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58U -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58U
KR20200000058U KR2020180002980U KR20180002980U KR20200000058U KR 20200000058 U KR20200000058 U KR 20200000058U KR 2020180002980 U KR2020180002980 U KR 2020180002980U KR 20180002980 U KR20180002980 U KR 20180002980U KR 20200000058 U KR20200000058 U KR 20200000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tube container
discharg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744Y1 (ko
Inventor
윤경
Original Assignee
윤경
(주) 엔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 (주) 엔젤메디칼 filed Critical 윤경
Priority to KR2020180002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4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ollapsible empty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림 등을 수용하는 튜브용기의 내용물이 하트, 꽃, 별 등의 일정한 형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내캡을 장착하도록 하여, 크림 등 화장품의 사용감 및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화장품 사용에 대한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각 측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개수, 위치, 높이, 방향, 두께, 기울기, 길이를 측방토출구의 개수, 위치, 크기, 토출경사면의 경사방향, 각도, 두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튜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다양한 형상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A Tube Type Cosmetic Case Being Capable of Maintaning Fomulation}
본 고안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림 등을 수용하는 튜브용기의 내용물이 하트, 꽃, 별 등의 일정한 형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내캡을 장착하도록 하여, 크림 등 화장품의 사용감 및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화장품 사용에 대한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각 측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개수, 위치, 높이, 방향, 두께, 기울기, 길이를 측방토출구의 개수, 위치, 크기, 토출경사면의 경사방향, 각도, 두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튜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다양한 형상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자외선 등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악화가 심해지고 있고, 외모, 건강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화장품, 피부 기능성 치료제, 피부보호제품 등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그 시장은 상당한 규모로 성장했으며 그 성장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등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화장품 자체의 기능, 색상뿐만 아니라 화장품 등을 담는 용기의 디자인, 사용 편리성, 그리고 사용할 때의 사용감이나 느낌 등까지 다양한 방면에 대한 차별화된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크림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 바디 용품 등의 경우에는 주로 합성수지, 라미네이트,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튜브용기에 담겨져 판매되는데,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새지 않도록 하는 등 사용의 편리성만을 개선시킨 기술들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등록공보 제10-1447061호(2014. 09.26. 등록) "튜브용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크림 등 내용물이 다양한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크림 등 화장품의 사용감 및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화장품 사용에 대한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각 측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개수, 위치, 높이, 방향, 두께, 기울기, 길이를 측방토출구의 개수, 위치, 크기, 토출경사면의 경사방향, 각도, 두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튜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형상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캡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구조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각 측방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명확한 경계를 갖는 형상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튜브용기에 대한 내캡의 탈착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용기를 쉽게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크림의 제형을 갖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용기와; 상기 튜브용기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튜브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한 형상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내캡과; 상기 내캡을 덮어 튜브용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튜브용기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와, 튜브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형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형토출부는 상기 용기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토출본체와, 상기 토출본체의 끝단에서 측면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측방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토출구는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원하는 형상에 따라 그 위치와 개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본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형토출부는 상기 측방토출구에서 토출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토출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경사면은 각 측방토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의 형태에 따라 경사방향 및 경사각도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경사면은 각 측방토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의 길이에 따라 토출본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토출경사면의 길이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형토출부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본체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방토출구 및 토출경사면은 상기 절곡단 상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부는 상기 튜브용기의 배출구 내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일 지점 둘레를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튜브용기의 끝단이 삽입되는 걸림홈과, 상기 끼움부재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튜브용기의 배출구 상측에 지지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튜브용기 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형성되어 튜브용기에 대한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상기 튜브용기와 체결되어 결합하는 용기체결부와, 상기 용기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캡을 수용하는 내캡수용부와, 외캡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캡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의 형상을 표시하는 형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크림 등을 수용하는 튜브용기의 내용물이 하트, 꽃, 별 등의 일정한 형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내캡을 장착하도록 하여, 크림 등 화장품의 사용감 및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화장품 사용에 대한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본체의 끝단에서 측면 방향을 향해 관통형성된 측방토출구가 복수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측방토출구의 개수, 위치, 크기에 따라 튜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다양한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측방토출구에서 토출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토출경사면을 포함하여, 토출경사면의 경사방향, 경사각도, 두께에 따라 각 측방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이 형성하는 형상의 두께, 기울기, 길이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토출본체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을 형성하도록 하고, 측방토출구, 토출경사면은 절곡단 상에 형성되도록 하여, 중심에 형성되는 형상의 크기를 조절하고, 각 측방토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 사이의 경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축경되는 끼움부재에 의해 내캡에 튜브용기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일정 깊이 함입되는 걸림홈이 튜브용기의 배출구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돌출턱에 의해 튜브용기 배출구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내캡의 탈착이 용이하고 튜브용기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외캡이 내캡을 수용한 상태로 튜브용기에 결합되도록 하고, 외캡에는 내캡에 의해 만들어지는 형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용기를 쉽게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캡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측면도(a) 및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외캡의 일측면도(a) 및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내캡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측면도(a) 및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외캡의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의해 토출되는 실제 내용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실제 제품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크림의 제형을 갖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용기(5)와; 상기 튜브용기(5)의 배출구(51)에 삽입되어 튜브용기(5)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한 형상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내캡(1)과; 상기 내캡(1)을 덮어 튜브용기(5)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외캡(3);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점성이 낮은 크림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 핸드 크림 등 피부 관련 제품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으로, 내용물이 하트, 꽃, 별 모양 등 일정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들은 보통 손등이나 일정한 신체 부위에 짠 다음 피부에 문질러 도포하게 되는데, 화장품 등의 사용시에 하트, 꽃, 별 모양 등의 무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화장품 사용 후의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며 화장품 사용시의 재미까지 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캡(1)은 상기 튜브용기(5)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튜브용기(5)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캡(1)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캡(1)은 상기 튜브용기(5)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언제든지 원하는 모양의 내캡(1)으로 변경하여 튜브용기(5)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내캡(1)이 장착된 상태에서 외캡(3)이 내캡(1)을 덮어 튜브용기(5)에 결합하도록 하여 내캡(1)의 분실 우려를 없애고 미사용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의 편리성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캡(1)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형토출부(11)와, 튜브용기(5)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토출부(11)는 튜브용기(5)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한 형상을 가진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용기결합부(13)와 일체로 형성되며, 용기결합부(13)를 통과한 내용물이 제형토출부(11)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형토출부(11)는 용기결합부(13)와 연결되는 토출본체(111)를 형성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며, 그 끝단에는 전방토출구(117)가 개방 형성되어 외부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형토출부(11)는 토출되는 내용물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하고, 내용물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면 방향으로 측방토출구(113)를 형성하도록 하며, 측방토출구(113)에는 토출경사면(115)이 형성되어 내용물이 갖는 형상의 다양한 입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본체(111)는 상기 용기결합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중공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는 전방토출구(117)가 개방 형성되어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측면 방향으로는 측방토출구(113)가 형성되어 전방토출구(117)와 함께 측방토출구(113)로도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토출본체(111)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측방토출구(113) 상에 일정 길이의 토출경사면(11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방토출구(113)는 상기 토출본체(111)의 끝단에서 측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토출본체(11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측방토출구(113)는 상기 전방토출구(117)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내용물이 전방토출구(117)와 함께 측방토출구(113)로도 동시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전방토출구(117)를 통해서는 내용물이 갖는 형상의 중심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측방토출구(113)를 통해서는 중심구조체의 둘레를 따라 내용물이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방토출구(113)는 내용물이 형성하는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측방토출구(113)의 형상, 크기와 높이를 조절하여 측방토출구(113)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의 형상이 결정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측방토출구(1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2개는 동일한 크기의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나머지 1개는 반대측 중심에 더욱 작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에서 상기 측방토출구(113)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하트 형상을 형성한 상태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출경사면(115)은 각 측방토출구(113) 상에 형성되며, 토출본체(11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경사면(115)은 상기 측방토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형성하는 입체 형상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경사 방향, 경사 각도, 두께에 따라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경사면(115)은 그 방향에 따라 점점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각도에 따라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고, 그 두께에 따라 각 측방토출구(113)가 형성하는 형상의 길이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경사면(115)은 라운드진 측방토출구(113)의 둘레를 따라 점점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측방토출구(113)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이 점점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 일 토출경사면(115a)은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타 토출경사면(115b)은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 토출경사면(115a)을 따라 토출되는 내용물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의 두꺼워지는 상측 부분(115a-1)을 형성하고 타 토출경사면(115b)을 따라 토출되는 내용물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의 얇아지는 하단(115b-1)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토출구(1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본체(111)의 끝단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내용물이 형성하는 형상의 중심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전방토출구(117)의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측방토출구(113)가 연통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중심구조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둘레 형상을 갖는 하트, 꽃, 별 등의 형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결합부(13)는 상기 튜브용기(5)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튜브용기(5)와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용기결합부(13)는 언제든지 원하는 모양의 내캡(1)을 튜브용기(5)에 바꿔 삽입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결합부(13)는 상기 튜브용기(5)의 배출구(51)에 삽입되는 끼움부재(131)를 포함하고, 끼움부재(131)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끼움과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기결합부(13)는 걸림홈(133)과 돌출턱(135)을 포함하여, 내캡(1)이 튜브용기(5)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부재(131)는 내캡(1)의 튜브용기(5) 측 끝단에 형성되어 튜브용기(5)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튜브용기(5)의 배출구(51)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튜브용기(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부재(131)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튜브용기(5)의 배출구(51)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고도 튜브용기(5)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131)는 튜브용기(5)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튜브용기(5)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배출구(51)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므로 튜브용기(5)에 삽입된 후 튜브용기(5) 내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131)의 반대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133)이 형성되어 튜브용기(5)의 배출구(51)에 걸려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133)은 끼움부재(131)와 돌출턱(135) 사이에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튜브용기(5)의 배출구(5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튜브용기(5)의 배출구(51)는 그 끝단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배출구(51)의 돌출된 부분이 걸림홈(13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내캡(1)이 더욱 안정적으로 튜브용기(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턱(135)은 용기결합부(13)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출구(5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내캡(1)이 튜브용기(5)에 삽입된 후 돌출턱(135)이 배출구(51)에 걸려 더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외캡(3)은 내부에 상기 내캡(1)을 수용한 상태로 튜브용기(5)에 체결·결합하는 구성으로, 튜브용기(5)와 체결되는 용기체결부(31), 내캡(1)을 수용하는 내캡수용부(33), 수용된 내캡(1)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표시하는 형상표시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체결부(31)는 튜브용기(5)와 체결되어 결합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튜브용기(5)의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캡수용부(33)는 튜브용기(5)에 장착된 내캡(1)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내측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내캡(1)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체결부(31)가 튜브용기(5)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내캡(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형상표시부(35)는 내캡(1)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의 형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일 실시예와 같이 튜브용기(5)의 내용물이 내캡(1)에 의해 하트 형상을 형성하며 토출되는 경우에는 하트 모양을 외부로 표시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형상표시부(35)는 내캡(1)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캡(1)에 의해 형성되는 하트, 꽃, 별 모양 등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화장품의 사용시에 갖는 재미와 기분을 미리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의 상품적 가치를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튜브용기(5)는 크림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캡(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기존 어떠한 튜브용기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용기(5)는 기존 제품을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 튜브용기에 내캡(1)과 외캡(3)을 장착함으로써 일정한 형상을 토출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로 재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튜브용기(5)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51)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51)에는 상기 내캡(1)의 용기결합부(13)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캡(1)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어 일정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일 실시예와 같이 내캡(1'), 외캡(3'), 튜브용기(5')를 포함하며, 내캡(1')의 용기결합부(13'), 외캡(3'), 튜브용기(5')에 관한 설명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형토출부(11')는 절곡단(119')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하며, 측방토출구(113'), 토출경사면(115') 및 전방토출구(117')는 절곡단(119') 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절곡단(119')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본체(111')의 끝단, 즉 튜브용기(5')의 반대측 끝단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단(119')은 전방토출구(117')를 통해 형성되는 중심구조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측방토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 사이의 경계가 더욱 명확하게 구분되는 형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방토출구(113') 및 토출경사면(115')은 절곡단(119') 상에 형성되며, 절곡단(119')을 따라 흐르는 내용물이 절곡단(119') 상의 측방토출구(113')와 토출경사면(115')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며 일정한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절곡단(119')의 끝단 사이에는 전방토출구(117')가 형성되어 중심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측방토출구(113')는 5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측방토출구(113')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형상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전방토출구(117')에 의해 중심구조체(C)가 형성되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꽃 모양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토출구(113') 및 토출경사면(115')은 단순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지점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용물의 끝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캡(1')이 꽃 모양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우, 외캡(3')의 형상표시부(3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모양을 표시하도록 하여 내캡(1')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내캡
11: 제형토출부
111: 토출본체 113: 측방토출구 115: 토출경사면
117: 전방토출구 119: 절곡단
13: 용기결합부
131: 끼움부재 133: 걸림홈 135: 돌출턱
3: 외캡
31: 용기체결부 33: 내캡수용부 35: 형상표시부
5: 튜브용기
51: 배출구

Claims (9)

  1. 크림의 제형을 갖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용기와;
    상기 튜브용기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튜브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한 형상을 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내캡과;
    상기 내캡을 덮어 튜브용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튜브용기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와, 튜브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형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형토출부는,
    상기 용기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토출본체와, 상기 토출본체의 끝단에서 측면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측방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토출구는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원하는 형상에 따라 그 위치와 개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본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형토출부는,
    상기 측방토출구에서 토출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토출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경사면은
    각 측방토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의 형태에 따라 경사방향 및 경사각도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경사면은
    각 측방토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의 길이에 따라 토출본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토출경사면의 길이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토출부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본체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방토출구 및 토출경사면은 상기 절곡단 상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부는
    상기 튜브용기의 배출구 내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일 지점 둘레를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튜브용기의 끝단이 삽입되는 걸림홈과, 상기 끼움부재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튜브용기의 배출구 상측에 지지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튜브용기 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도록 형성되어 튜브용기에 대한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상기 튜브용기와 체결되어 결합하는 용기체결부와,
    상기 용기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캡을 수용하는 내캡수용부와,
    외캡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캡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의 형상을 표시하는 형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20180002980U 2018-06-29 2018-06-29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91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80U KR200491744Y1 (ko) 2018-06-29 2018-06-29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80U KR200491744Y1 (ko) 2018-06-29 2018-06-29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58U true KR20200000058U (ko) 2020-01-08
KR200491744Y1 KR200491744Y1 (ko) 2020-05-28

Family

ID=6915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80U KR200491744Y1 (ko) 2018-06-29 2018-06-29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537U (ko) 2020-08-26 2022-03-07 정주원 휴대용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61Y1 (ko) * 2013-04-10 2014-12-15 김현욱 치약 튜브 및 성형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61Y1 (ko) * 2013-04-10 2014-12-15 김현욱 치약 튜브 및 성형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44Y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962B2 (en) Small seed converter for bird feeder
US20220104665A1 (en) Foam discharge container
US4768688A (en) Suntan lotion bracelet
US9706826B2 (en) Hair color bottle
ES2357444T3 (es) Aplicador que comprende un elemento de aplicación solidario, durante la utilización, a un recipiente que contiene un producto a aplicar.
US11415448B2 (en) Dosing timer and dispensers using the same
ES2221728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unidad de tinte capilar o de cosmetica, especialmente de una unidad de rimel.
US20220089332A1 (en) Food dispensing device
US9033603B2 (en) Container with improved opening system
KR20160001605U (ko) 스포이드형 이액 혼합용기
US5871124A (en) Combination toothpaste dispenser and toothbrush holder
ES2576183T3 (es) Dispositivo para aplicar en mechas un producto capilar
US7214397B1 (en) Plug for sucking a beverage
KR200491744Y1 (ko) 제형의 형상 유지가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
ES2929427T3 (es) Sistema aplicador de tipo tapón y vial para aplicar dos productos cosméticos
WO2008094028A2 (es) Método y aparato para suministrar sustancias tipo pasta
JP2009509625A (ja) 薬物滴下ノズル
ES2213261T3 (es) Sistema contenedor y juguete oscilante.
US10166562B2 (en) Protective cap with detachable nozzle and nozzle holder
WO2013128166A1 (en) Wrist container for drinks
ES2318681T3 (es) Conjunto de acondicionamiento y de distribucion de un producto.
WO2021090348A1 (en) A material dispensing device
KR200490685Y1 (ko) 용기
EP3539896A1 (en) Liquid dispenser, in particular for electronic cigarettes
KR20170115299A (ko) 선택 성분 추가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