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034A - 환자 보호기 - Google Patents

환자 보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034A
KR20190143034A KR1020180070479A KR20180070479A KR20190143034A KR 20190143034 A KR20190143034 A KR 20190143034A KR 1020180070479 A KR1020180070479 A KR 1020180070479A KR 20180070479 A KR20180070479 A KR 20180070479A KR 20190143034 A KR20190143034 A KR 20190143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ace
protector
save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910B1 (ko
Inventor
성태연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환자의 안면 보호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는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와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측면이 수술포와 접촉되는 보호부 및 보호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보호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기 위해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보호부의 외측면은 수술포와 접촉되어 수술포를 지지함으로써 수술포와 환자의 안면 부위를 이격시킨다.

Description

환자의 안면 보호기{DEVICE FOR PROTECTING FACE OF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의 안면 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을 위한 전신 마취시 환자는 전신 마취 하에 호흡 유지를 위하여 구강을 통한 기관내 삽관 (Endotracheal Intubation Tube Insertion)이 시행된다. 대부분의 기관내 삽입관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기관내 삽관 후 기관내 삽입관은 환자의 안면 부위의 측면부에 위치하게 된다.
기관내 삽관이 완료되고 나면, 환자 수술 부위의 멸균 소독 과정 후 환자의 안면부를 포함하여 소독되지 않은 환자의 신체 부위를 수술포로 덮게 된다. 이때, 수술포가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수술포의 상단부는 환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기둥에 고정된다.
그러나,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수술포의 무게에 의해 기둥에 고정된 수술포가 흘러내려서 환자의 안면을 가압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 사이에 있는 유연한 재질의 기관내 삽입관이 수술포에 의해 환자의 안면을 짓누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술포가 환자의 신체를 덮고 있는 상황에서 수술 집도의 및 마취의는 수술포에 가려진 환자의 안면을 확인하기 어렵고, 집도의가 수술 집도 중 의도치 않게 환자의 안면 부위에 충격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수술포가 환자의 안면 부위를 덮게 되면, 수시로 환자의 안면 부위와 기관내 삽입관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마취의가 환자의 안면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지 못하고, 기관내 삽입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마취의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덮힌 수술포를 별도로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1-070318호 (2001.03.21.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안면으로부터 수술포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환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와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측면이 수술포와 접촉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기 위해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의 외측면은 상기 수술포와 접촉되어 상기 수술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수술포와 환자의 안면 부위를 이격시키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는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는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 1 단부의 곡률은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 2 단부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 및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제 1 단부에서 제 2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폭은 상기 보호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 1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착 부재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 1 부착 부재 중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부착 부재들은 각각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 1 부착 부재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직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곡선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곡선 형상은 상기 보호부의 폭방향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곡선 형상의 곡률은 상기 제 1 단부의 곡률보다 작거나 상기 제 1 단부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는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기관내 삽관이 되어 있는 환자의 안면으로부터 수술포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환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독된 수술 부위와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에 의해 수술포와 환자의 안면 부위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에 의해 수술포와 환자의 안면 부위가 이격된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의 보호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의 부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되어' 있다거나 '부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측 등의 방향 표현은 도면의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1)는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2)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환자의 안면 보호기(1)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는 경우, 환자의 안면 보호기(1)에 의해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2)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수술포(2)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환자의 안면 부위가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안면 보호기(1)에 의해 이격된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기관내 삽입관(3)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안면 보호기(1)는 보호부(10) 및 부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10)는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와 접촉될 수 있고, 보호부(10)의 제 1 면의 반대측 면인 제 2 면이 수술포(2)와 접촉되어 환자의 안면 부위와 수술포(2)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는 환자의 안면 부위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의 길이방향(도 4 및 도 5의 y축 방향)으로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와 대향하는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는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제 1 단부(11)와 제 2 단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는 보호부(1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만곡(彎曲)될 수 있으며,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는 보호부(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의 곡률은 환자의 안면 부위, 예컨대, 턱선의 굴곡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부(11)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단부(11)의 곡선 형상은 두 개의 변곡점(P1, P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변곡점(P1, P2)을 지나면서 제 1 단부(11)에 접하는 두 접선(TL1, TL2)이 이루는 각도(θ1)는 120°일 수 있다.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의 곡률은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의 곡률이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 1 단부(11)가 제 2 단부(12)에 비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입체적인 환자의 안면 형상으로 인해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가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의 곡률이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의 곡률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가 수술포(2)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보호부(10)가 수술포(2)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호부(10)는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안면 보호기(1)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보호부(10)의 형상으로 인해 보호부(10)와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기관내 삽입관(3)이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보호부(10)의 두께(d)는 일 예로 약 0.3 mm 내지 약 0.5 mm일 수 있다. 보호부(10)의 두께(d)가 0.3 mm 미만이면 보호부(10)가 수술포(2)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보호부(10)의 두께(d)가 0.5 mm를 초과하면, 보호부(10)의 휘어짐이 줄어들어 환자의 안면 부위에 대한 보호부(10)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보호부(10)는 환자의 안면 부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약 15 cm 내지 약 20 cm의 길이(l)를 가져서 환자의 안면 부위가 갖는 길이의 0.5배 이상에 해당하는 길이를 커버 및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보호부(10)의 길이(l)는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의 중앙점(11a)에서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의 중앙점(12a)을 일직선상으로 잇는 가상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보호부(10)는 제 1 단부(11)에서 제 2 단부(12)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는 일 예로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보호부(10)는 감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 사용 후 폐기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질은 예시적인 것이고, 보호부(1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부착부(20)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가 휘어지는 정도 및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부착부(20)가 부착되는 환자의 안면 부위가 갖는 형상에 따라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의 휘어지는 정도에 상응하게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도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와 제 2 단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와 제 2 단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는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는 보호부(10)의 폭방향(도 6의 x축 방향)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연결부(13)가 직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된 기관내 삽입관(3)이 보호부(10)와 접촉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연결부(13)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부(13)의 곡선 형상은 두 개의 변곡점(P3, P4)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변곡점(P3, P4)을 지나면서 연결부(13)에 접하는 두 접선(TL3, TL4)이 이루는 각도(θ2)는 135°일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연결부(13)의 만곡된 형상의 극점(13a)들을 일직선상으로 잇는 가상선의 길이, 즉, 보호부(10)의 폭(l')은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의 중앙점(11a)에서 보호부(10)의 제 2 단부(12)의 중앙점(12a)을 일직선상으로 잇는 가상선의 길이, 즉, 보호부(10)의 길이(l)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3)가 보호부(10)의 폭방향 내측으로 만곡되는 정도, 즉, 연결부(13)의 곡률은 제 1 단부(11)가 보호부(10)의 길이방향(도 6의 y축 방향) 내측으로 만곡되는 정도, 즉, 제 1 단부(11)의 곡률보다 작거나 제 1 단부(11)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부착부(20)는 보호부(10)를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시키는 부분으로, 보호부(10)의 제 1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부착부(20)는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에 구비되고,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는 환자의 안면 부위와 접촉되어 휘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부착부(20)는 보호부(10)의 제 1 단부(11)에서 보호부(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 1 부착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착 부재(21)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제 1 부착 부재(21)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호부(10)의 폭방향 외측은 보호부(10)의 폭방향 내측보다 부착력이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예를 들어, 보호부(10)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 1 부착 부재(21a)는 보호부(10)의 폭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 1 부착 부재(21b)보다 큰 접착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제 1 부착 부재(21)들은 각각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 부착 부재(21)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양면에 러버계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일면에 실리콘계 점착제가 도포된 후지(lin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제 1 부착 부재(21)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 일뿐, 제 1 부착 부재(21)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부착부(20)가 제 1 부착 부재(21)를 포함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착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착 부재(21) 및 제 2 부착 부재(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부착 부재(22)는 제 1 부착 부재(21) 보다 상측(도 7의 y축 방향)에 배치되어 제 1 부착 부재(21)만이 제공되는 경우보다 부착부(2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부착 부재(22)는 인접하는 제 1 부착 부재(21)와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부착 부재(22)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제 2 부착 부재(22)들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부착 부재(22)의 부착면에는 제 1 부착 부재(21)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동일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1)는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기관내 삽관(3)이 되어 있는 환자의 안면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독된 수술 부위와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소독된 수술 부위와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의 경계가 명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컨대 환자의 구강과 인접한 부위의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비소독된 환자의 안면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강균 노출로부터 환자의 무균 상태인 수술 부위가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취의의 위치에서 수술포(2)에 덮힌 환자의 안면 부위와 기관내 삽입관(3)의 상태가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환자의 안면 보호기 2: 수술포
3: 기관내 삽입관 10: 보호부
11: 보호부의 제 1 단부 11a, 12a: 중앙점
12: 보호부의 제 2 단부 13: 연결부
13a: 극점 20: 부착부
21, 21a, 21b: 제 1 부착 부재 22: 제 2 부착 부재

Claims (13)

  1.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와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측면이 수술포와 접촉되는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 되기 위해 제공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의 외측면은 상기 수술포와 접촉되어 상기 수술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수술포와 환자의 안면 부위를 이격시키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환자의 안면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된 형상을 갖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는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는 상기 보호부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만곡되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 1 단부의 곡률은 상기 보호부의 상기 제 2 단부의 곡률보다 큰,
    환자의 안면 보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환자의 안면 부위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 및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지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제 1 단부에서 제 2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폭은 상기 보호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 1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부재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 1 부착 부재 중 상기 보호부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부착 부재들은 각각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 1 부착 부재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직선 형상을 포함하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제 1 단부 및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호부의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곡선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곡선 형상은 상기 보호부의 폭방향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환자의 안면 보호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곡선 형상의 곡률은 상기 제 1 단부의 곡률보다 작거나 상기 제 1 단부의 곡률과 동일한,
    환자의 안면 보호기.
KR1020180070479A 2018-06-19 2018-06-19 환자 보호기 KR102147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479A KR102147910B1 (ko) 2018-06-19 2018-06-19 환자 보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479A KR102147910B1 (ko) 2018-06-19 2018-06-19 환자 보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034A true KR20190143034A (ko) 2019-12-30
KR102147910B1 KR102147910B1 (ko) 2020-08-25

Family

ID=6910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479A KR102147910B1 (ko) 2018-06-19 2018-06-19 환자 보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36A (ko) * 2019-06-28 2021-01-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 보호기 및 수술용 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5066A (en) * 1982-02-09 1984-08-14 Carpel Emmett F Surgical drape support
JPH09135727A (ja) * 1995-11-14 1997-05-27 Kuniko Hishida 耳カバー、耳カバー・バンドセット、耳カバー・顔カバーセット、液垂れ防止具及び頭部用ベルト
US5794276A (en) * 1995-08-30 1998-08-18 Walker; Fern Lisa Neck protection device
JP2001070318A (ja) 1999-09-06 2001-03-21 Motoko Iwabuchi 外科手術用顔面保護シールド
KR20090086778A (ko) * 2008-02-11 2009-08-14 최근식 이미용실용 얼굴 보호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5066A (en) * 1982-02-09 1984-08-14 Carpel Emmett F Surgical drape support
US5794276A (en) * 1995-08-30 1998-08-18 Walker; Fern Lisa Neck protection device
JPH09135727A (ja) * 1995-11-14 1997-05-27 Kuniko Hishida 耳カバー、耳カバー・バンドセット、耳カバー・顔カバーセット、液垂れ防止具及び頭部用ベルト
JP2001070318A (ja) 1999-09-06 2001-03-21 Motoko Iwabuchi 外科手術用顔面保護シールド
KR20090086778A (ko) * 2008-02-11 2009-08-14 최근식 이미용실용 얼굴 보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36A (ko) * 2019-06-28 2021-01-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 보호기 및 수술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910B1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2224B (zh) 手术面部护具、手术框架、手术偏振屏蔽件以及手术系统
ES2921990T3 (es) Apósito protector para un dispositivo médico colocado en la piel
ES2568202T3 (es) Sistema de paño con tira de cremallera y métodos para fabricar el mismo
ES2591010T3 (es) Laringoscopio
ES2211548T3 (es) Aposito adhesivo.
JP6686000B2 (ja) 手術用アイシールド
JP2008178654A (ja) 鼻腔保護具
US8834426B2 (en) Catheter and tubing restraining device and protective cover
JP2021528194A (ja) カテーテルを保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47910B1 (ko) 환자 보호기
US20200046561A1 (en) Safety Eyewear for Reclining and Supine Positions
KR101782213B1 (ko) 상처보호용 방수마스크
ES2900826T3 (es) Parche ocular mejorado
KR102269468B1 (ko) 환자 보호기 및 수술용 커버
US7972348B1 (en) Single use scleral marker
US20190038468A1 (en) A protective eyewear device
US10849716B2 (en) Dental isolator for protecting the tongue and cheek during dental treatment
US20110098654A1 (en) Anchoring And Protective Intravenous Shield
JP6245624B1 (ja) インナーバイトリング
US20190298566A1 (en) Movement restraining device
US20230309975A1 (en) Tongue depressor and oral/nasal swab mounted shield,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185602B1 (ko) 수술용 보호용구
JP7356089B2 (ja) 医療用感染防護器具
KR102211425B1 (ko) 수술용 보호용구
ES2551924T3 (es) Anillo de protección den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