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17A -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17A
KR20200000217A KR1020180072236A KR20180072236A KR20200000217A KR 20200000217 A KR20200000217 A KR 20200000217A KR 1020180072236 A KR1020180072236 A KR 1020180072236A KR 20180072236 A KR20180072236 A KR 20180072236A KR 20200000217 A KR20200000217 A KR 2020000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mpressor
temperature
refrigerato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876B1 (ko
Inventor
김남훈
신성구
안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단위시간간격으로 저장실의 온도인 고내온도를 측정하고,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 및 하한범위에 해당되는 상한설정온도 및 하한설정온도가 결정된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를 ON시킨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시작점 및 시작시간을 저장하고,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종료점 및 종료시간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를 OFF시킨다.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시작시간을 뺀 하강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서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냉장고에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 및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실에는, 일반적으로 영하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동실 및 영상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실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은 서로 다른 온도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 특히, 상기 압축기는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이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이때, 종래에는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는 위치, 내부환경 및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압축기가 동일한 설정으로 운전되었다. 그러나, 이는 매우 비효율적인 운전으로 상기 압축기의 운전상태를 상황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요구되었다.
본 출원인은 상황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상태를 변화시키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련하여, 선행문헌 1을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등록번호 : 제10-1705528호 (등록일자 : 2017년 02월 06일)
2. 발명의 명칭 :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상기 선행문헌 1에는, 일정 시간 주기마다 저장실 온도의 변화량 또는 냉동실 온도의 변화량을 연산하여 압축기의 운전상태를 변경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압축기의 냉력값을 조절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행문헌 1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저장실 온도의 변화량을 연산하는 것은 비교적 복잡한 연산에 해당되며, 시간 주기마다 이를 연산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연산과정에 해당된다. 즉, 연산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연산을 위한 고성능의 제어부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2) 또한, 복수의 압축기 또는 복수의 증발기가 구비되는 특수한 냉장고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냉장고는 하나의 압축기에 하나에 증발기가 구비되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연산을 통해 효율적으로 압축기를 제어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압축기 및 하나의 증발기가 구비되며, 댐퍼를 통해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유동되는 냉기를 차폐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단위시간간격으로 저장실의 온도인 고내온도를 측정하고,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 및 하한범위에 해당되는 상한설정온도 및 하한설정온도가 결정된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를 ON시킨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시작점 및 시작시간을 저장하고,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종료점 및 종료시간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를 OFF시킨다.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시작시간을 뺀 하강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 및 댐퍼의 개폐에 의해 상기 냉동실과 연통되는 냉장실이 포함된다. 즉, 상기 냉동실에만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동실과의 공기유동을 통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단위시간간격으로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의 온도인 F실온도 및 R실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에 각각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 및 하한범위에 해당되는 상한설정온도 및 하한설정온도가 결정된다.
그리고, F실온도가 상한설정온도(F)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ON시키고, R실온도가 상한설정온도(R)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댐퍼를 OPEN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제 상황에 맞게 압축기의 냉력을 조절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상기 냉장고의 고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비교적 저성능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댐퍼가 설치된 냉장고에서도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1)의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에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1)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에는 복수의 저장실(F, R)이 포함된다.
베리어(13)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실(F, R)에는 제 1 저장실(F) 및 상기 제 1 저장실(F) 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조절되는 제 2 저장실(R)이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제 1 저장실(F)은 냉동실(F)이고, 상기 제 2 저장실(R)이 냉장실(R)로 명칭한다.
이때, 상기 냉장고(1)에서 상기 냉동실(F)이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냉장실(R)이 좌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냉동실(F) 또는 상기 냉장실(R)이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냉동실(F)이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에는, 상기 냉동실(F)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11)와 상기 냉장실(R)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111) 및 상기 냉장실 도어(112)는 상기 캐비닛(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111)와 냉장실 도어(112)는 상기 냉동실(F)과 냉장실(R)을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F)과 냉장실(R)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서랍과 선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11)와 냉장실 도어(122)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11)에는 얼음은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22)에는 홈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하단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구획되는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30)와 응축기(40)를 비롯하여, 상기 압축기(30)와 상기 응축기(40)의 냉각을 위한 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0) 및 상기 응축기(40)는 하나의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30)에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40)에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응축기(40)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 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F)의 후방에는 증발기(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0)는 상기 압축기(30), 상기 응축기(40) 및 상기 팽창 부재(50)와 함께 하나의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증발기(60)는 상기 팽창부재(50)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로 증발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60)의 상방에는 저장실 팬(62)이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6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F) 또는 상기 냉장실(R) 측으로 강제 유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60)와 저장실 팬(62)은 상기 냉동실(F)의 후벽면을 형성하는 그릴팬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에는 다수의 냉기 토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60)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F)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기 토출구(113)는 상기 냉동실(F)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 토출구(113)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F)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냉동실(F)을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F)과 상기 냉장실(R)은 베리어(13)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13)에는 냉기의 유동을 차폐하는 댐퍼(2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20)는 상기 베리어(1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20)는 후술할 제어부(7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댐퍼(20)는 상기 냉장실(R)의 냉각 운전시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60)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베리어(13)를 통과하여 상기 냉장실(R)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R)의 냉각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댐퍼(20)는 폐쇄되어 상기 냉장실(R) 내부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1)에는 상기 냉장실(R)의 공기가 상기 냉동실(F)로 회수되는 리턴 덕트(113)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턴 덕트(113)는 상기 베리어(1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에서, 상기 증발기(60)는 상기 냉동실(F)에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R)에는 상기 증발기(60)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F)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60)에 구동에 따라 냉각되며, 상기 냉장실(R)의 공기는 상기 댐퍼(20)의 개방에 따라 냉각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냉장실(R)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에 표시된 화살표는 상기 댐퍼(20)가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60)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냉장실(R)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에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압축기(30) 및 상기 댐퍼(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압축기(30)의 ON/OFF를 제어하여, 냉동사이클을 구동 및 구동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압축기(30)의 운전주파수 및 운전시간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압축기(30)의 운전주파수를 복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압축기(30)의 운전주파수를 높여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30)의 운전주파수가 높아지면, 냉매가 비교적 빠르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댐퍼(20)를 이동시켜, 상기 냉장실(R)과 상기 냉동실(F)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댐퍼(20)의 개도를 변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댐퍼(20)의 개폐(OPEN & CLOSE)만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저장실 팬(6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저장실 팬(62)의 ON/OFF 및 상기 저장실 팬(62)의 속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저장실 팬(62)의 속력을 복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저장실 팬(62)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의 RPM을 복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댐퍼(20)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저장실 팬(6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증발기(6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냉동실(F) 및 상기 냉장실(R)을 순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실 팬(62)이 비교적 높은 속력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냉장실(R)의 온도를 비교적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에는, 전원부(71), 각종 입력부(72) 및 각종 센서(80, 9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71)는 상기 냉장고(1)에서는 외부전원의 입력을 위한 코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71)에 의해 상기 냉장고(1)가 ON/OFF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72)는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72)에는 원하는 고내온도(이하,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72)를 통해 상기 냉동실(F) 및 상기 냉장실(R)의 온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72)는 기계식 입력장치, 터치식 입력장치 및 외부기기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70)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입력부(72)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에는, 상기 냉동실(F) 및 상기 냉장실(R)의 온도를 측정하는 F실 온도센서(80) 및 R실 온도센서(90)가 포함된다. 상기 F실 온도센서(80) 및 상기 R실 온도센서(90)는 상기 냉동실(F) 및 상기 냉장실(R)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에는,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상 온도센서, 다른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 냄새, 청결도 등을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에는, 소정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75)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원부(71), 상기 입력부(72) 및 상기 센서(80, 90) 등에서 입력된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상기 압축기(3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에는, 타이머(78)가 구비된다. 상기 타이머(78)는 상기 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78)는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시작시간을 뺀 소요시간을 상기 제어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제어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압축기(30)의 ON/OFF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71)를 통해 외부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부(72)를 통해 설정온도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설정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온도는 상기 냉동실(F) 및 상기 냉장실(R)이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F실 온도센서(80) 및 상기 R실 온도센서(90)에 의해 상기 냉동실(F) 및 상기 냉장실(R)의 온도(이하, 고내온도)가 측정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고내온도가 상기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압축기(30)가 ON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메모리부(75)에는 상한 및 하한범위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한 및 하한범위는 각각 0.3도로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한 및 하한범위는 서로 다르게 저장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치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온도의 상한 설정온도 및 하한 설정온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설정온도가 4도이고 상한 및 하한범위가 각각 0.3도인 경우, 상한 설정온도는 4.3도이고 하한 설정온도는 3.7도로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압축기(30)를 ON한다. 또한, 상기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압축기(30)를 OFF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압축기(30)를 ON/OFF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은 고정된 상태로 ON/OFF된다. 즉, 상기 압축기(30)는 계속하여 동일한 운전주파수로 운전되며 ON/OFF된다. 이때, 설정된 압축기의 냉력은 상기 냉장고(1)가 최적의 효율로 구동될 수 있는 값에 해당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장고(1)의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며 고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값에 해당된다. 그러나, 상기 냉장고(1)의 외부환경 및 내부환경에 따라 최적의 효율로 구동될 수 있는 상기 압축기의 냉력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장소, 외부온도, 상기 저장실 내에 저장된 저장물의 양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간은 미리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종래의 압축기는 실제 효율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냉력으로 작동되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의 압축기(30)은 실제 냉장고의 환경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0)가 OFF된 상태를 가정한다(S10). 이는 상기 냉장고(1)의 초기작동이거나, 상기 압축기(30)가 ON에서 OFF로 전환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자세하게는, 상기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압축기(30)는 OFF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내온도는 저장실 내의 온도를 의미하고, 상기 고내온도는 온도센서에 의해 단위시간 간격으로 측정된다. 즉, 고내온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수치에 해당된다.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범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수치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F) 또는 냉장실(R)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이 하나로 구비된 냉장고의 경우 그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30)를 ON한다(S30). 즉, 상기 압축기(30)를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은 기준값에 해당되고, 상기 냉장고(1)의 초기작동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값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즉, 상기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측정된 고내온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상한 설정온도와 같아지는 시점을 감지한다.
자세하게는, 또한,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상기 증발기(60)에서 정상적으로 냉매의 증발이 일어나기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상기 저장실의 온도가 낮아질 때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즉,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상기 압축기(30)가 ON된 후, 소정의 시간동안 고내온도는 계속하여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60)에서 정상적으로 냉매의 증발이 일어나면, 고내온도는 하강된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의 이하가 되면, 시작점으로 저장하고, 시작시간을 저장한다(S50). 즉,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와 같아지는 시점을 시작점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점의 시간을 상기 타이머(78)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8)에는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시간이 상기 시작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가 계속 구동됨에 따라, 고내온도는 계속하여 하강한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하한 설정온도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즉,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와 같아지는 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의 이하가 되면, 종료점으로 저장하고, 종료시간을 저장한다(S70). 즉,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와 같아지는 시점을 종료점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종료점의 시간을 상기 타이머(78)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8)에는 상기 종료점에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시간이 상기 종료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의 이하가 되면, 상기 압축기(30)가 OFF된다(S80). 상기 압축기(30)의 OFF전환(S80)과 상기 종료점 및 상기 종료시간의 저장(S70)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시작시간은 뺀 값을 하강시간으로 저장한다. 즉, 상기 하강시간은,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과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기준시간을 비교한다(S90).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냉장고가 최적으로 운전되는 경우,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강시간은 실제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이고, 상기 기준시간은 이상적인 상황에서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이 상기 기준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증가시킨다(S100). 상기 하강시간이 상기 기준시간보다 큰 경우에는, 고내온도가 하강될 때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고내온도가 비교적 잘 떨어지지 않으며, 부하가 큰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이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상기 냉장고(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30)의 냉력 증가는 상기 압축기(30)를 보다 높은 운전주파수로 운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유지시킨다(S92). 상기 하강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고내온도가 하강될 때 비교적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과 효과적으로 운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어느 하나의 저장실을 특정하지 않고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제어흐름은 모든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상기 증발기(60)가 상기 냉동실(F)에만 설치되고 상기 댐퍼(20)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0)가 OFF되고, 상기 댐퍼(20)가 CLOSE된 상태를 가정한다(S110). 이는 상기 냉장고(1)의 초기작동이거나, 상기 압축기(30)가 ON에서 OFF로 전환되고 상기 댐퍼(20)가 OPEN에서 CLOSE로 전환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F)의 온도(이하, F실온도)가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자세하게는, 상기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압축기(30)는 OFF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F실온도는 상기 F실 온도센서(80)에 의해 단위시간 간격으로 측정된다. 즉, 상기 F실온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수치에 해당된다.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상기 냉동실(F)에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범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수치에 해당된다. 이때, 상한 설정온도는 상기 냉동실(F)의 상한 설정온도를 의미하며, 이하, (F)를 붙여 구분한다.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를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30)를 ON한다(S130). 즉, 상기 냉동실(F)의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압축기(30)를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은 기준값에 해당되고, 상기 냉장고(1)의 초기작동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값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즉, 상기 상한 설정온도(F)를 초과하여 측정된 F실온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상한 설정온도(F)와 같아지는 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의 이하가 되면, F실시작점으로 저장하고, F실시작시간을 저장한다(S150). 이하, 상기 F실시작점 및 상기 F실시작시간은 시작점 및 시작시간으로 기재하고 (F)를 붙여 구분한다.
즉,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와 같아지는 시점을 시작점(F)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점(F)의 시간을 상기 타이머(78)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8)에는 상기 시작점(F)에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시간이 상기 시작시간(F)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가 계속 구동됨에 따라, F실온도는 계속하여 하강한다. 그리고, F실온도가 하한 설정온도(F)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F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F)와 같아지는 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F)의 이하가 되면, 종료점(F)으로 저장하고, 종료시간(F)을 저장한다(S170). 즉,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F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F)와 같아지는 시점을 종료점(F)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종료점(F)의 시간을 상기 타이머(78)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8)에는 상기 종료점(F)에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시간이 상기 종료시간(F)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F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F)의 이하가 되면, 상기 압축기(30)가 OFF된다(S180). 상기 압축기(30)의 OFF전환(S180)과 상기 종료점(F) 및 상기 종료시간(F)의 저장(S170)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시간(F)에서 상기 시작시간(F)을 뺀 값을 하강시간(F)으로 저장한다. 즉, 상기 하강시간(F)은, 상기 압축기(30)가 ON되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F)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F)과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기준시간(F)을 비교한다(S190). 상기 기준시간(F)은, 상기 냉장고(1)가 최적으로 운전되는 경우,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F)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F)이 상기 기준시간(F)보다 큰 경우,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증가시킨다(S200).
한편,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를 초과하여 상기 압축기(30)가 ON(S130)된 경우, 상기 냉장실(R)의 온도(이하, R실온도)가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상기 R실온도는 상기 R실 온도센서(90)에 의해 단위시간 간격으로 측정된다. 즉, 상기 R실온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수치에 해당된다.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상기 냉장실(R)에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범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수치에 해당된다. 이때, 상한 설정온도는 상기 냉W장실(R)의 상한 설정온도를 의미하며, 이하, (R)를 붙여 구분한다.
R실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R)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댐퍼(20)를 OPEN한다(S230). 즉, 상기 증발기(60) 및 상기 저장실 팬(62)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상기 냉장실(R)로 유동된다.
그리고,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즉, 상기 상한 설정온도(R)를 초과하여 측정된 R실온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상한 설정온도(R)와 같아지는 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의 이하가 되면, R실 시작점으로 저장하고, R실 시작시간을 저장한다(S250). 이하, 상기 R실 시작점 및 상기 R실 시작시간은 시작점 및 시작시간으로 기재하고 (R)를 붙여 구분한다.
즉, 상기 압축기(30)의 ON 및 상기 댐퍼(20)의 OPEN 후,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와 같아지는 시점을 시작점(R)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점(R)의 시간을 상기 타이머(78)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8)에는 상기 시작점(R)에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시간이 상기 시작시간(R)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가 계속 구동되고 상기 댐퍼(20)가 OPEN됨에 따라, R실온도는 계속하여 하강한다. 그리고, R실온도가 하한 설정온도(R)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즉,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와 같아지는 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의 이하가 되면, 종료점(R)으로 저장하고, 종료시간(R)을 저장한다(S270). 즉, 상기 압축기(30)의 ON 및 상기 댐퍼(20)의 OPEN 후,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와 같아지는 시점을 종료점(R)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종료점(R)의 시간을 상기 타이머(78)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8)에는 상기 종료점(R)에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시간이 상기 종료시간(R)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의 이하가 되면, 상기 댐퍼(20)가 CLOSE된다(S280). 상기 댐퍼(20)의 CLOSE전환(S280)과 상기 종료점(R) 및 상기 종료시간(R)의 저장(S270)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시간(R)에서 상기 시작시간(R)을 뺀 값을 하강시간(R)으로 저장한다. 즉, 상기 하강시간(R)은, 상기 압축기(30)의 ON 및 상기 댐퍼(20)의 OPEN 후,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R)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R)과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기준시간(R)을 비교한다(S290). 상기 기준시간(R)은, 상기 냉장고(1)가 최적으로 운전되는 경우,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R)로 하강될 때 소요되는 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R)이 상기 기준시간(R)보다 큰 경우,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증가시킨다(S200). 즉,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 중 하나라도 고내온도의 하강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 모두 고내온도의 하강에 비교적 적은 시간이 소요되면,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유지시킨다(S292).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30)의 ON/OFF는 상기 냉동실(F)의 온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댐퍼(20)의 OPEN/CLOSE는 상기 냉장실(R)의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은 상기 냉동실(F) 및 상기 냉장실(R)의 온도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냉동실(F)과 관련된 부분은 도 5와 동일하게 제어되고, 동일한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하고 상기의 설명을 인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0)가 OFF되고, 상기 댐퍼(20)가 CLOSE된 상태를 가정한다(S310). 그리고, 상기 냉동실(F)의 온도(이하, F실온도)가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를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30)를 ON한다(S330).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의 이하가 되면, F실시작점으로 저장하고, F실시작시간을 저장한다(S350).
그리고, F실온도가 하한 설정온도(F)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그리고, F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F)의 이하가 되면, 종료점(F)으로 저장하고, 종료시간(F)을 저장한다(S370). 또한, F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F)의 이하가 되면, 상기 압축기(30)가 OFF된다(S380).
이때, 상기 종료시간(F)에서 상기 시작시간(F)을 뺀 값을 하강시간(F)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F)과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기준시간(F)을 비교한다(S390).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F)이 상기 기준시간(F)보다 큰 경우,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증가시킨다(S400).
한편,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를 초과하여 상기 압축기(30)가 ON(S330)된 경우, 상기 냉장실(R)의 온도(이하, R실온도)가 상한 설정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R실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R)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댐퍼(20)를 OPEN한다(S430). 그리고,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그리고,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의 이하가 되면, R실 시작점으로 저장하고, R실 시작시간을 저장한다(S450).
그리고, R실온도가 하한 설정온도(R)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 즉,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와 같아지는 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의 이하가 되면, 종료점(R)으로 저장하고, 종료시간(R)을 저장한다(S470). 또한,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의 이하가 되면, 상기 댐퍼(20)가 CLOSE된다(S480).
이때, 상기 종료시간(R)에서 상기 시작시간(R)을 뺀 값을 하강시간(R)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R)과 상기 메모리부(75)에 저장된 기준시간(R)을 비교한다(S490).
그리고, 상기 하강시간(R)이 상기 기준시간(R)보다 큰 경우, 상기 저장실 팬(62)의 속력을 증가시킨다(S5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 팬(62)은 상기 증발기(60)와 함께 상기 냉동실(F)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 팬(62)이 보다 빠르게 작동하면, 비교적 멀리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R)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냉장실(R)의 온도하강이 촉진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실(F) 온도의 하강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냉장실(R) 온도의 하강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 상기 저장실 팬(62)의 속력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30)의 ON/OFF는 상기 냉동실(F)의 온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댐퍼(20)의 OPEN/CLOSE는 상기 냉장실(R)의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30)의 냉력은 상기 냉동실(F)의 온도변화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저장실 팬(62)의 속력은 상기 냉장실(R)의 온도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어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사상에 다른 냉장고는 효과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1 : 냉장고 20 : 댐퍼
30 : 압축기 40 : 응축기
60 : 증발기 62 : 저장실 팬
80 : F실 온도센서 90 : R실 온도센서
F : 냉동실 R : 냉장실

Claims (15)

  1. 단위시간간격으로 저장실의 온도인 고내온도를 측정하고,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 및 하한범위에 해당되는 상한설정온도 및 하한설정온도가 결정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압축기를 ON시키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시작점 및 시작시간을 저장하고,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종료점 및 종료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압축기를 OFF시키고,
    상기 종료시간에서 상기 시작시간을 뺀 하강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키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 및 댐퍼의 개폐에 의해 상기 냉동실과 연통되는 냉장실이 포함되고,
    단위시간간격으로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의 온도인 F실온도 및 R실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에 각각 입력된 설정온도의 상한 및 하한범위에 해당되는 상한설정온도 및 하한설정온도가 결정되고,
    F실온도가 상한설정온도(F)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를 ON시키고,
    R실온도가 상한설정온도(R)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댐퍼가 OPEN시키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ON시키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F) 이하가 되는 경우, 시작점(F) 및 시작시간(F)을 저장하고,
    F실온도가 하한설정온도(F) 이하가 되는 경우, 종료점(F) 및 종료시간(F)을 저장하고,
    상기 압축기를 OFF시키고,
    상기 종료시간(F)에서 상기 시작시간(F)을 뺀 하강시간(F)이 기준시간(F)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키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OPEN되고,
    R실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R) 이하가 되는 경우, 시작점(R) 및 시작시간(R)을 저장하고,
    R실온도가 하한설정온도(R) 이하가 되는 경우, 종료점(R) 및 종료시간(R)을 저장하고,
    상기 댐퍼를 CLOSE시키고,
    상기 종료시간(R)에서 상기 시작시간(R)을 뺀 하강시간(R)이 기준시간(R)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키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중 적어도 하나의 하강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키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시간(F)이 상기 기준시간(F) 이하인 경우, 상기 하강시간(R)과 상기 기준시간(R)을 비교하고,
    상기 하강시간(R)이 상기 기준시간(R)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하강시간(R)이 상기 기준시간(R)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유지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F)은 상기 압축기가 ON되고, F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F)와 같아지는 시점으로 저장되고,
    상기 시작점(R)은 상기 압축기의 ON 및 상기 댐퍼의 OPEN 후, R실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R)와 같아지는 시점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점(F)은 상기 압축기가 ON되고, F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F)와 같아지는 시점으로 저장되고,
    상기 종료점(R)은 상기 압축기의 ON 및 상기 댐퍼의 OPEN 후, R실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R)와 같아지는 시점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점(R) 및 상기 종료시간(R)의 저장 및 상기 댐퍼의 CLOSE전환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점(F) 및 상기 종료시간(F)의 저장 및 상기 압축기의 OFF전환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를 OPEN시키고,
    R실온도가 상기 상한설정온도(R) 이하가 되는 경우, 시작점(R) 및 시작시간(R)을 저장하고,
    R실온도가 하한설정온도(R) 이하가 되는 경우, 종료점(R) 및 종료시간(R)을 저장하고,
    상기 댐퍼를 CLOSE시키고,
    상기 종료시간(R)에서 상기 시작시간(R)을 뺀 하강시간(R)이 기준시간(R)보다 큰 경우,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의 공기 순환을 강제하는 저장실 팬의 속력을 증가시키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팬은 상기 압축기와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증발기와 함께 상기 냉동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높여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은 상기 압축기가 ON되고, 고내온도가 상기 상한 설정온도와 같아지는 시점으로 저장되고,
    상기 시작시간은 상기 시작점에서 냉장고의 운전시간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점은 상기 압축기가 ON되고, 고내온도가 상기 하한 설정온도와 같아지는 시점으로 저장되고,
    상기 종료시간은 상기 종료점에서 냉장고의 운전시간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80072236A 2018-06-22 2018-06-22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12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36A KR102126876B1 (ko) 2018-06-22 2018-06-22 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36A KR102126876B1 (ko) 2018-06-22 2018-06-22 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17A true KR20200000217A (ko) 2020-01-02
KR102126876B1 KR102126876B1 (ko) 2020-06-25

Family

ID=6915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36A KR102126876B1 (ko) 2018-06-22 2018-06-22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8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467A (ko) * 1994-11-11 1996-06-17 김광호 고효율 독립냉각 싸이클을 가지는 냉장고
KR19990032146A (ko) * 1997-10-16 1999-05-06 전주범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
KR20000056743A (ko) * 1999-02-25 2000-09-15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8123A (ko) * 2003-12-29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KR20160109036A (ko) * 2015-03-09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467A (ko) * 1994-11-11 1996-06-17 김광호 고효율 독립냉각 싸이클을 가지는 냉장고
KR19990032146A (ko) * 1997-10-16 1999-05-06 전주범 냉장고의 온도 제어 방법
KR20000056743A (ko) * 1999-02-25 2000-09-15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8123A (ko) * 2003-12-29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KR20160109036A (ko) * 2015-03-09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876B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4146B2 (ja) 冷蔵庫
EP3457059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674631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9357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EP3144609B1 (en)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2019004908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01782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61767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EP3273191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tant temperature thereof
US1173294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to alternately cool two storage compartments
JP2011080696A (ja) 冷蔵庫
KR10261727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26876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16001111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81149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JPH1163775A (ja) マルチ冷蔵庫
KR20200077881A (ko) 인공지능 냉장고
KR2021006936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6936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69723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58926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7344651B2 (ja) 冷蔵庫
US1187968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JP2007315716A (ja) 冷蔵庫
KR101535673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