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100A - Supporting bracket for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upporting bracket for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3100A KR20190143100A KR1020180070636A KR20180070636A KR20190143100A KR 20190143100 A KR20190143100 A KR 20190143100A KR 1020180070636 A KR1020180070636 A KR 1020180070636A KR 20180070636 A KR20180070636 A KR 20180070636A KR 20190143100 A KR20190143100 A KR 20190143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ridge
- pier
- upper structure
- s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시키기 위한 유압장치를 받쳐주기 위한 지지대를 교각에 설치할 때, 앵커를 이용하지 않고도 교각에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교각에 충격을 가하거나 교각의 균열이 유발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지 않게 하여 교각의 붕괴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교각의 내구성이 오랫동안 보장되게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in particular, when installing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hydraulic device for rais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o the pier, so that the support can be installed on the pier without using an anch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lifting a superstructure of a bridg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ridge in advance by not providing a cause of impact on the bridge or causing cracking of the bridge.
일반적으로 교량은 도로 위에 시공되는 고가도로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는 다리 등과 같은 구조물이다.In general, a bridge is a structure such as an overpass or a bridge constructed over a river.
이러한 교량은 교대와 교각 그리고 이들의 상부에 걸쳐져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설된 상부구조물과, 지면에 매설된 교각 및 상부구조물과 교각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교좌장치로 이루어진다 These bridges consist of alternating bridges and bridges, and superstructures that extend across the top of the bridges, and bridge devices embedded between the bridges and the superstructures and bridges to support the superstructures.
상기 상부구조물은 교각 상부측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로에 의해 지지 고정됨과 더불어 시공 후 상부구조물에 작용되는 신축응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설치 시공된다.The upper structure is installed and supported so that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action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tress applied to the upper structure after installation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bridge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상기 교좌장치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구조물 자체의 하중을 비롯하여 차량 이동에 따른 진동과 충격을 직접 받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마모 혹은 부분 파손되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소모품기능으로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Since the teaching device supports the upper structure and directly receives the vibrations and impacts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itself, wear or partial damage occurs after a certain time, so that it can be replaced as a consumable function. It is install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축조된 교량은 그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자연적 요인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교량구조체나 교좌장치에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Bridges constructed in such a configuration may cause damage to the bridge structure or the bridge device due to natural or artificial factors as described above as time passes after the installation thereof.
예를 들면, 교량 상판의 조인트 부분에서의 누수 등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부식이나 파괴, 교좌장치에 주입된 구리스의 마모등에 의하여 교좌장치의 기능 마비현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서 교각과 상판에서 신축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교각의 균열이나 상판 및 빔의 균열이 일어나게 된다. For example, the paralysis of the bridge system may occur due to corrosion or destruction of the bridge device due to leakage at the joints of the bridge deck, or wear of grease injected into the bridge device. This results in cracking of piers or cracks in top plates and beams.
또한, 지반의 부동침하 현상으로 인한 교각의 붕괴와 상판의 위치변동 교량빔이 충격하중으로 파괴되어 상판이 부분적으로 가라앉아 상판 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 기타 교량의 당초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중차량의 등장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단면 부족과 교량 상판의 교체필요성 등 여러가지 양태의 요인으로 인하여 교량을 보수하여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bridge beam collapses due to the floating settlement of the ground and the position beam of the top plate is destroyed by the impact load, and the top plate partially sinks, and a step is generated between the top plates, the weight of the heavy vehicle exceeding the original design load of the other bridges. The bridge should be repaired due to various aspects such as lack of cross section of the bridge system due to appearance and the need for replacement of the bridge deck.
상기한 바와 같은 파손 또는 변형된 교량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파손정도에 따라서 교량전체 또는 일부분을 완전히 철거하고 다시 복구하거나, 혹은 부분적인 보수작업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구하게 되는바, 이와 같이 교량구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구축하는 데에는 많은 중장비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보수 공사비가 막대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복구작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여 차량동행의 폐쇄 또는 우회로 인한 교통체중을 유발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repair the damaged or deformed bridge as described above, the whole or part of the bridge is completely removed and resto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or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partial repair work. Or dismantle and rebuild some heavy equipment and manpower, which requires a lot of repair work, and the traffic is not allowed until the repair work is complet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따라서, 교량보수시 교량상판이나 비임동 구조물을 철거 또는 해제함이 없이 보수를 요하는 부위만을 간단히 상하 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수하는 작업으로서, 유압잭을 사용하여 교량 빔이나 상판을 들어올려서 보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Therefore, when repairing a bridge, it is a job to simply repair the part requiring repair without moving or removing the bridge top plate or non-moving structure by lifting the bridge beam or the top plate by using a hydraulic jack. The method of repairing is used.
상기한 방법은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교각(1)과 상부구조물(2) 사이에 인상용 잭(5)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교각(1) 상부 양측벽에 지지대(3)를 설치하고, 지지대(3)들 위에 인상용 잭(5)을 안치하여 인상용 잭(10)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 보수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물(2)의 인상작업을 비교적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above method,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3 is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upper part of the pier 1 so that a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그러나, 이러한 지지대(3)는 교각(1)에 구멍을 뚫고 매설되는 앵커(4)를 통해 교각(1)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대(3)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교각(1)에 균열(1a) 등이 발생되어 교각(1)의 붕괴위험이 있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such a support (3) is fixed to the pier (1) through a hole (4) to be drilled and embedded in the pier (1), so that cracks (1a), etc. in the pier (1)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upport (3) Another problem arises such that there is a risk of collapse of the piers 1.
도 2와 도 3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교각(1)에 지지대(3)를 설치할 때, 앵커(4)를 이용하게 되어 발생하게 된 균열을 촬영한 사진이며, 약화된 교각(1)에 지지대(3)를 설치할 경우에는 교각의 일부분이 탈락하는 현상도 자주 발생하게 된다.2 and 3 are photographs of the cracks generated by using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상용 잭의 설치를 위하여 앵커를 이용하여 지지대를 교각에 설치고정하지 않고도, 지지대가 교각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대 설치를 위하여 교각을 훼손하거나 교각에 충격을 주어 교각이 붕괴위험에 놓이는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교각의 내구성이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한 교량 상판 인상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ithout having to install the support to the pier using the ancho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jack for raising, so that the support can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pie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The purpose is to provide support for raising the bridge deck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bridge for a long time while eliminating the problem that the bridge is in danger of collapse due to damage or impact on the bridge.
상기한 목적은, 교량의 교각(102)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112)와; 상기 안착부(112)의 양단에 결합되며, 교각(102)의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114)와; 상기 지지부(114)에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유압장치(104)가 설치고정되는 판상의 받침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nd the
한편, 상기한 목적은, 교량의 교각(102)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112)와; 상기 안착부(112)의 양단에 결합되며, 교각(102)의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114)와; 상기 교각(102)의 폭 넓이에 따라 지지부(114)가 교각(10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안착부(112)의 양측에 결합되는 양측 지지부(1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지지부(114)에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유압장치(104)가 설치고정되는 판상의 받침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nd 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안착부(112)의 양측단에서 각각 내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홈 또는 홀(hole)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제1삽입부(120)와; 상기 지지부(114)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122)를 포함한다.,And, the gap adjusting means of the support, each exten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아울러, 상기 안착부(112)에 형성된 제1삽입부(120)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1조절공(124)과; 상기 제2삽입부(122)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2조절공(126)과; 상기 제1조절공(124)과 제2조절공(126)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부재(128)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또한, 상기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안착부(112)의 양측단에서 각각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3삽입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지지부(114)에서 제3삽입부가 삽입되도록 홈 또는 홀(hole)구조로 형성된 다수 개의 제4삽입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pacing control means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third insert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seating portion (112); The
아울러, 상기 안착부(112)에 형성된 제3삽입부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3조절공(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제4삽입부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4조절공(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제3조절공과 제4조절공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ird adjustment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side surfac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그리고, 상기 안착부(112)는, 일측 안착부(112a)의 타단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공(130)과; 타측 안착부(112a)의 일단에 돌출형성된 제2결합공(132)과; 상기 제1결합공(130)과 제2결합공(132)으로 삽입되어 교각(102) 상부면의 굴곡에 따라 일측 안착부(112a)와 타측 안착부(112a)가 회동되게 하는 제3결합부재(1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받침부(116)의 상부면과 지지부(114)의 측면에 연결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보강리브(11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116)의 하단에서 하향연장되어 교각(102)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14a)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116)의 바닥면과 밀착부(114a)의 측면에 연결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보강리브(11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시키기 위한 유압장치를 교각에 설치할 때, 앵커를 이용하여 교각의 측면에 지지대를 설치고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지 않고, 교각의 상단에 지지대의 안착부를 안착시키고, 지지부에 형성된 받침부가 교각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하며, 이 받침부에 유압장치가 설치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인위적인 수단으로 교각에 충격을 가하거나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시킬 수 있게 하여 상부구조물 인상을 위하여 교각에 충격을 가하거나 교각의 균열이 유발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지 않게 하여 교각의 붕괴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교각의 내구성이 오랫동안 보장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dopt a method of fixing the support to the side of the pier using an anchor when installing the hydraulic system for rais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seating portion of the support on the top of the pier, the support The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protruding side of the pier and the hydraulic device is fixed to the supporting part, thereby raising the upper structure by rais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without impacting or damaging the pier by artificial means. For this reason, the risk of collapse of the pier is prevented in advance by not providing a cause of impact on the pier or causing cracking of the pier, and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durability of the pier for a long time.
아울러,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교각의 폭 넓이가 교각마다 서로 다르다고 할지라도 지지부가 교각의 측면에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안착부에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인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even if the width of the pi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pier so that the spacing of the support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can be adjusted to each other, the bridge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ier and to maintain a firm coupling state on the seating bridg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raise the upper structure of the stable.
도 1은 종래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의 구조 및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 설치 후 발생하는 교각의 붕괴현장을 촬영한 사진.
도 3은 종래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 설치 후 발생하는 교각의 붕괴현장을 촬영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의 제1시예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의 제2실시예가 교각에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problems of the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bridge.
Figure 2 is a photograph of the collapse of the bridge occur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bridge.
Figure 3 is a photograph of the collapse of the bridge occur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bridg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upport for the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example of the support for the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iers.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upport for the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upport for the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iers.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7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110)는 안착부(112), 지지부(114), 받침부(116)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부(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교각(102) 상단에 안착되는 구성요소이다.4 i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안착부(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구조일 수도 있으며, 다수 개가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를 이룰 수도 있으며, 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다수 개의 선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즉, 상기 안착부(112)는 교각(102) 상단의 구조 및 교좌장치의 크기에 따라 할당되어질 수 있는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제작될 수 있는 것이므로, 판상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안착부(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2)의 상단에 안착된 후, 양단에서 하측을 향하여 지지부(114)가 연장형성될 수 있게 하면서 지지부(114)에 형성된 받침부(116)에 설치되는 유압장치(104)가 상부구조물(교량 상판)을 들어올릴 때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팅목의 역할이 주요 기능이고 주요 구성요지라 할 수 있다.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2)의 양단에서는 지지부(114)가 일체로 하향연장될 수도 있으며, 별개체로 이루어진 지지부(114)가 결합되어질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2)의 양단에서 교각(102)의 측면을 따라 밀착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at both ends of 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114)에서는 측면방향으로 받침부(116)가 돌출형성되는 바, 이 받침부(116)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장치(104)가 설치고정되어 유압장치(104)가 상부구조물을 들어올릴 때 유압장치(104)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상기 받침부(116)는 지지부(114)의 측면에서 돌출성형되거나 결합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4)의 측면과 받침부(116)의 상부면에는 다수 개의 제1보강리브(118)를 일체로 연결구성하거나 또는 별개체로 결합구성하여 유압장치(104)가 받침부(116)에서 상향으로 힘을 작용시킬 때 발생하는 하향으로의 반발력에도 받침부(116)가 지지부(114)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The
아울러, 상기 받침부(116)의 하단에서는 밀착부(114a)를 하향으로 더 연장하여 받침부(116)가 전도되려할 때 최대한 교각(102)에 밀착되어 전도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받침부(116)의 저면과 밀착부(114a)의 측면에도 다수 개의 제2보강리브(119)를 일체로 연결구성하거나 또는 별개체로 결합구성하여 유압장치(104)가 받침부(116)에서 상향ㅇ로 힘을 작용시킬 때 발생하는 하향으로의 반발력에도 받침부(116)가 지지부(114)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 지지부(114)에서 받침부(116)가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ㅏ' 또는 'ㅓ'자형 구조만을 설명하였으나, 지지부(114)의 하단에서 제2보강리브(119)가 돌출형성되어 'ㄴ'자형으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only the 'ㅏ' or 'ㅓ' shaped structure formed by protruding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형 지지대(110)가 교각(102)의 측면방향에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으며, 'ㅡ'자 형 안착부(112)를 먼저 안착시킨 후, 안착부(112)의 양단에 지지부(114)를 결합구성하여 받침부(116)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
따라서, 종래의 설명 및 도 1과 같이 교각(102)에 지지대(110)를 설치할 때 앵커를 이용하지 않고도 지지대(110)가 교각(102)에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앵커설치에 따른 교각(102)의 균열 및 훼손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각(102)의 붕괴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교각(102)의 내구성이 오랫동안 보장될 수 있게 한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안착부(112)와, 안착부(112)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지지부(114)와, 지지부(114)에 형성되는 받침부(116) 및 받침부(116)에 형성되는 밀착부(114a) 및 제1보강리브(118)과 제2보강리브(119)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나, 제2실시예에서는 안착부(112)의 구조와 안착부(112)에 결합되는 지지부(114)가 교각(102)의 폭 넓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교각 상부면의 편평하거나 불규칙할 경우 이에 따라 안착부(112)가 변형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즉, 상기 안착부(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안착부(112a)와 타측 안착부(112b)로 분리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 안착부(112a)의 타단에는 제1결합공(130)이 돌출형성괴고, 타측 안착붕(112b)의 일단에는 제1결합공(130)에 인접하게 삽입되도록 제2결합공(132)가 돌출성형되어 도 6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측면에서 맞닿는 구조로 삽입배치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제1결합공(130)과 제2결합공(132)에는 제3결합부재(134)가 삽입됨으로써, 제1결합공(130)과 제2결합공(132)이 제3결합부재(134)에 의하여 결합되게 함으로써, 일측 안착부(112a)와 타측 안착부(112b)가 서로 결합구성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교량의 교각(102) 상부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듯한 수평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교각(102) 상부면이 반듯하지 못하고 울퉁불퉁할 수 있으므로, 이때, 상기 제1결합공(130)과 제2결합공(132) 및 제3결합부재(134)을 중심으로 양측 안착부(112a)(112b)가 회동하면서 교각(102) 상부면에 밀착되어짐으로써, 안착부(112) 양측단에 결합된 지지부(114)가 교각(102)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112)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지지부(1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의 폭이 넓거나 좁을 경우 그에 따라 안착부(112)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지지부(114)의 간격도 넓게 또는 좁게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한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안착부(112)의 양측단에서 각각 내측을 향하여 홈 또는 홀(hole)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제1삽입부(120)(132)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4)에서는 이 제1삽입부(120)(132)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방향으로 제2삽입부(122)가 돌출형성된다.The gap adjusting means of the support,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안착부(112)에 형성된 제1삽입부(120)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는 다수 개의 제1조절공(124)을 도 6과 같이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삽입부(122)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도 제1조절공(124)과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제2조절공(126)을 관통형성한 후, 제1삽입부(120)로 제2삽입부(122)가 삽입되면, 상기 제1조절공(124)과 제2조절공(126)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부재(128)를 삽입하여 안착부(112)와 지지부(114)가 결합될 수 있게 하되, 제1삽입부(120)와 제2삽입부(122)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게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한편, 상기한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안착부(112)의 양측단에서 각각 외측을 향하여 다수 개의 제3삽입부가 일정길이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하고, 이 제3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지지부(114)에도 홈 또는 홀(hole)구조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제4삽입부를 형성하여 제3삽입부가 제4삽입부에 삽입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gap adjusting means of the support portion, although not shown, the plurality of third inserts are formed to protrude in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each outside from both side ends of the
이때에도, 상기 안착부(112)에 형성된 제3삽입부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3조절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4삽입부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4조절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3조절공과 제4조절공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부재가 삽입되게 함으로써, 안착부(112)에 지지부(114)가 결합되어질 수 있게 하되, 제3삽입부와 제4삽입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질 수 있게 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ird adjusting holes penetrates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inserting portion formed i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하기 위해서 교각의 측면에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교각에 앵커링을 하지 않고도 상부구조물을 인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량의 안정성이 오랜 기간 유지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ability of the bridge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by allowing the superstructure to be raised without anchoring the pier to secure the support to the side of the pier to raise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102 : 교각
104 : 유압장치
110 : 지지대
112 : 안착부
114 : 지지부
114a : 밀착부
116 : 받침부
118 : 제1보강리브
119 : 제2보강리브
120 : 제1삽입부
122 : 제2삽입부
124 : 제1조절공
126 : 제2조절공
128 : 제1결합부재
130 : 제1결합공
132 : 제2결합공
134 : 제3결합부재102: pier 104: hydraulic device
110: support 112: seating portion
114:
116: support
118: first reinforced rib 119: second reinforced rib
120: first insertion portion 122: second insertion portion
124: first adjustment hole 126: second adjustment hole
128: first coupling member
130: first coupling hole 132: second coupling hole
134: third coupling member
Claims (10)
상기 안착부(112)의 양단에 결합되며, 교각(102)의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114)와;
상기 지지부(114)에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유압장치(104)가 설치고정되는 판상의 받침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A seating part 112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bridge 102;
A support part 114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ating part 112 and extending dow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iers 102;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114,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116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상기 안착부(112)의 양단에 결합되며, 교각(102)의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지지부(114)와;
상기 교각(102)의 폭 넓이에 따라 지지부(114)가 교각(10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안착부(112)의 양측에 결합되는 양측 지지부(1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지지부(114)에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유압장치(104)가 설치고정되는 판상의 받침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A seating part 112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bridge 102;
A support part 114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ating part 112 and extending dow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iers 102;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ier 102, the support portion 114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14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side 114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12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ier 102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114,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116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상기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안착부(112)의 양측단에서 각각 내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홈 또는 홀(hole)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제1삽입부(120)와;
상기 지지부(114)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The method of claim 2,
The gap adjusting means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first inserting parts 120 extending inwardly at both ends of the seating part 112 and having a groove or hole structure;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114 is a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insertion portion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20).
상기 안착부(112)에 형성된 제1삽입부(120)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1조절공(124)과;
상기 제2삽입부(122)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2조절공(126)과;
상기 제1조절공(124)과 제2조절공(126)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부재(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holes 124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20 formed in the seating part 112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ide surface;
A plurality of second adjusting holes 126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22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in a side surface thereof;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coupling member (128) inserted into the first control hole (124) and the second control hole (126).
상기 지지부의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안착부(112)의 양측단에서 각각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3삽입부와;
상기 지지부(114)에서 제3삽입부가 삽입되도록 홈 또는 홀(hole)구조로 형성된 다수 개의 제4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The method of claim 2,
The gap adjusting means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third insert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seating portion 112 to protrude outward;
The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ourth inserting portion formed in a groove or hole structure so that the third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in the support (114).
상기 안착부(112)에 형성된 제3삽입부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3조절공과;
상기 제4삽입부의 상부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제4조절공과;
상기 제3조절공과 제4조절공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ird adjustment holes penetr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vertical direction or a side surfac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hird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12;
A plurality of fourth adjusting hole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inserting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ide surface thereof;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cond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third adjustment hole and the fourth adjustment hole.
상기 안착부(112)는,
일측 안착부(112a)의 타단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공(130)과;
타측 안착부(112a)의 일단에 돌출형성된 제2결합공(132)과;
상기 제1결합공(130)과 제2결합공(132)으로 삽입되어 교각(102) 상부면의 굴곡에 따라 일측 안착부(112a)와 타측 안착부(112a)가 회동되게 하는 제3결합부재(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ating portion 112,
A first coupling hole 130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one seating part 112a;
A second coupling hole 132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other seating part 112a;
A third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130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32 to rotate one seating portion 112a and the other seating portion 112a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102. Support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134).
상기 받침부(116)의 상부면과 지지부(114)의 측면에 연결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보강리브(1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ribs 118 are forme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14 of the support portion 116.
상기 받침부(116)의 하단에서 하향연장되어 교각(102)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14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 for lift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lose portion 114a which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1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ridge (102).
상기 받침부(116)의 바닥면과 밀착부(114a)의 측면에 연결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보강리브(1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용 지지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ribs (119)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114a) of the support portion (1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636A KR20190143100A (en) | 2018-06-20 | 2018-06-20 | Supporting bracket for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636A KR20190143100A (en) | 2018-06-20 | 2018-06-20 | Supporting bracket for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3100A true KR20190143100A (en) | 2019-12-30 |
Family
ID=6910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0636A KR20190143100A (en) | 2018-06-20 | 2018-06-20 | Supporting bracket for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43100A (en) |
-
2018
- 2018-06-20 KR KR1020180070636A patent/KR2019014310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8433B1 (en) | Installation apparatus for replacement equipment of the bridge supporter | |
KR100977280B1 (en) | a pulling plate of beam the bridge pier | |
KR101702272B1 (en) | Finger plate expansion joints | |
KR102071334B1 (en) | Extension joint for replacement of bridges | |
KR101564721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ing bridge bearing without damaging of lower structure | |
KR101971274B1 (en) | Bridge lifting apparatus and lifing method using it | |
KR102080492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antilever in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
KR101704550B1 (en) | lift method for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computer and hydraulic jack including safety device | |
KR101736680B1 (en) | Side lifting device of bridge upper structure using cross beam and bridge bearing replacement method using of the same | |
KR101066837B1 (en) | Lifting and bearing apparatus preventing fracture on the pier or abutment of bridge | |
KR20200085573A (en) | Gravity type leveling method for precast members including expansion joint | |
KR101404818B1 (en) | superstructure raise device of the bridge | |
KR101704552B1 (en) | Hydraulic jack including safety device and lift method for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hydraulic jack including safety device | |
KR20190143100A (en) | Supporting bracket for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 |
KR102109816B1 (en) | Method of Replacing Bearing for Bridge and Bearing Structure | |
KR101287489B1 (en) | An expansion joint be able to laying-gab adjust | |
KR20210131702A (en) | Hydraulic jack of bridge repair | |
KR20180077452A (en) | Mending method of the longitudinal expansion joint | |
KR101282333B1 (en) | Cross-type suppor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super-structure of bridge | |
KR101570158B1 (en) | Sliding type bridge bearing structure and change method | |
KR101885472B1 (en) | Bridge structure for ground settlement | |
KR2004007634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ulling up and prevention of falling down of bridge beam | |
KR100530026B1 (en) | Laying gap insurance apparatus for insuring laying gap in end side of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nd laying gap insurance coustruc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 |
KR101072726B1 (en) | A bridge superstructure pulling equipment | |
JP6586305B2 (en) | Replacement method for existing brid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