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71U - 조립식 텐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71U
KR20200000771U KR2020180004594U KR20180004594U KR20200000771U KR 20200000771 U KR20200000771 U KR 20200000771U KR 2020180004594 U KR2020180004594 U KR 2020180004594U KR 20180004594 U KR20180004594 U KR 20180004594U KR 20200000771 U KR20200000771 U KR 202000007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edge connecting
upper edge
curt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114Y1 (ko
Inventor
이다연
Original Assignee
이다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연 filed Critical 이다연
Priority to KR2020180004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1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조립식 텐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립식 텐트는,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에 일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의 타단부가 탈착 결합되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하부 연결대부; 및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탈착 결합되어 복수의 모서리 연결부,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 및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를 덮는 커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텐트{PREFABRICATED TENT}
본 고안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실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이다.
텐트는 하절기 등산 또는 낚시 등의 레저 생활 시 야외에서 체류하기 위한 필수용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텐트는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텐트가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 캐노피 텐트와 우산식 텐트가 통용된다. 캐노피 텐트는 주로 소정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휴식을 취하기 위한 간이 차양막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동식 텐트로는 통상 우산형 텐트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겨울철 실내의 난방비 절감을 위해 출입문에 문풍지를 설치하거나, 유리창에 방열재를 시공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실내에서의 사용자의 활동공간은 그다지 넓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실내의 모든 공간의 난방을 고려한 설비들을 기본적으로 경제성에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한 공간에만 난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텐트 타입의 새로운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9228호(장호선) 2014. 01. 28.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실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에 일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의 타단부가 탈착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 상기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하부 연결대부; 및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모서리 연결부, 상기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를 덮는 커텐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는, 양단부에 상기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 및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이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은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 부재의 이동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는, 상기 지지 포스트부의 하단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 및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연결대부의 단부에 삽입결합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바에는 절개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상기 커텐 지지 플임부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포스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가 텐트의 상부 영역을 잡아주고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가 텐트의 하부 영역을 잡아줌과 아울러 커텐 부재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탈착 결합되므로 텐트를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실내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트의 커텐 부재를 제외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모서리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모서리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모서리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텐 지지 프레임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연결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커텐 지지 프임부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포스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트의 커텐 부재를 제외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모서리 연결부의 영역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모서리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모서리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텐 지지 프레임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연결대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커텐 지지 프임부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포스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텐트(1)는,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에 일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300)와,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300)의 타단부가 탈착 결합되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와,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하부 연결대부(500)와,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에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포스트부(600)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와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에 탈착 결합되어 복수의 모서리 연결부와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와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300)를 덮는 커텐 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모서리의 영역에 배치되며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와 지지 포스트부(3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는 어느 한 쪽에 배치된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에 마련되어 커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 부재가 다른 쪽에 배치된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롤러 부재는 후술하는 절개홀(111)을 통해서 다른 쪽에 배치된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와,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에 마련되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300)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의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굴곡진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는 비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의 저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개홀(111)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절개홀(111)은 커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 부재의 이동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의 포스트 결합 바디(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의 굴곡진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포스트 결합 바디(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삽입홈(121)이 마련되고, 이 포스트 삽입홈(121)에는 지지 포스트부(300)의 상단부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에 결합되어 커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 부재의 결합 및 이동 장소로 제공됨과 아울러 커텐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상부 모서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10)과, 한 쌍의 지지 프레임(210)을 연결하는 프레임 커넥터(220)를 포함한다.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의 한 쌍의 지지 프레임(2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롤러 지지홈(211)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롤러 지지홈(211)은 커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 부재의 이동 통로로 제공될 수 있고,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에 마련되는 절개홀(111)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롤러 부재는 지지 프레임(210)과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110)에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포스트 결합 바디(120)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에 결합되어 포스트 결합 바디(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포스트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의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410)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1 지지 포스트(310)와, 제1 지지 포스트(310)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2 지지 포스트(320)를 포함한다.
지지 포스트부(300)의 제1 지지 포스트(3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결합부(311)가 마련되고, 이 포스트 결합부(311)를 통해 제1 지지 포스트(310)는 제2 지지 포스트(3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포스트(310)의 하단부는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410)에 마련된 포스트 결합홈(411)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고, 제2 지지 포스트(320)의 상단부는 포스트 결합 바디(120)에 마련된 포스트 삽입홈(121)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300)의 하단부와 복수의 하부 연결대부(5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부(300)의 하단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410)와,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410)에 마련되어 하부 연결대부(500)의 단부에 삽입결합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바(420)를 포함한다.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의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4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결합홈(411)이 마련되고, 이 포스트 결합홈(411)에는 제1 지지 포스트(310)의 하단부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의 한 쌍의 결합바(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90도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각각의 결합바(420)에는 절개부(421)가 마련되어 제1 연결대(510) 또는 제3 연결대(530)를 결합바(420)에 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복수의 하부 연결대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에 각각 결합되어 본 실시 예의 하부 영역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하부 연결대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대(510)와, 제1 연결대(5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대(520)와, 제2 연결대(5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3 연결대(530)를 포함한다.
복수의 하부 연결대부(500)의 제2 연결대(520)의 양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 결합부(521)가 마련되어 제2 연결대(520)는 제1 연결대(510) 및 제2 연결대(5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연결대(520)와 결합되지 않은 제1 연결대(510)와 제3 연결대(530)의 영역은 하부 모서리 연결부(400)의 결합바(420)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지지 포스트부(600)는,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에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서브 지지 포스트부(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결합 헤드(610)와, 프레임 결합 헤드(610)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서브 지지 포스트(620)를 포함한다.
서브 지지 포스트부(600)의 프레임 결합 헤드(6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져 지지 프레임(21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지지 포스트부(600)의 서브 지지 포스트(620)는, 복수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된 각각의 부재는 서로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텐 부재(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모서리 연결부(100)와 커텐 지지 프레임부(200)를 덮도록 마련되며, 본 실시 예의 상부 공간부를 덮는 영역과 측면 공간부를 덮는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텐 부재가 고정되는 지지 롤러 부재는 작은 롤러 바퀴와 핀이 구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가 텐트의 상부 영역을 잡아주고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가 텐트의 하부 영역을 잡아줌과 아울러 커텐 부재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탈착 결합되므로 텐트를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실내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조립식 텐트
100 : 상부 모서리 연결부
200 : 커텐 지지 프레임부
300 : 지지 포스트부
400 : 하부 모서리 연결부
500 : 하부 연결대부
600 : 서브 지지 포스트분

Claims (5)

  1.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에 일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의 타단부가 탈착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
    상기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하부 연결대부; 및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모서리 연결부, 상기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를 덮는 커텐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는,
    양단부에 상기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 및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이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은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 부재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는,
    상기 지지 포스트부의 하단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 및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연결대부의 단부에 삽입결합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텐트.
  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바에는 절개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상기 커텐 지지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서브 지지 포스트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텐트.
KR2020180004594U 2018-10-08 2018-10-08 조립식 텐트 KR200493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94U KR200493114Y1 (ko) 2018-10-08 2018-10-08 조립식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94U KR200493114Y1 (ko) 2018-10-08 2018-10-08 조립식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71U true KR20200000771U (ko) 2020-04-17
KR200493114Y1 KR200493114Y1 (ko) 2021-02-02

Family

ID=7045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94U KR200493114Y1 (ko) 2018-10-08 2018-10-08 조립식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1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158Y1 (ko) * 2003-08-05 2003-11-12 이상수 침대용 캐노피
KR100415843B1 (ko) * 2002-03-04 2004-01-24 김대학 가이드 레일을 갖는 모기장
KR200398147Y1 (ko) * 2005-07-25 2005-10-11 박준식 그늘막 텐트
KR101254709B1 (ko) * 2011-07-25 2013-04-15 서정우 그늘막 폴대
KR101359228B1 (ko)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43B1 (ko) * 2002-03-04 2004-01-24 김대학 가이드 레일을 갖는 모기장
KR200333158Y1 (ko) * 2003-08-05 2003-11-12 이상수 침대용 캐노피
KR200398147Y1 (ko) * 2005-07-25 2005-10-11 박준식 그늘막 텐트
KR101254709B1 (ko) * 2011-07-25 2013-04-15 서정우 그늘막 폴대
KR101359228B1 (ko)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14Y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6372A1 (en) Foldable tent
US2787028A (en) Prefabricated enclosure
KR20130096950A (ko)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KR101831493B1 (ko) 버티칼 어닝장치
KR20100123933A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USRE21053E (en) Awning
CN202234166U (zh) 一种适合大学生宿舍使用的遮光床
KR20200000771U (ko) 조립식 텐트
KR200461639Y1 (ko) 다기능 방충문
KR200398147Y1 (ko) 그늘막 텐트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KR200430587Y1 (ko) 차양막 골조
KR102126430B1 (ko) 조립식 텐트 프레임 착탈 설치용 장식 패널조립체
KR200474103Y1 (ko)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KR200322910Y1 (ko) 다각 입체형 소주택의 차양막 결합구조
KR20120037717A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0838783B1 (ko) 절첩식 대형 텐트
KR102037152B1 (ko)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한 블라인드
KR200420115Y1 (ko) 텐트
KR20210000582U (ko) 모기장 및 실내텐트용 프레임 구조체
CN201401042Y (zh) 一种伸展型折叠篷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102671814B1 (ko) 다기능성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