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63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63A
KR20200000063A KR1020180071883A KR20180071883A KR20200000063A KR 20200000063 A KR20200000063 A KR 20200000063A KR 1020180071883 A KR1020180071883 A KR 1020180071883A KR 20180071883 A KR20180071883 A KR 20180071883A KR 20200000063 A KR20200000063 A KR 20200000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ufts
handle
toothbrush hea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클
Priority to KR102018007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063A/ko
Publication of KR2020000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헤드가 구강의 치열과 치아의 형태에 맞춰 변형하면서 치아에 맞춤 칫솔질을 가능하게 하고 실리콘 보강러버의 보강을 통해 칫솔헤드의 안정된 복원 효과를 높이며 치모로부터의 잇몸 보호는 물론 잇몸 강화 기능을 갖춘 칫솔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칫솔모가 각각 식모되는 복수의 식모부와, 서로 이웃하는 식모부를 플렉시블하게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를 가지는 칫솔헤드; 상기 칫솔헤드와 손잡이를 상호 연결하는 칫솔목;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헤드가 구강의 치열과 치아의 형태에 맞춰 그 형상이 유동적으로 변형하면서 치열과 치아에 맞는 맞춤형 칫솔질을 가능하게 하고 실리콘 보강러버의 보강을 통해 칫솔헤드의 안정한 복원효율을 높이며 치모로부터의 잇몸 보호는 물론 잇몸 강화를 위한 마사지 기능을 갖춘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강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칫솔질을 통한 치아들 사이의 프라그와 이물질의 제거가 중요하며, 효과적인 칫솔질을 위해서는 사각지대 없이 구강 영역 전체에 대한 칫솔질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 칫솔은, 구강의 깊숙한 영역에 위치하는 어금니를 칫솔질할 경우에는 어금니와 구강 점막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어금니까지 칫솔헤드를 진입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칫솔은, U자형으로 굴곡지게 배치된 치아들의 배열 구조로 인하여, 칫솔헤드와 치아가 사선으로 놓일 경우에 칫솔모 중 일부분만이 치아와 닿는 불리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칫솔은, 위턱 또는 아래턱 중 어느 한 편에 위치한 전구치의 내측에 대하여 칫솔질을 할 경우에, 다른 편에 위치한 전구치에 칫솔목이 걸리면서 전구치의 내측까지 칫솔헤드가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공개특허 10-2015-0041524' 기술이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의 칫솔은 도 1(종래 칫솔이 가지는 칫솔헤드의 측면 확대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칫솔헤드(20)가 다수의 식모부(22)로 분리되고, 각 식모부(22)는 마디별로 탄성부(24)에 의해 연결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식모부(22) 간에 플렉시블한 휨이 가능하도록 했다. 결국, 종래 기술의 칫솔은 치열과 치아의 형태에 맞춰서 변형이 가능했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사용자는 치아에 맞는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했다.
그런데 종래 칫솔은 식모부(22)들을 서로 잇는 탄성부(24) 자체에 의존하여 칫솔헤드(20)의 휨과 복원이 빈번히 반복하므로, 탄성부(24)의 탄성 상실이 쉽게 발생했고, 이를 통해 칫솔헤드(20)의 복원율이 약화하면서 칫솔헤드(20)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인간의 치열(도 3 참고)은 앞니, 송곳니(전구치 포함), 어금니 부위별로 다른 곡률을 이룬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니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곡률로 치열을 이루고, 어금니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로 치열을 이룬다. 따라서 곡률이 작은 어금니 부분을 솔질할 때에는 칫솔헤드(20)가 상대적으로 작게 휘어지고, 곡률이 큰 앞니 부분과 송곳니 부분을 솔질할 때에는 칫솔헤드(20)가 상대적으로 크게 휘어진다. 특히 칫솔헤드(20)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치아의 외측보다 내측을 솔질할 때 크게 휘므로, 칫솔헤드(20)는 앞니와 송곳니의 내측을 솔질할 때 가장 크게 휘어졌다.
그런데, 인간의 신체 구조상 곧은 칫솔을 입 안으로 넣을 때에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소 경사지게 삽입할 수밖에 없고, 특히 앞니의 내측을 솔질할 때에는 앞니와 송곳니 부분을 함께 솔질하는 형태(도 3 참고)로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다. 즉, 손잡이에 근접한 식모부(21a; 이하 '내측 식모부', 도 3 참고)는 곡률이 큰 치열을 갖는 앞니와 닿고, 외측 식모부(21c; 도 3 참고)는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치열을 갖는 송곳니 또는 어금니와 닿는 것이다. 따라서 칫솔헤드(20)는 솔질 중에 내측 식모부가 상대적으로 크게 휘고, 외측 식모부가 상대적으로 작게 휘는 휨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종래 칫솔은 이러한 휨 특성에 상관없이 칫솔헤드가 위치별로 동일한 구조를 이루므로, 종래 칫솔은 치열에 맞는 맞춤 변형 없이 모든 치열에서 일정하게 변형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 특히 곡률이 큰 앞니에 대한 솔질을 고려해서 탄성부(24)의 변형성을 높인 경우에는 내측 식모부의 원활한 휨으로 인해 앞니 내측 솔질엔 효율적이나,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송곳니 부분 및 어금니 부분과 닿는 외측 식모부는 해당 치아에 충분한 압으로 압착하지 못하고 솔질 중에 빈번히 변형하면서 세척 효율을 약화시켰다.
이외에도 칫솔질 과정에서 치모가 잇몸 깊숙이 지속적으로 자극하면서 잇몸에 상해를 줄 수 있고, 치아를 오래도록 사용하면서 잇몸이 물러 약해질 수 있는 문제 또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치열과 치아 형태에 맞춰 변형하면서 최적의 양치를 가능하게 하고, 칫솔헤드가 갖는 탄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며, 칫솔질 과정에서 치모가 잇몸에 줄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해서 양치 개선과 잇몸 강화를 지향할 수 있는 칫솔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칫솔모가 각각 식모되는 복수의 식모부와, 서로 이웃하는 식모부를 플렉시블하게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를 가지는 칫솔헤드; 및
상기 칫솔헤드와 손잡이를 상호 연결하는 칫솔목;
을 포함하는 칫솔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빈번히 접하는 치열과 치아 형태에 맞춰서 식모부별 변형율을 차별화하고, 이를 통해서 치아별 최적의 맞춤 양치를 가능하게 하며, 칫솔헤드가 갖는 탄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칫솔질 과정에서 치모가 잇몸에 줄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해서 양치 개선과 잇몸 강화를 지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혀에 끼는 설태를 양치 과정에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상쾌한 구강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를 쥘 때 손잡이가 주는 탄력에 의해 사용자의 악력 피로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오랜 양치로 인한 무리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칫솔이 가지는 칫솔헤드의 측면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칫솔을 활용해서 치열에 따라 양치하는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칫솔에서 보강러버를 제외한 측면 및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또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칫솔에서 보강러버를 보강한 칫솔헤드의 평면과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칫솔에서 보강러버가 분리된 칫솔헤드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칫솔에서 분리된 칫솔헤드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의 칫솔에서 분리된 칫솔헤드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서 손잡이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칫솔을 활용해서 치열에 따라 양치하는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칫솔(20)은,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칫솔모(23)가 각각 식모되는 복수의 식모부(21a 내지 21c), 서로 이웃하는 식모부(21a 내지 21c)를 플렉시블하게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22a, 22b; 도 4 참조)를 가지는 칫솔헤드(20); 칫솔헤드(20)와 손잡이(10; 도 6 참고)를 상호 연결하는 칫솔목(30); 탄성부(22a, 22b)를 보강하도록 칫솔헤드(20)를 감싸는 보강러버(40a, 40b)를 포함한다.
칫솔헤드(20)는 칫솔의 선단에 마련되어서 칫솔모(23)가 식모된 부재이며, 칫솔목(30)에 의하여 손잡이(10)와 연결되고, 복수의 식모부(21a 내지 21c)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22a, 2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는 3개의 식모부(21a 내지 21c)와, 각 식모부(21a 내지 21c)를 일렬로 잇도록 2개의 탄성부(22a, 22b)로 구성된다. 전술한 대로 칫솔헤드(20)를 식모부(21a 내지 21c)와 탄성부(22a, 22b)로 구성함으로써, 칫솔헤드(20)를 구강 내로 삽입 및 솔질할 때 각각의 탄성부(22a, 22b)가 치열에 상응하게 휘어져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치아별로 고른 솔질이 가능하다. 또한, 솔질 과정에서 식모부(21a 내지 21c)가 일지점에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휘면서 칫솔모(23)가 치아와 잇몽에 고른 압력을 가한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칫솔헤드(20)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구강에 깊숙한 영역에 위치한 어금니까지도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구강 내에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치아들 사이의 프라그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식모부(21a 내지 21c)는 복수로 형성되어 칫솔헤드(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식모홀(미도시)에 칫솔모(23)가 식모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칫솔모(23)는 원적외선이 나오는 미네랄 즉 수정, 석영, 황옥, 전기석, 황토석, 진주암, 규조토가 혼합된 광물질을 미세하게 분채하여 나노화하는 특수공법(Extraction Method for Functional Plastic)으로 기능성을 갖는다. 또한, 음이온 치모는 유기성 게르마늄을 나노화하는 특수공법(Extraction Method for Functional Plastic)을 기존 플라스틱 치모와 혼합하여 방사한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칫솔모(23)는 기존 칫솔모의 마모도, 스크래치성, 오염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 항균 성분인 Ag(은)을 나노 공법을 통해 칫솔모에 함유시켰다. Ag(은)이 함유된 항균모는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내후성, 내오염성 등의 뛰어난 기능을 가지고,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폐렴균을 99%까지 감소시킬 수 있어 세균 및 곰팡이 등의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이외에도, 식모부(21a 내지 21c)와 탄성부(22a, 22b)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식모부(21a 내지 21c)와 탄성부(22a, 22b)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탄성이 우수한 PP(폴리 프로필렌)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식모부(21a 내지 21c)와 탄성부(22a, 22b)는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별도로 제조된 후에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칫솔에서 보강러버를 제외한 측면 및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부(22a, 22b)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3개의 식모부(21a 내지 21c)를 연결하며, 식모부(21a 내지 21c)들이 서로 휘는 연결 구조를 이루도록 탄성을 부여한다.
본 실시의 탄성부(22a, 22b)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식모부(21a 내지 2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되고, 각 식모부(21a 내지 21c)는 탄성부(22a, 22b)를 매개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내측 식모부(21a)와 중앙 식모부(21b) 간 간격(W1)과, 중앙 식모부(21b)와 외측 식모부(21c) 간의 간격(W2)은 2:1의 비를 이루며, 이에 따라 탄성부(22a, 22b) 또한 2:1의 비를 이룬다. 참고로, 본 실시는 내측 식모부(21a)와 중앙 식모부(21b)의 간격(W1)이 1.0 ~ 1.4mm이고, 중앙 식모부(21b)와 외측 식모부(21c)의 간격(W2)이 0.5 ~ 0.7mm이다. 따라서 내측 식모부(2a)와 중앙 식모부(21b) 간의 구부러짐이, 중앙 식모부(21b)와 외측 식모부(21c) 간의 구부러짐에 비해 더 크게 일어나고, 따라서 칫솔헤드(20)에서 칫솔목(30)에 근접할수록 더 큰 곡률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는 탄성부(22a, 22b)의 두께(d2)와, 식모부(21a 내지 21c)의 대면 폭 간의 비가 1:3이고, 탄성부(22a, 22b)는 식모부(21a 내지 21c)의 대면 중앙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식모부(21a 내지 21c)의 대면 가장자리에서 탄성부(22a)까지의 폭(d1, d3)과 탄성부(22a, 22b)의 두께(d2)의 비는 1:1:1이다. 참고로, 대면의 폭은 3.0 ~ 6.0mm이고, 탄성부(22a)의 두께(d2)는 1.0 ~ 2.0mm이다.
또한, 탄성부(22a, 22b)의 휨은 탄성부(22a, 22b) 전체에서 이루어지도록, 탄성부(22a, 22b)는 평판 형상을 이루며 식모부(21a 내지 21c)의 대면과 수직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탄성부(22a, 22b)는 식모부(21a 내지 21c)가 외력을 받아 구부러질 때, 일지점이 아닌 전체가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다. 참고로, 도 1에서 보인 종래 칫솔헤드(20)의 탄성부(24)는 식모부(22)를 출발로 해서 두께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므로, 칫솔헤드(20)가 외력을 받아 구부러질 때 탄성부(24)는 그 중앙지점만이 휘어진다. 따라서 식모부(22)의 반복된 구부러짐에 의해서 상기 중앙지점은 빠르게 헤지고, 이를 통해서 탄성부(24)는 자체 탄성을 빠르게 상실한다. 결국, 종래 칫솔헤드(20)는 단명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의 칫솔헤드(20)는 탄성부(22a, 22b)의 두께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식모부(21a 내지 21c)의 대면에 수직하게 연결되므로, 탄성부(22a, 22b)의 휨은 탄성부(22a, 22b) 전체에서 곡면 형태로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탄성부(22a, 22b)의 수명은 증가한다.
한편, 보강러버(40a, 40b)는 탄성부(22a, 22b)의 둘레를 감싸서 식모부(21a 내지 21c) 사이의 간격(W1, W2)을 채운다. 이때, 보강러버(40a, 40b)는 식모부(21a 내지 21c)로부터 돌출하게 채워서, 설태 등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강러버(40a, 40b)가 탄성부(22a, 22b) 둘레를 감싸도록, 도 4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탄성부(22a, 22b)의 둘레가 식모부(21a 내지 21c) 사이에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의 칫솔헤드(20)는 식모부(21a 내지 21c)의 간격(W1, W2)을 채우는 2개의 메인 보강러버(40a, 40b)는 물론, 중앙 식모부(21b)의 외면을 감싸는 보조 보강러버(2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보강러버(40a, 40b)는 식모부(21a 내지 21c)의 간격(W1, W2)을 채우므로, 식모부(21a 내지 21c)가 구부러질 때 이를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보조 보강러버(20c)는 구부러짐이 일어나지 않는 중앙 식모부(21b)에 외면을 감싸면서 돌기를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돌기로 설태 등의 이물질을 긁어 제거한다.
본 실시에서 보조 보강러버(40c)는 중앙 식모부(21b)에 1개가 형성된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조 보강러버(40c)의 개수 또는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또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칫솔에서 보강러버를 보강한 칫솔헤드의 평면과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칫솔은, 파지(把持)용 면을 제공하는 손잡이(10);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칫솔모(23)가 각각 식모되는 복수의 식모부(21a 내지 21c), 서로 이웃하는 식모부(21a 내지 21c)를 플렉시블하게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22a, 22b)를 가지는 칫솔헤드(20); 칫솔헤드(20)와 손잡이(10)를 상호 연결하는 칫솔목(30); 탄성부(22a, 22b)를 보강하도록 칫솔헤드(20)를 감싸는 보강러버(40)를 포함한다.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칫솔을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용 면을 제공하는 부재이며, 파지 중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손잡이(10)가 포함한 상기 러버는 손잡이(10)의 하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거나, 손잡이(10) 상면의 선단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0)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소재, 예를 들어 PP(폴리 프로필렌)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러버는 미끄럼 방지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를 이용하여 러버를 감싸도록 손잡이(10)를 잡은 후에 엄지로 손잡이(10)를 눌러줌으로써, 칫솔을 단단하게 파지할 수 있다.
칫솔헤드(20)는 칫솔의 선단에 마련되어 칫솔모(23)가 식모되는 부재이며, 칫솔목(30)에 의하여 손잡이(10)와 연결되고, 복수의 식모부(21a 내지 21c)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22a, 2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는 3개의 식모부(21a 내지 21c)와, 각 식모부(21a 내지 21c)를 일렬로 잇도록 2개의 탄성부(22a, 22b)로 구성해서 3단 구조를 이루게 했다. 전술한 대로 칫솔헤드(20)를 식모부(21a 내지 21c)와 탄성부(22a, 22b)로 구성함으로써, 칫솔헤드(20)를 구강 내로 삽입할 때 각각의 탄성부(22a, 22b)가 휘어져 칫솔헤드(20)가 치아들의 배열 구조에 맞춰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구강 깊숙한 영역에 위치한 어금니까지도 칫솔헤드(20)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구강 내에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치아들 사이의 프라그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식모부(21a 내지 21c)는 복수로 형성되어 칫솔헤드(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식모홀(미도시)에 칫솔모(23)가 식모될 수 있다. 탄성부(22a, 22b)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2개의 식모부(21a 내지 21c)를 연결하며, 식모부(21a 내지 21c)들이 서로 휘어지는 연결 구조를 이루도록 탄성을 부여한다.
칫솔목(30)은 손잡이(10)와 칫솔헤드(20) 사이에 마련되어 손잡이(10)와 칫솔헤드(20)를 상호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의 칫솔목(30)은 칫솔헤드(20)와 손잡이(10) 간에 높이 차가 있도록 해서, 칫솔헤드(20)가 어금니의 정면과 배면을 칫솔질하는 중에 손잡이(10)가 구강의 앞쪽 영역에 위치하는 앞니, 송곳니 등의 전구치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의 칫솔목(30)은 손잡이(10) 및 칫솔헤드(20)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 구조를 가지면, 칫솔목(30)과 손잡이(10) 간의 절곡 각도는 30°~ 40° 범위 이내가 되도록 하고, 치경(Dental mirror, 齒鏡)의 원리의 적용해서 바람직하게는 35°로 한다.
보강러버(40)는 연성과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이며, 식모부(21a 내지 21c)들을 서로 연결하는 탄성부(22a, 22b) 구간의 둘레 홈을 감싸도록 관 형상의 본체(41)를 구성한다. 여기서 본체(41)는 식모(22a)가 간섭없이 인출하도록,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서, 식모(22a)를 활용한 칫솔질에 간섭을 주지 않으며, 상하턱, 이의 각부에 사각지대 없이 자유로이 입안 어느 곳에도 도달할 수 있도록 했다.
도 8은 도 6의 칫솔에서 보강러버가 분리된 칫솔헤드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칫솔에서 분리된 칫솔헤드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의 칫솔에서 분리된 칫솔헤드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강러버(4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41)는 탄성부(22a, 22b)의 둘레 홈을 감싸는 관 형상으로 되어서, 서로 연결된 식모부(21a 내지 21c)들이 구부러질 때 탄성부(22a, 22b)가 식모부(21a 내지 21c)들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형을 위해 탄발함은 물론, 상기 둘레 홈에 채워져서 탄성부(22a, 22b)를 감싸는 실리콘 재질의 본체(41) 또한 탄성부(22a, 22b)에 보조해서 식모부(21a 내지 21c)들의 마주하는 각 단부를 탄발하므로, 칫솔헤드(20)이 효과적인 복원력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둘레 홈이 본체(41)에 의해 채워지므로, 칫솔헤드(20)의 측면과 평면 및 저면은 요철 없이 평면을 유지한다. 따라서 칫솔질 중에 둘레 홈에 의한 치아와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보강러버(40)는 도 7의 (b)도면과 도 9에서 각각 보인 바와 같이, 본체(41)의 평면에 설태 제거를 위한 돌기 형상의 클리너(43)를 더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혀의 평면에는 다양한 이물질 등의 설태가 끼는데, 이러한 설태는 구강의 답답함을 유발한다. 따라서 양치질 중에 클리너(43)로 혀를 문질러 설태를 제거하므로, 사용자는 구강의 상쾌함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보강러버(40)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모부(21a 내지 21c)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칫솔모(23) 양측방의 둘레에 위치하는 기능모(42)를 더 포함한다. 기능모(42)는 반복적인 칫솔질 과정에서 잇몸에 지속적이며 부드러운 자극을 주면서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고, 칫솔모가 잇몸에 직접적인 긁힘을 일으켜서 가해함을 최소화한다.
한편, 본 실시의 보강러버(40)는 다수의 식모부(21a 내지 21c)를 덮는 보조체(4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보조체(41')는 크기와 형상이 모두 다른 식모부(21a 내지 21c)를 각각 덮기 위해 식모부(21a 내지 21c)의 평면을 덮는 판 형상을 이루고, 평면에는 설태 제거를 위한 클리너(43')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는 보조체(41')가 판 형상을 이루었으나, 본체(41)와 같이 관 형상을 이룰 수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기능모(4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는 본체(41)와 보조체(41')를 잇는 링커(44)를 더 구성하고, 식모부(21a 내지 21c)는 보조체(41')를 수용해 안착하는 안착홈(25)을 형성하며, 링커(44)를 수용해 안착하도록 안착홈(25)과 상기 둘레 홈을 잇는 연결홈(25a)을 형성한다. 따라서 보강러버(40)가 보강된 칫솔헤드(20)의 평,저면과 측면 등의 외면에는 상기 둘레 홈과 본체(41)와 보조체(41')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지 않고 미끈한 외형을 이룬다.
본 실시는 보강러버(40)가 3단의 식모부(21a 내지 21c)를 모두 덮도록, 본체(41)를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보조체(41')를 구성한 것으로 했으나, 보강러버(40)는 탄성부(22a, 22b)로 인해 형성된 둘레 홈이 채워지도록 구성한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서 손잡이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칫솔은 손잡이(1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손잡이(10)는 중앙부가 오목한 슬림형을 이루며, 관통공(11) 또한 손잡아(10)의 전체 형상에 맞춰서 중앙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슬림형을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0)의 오목한 중앙부를 파지하므로, 양단의 물리적 걸림에 의해 미끄러짐 없이 손잡이(10)를 단단히 쥘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관통공(11)에서 칫솔목(30) 쪽에서 볼록한 부분의 관통공(11)을 엄지손가락으로 끼워 쥘 수 있으므로, 인체공학적으로 손잡이(10)에 대한 안정된 파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0)에 관통공(11)을 형성시켜서 관통공(11) 범위의 부재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칫솔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관통공(11)으로 치약튜브를 끼워 압박할 수 있으므로, 치약튜브에 잔존하는 다량의 치약을 효과적으로 짜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손잡이(10)는 사용자가 관통공(11) 부분을 파지할 때 쥐는 힘에 의해 손잡이(10)가 눌리거나 펴지면서 사용자의 손에 밀착하므로, 사용자의 악력 피로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의 손잡이(10)는 관통공(11)의 내면을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드(12)로 감싸므로, 사용자의 손에서 밀착하는 엄지손가락 및 손바닥 부분과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고, 관통공(11)의 오목한 중앙부 내면 간의 접촉시 완충 기능을 수행해서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쥘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손잡이 11; 관통공 12; 패드
20; 칫솔헤드 21a 내지 21c; 식모부
23; 칫솔모 22a 내지 22b; 탄성부
25; 안착홈 25a; 연결홈
30; 칫솔목 40, 40a 내지 40c; 보강러버
41; 본체
41'; 보조체 42; 기능모 43; 클리너
44; 링커

Claims (14)

  1. 손잡이;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며 칫솔모가 각각 식모되는 복수의 식모부와, 서로 이웃하는 식모부를 플렉시블하게 상호 연결하는 탄성부를 갖춘 칫솔헤드; 및
    상기 칫솔헤드와 손잡이를 상호 연결하는 칫솔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평판 형상이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식모부가 마주하는 대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부는
    상기 칫솔목과 연결되는 내측 식모부와, 상기 내측 식모부와 연결되는 중앙 식모부와, 상기 중앙 식모부와 연결되는 외측 식모부가 일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식모부와 중앙 식모부의 간격과, 중앙 식모부와 외측 식모부의 간격 비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부의 대면 폭과 탄성부의 두께 비가 3:1이고, 상기 탄성부는 식모부 대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식모부 사이에서 탄성부의 둘레를 감싸 채우는 탄성의 보강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설태 제거를 위해서 칫솔헤드로부터 돌출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관통공 또한 손잡이의 형상에 맞춰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면을 따라 탄성의 패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부 사이를 각각 채운 보강러버를 하나로 잇는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식모부를 각각 덮는 보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체는 링커를 매개로 본체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체가 덮는 식모부의 평면에는 보조체를 수용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를 감싸도록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능모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80071883A 2018-06-22 2018-06-22 칫솔 KR20200000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883A KR20200000063A (ko) 2018-06-22 2018-06-22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883A KR20200000063A (ko) 2018-06-22 2018-06-22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63A true KR20200000063A (ko) 2020-01-02

Family

ID=6915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883A KR20200000063A (ko) 2018-06-22 2018-06-22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66272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US51759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ushing teeth
US5287584A (en) Toothbrush
US5775346A (en) Interproximal dental appliances
US20170251797A1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AU2012245740B2 (en) Dental cleaning device
NO319235B1 (no) Tannborste
US2978724A (en) Toothbrush
US20160051040A1 (en) Toothbrush
US20150189978A1 (en) Toothbrush
US20130333134A1 (en) Toothbrush Head and Ergonomic Toothbrush Handle
JP2021512658A (ja) 歯ブラシ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KR102535512B1 (ko) 칫솔
JP3126032U (ja) 全歯周ハブラシ
KR20200000063A (ko)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KR20130111049A (ko) 칫솔판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0592089B1 (ko) 칫솔헤드
KR100904603B1 (ko) 칫솔 헤드부
JPH09234114A (ja) 歯ブラシ
KR19990006098U (ko) 잇몸 마사지 겸용 칫솔
KR200424427Y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칫솔
KR20110062584A (ko) 유연한 칫솔 헤드
CA2215904C (en) Toothbrush with improved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