circuit
KR102298589B1 (en) The elevator emergency driving device
KR102034016B1 (en) Advanced automatic rescue device
CN111661735A (en) Energy storage system for an elevator ca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ame
JP4866637B2 (en) Elevator equipment
JP5870750B2 (en) Elevator oper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JP2002326776A (en) Rescue driving device of elevator and method
JP6814126B2 (en) Power converter
KR20200081182A (en) Elevator emergency call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069871A (en) Elevator brake releasing apparatus using emergency power
US11993489B2 (en) Elevator system
JP2024029905A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EP3882193A1 (en) Interaction safety control between an elevator system and a machine passe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