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49U - mirror a monitor - Google Patents

mirror a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49U
KR20200000249U KR2020200000291U KR20200000291U KR20200000249U KR 20200000249 U KR20200000249 U KR 20200000249U KR 2020200000291 U KR2020200000291 U KR 2020200000291U KR 20200000291 U KR20200000291 U KR 20200000291U KR 20200000249 U KR20200000249 U KR 202000002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user
camera
mirror
front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2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성식
Original Assignee
오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식 filed Critical 오성식
Priority to KR2020200000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249U/en
Publication of KR202000002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4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거울과 모니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앞 뒷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앞모습을 바라보기 위한 전면거울 옆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이용자의 뒷 방향에 이용자 뒷모습의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설치한 후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뒷모습을 함께 바라보기 위해 전면거울을 바라본 상태에서 모니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와 카메라가 동작하여 모니터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용자의 앞모습을 바라볼 수 있도록 이용자의 전방에 해당하는 벽면에 위치한 전면거울(10)과,
상기 전면거울(10) 측면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모니터(20)와,
모니터(20)를 벽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40)와,
상기 전면거울(10) 뒷방향에 해당하는 벽면이나 천장에 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자신의 뒷모습을 동시에 바라보기 위해
전면거울(10)을 바라보면서 모니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20)와 카메라(20)가 켜지면서 카메라가 이용자의 뒷모습을 수집한 영상이 모니터(20)에 출력되고 자신의 앞모습만 바라볼 경우 모니터(20)와 카메라(30)에 인가된 전원을
오프하는 구성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see the front and back of the user using the front mirror and the monitor. Specifically, the user installs the monitor next to the front mirror to view the front view.
After installing a camera that collects the image of the user's back in the user's back direction, when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monitor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and the user's front and rear view, the monitor and the camera will operate. It is about the system that the output of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Front mirror 10 located on the wall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user so that you can see the front of the user,
A monitor 20 outputting a rear view of the user on the front mirror 10;
A cradle 40 for mounting the monitor 20 on a wall,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30 having a zoom func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or ceiling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mirror 10
To allow users to see their front and back at the same time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monitor 20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10, the monitor 20 and the camera 20 are turned on, and the image of the camera collecting the user's back is output to the monitor 20, and only the front of the monitor 20 is displayed. When looking at the power applied to the monitor 20 and the camera 30
It is a structure to turn off.

Description

전면거울과 모니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앞 뒷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시스템{mirror a monitor}System that allows users to see the front and back together using the front mirror and monitor {mirror a monitor}

본 고안은 전면거울과 모니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앞 뒷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앞모습을 바라보기 위한 전면거울 옆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hat can see the front and back of the user using the front mirror and the monitor. Specifically, the user installs the monitor next to the front mirror to view the front view.

이용자의 뒷 방향에 이용자 뒷모습의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설치한 후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뒷모습을 함께 바라보기 위해 전면거울을 바라본 상태에서 모니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와 카메라가 동작하여 모니터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fter installing a camera that collects the image of the user's back in the user's back direction, and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monitor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and the user's front view, the monitor and the camera operate to operate the monitor. It is about the system that the output of

일반적으로 신발이나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은 보관을 위한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Generally, a storage box for storing shoes or clothes performs only a simple function for storing.

수납장 문을 열고 닫으면서 신발이나 의류를 보관하는 정도의 기능에 머물러 있거나 문 표면에 거울을 부착하여 자신이 앞모습을 볼 수 있는 정도의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앞모습 못지않게 뒷모습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The doors can be opened and closed to store shoes or clothes, or they can be attached to the door surface to provide a view of the front. People are as much interested in the back as they are in the front.

그러나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거울구조로는 뒷모습을 보고자 할 경우 몸을 틀어야 하며 이 경우에도 뒷모습 전부를 온전히 볼 수는 없다.However, the mirror structure that we usually encounter is that if we want to see the back, we have to twist our body, and even in this case we cannot see the entire back.

따라서 문 표면에 거울이 설치된 수납장에 있어 뒷모습을 보고자 할 경우 수납장 문의 배치구도를 조절함으로서 거울의 반사각을 이용하여 앞모습과 더불어 뒷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한다면 수납장의 보관기능과 더불어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뒷모습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오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f you want to see the rear view of the cabinet with a mirror on the door surface, you can adjust the layout of the cabinet door so that you can see the rear view with the front view using the angle of reflection of the cabinet. It can meet the long-standing needs of people who want to see their back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20-0411583호 '기능형 거울'을 살펴보면, 기능형 거울은 사각형틀(1)과 뒷면사각틀(4) 사이에 연결대(3)를 결합후 볼트(6)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서 도(1)과 같은 구조물을 형성하고 앞면거울(2)을 사각형틀(1)에 부착하고 뒷면거울(5)은 뒷면사각틀(4)에 부착시키되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각을 정한 후 고정용 볼트(7)로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한다.In this regard, look a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20-0411583 'functional mirror', the functional mirror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frame (3) between the square frame (1) and the back square frame (4) using a bolt (6) Form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1) by attaching the front mirror (2) attached to the square frame (1) and the rear mirror (5) is attached to the back square frame (4) to allow left and right rotation After set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user to be fixed to the fixing bolt (7) to use.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이용자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것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점은 없으나 뒷면거울 뒷면이 수납장일 경우 뒷면거울 전체가 수납장으로부터 열려야하나 뒷모습을 바라보기 위해 45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그 45°에서 정지하는 구조가 필연적이다. In the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no problem in looking at the back of the user, but if the rear mirror is the storage cabinet, the entire rear mirror should be opened from the storage cabinet, but the structure is stopped at 45 ° by maintaining 45 degrees to view the rear view. Is inevitable.

45°이상 열리지 않아 수납장 역할을 할 수 없다.It cannot be opened more than 45 °, so it cannot act as a cabinet.

물론, 그 이상 열리게 할 수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뒷면거울을 이용하기가 번거롭다.Of course, you can open more,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it is cumbersome to use the rear mirror.

다음은 본 고안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등록번호 10-1714317호를 살펴보면Next, look at the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714317 filed wit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쌍의 여닫이문을 각각 45°각도로 열면 여닫이문이 각각 45°각도로 열리므로 이용자가 열려있는 여닫이문으로부터 등을 진 상태에서 전면에 배치한 전면거울을 바라보면 이용자의 뒷모습이 전면거울에 반사되도록 하고, 수납장에 수용시킨 내용물을 꺼낼 경우 상하측 여닫이문을 이용하는데 이때 여닫이문도 함께 열리는 구조로 출원하였다. If you open a pair of swing doors at 45 ° angles, the swing doors open at 45 ° angles, so when you look at the front mirror placed on the front with your back from the open door, the user's back is reflected on the front mirror. In order to take out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abinet, the upper and lower swing doors are used.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신발장실(이용자가 드나드는 현관에 해당함)에 해당하는 경우 앞 뒷 거울을 배치할 수 있는 구조일 경우 가능하다.Such a prior art is possible in the case where the front and rear mirrors can be arranged in the case of a shoebox room (corresponding to a front door where the user enters and exits).

참고로, 외출 직전에 옷과 머리 매무새를 가다듬고자 통상적으로 거울을 이용한다.For reference, a mirror is usually used to trim clothes and hair straight before going out.

그러나 거울을 통해서는 이용자의 앞 모습만 볼 수 있을 뿐으로 뒷모습은 볼 수 없어 뒷 매무새는 가다듬지 못하고 외출하게 된다.However, only the front of the user can be seen through the mirror, and the back cannot be seen.

따라서 외출하기 직전에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을 보고 매무새를 가다듬는 거울 바로 옆에다가 뒷모습을 볼 수 있는 모니터를 추가로 배치한다면 이용자의 편익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greatly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if the user places an additional monitor right next to the mirror that looks at the front of the user and straightens the mirror immediately before going out.

이러한 모니터의 배치는 현관 배치가 바람직하다. The arrangement of such monitors is preferably an entrance arrangement.

외출하기 직전에 신발을 신고서 전신을 비춰보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메라와 모니터 사이의 매개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어진 현관 공간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공간낭비가 없어 효율적인 공간배치를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advisable to look at the whole body by wearing shoes just before going out, and to prevent interference caused by the medium between the camera and the monitor.

더불어 모니터는 전신거울과 일정부분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을 보다 더 적절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monitor so that it overlaps with the whole body mirror is able to more appropriatel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용자가 전신거울의 앞에 서서 뒷모습을 보고자 전신거울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모니터를 보게 되면 머리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한 정도 돌아가 있기 때문에 카메라를 통해 모니터에 나타나는 뒷머리 모습 또한 일정한 정도 돌아간 모습이 투영되게 된다.When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full-length mirror and looks at the rear view of the monitor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irror, the head is turned to the left or the right to some extent, so that the back of the head displayed on the monitor through the camera is also projected to a certain degree. do.

따라서 몸통에 비해 머리의 폭이 작으므로 머리 높이에 위치하는 모니터를 전신거울의 앞에서 일정부분 겹치도록 배치하면 뒷머리 모습이 돌아가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width of the hea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orso, so that the monitor placed at the height of the head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front of the whole body mirror to minimize the degree of turning the back of the head.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721826호는 조광밀러와 일체되도록한 것으로서 초기 제작설비 비용이 많이 들어 실시하기가 곤란한점, And 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721826 is to be integrated with the dimming mirror,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due to the high initial manufacturing equipment cost,

더불어, 디스플레이모듈(2)의 제어방법에 대한 언급은 없어 이용자 뒷모습을 어느때에 바라보는지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아 후술의 본 고안과 명확하게 대비할 수 없다.In addition, there is no mention of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module 2, so it is not clearly described when the user looks at the back, and thus cannot be clearly prepar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용자가 앞모습을 바라보기 위한 전면거울 옆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A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monitor next to the front mirror for the user to look at the front

이용자의 뒷방향에 이용자 뒷모습의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설치한 후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뒷모습을 함께 바라보기 위해 전면거울을 바라본 상태에서 모니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와 카메라가 동작하여 모니터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After installing a camera that collects the image of the user's back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monitor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and the rear view together, the monitor and the camera operate to operate the user on the monitor. Provides a system that prints the back of the system.

더 나아가, 이용자가 전면거울을 바라본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후 카메라로 하여금 수집한 이용자의 뒷모습을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을 포함한다.Furthermore, a technology for causing a camera to output the collected user's back image on a monitor after a certain time while the user looks at the front mirror is included.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먼저, 후술의 모니터는 디스플레이모듈에 해당한다.First, the monitor described below corresponds to a display module.

이용자의 앞모습을 바라볼 수 있도록 이용자의 전방에 해당하는 벽면에 위치한 전면거울(10)과,Front mirror (10) located on the wall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user so that you can look in front of the user,

상기 전면거울(10) 측면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모니터(20)와,A monitor 20 outputting a rear view of the user on the front mirror 10;

상기 전면거울(10) 뒷방향에 해당하는 벽면이나 천장에 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30)를 설치한 상태에서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30 having a zoom func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or ceiling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mirror 10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자신의 뒷모습을 동시에 바라보기 위해 To allow users to see their front and back at the same time

전면거울(10)을 바라보면서 모니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20)와 카메라(20)가 켜지면서 카메라가 이용자의 뒷모습을 수집한 영상이 모니터(20)에 출력되고 자신의 앞모습만 바라볼 경우 모니터(20)와 카메라(30)에 인가된 전원을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monitor 20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10, the monitor 20 and the camera 20 are turned on, and the image of the camera collecting the user's back is output to the monitor 20, and only the front view of the monitor 20 is turned on. When looking at the power applied to the monitor 20 and the camera 30

오프하는 구성이다.It is a structure to turn of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용자가 앞모습을 바라보기 위한 전면거울 옆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monitor next to the front mirror for the user to look at the front.

이용자의 뒷방향에 이용자 뒷모습의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설치한 후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뒷모습을 함께 바라보기 위해 전면거울을 바라본 상태에서 모니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와 카메라가 동작하여 모니터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After installing a camera that collects the image of the user's back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monitor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and the rear view together, the monitor and the camera operate to operate the user on the monitor. By providing a system that outputs the back of

이러한 시스템을 현관에 설치하는 경우 이용자의 앞 뒷모습을 바라볼 수 있어 단정함을 확인하면서 외부침입까지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If such a system is installed at the front door, the front and back of the user can be seen, so that the external intrusion can be monitored while confirming neatness.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The above effects are further fou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제 1도는 전면거울과 모니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앞 뒷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시스템을 집안 현관에 설치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 2도의 가)는 제 1도의 요부를 확대한 시도이고,
나)는 모니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도는 제1도의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front mirror and a monitor are used to install a system in a front door of a house where the front and rear views of a user can be viewed together;
(A) of FIG. 2 is an attempt to enlarge the main part of FIG.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nitor holder.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of FIG.

도면에 의해 구성을 재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이용자의 앞모습을 바라볼 수 있도록 이용자의 전방에 해당하는 벽면에 위치한 전면거울(10)과,Front mirror (10) located on the wall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user so that you can look in front of the user,

상기 전면거울(10) 측면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모니터(20)와,A monitor 20 outputting a rear view of the user on the front mirror 10;

상기 전면거울(10) 뒷방향에 해당하는 벽면이나 천장에 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30)를 설치한 상태에서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30 having a zoom func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or ceiling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mirror 10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자신의 뒷모습을 동시에 바라보기 위해 To allow users to see their front and back at the same time

전면거울(10)을 바라보면서 모니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20)와 카메라(30)가 켜지면서 카메라가 이용자의 뒷모습을 수집한 영상이 모니터(20)에 출력되고 자신의 앞보습만 바라볼 경우 모니터(20)와 카메라(30)에 인가된 전원을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monitor 20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10, the monitor 20 and the camera 30 are turned on, and an image of the camera collecting the user's back is output to the monitor 20 and the front moisturizing is performed. When looking at only the power applied to the monitor 20 and the camera 30

오프하는 구성이다.It is a structure to turn off.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전면거울(10)을 바라보면서 모니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니터가 켜지면서 이때 카메라도 함께 켜지도록 구성하였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monitor whil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10, the monitor is turned on and the camera is turned on together.

이로 인해 이용자는 자신의 뒷모습이 모니터에 출력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user's back is displayed on the monitor.

상기 카메라(30)는 카메라가 확보한 영상을 모니터(20)에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The camera 3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image secured by the camera to the monitor 20.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이어서 이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is technique is general and technic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상기 카메라(30)는 줌기능이 있고 상기 카메라(30)의 줌기능을 조작하는 The camera 30 has a zoom function and manipulates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30.

조이스틱(미도시)은 모니터 내지는 모니터 주변에 설치되어 진다.Joystick (not shown) is installed around the monitor or the monitor.

이와 같이 줌기능을 갖는 구성이므로 이용자의 뒷모습을 확대하여 바라볼 수 있다.In this way, since it has a zoom function, the back of the user can be enlarged and viewed.

다음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상기 모니터(20)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하이동할 수 있는 거치대(4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monitor 2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cradle 40 that can adjust the left and right angles or mov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거치대(40)는 전면거울(10)의 프레임(11) 내지는 벽면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레일(41)이 있고,The cradle 40 has a rail 41 vertically supported on the frame 11 or the wall surface of the front mirror 10,

상기 레일(41)에 가이드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42)가 있으며 상기 승하강부재(42)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3)가 있고,There is a lifting member 42 which is guided by the rail 41 to move up and down, and the lifting member 42 has a protrusion portion 43 protruding forward,

상기 돌출부(43)에 수직으로 세워진 힌지핀(44)이 있으며,There is a hinge pin 44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43,

상기 힌지핀(44)에 지지되어 상기 힌지핀(44)을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모니터지지판(45)으로 구성된다. It is composed of a monitor support plate 45 which is supported by the hinge pin 44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from side to side with the hinge pin 44 as a central axis.

이처럼 모니터(20)를 상하좌우 움직일 수 있어 이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monitor 20 can be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상기 카메라(30)는 줌기능이 있고 상기 카메라(30)의 줌기능을 조작하는 The camera 30 has a zoom function and manipulates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30.

조이스틱(미도시)은 모니터 내지는 모니터 주변에 설치되어 진다.Joystick (not shown) is installed around the monitor or the monitor.

이와 같이 줌기능을 갖는 구성이므로 이용자의 뒷모습을 확대하여 바라볼 수 있다.In this way, since it has a zoom function, the back of the user can be enlarged and viewed.

다음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상기 모니터(20)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하이동할 수 있는 거치대(4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monitor 2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cradle 40 that can adjust the left and right angles or mov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거치대(40)는 거치대(40)는 전면거울(10)의 프레임(11) 내지는 벽면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레일(41)이 있고,The cradle 40 is a cradle 40 is supported on the frame 11 or the wall surface of the front mirror 10 has a rail 41 standing vertically,

상기 레일(41)에 가이드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42)가 있으며,There is a lifting member 42 which is guided to the rail 41 to move up and down,

상기 승하강부재(42)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3)가 있고, The elevating member 42 has a protrusion 43, a part of which protrudes forward,

상기 돌출부(43)에 수직으로 세워진 힌지핀(44)이 있으며,There is a hinge pin 44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43,

상기 힌지핀(44)에 지지되어 상기 힌지핀(44)을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모니터지지판(45)으로 구성된다. It is composed of a monitor support plate 45 which is supported by the hinge pin 44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from side to side with the hinge pin 44 as a central axis.

이처럼 모니터(20)를 상하좌우 움직일 수 있어 이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monitor 20 can be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상기 카메라(30)는 건축물에 고정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The camera 30 of the fixing part 31 and the fixing part 31 fixed to the building

힌지(32)에 지지되어 전방이 상기 힌지(32)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카메라지지대(33)와 상기 카메라지지대(33)에 카메라가 지지되는 구성이다.The camera is supported by the camera support 33 and the camera support 33 which is supported by the hinge 32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up and down with the hinge 32 as a central axis.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카메라를 상하좌우 움직일 수 있어 건축물 구조에 따라 카메라를 상하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can be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camera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상기 고정부(31)에 지지되어 상기 힌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4)가 더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34)를 회전하면 상기 힌지에 지지된 카메라지지대(33)가 소정각도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A rotating motor 34 is further supported by the fixing part 31 to rotate the hinge. When the rotating motor 34 is rotated, the camera support 33 supported by the hinge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up and down. .

상기 모니터는 인체감지센서(70)를 구비하고 있어 이용자가 거울을 바라본 상태에서 모니터(20)에 전원을 인가할 때만 모니터가 켜지고 이용자가 전면거울 앞에 없을 경우는 켜지지 않는 구성이다.The monitor is provided with a human body sensor 70, the monitor is turned on only when the user applies the power to the monitor 20 while looking at the mirror, the configuration is not turned on when the user is not in front of the front mirror.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감지된 값은 제어부가 신호를 받고 제어부는 모니터를 통해 카메라에서 수집한 영상을 출력하는 구성이다.The value detected by the human body sensor is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output the image collected by the camera through a monitor.

상기 인체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70)에 갓(71)을 Shade 71 to the human body sensor 70 for detecting the far infrared rays generated in the human body

씌워 일정구간 범위내에 있는 이용자만 감지하도록 하여 전면거울(20) 앞에 서있는 이용자만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It is configured to detect only the users who are in front of the front mirror 20 by detecting only the users within a certain range of the cover.

즉 이용자가 전면거울 앞에 서있되 미리 정한 구간안에 서 있을 경우에 감지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front mirror but in a predetermined section to detect.

상기 갓(71)은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The shade 71 allows the angle to be varied so that the user can

인체감지각도(이용자 감지방향을 말함)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It is a configuration to set the human body detection angle (user's sense direction).

이와 같이 미리 정한 구간안에 있을 때에 모니터(20)가 켜지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켜지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turning on the monitor 20 when it is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it can be prevented from turning on unnecessarily.

예를 들어 현관을 드나드는 이용자가 있을 경우 모니터가 켜지면 이용하기가 불편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is a user entering and leaving the front door, it may be inconvenient to use it when the monitor is turned on.

더 나아가, 인체감지센서(70)가 동작한 다음 미리 설정한 시간이 되면 모니터가 켜지도록 하는 구성이다.Furthermore, the monitor is turned 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human body sensor 70 operates.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적외선센서에 해당하여 적외선센서에 의해 이용자가 감지된 상태에서 모니터를 켜면 모니터가 켜져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고 이용자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카메라만 작동하여 카메라는 감시카메라 모드로 전환된다.The human body sensor corresponds to an infrared sensor, when the user turns on the monitor while the user is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the monitor is turned on and the user's back is output. When the user is not detected, only the camera is operated and the camera is switch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mode. .

상기 인체 감지구간은 그 구간 내에서 3~4초 정도 정체되는 경우에는 인체감지센서가 전원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와 카메라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human body detection section can prevent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monitor and the camera by allowing the human body sensor to apply power when it is stagnated for 3 to 4 seconds within the section.

여기서 감지구간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sensing se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인체감지센서가 이용자를 감지하면 제어장치는 카운터를 통해 카운터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카운터에서 미리 설정한 카운터값이 입력되면 모니터와 카메라를 온 하고 그 후 이용자가 인체감지센서의 감지구간을 벗어나 상기 모니터와 카메라가 오프되는 구성이다.When the human body sensor detects the user, the control unit counters through the counter, and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monitor and the camera when a preset counter value is input from the counter, and then the user moves out of the detection zone of the human body sensor. And the camera is off.

특히, 카메라 사용자의 뒷모습을 디스플레이모듈(모니터에 해당)을 통해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721826호에 설명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back of the camera user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to check. The description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1721826.

본 고안은 개별주택 현관에 본 고안의 시스템이 설치됨으로 인체감지센서가 요구되는 것이다.The subject innovation is that the human body sensor is required because the system of the subject innovation is installed in the porch of the individual house.

종래와 같이 미용실 의상실 등의 대중이 이용하는 장소에 본원과 같은 인체감지센서의 시스템을 적용하게되면 그 이용이 아주 번거롭다.When the system of the human body sensor such as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a place used by the public, such as a beauty salon dressing room as in the prior art, its use is very cumbersome.

마지막으로 도시를 보아 이용자의 앞과 뒤에 해당하는 건축물에 무선통신기가 설치되어 있다.Finally, in the city,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s that correspon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user.

이는 무선을 통해 카메라에서 수집한 영상을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output the image collected from the camera to the monitor over the air.

10 : 전면거울 11 : 프레임
20 : 모니터 30 : 카메라
31 : 고정부 32 : 힌지
33 : 카메라지지대 34 : 회전모터
40 : 거치대 41 : 레일
42 : 승하강부재 43 : 돌출부
44 : 힌지핀 45 : 모니터지지판
70 : 인체감지센서 71 : 갓
10: front mirror 11: frame
20: monitor 30: camera
31: fixing part 32: hinge
33: camera support 34: rotating motor
40: cradle 41: rail
42: lifting member 43: protrusion
44: hinge pin 45: monitor support plate
7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71: lampshade

Claims (1)

이용자의 앞모습을 바라볼 수 있도록 이용자의 전방에 해당하는 벽면에 위치한 전면거울(10)과,
상기 전면거울(10) 측면에 이용자의 뒷모습이 출력되는 모니터(20)와,
모니터(20)를 벽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40)와,
상기 전면거울(10) 뒷방향에 해당하는 벽면이나 천장에 카메라(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자신의 앞모습과 자신의 뒷모습을 동시에 바라보기 위해
전면거울(10)을 바라보면서 인체감지센서(70)의 감지구간에 있게되면
모니터(20)와 카메라(20)가 켜지면서 카메라를 통해 이용자의 뒷모습을 수집한 영상이 모니터(20)에 출력되는 구성을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20)는 인체감지센서(70)를 구비하여 상기 인체감지센서(70)가 이용자를 감지하면 제어장치는 카운터를 통해 카운터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카운터에서 미리 설정한 카운터값이 입력되면 모니터와 카메라를 온 하고,
그 후 이용자가 인체감지센서(70)의 감지구간을 벗어나면 상기 모니터와 카메라가 오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감지구간은 그 구간 내에서 이용자가 3~4초 정체되는 경우에 인체감지센서가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여 모니터와 카메라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거울과 모니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앞 뒷모습을 함께 볼 수 있는 시스템.
Front mirror 10 located on the wall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user so that you can see the front of the user,
A monitor 20 outputting a rear view of the user on the front mirror 10;
A cradle 40 for mounting the monitor 20 on a wall,
In the state where the camera 30 is installed on the wall or ceiling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mirror 10
To allow users to see their front and back at the same time
Looking at the front mirror (10) is in the detection zone of the human body sensor 70
In that the monitor 20 and the camera 20 is turned on, including the configuration that the image of the user's back collected through the camera is output to the monitor 20,

The monitor 20 includes a human body sensor 70, when the human body sensor 70 detects a user, the control device counters through a counter and the control device monitors when a counter value preset by the counter is input. Come on with the camera,
After that, the user is configured to turn off the monitor and the camera off the detection zone of the human body sensor 70,

The detection section uses the front mirror and monitor to prevent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monitor and the camera by applying power to the human body sensor when the user is stuck for 3 to 4 seconds in the section. A system that lets you see the front and back together.
KR2020200000291U 2020-01-22 2020-01-22 mirror a monitor KR2020000024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291U KR20200000249U (en) 2020-01-22 2020-01-22 mirror a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291U KR20200000249U (en) 2020-01-22 2020-01-22 mirror a moni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284A Division KR20180127015A (en) 2017-05-19 2017-05-19 mirror a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49U true KR20200000249U (en) 2020-01-30

Family

ID=6922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291U KR20200000249U (en) 2020-01-22 2020-01-22 mirror a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24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245B2 (en) Access control device
US6064430A (en) Discrete surveillance camera devices
US20110292213A1 (en) Door mountable camera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KR101899489B1 (en) A camera device having a slide fastening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 monitoring position from the outside
US20040154243A1 (en) Automatic blinder-type display assembly
KR102209329B1 (en) Public smart shelter
US20090001082A1 (en) Recessed Wall Housing For Concealing Wall Mounted Electrical Devices
US11306529B2 (en) Space adjust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21695A1 (en) Packable folding camera apparatus
KR101784421B1 (en) Smart Mirro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00000249U (en) mirror a monitor
US5605014A (en) Door apparatus for rest room
US6296363B2 (en) Mirror mounting assembly for hair grooming and styling
KR100909073B1 (en) Security camera
KR20180026136A (en) Versatile Dressing Table
KR20180127015A (en) mirror a monitor
JP6826405B2 (en) Automatic door controller
WO2016134194A1 (en) Tree computer kiosk system and method
EP2991345B1 (en) Mirror cabinet with a camera and a screen
US5223984A (en) Hair grooming mirror apparatus
CN207299411U (en) For air-conditioning line control machine and there is its air-conditioning
JPH1046846A (en) Dressing room
JP3688698B2 (en) Barber / beauty compact store and barber / beauty cabinet
TWI724453B (en) Smart sanitar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123859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building open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