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273A - 가상현실 체험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체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273A
KR20190143273A KR1020180071015A KR20180071015A KR20190143273A KR 20190143273 A KR20190143273 A KR 20190143273A KR 1020180071015 A KR1020180071015 A KR 1020180071015A KR 20180071015 A KR20180071015 A KR 20180071015A KR 20190143273 A KR20190143273 A KR 20190143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coupled
vertical
support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591B1 (ko
Inventor
김찬규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5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체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개별작동하는 수직 작동부; 상기 수직 작동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연동작동하는 발판 작동수단;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장착공간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체험자를 보호하는 안전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는 체험자가 영상장치를 통해 가상현실 세계를 보고 제자리에서 발판 작동수단을 걸으면서 가상현실 세계를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작동수단에 위치하는 체험자를 높낮이 조절되는 안전바를 통해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체험장치{Apparatus for realiz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 체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험자가 영상장치를 통해 가상현실 세계를 보고 걸으면서 가상현실 세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 시스템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융합되어 온라인에서 개척되고 건설된 시설물을 오프라인에서 사람이 제한 없이 즐길 수 있는 고도의 기술집약적 시스템이다.
즉, 현실에서 실현되는 대부분의 경주나 경기, 게임, 군사 장비, 휴양지의 휴식시설 등을 가상의 공간에서 시스템으로 프로그램화시키고, 프로그램화된 상태에서 가상의 시스템이 현실에서 실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막대한 예산이나, 환경적 파괴나, 지역적 제한 등과 같이 시간적 또는 공간적인 제약을 벗어나 더욱 자유스러운 상태에서 경주나, 경기 등과 같은 스포츠를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가나 국민이 원하는 것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전적으로 사이버 공간이란 무한한 세상을 활용할 수 있으며, 각종 경주, 경기, 게임, 군사용 훈련장비, 휴양지 휴양시설 등을 가상의 공간에서 3차원의 세상을 제공하여 이를 현실에서 실현시킴으로써 인간이 이를 활용하고 운영하게 하는 사업 시스템이다.
스포츠의 한 예로, 최근에는 운동기구와 컴퓨터 기술을 조합하여, 컴퓨터로 창조된 인조의 공간에서 인간이 운동하는 현실감을 느끼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운동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은 사용자의 보행이나 방향전환 등의 사용자의 다리, 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상황, 즉 워킹용 장치가 구비되지 못하여 가상의 공간에서 그 표현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2330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6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체험자가 영상장치를 통해 가상현실 세계를 보고 제자리에서 발판 작동수단을 걸으면서 가상현실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개별작동하는 수직 작동부를 통해 상부 프레임 및 발판 작동수단을 다양한 각도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가상현실 체험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개별작동하는 수직 작동부; 상기 수직 작동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연동작동하는 발판 작동수단;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장착공간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체험자를 보호하는 안전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작동부는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 작동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복수의 작동 실린더와 상기 작동 실린더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의 로드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부 및 상기 작동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실린더 연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지지연결구가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하부 수직봉; 및 상기 하부 수직봉의 끝단에 장착되고 발판 작동수단이 상부에 장착되는 발판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판 작동수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판 고정부; 상기 발판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평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다수개의 수직 연결구로 구성되는 발판 연결부; 상기 발판 연결부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발판 지지부; 및 상기 발판 지지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제자리걸음을 위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작동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 고정부에는 상기 발판 연결부, 발판 지지부, 회전작동기기의 회전작동을 위해 회전 작동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회전 작동부는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정역회전모터, 상기 정역회전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발판 고정부와 발판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부는 발판 연결부에 고정되고 반대 측은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장착되는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안전바 고정부; 상기 안전바 고정부와 각각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부; 및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와 결합되는 고정 링과 상기 고정 링의 일 단에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 측은 타 단의 고정 링에 결합 또는 분리는 가동 링으로 구성되는 안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고정 링과 가동 링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보호 가이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는 체험자가 영상장치를 통해 가상현실 세계를 보고 제자리에서 발판 작동수단을 걸으면서 가상현실 세계를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 작동수단에 위치하는 체험자를 높낮이 조절되는 안전바를 통해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는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개별작동하는 수직 작동부를 통해 상부 프레임 및 발판 작동수단을 다양한 각도로 변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목적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수직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발판 작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수직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발판 작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가상현실 체험장치(100)는 하부 프레임(200), 수직 작동부(300), 상부 프레임(400), 발판 작동수단(500), 안전바(6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판재 또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수직 작동부(300)가 장착되는 부분에 지지판(21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에는 수직 작동부(300)와 결합되는 실린더 힌지구(220)가 장착된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200)은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 작동부(300)가 설치되는 상부에는 지지판(210)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에는 수직 작동부(300)와 결합을 위하여 실린더 힌지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 작동부(300)는 하부 프레임(20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작동부(300)는 하부 프레임(200)의 상부에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면서 개별 또는 동시 작동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작동부(300)는 상부 프레임(40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복수의 작동 실린더(310)와 상기 작동 실린더(310)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200)과 결합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310)의 로드(312)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부(320) 및 상기 작동 실린더(310)의 로드(312)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실린더 연결구(3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직 작동부(300)는 동력 공급부(320)를 통한 작동 실린더(310)의 동력전달시 로드(312)가 승강 또는 하강 작동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400)을 승강 또는 하강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400)은 복수로 구성되는 수직 작동부(300)의 끝단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400)은 하부 프레임(200)과 간격을 두고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수직 작동부(300)와 결합되어, 상기 수직 작동부(30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40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400)은 일 측에 개구부(4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430)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410), 상기 상부 지지부(4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하부 수직봉(440), 상기 하부 수직봉(440)의 끝단에 장착되는 발판 지지부(450)로 이루어진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400)은 복수의 수직 작동부(300)의 상부 끝단에 상부 지지부(410)를 장착한 후, 상부 지지부(4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하부 수직봉(440)을 장착한 다음, 상기 하부 수직봉(440)의 끝단에 발판 지지부(450)를 장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 작동부(300)와 대응하는 상부 지지부(410)의 하부에는 수직 작동부(300)와 원활한 결합 및 작동을 위하여 상부 지지연결구(412)가 장착된다.
상기 발판 작동수단(500)은 하부 프레임(20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 프레임(300)에 장착된다.
즉, 상기 발판 작동수단(500)은 복수의 수직 작동부(300)의 작동시 승강 또는 하강 작동하는 상부 프레임(300)과 연동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 작동수단(500)은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판 고정부(510), 상기 발판 고정부(5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평형상의 지지판(522)과 상기 지지판(522)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다수개의 수직 연결구(524)로 구성되는 발판 연결부(520), 상기 발판 연결부(520)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532)이 형성되는 발판 지지부(530), 상기 발판 지지부(530)의 장착공간(532)에 장착되고 제자리걸음을 위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작동기기(5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발판 작동수단(500)은 상부 프레임(400)을 구성하는 발판 지지부(450)의 상부에 발판 고정부(510)를 장착한 후, 상기 발판 고정부(510)의 상부에 지지판(522)와 다수개의 수직 연결구(524)로 구성되는 발판 연결부(520)를 장착한 다음, 상기 발판 연결부(520)의 상부에 발판 지지부(530)를 장착한 후, 상기 발판 지지부(530)의 장착공간(532)에 제자리걸음을 위한 회전작동기기(540)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 고정부(510)에는 상기 발판 연결부(520), 발판 지지부(530), 회전작동기기(540)의 회전작동을 위하여 회전 작동부(55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작동부(550)는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정역회전모터(552), 상기 정역회전모터(552)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54), 상기 발판 고정부(510)와 발판 연결부(52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부는 발판 연결부(520)에 고정되고 반대 측은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554)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58)가 장착되는 연결구(55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556)는 종동기어(558)와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작동부(550)는 정역회전모터(552)의 회전작동시 회전력이 회전축을 따라 구동기어(554)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기어(554)의 회전력은 종동기어(558)를 거쳐 연결구(556)에 전달되어, 상기 발판 연결부(520), 발판 지지부(530), 회전작동기기(540)를 회전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 지지부(530)의 장착공간(532)에 장착되는 회전작동기기(540)는 공지된 컨베이어 또는 무한궤도 등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전바(600)는 상부 프레임(400)의 장착공간(430)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부 프레임(4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600)는 상기 상부 프레임(40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안전바 고정부(610), 상기 안전바 고정부(610)와 각각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부(620),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620)와 결합되는 고정 링(632)과 상기 고정 링(632)의 일 단에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 측은 타 단의 고정 링(632)에 결합 또는 분리는 가동 링(634)으로 구성되는 안전 지지부(6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안전바(600)는 상부 프레임(400)을 구성하는 상부 지지부(410)의 상부에 한 쌍의 안전바 고정부(610)를 동일선상에 장착하고, 상기 안전바 고정부(610)에는 높낮이 조절부(620)를 장착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620)에는 고정 링(632)과 가동 링(634)로 구성되는 안전 지지부(630)를 장착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체험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높낮이 조절부(620)와 안전 지지부(630)가 높낮이 조절되면서 체험자를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 지지부(630)가 높낮이 조절되는 높낮이 조절부(620)는 다수개의 판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케이스(622), 상기 케이스(622)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이드 봉(624), 상기 케이스(622)의 상부에 일 단 결합되고 타 단은 안전 지지부(630)의 고정 링(632)에 결합되는 케이스 고정구(62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 지지부(630)를 구성하는 고정 링(632)과 가동 링(634)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보호 가이드(640)가 장착된다.
즉, 상기 보호 가이드(640)는 체험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링 부재를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후 상기 링 부재의 사이에 다수개의 고정핀을 결합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 링(634)에 위치하는 보호 가이드(640)에는 원활한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하여 손잡이(6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상현실 체험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판(210)이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에는 실린더 힌지구(220)가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실린더 힌지구(220)에 상부 프레임(40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복수의 작동 실린더(310)와 상기 작동 실린더(310)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200)과 결합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310)의 로드(312)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부(320) 및 상기 작동 실린더(310)의 로드(312)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실린더 연결구(330)로 이루어지는 수직 작동부(300)를 각각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 작동부(300)의 상부로 일 측에 개구부(4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430)이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410), 상기 상부 지지부(41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하부 수직봉(440), 상기 하부 수직봉(440)의 끝단에 장착되는 발판 지지부(450)로 이루어지는 상부 프레임(4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400)을 구성하는 발판 지지부(450)의 상부로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판 고정부(510), 상기 발판 고정부(5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평형상의 지지판(522)과 상기 지지판(522)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다수개의 수직 연결구(524)로 구성되는 발판 연결부(520), 상기 발판 연결부(520)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532)이 형성되는 발판 지지부(530), 상기 발판 지지부(530)의 장착공간(532)에 장착되고 제자리걸음을 위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작동기기(540), 상기 발판 고정부(510)에 장착되고 상기 발판 연결부(520), 발판 지지부(530), 회전작동기기(540)를 회전작동시키는 회전 작동부(550)로 구성되는 발판 작동수단(5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400)의 장착공간(430)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40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안전바 고정부(610), 상기 안전바 고정부(610)와 각각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부(620),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620)와 결합되는 고정 링(632)과 상기 고정 링(632)의 일 단에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 측은 타 단의 고정 링(632)에 결합 또는 분리는 가동 링(634)으로 구성되는 안전 지지부(630), 상기 안전 지지부(630)를 구성하는 고정 링(632)과 가동 링(634)의 내면에는 둘레에 장착되는 보호 가이드(640)로 구성되는 안전바(600)를 장착하면 가상현실 체험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체험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상현실 체험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안전바(600)를 구성하는 안전 지지부(630)의 가동 링(634)과 상기 가동 링(634)과 대응하는 위치의 보호 가이드(640)를 분리한 후, 상기 안전바(600)의 내부로 체험자를 배치시킨 다음, 상기 가동 링(634)과 보호 가이드(640)를 결합한다.
이후, 체험장치의 실행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수직 작동부(300) 또는 발판 작동수단(500) 또는 수직 작동부(300) 및 발판 작동수단(500)을 작동시키면 된다.
즉, 상기 가상현실 체험장치(100)의 승·하강 작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직 작동부(300)를 작동시키고, 제자리 걷기 또는 회전 등의 체험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발판 작동수단(500)를 작동시키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가상현실 체험장치 200 : 하부 프레임
210 : 지지판 220 : 실린더 힌지구
300 : 수직 작동부 310 : 작동 실린더
312 : 로드 320 : 동력 공급부
330 : 실린더 연결구 400 : 상부 프레임
410 : 상부 지지부 420 : 개구부
430 : 장착공간 440 : 하부 수직봉
450 : 발판 지지부 500 : 발판 작동수단
510 : 발판 고정부 520 : 발판 연결부
522 : 지지판 524 : 수직 연결구
530 : 발판 지지부 532 : 장착공간
540 : 회전작동기기 550 : 회전 작동부
552 : 정역회전모터 554 : 구동기어
556 : 연결구 558 : 종동기어
600 : 안전바 610 : 안전바 고정부
620 : 높낮이 조절부 622 : 케이스
624 : 가이드 봉 626 : 케이스 고정구
630 : 안전 지지부 632 : 고정 링
634 : 가동 링 640 : 보호 가이드
650 : 손잡이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개별작동하는 수직 작동부;
    상기 수직 작동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연동작동하는 발판 작동수단;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장착공간에 배치되면서 양측이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체험자를 보호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체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작동부는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 작동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복수의 작동 실린더와 상기 작동 실린더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의 로드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부 및 상기 작동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실린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현실 체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지지연결구가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하부 수직봉; 및
    상기 하부 수직봉의 끝단에 장착되고 발판 작동수단이 상부에 장착되는 발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현실 체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작동수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판 고정부;
    상기 발판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수평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다수개의 수직 연결구로 구성되는 발판 연결부;
    상기 발판 연결부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발판 지지부; 및
    상기 발판 지지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제자리걸음을 위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작동기기;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현실 체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고정부에는 상기 발판 연결부, 발판 지지부, 회전작동기기의 회전작동을 위해 회전 작동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회전 작동부는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정역회전모터, 상기 정역회전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발판 고정부와 발판 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부는 발판 연결부에 고정되고 반대 측은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장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현실 체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안전바 고정부;
    상기 안전바 고정부와 각각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부; 및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와 결합되는 고정 링과 상기 고정 링의 일 단에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 측은 타 단의 고정 링에 결합 또는 분리는 가동 링으로 구성되는 안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현실 체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고정 링과 가동 링의 내면에는 둘레를 따라 보호 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인 가상현실 체험장치.
KR1020180071015A 2018-06-20 2018-06-20 가상현실 체험장치 KR102110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015A KR102110591B1 (ko) 2018-06-20 2018-06-20 가상현실 체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015A KR102110591B1 (ko) 2018-06-20 2018-06-20 가상현실 체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73A true KR20190143273A (ko) 2019-12-30
KR102110591B1 KR102110591B1 (ko) 2020-05-13

Family

ID=6910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015A KR102110591B1 (ko) 2018-06-20 2018-06-20 가상현실 체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5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81Y1 (ko) 2007-10-02 2008-12-02 김지웅 런닝머신용 보행교정 벨트
KR20110123302A (ko) 2010-05-07 2011-11-15 (주)미래세움 시뮬레이션 체험관
KR101198255B1 (ko) * 2012-04-12 2012-11-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20160121813A (ko) * 2015-04-13 2016-10-21 조민수 스마트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81Y1 (ko) 2007-10-02 2008-12-02 김지웅 런닝머신용 보행교정 벨트
KR20110123302A (ko) 2010-05-07 2011-11-15 (주)미래세움 시뮬레이션 체험관
KR101198255B1 (ko) * 2012-04-12 2012-11-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KR20160121813A (ko) * 2015-04-13 2016-10-21 조민수 스마트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591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13195B (zh) 一种≥360°旋转的多自由度平台及具有该平台的仿真式体验影院
KR101250429B1 (ko) 모션 시뮬레이터
KR200469146Y1 (ko) 포디 상영관 의자
US9289693B1 (en) Motion platform for a simulation device
KR20140001057U (ko)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걸을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달릴 수 있게 하는 장치
KR20120091806A (ko) 포디 상영관 의자
CN204952288U (zh) 适合模拟激流勇进的仿真式体验影院
CN104013231A (zh) 一种动感效果极佳的5d动感椅
KR20190143273A (ko) 가상현실 체험장치
CN110782740B (zh) 用于模拟飞行移动的微型便携式运动平台
WO2006131084A1 (de) Eventanordnung
CN104912352B (zh) 观影飞行器、观影系统和球幕观影剧场
CN102296840B (zh) 一种球幕影院观看平台
KR200469149Y1 (ko) 3자유도 모션의자
CN204876671U (zh) 观影旋转台、观影系统和球幕观影剧场
CN216849010U (zh) 一种高空走线体验设备
AT522019A1 (de) Vorrichtung für die simulierte Fortbewegung eines Benutzers
CN112065144B (zh) 一种用于铁塔组立的安全防护装置
CN204910797U (zh) 一种≥360°旋转的多自由度平台及具有该平台的仿真式体验影院
CN211462079U (zh) 全景影院的动感系统和全景影院
KR20190020439A (ko) 드론 조정용 교구
CN209237353U (zh) 4d影院观影平台的保障门机构
KR102074983B1 (ko) 가상현실 체험시스템용 안전장치
CN209188131U (zh) 一种深海动感仿真体验平台
Lebiedz et al. Immersive 3D visualization laboratory conce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