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927A - Breast 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Breast wal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927A
KR20190142927A KR1020180070193A KR20180070193A KR20190142927A KR 20190142927 A KR20190142927 A KR 20190142927A KR 1020180070193 A KR1020180070193 A KR 1020180070193A KR 20180070193 A KR20180070193 A KR 20180070193A KR 20190142927 A KR20190142927 A KR 2019014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nit
side construction
coupl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4293B1 (en
Inventor
김헌수
Original Assignee
김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수 filed Critical 김헌수
Priority to KR102018007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93B1/en
Publication of KR2019014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A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having a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positioned to be adjac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provided over upper portion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coupling guid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or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formed to be inserted or coupled into the coupling member.

Description

옹벽구조물{Breast wall structure}Retaining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에 흙, 모래와 모종이 삽입된 복수의 축조유닛을 연결하여 맞물린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soil, sand and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inserted with seedlings are engaged therein.

일반적으로, 옹벽은 도로 변이나 혹은 산 기슭 등과 같이 토양의 압력에 의해 토양이 무너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지역에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여 그 견고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In general, a retaining wall means a structure installed to secure the robustness and stability by preventing soil loss in an area where soil collapse easily occurs due to soil pressure such as a roadside or a mountain foot. .

현재 옹벽의 설치 방식과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시공 지점 상에 강철망을 설치한 후, 다시 혼합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이를 고형화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그 시공 규모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시공의 난이도 역시 높고, 또한 혼합된 콘크리트가 고형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시공 기한이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At present, the retaining wall has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and types, and the most conventional method is to install a steel mesh on the construction site and inject the mixed concrete to solidify it.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time is long because the construction scale is not only very large, but also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is high, and the time to solidify the mixed concrete is relatively long.

이외에도 콘크리트로 제작된 옹벽구조는 토양을 덮는데 제한을 받으며, 바람이나 물의 침습으로 인해 유실되기가 싶고, 또한 환경녹화의 효율성 역시 매우 낮으며, 더 나아가 토양을 제대로 보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made of concrete is restricted to cover the soil, and it is desired to be lost due to wind or water invasion. Also, the efficiency of environmental greening is very low, and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preserve the soil properly.

이러한 기존의 옹벽구조가 지닌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는 부대자루를 쌓아 올려 옹벽을 완성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의 경우, 상기 부대자루에 모래/흙 등을 채워 넣은 후, 이것을 세로 혹은 가로로 서로 연결하여 쌓아 올려 옹벽을 완성하는 구조이며, 이때 서로 인접한 부대자루 사이에 연결고정부품을 설치하여, 부대자루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 method of stacking the bag and completing the retaining wall is frequently used. In such a method, after filling the bag with sand / dirt, it is vertical. Or it is a structure that completes the retaining wall by stacking the horizon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by installing the connection fixing parts between the adjacent sack, so that the sack can be fixed more firmly without slipping each other.

그러나 상기 연결고정부품을 이용해 서로 인접한 부대자루를 연결 고정시켜 완성한 옹벽구조가 거센 비바람을 견딜 만큼의 강도를 갖추지 못하고, 황사 현상과 같은 사풍(모래 바람)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 하에서는 벽체가 쉽게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However,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which is completed by connecting and fixing adjacent subsidiaries using the connection fixing parts, does not have strength enough to withstand heavy rain and wind, and the wall is easily damaged in a poor environment such as sand wind (sand wind). I found the problem that this occurs.

(특허문헌 1) CN2006200547368 ZL (Patent Document 1) CN2006200547368 Z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복수의 축조 구조의 강도가 향상된 옹벽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improved strength of a plurality of construction structures filled with soil or sand.

또한,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토낭을 이용하여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때에, 토낭들 사이의 결합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토낭들의 구조물을 제 1 옹벽으로 하고, 토낭 뒤의 쇄석층 또는 현장토 등의 보강토를 제 2 옹벽이라 할 경우에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스트립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oil or sand-filled to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ons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tonne is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crushed stone layer or field soil behind the ton When the reinforcement soil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retaining wall, a strip structure capable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is proposed.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을 포함하는 수평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수직측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construction unit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over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the coupling member being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And a coupling guid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or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 또는 결합되고, 상기 제 2 옹벽의 현장토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isting of a first retaining wall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and a second retaining wall disposed behind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including a crushed stone layer or soil, wherein the first retaining wall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over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construction units. 2 a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the coupling member being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in front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he second retaining wall includes a crushed stone layer including gravel, and a field soil constru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ushed stone layer, wherein the coupling member has a body forming a body,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aight strip which includes an engaging projection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unit and is connected o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rrang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ite soil portion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isting of a first retaining wall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and a second retaining wall disposed behind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including a crushed stone layer or soil.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외주면따라 상기 제 1 옹벽 및 제 2 옹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retaining wall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over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in front of the first retaining wall. The second retaining wall includes a crushed stone layer including gravel, and a field soil constru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ushed stone layer.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 body forming a body, and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unit,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being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via the coupling memb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ll-around strips arranged to wrap.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축조유닛을 고정하는 결합부재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축조유닛을 동시에 결속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면을 이루는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s to be able to simultaneously bind the construction unit is located on the different layers of the coupling member for fixing the construction unit can be improved the rigidity forming th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더욱이, 축조유닛 사이에 위치한 결합안내부재와 축조유닛을 결속하는 결합부재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재를 고정력을 향상시켜 옹벽을 이루는 축조유닛의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the coupling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coupling member for binding the construction unit are coupled by interference fit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coupling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onstruction unit forming the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의 올어라운드 스트립과 스트레이트 스트립이 결합부재를 통하여 토낭들과 현장토 사이의 연결/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옹벽의 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ll / round strips and straight strip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 coupled between the tonnes and the soil through the coupling member, the strength of the overall retaining wall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다.
도 3은 도 2의 수평측 축조유닛 상에 제 1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안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옹벽에 결합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결합안내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결합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변형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다.
도 10은 도 9의 수평측 축조유닛에 제 2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옹벽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를 연결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구성시키는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스트레이트 스트립 사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는 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 등의 외곽을 둘러싸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부재 통과하여 연결되는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and 2 are retaining wall structur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upling guide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seated o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of FIG. 2.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to the retaining wall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member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member of FIG. 1.
8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guide member of the modification of FIG. 1 is installed.
9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upling guide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of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coupling a straight stri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raight strip connecting tonal soil which is a construction unit and field so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4 and 15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constructing a straight st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views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straight st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couple the all-around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9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traight strip surrounding the periphery, such as tonang and field soil as a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20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in which the all-around strip is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ll-around str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joined or connected in front of the first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고, 도 2는 도 1의 국부를 확대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평측 축조유닛 상에 제 1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안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옹벽에 결합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cal separa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coupling guide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o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seated, 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coupling member to the retaining wall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member of FIG.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복수의 수평측 축조유닛(11), 복수의 수직측 축조유닛(11c), 결합부재(20) 및 결합안내부재(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 a plurality of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s 11c, a coupling member 20, and a coupling guide member 30. do.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11)은 지면(12) 상에 쌓여진 다수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이고, 수직측 축조유닛(11c)은 수평측 축조유닛(11) 상에 쌓여진 다수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이다. 이러한 축조유닛(11)은 내구성이 있는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재료와, 물이 축조유닛(11)을 통과하여 흘러 들어올 수 있고, 씨가 발아할 수 있는 재질의 직물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축조유닛은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토낭으로 이해하여도 좋다.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 is a plurality of sandbags or trowels piled on the ground 12,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is a plurality of sandbags or trowels stacked o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 to be. The construction unit 11 is made of a durable geotextile material, a fabric of water can flow through the construction unit 11, the seeds can germinate. The building unit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as a soil bag filled with soil or sand.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수평측 축조유닛(11)과 상기 한 쌍의 수평측 축조유닛(11) 상에 위치한 수직측 축조유닛(11c)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pair of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 and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positioned on the pair of horizontal construction units 11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수평측 축조유닛(11)은 서로 인접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11a)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b) 및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배치된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각 일 면에 끼움되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을 동시에 결속한다. The coupling member 20 is a pair of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 is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a)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b)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It is fitted to each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arrange | positioned on 11a, 11b, and binds the 1st and 2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a, 11b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simultaneously.

즉,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수직측 축조유닛(11c)이 배치되면, 결합부재(20)는 결합부재(20)의 일 면에 형성된 결합 돌출부(24)가 옹벽의 면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각 일 면을 관통하여 옹벽의 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That is, when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is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the coupling member 20 has a coupling protrusion 24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20.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forming th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penetrate each surface thereof and ar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이때, 결합부재(20)와 축조유닛(11)들 사이의 결합 고정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사이에 결합안내부재(30)가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gui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 (11a, 11b)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11c) in order to maintain the coupling fix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member 20 and the construction unit (11). The member 30 is disposed.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이 지면(12) 상에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결합안내부재(30)가 안착된다. 이후,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결합안내부재(30) 상에 수직측 축조유닛(11c)이 위치한다. 이때,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은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결합안내부재(30) 일부가 상기 결합부재(20)를 통과 또는 삽입되기 때문이다. 2 and 3,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are disposed on the ground 12 and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Guide member 30 is seated. Thereafter,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is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and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a, 11b)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a portion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This is because the coupling member 20 passes or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결합안내부재(30)가 축조유닛(11)들 사이에 배치되면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을 통해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을 관통시킨다. 이때, 결합안내부재(30)과 결합부재(20)는 억지 끼움되어 별도의 고정 부재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s 11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ing member 20. At this time,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and the coupling member 20 is forcibly fitted so that they can be coupled and fixed without using a separate fixing member or adhesive.

이때, 결합부재(20)가 축조유닛(11)들의 일 면과 접할 때까지 결합부재(20)를 축조유닛(11)들을 향해 밀어낸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20)를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을 향해 밀어내면 결합부재(20)의 결합돌기(32)가 각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을 관통하고, 각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을 관통한 결합돌기(32)는 축조유닛(11) 내부의 흙이나 모래와 결속되며 지면(12)에 축조된 축조유닛(11)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20 is pushed toward the construction units 11 until the coupling member 20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units 11. As such, when the coupling member 20 is pushed toward on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units 11, the coupling protrusion 32 of the coupling member 20 penetrates one surface of each of the construction units 11, and each construction unit 11 is formed. Coupling protrusion 32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is bound to the soil or sand inside the construction unit 11 and can be fixed to the construction unit 11 built on the ground (12).

상기 구성에 따른 결합부재(20)를 살펴보면, 결합부재(20)는 바디(26), 결합홀(22), 결합 돌출부(24)를 포함한다. Looking at the coupling member 20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upling member 20 includes a body 26, the coupling hole 22, the coupling protrusion 24.

상기 바디(26)는 결합부재(20)가 옹벽 면에 설치될 때,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일 면과 면접하는 구성이다. When the coupling member 20 is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surface, the body 26 is configured to interview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and one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상기 결합홀(22)은 바디(26)에 형성되고, 전술한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때, 결합안내부재(30)가 결합홀(22)에 억지 끼움되게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결합홀(22)은 결합안내부재(30)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안내부재(30)의 단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the body 26, the one end of the above-mentioned coupling guide member 30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rough. At this time,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configured to be forci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 To this end, the coupling hole 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상기 결합 돌출부(24)는 바디(26)를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일 면과 접하면 축조유닛(11)들 일 면을 관통하여 축조유닛(11)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상기 축조유닛(11)는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 돌출부(24)는 축조유닛(11)을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보다 쉽게 축조유닛(11) 표면을 관통하도록 축조유닛(11) 표면을 향하는 단부가 첨단(尖端)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결합 돌출부(24)의 형상, 길이 등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24 penetrates on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units 11 when the body 26 contacts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c.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unit (11). Since the construction unit 11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the coupling protrusion 24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unit 11, and more easily constructed to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unit 11. It is preferable that an end portion facing the surface of the unit 11 is formed as a tip, but the shape, length, and the lik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4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onditions.

한편,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에 끼움, 장착되는 결합안내부재(30)는 복수의 결합돌기(3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20)가 끼움될 때, 결합홀(22)의 내면과 접하여 결합부재(20)와 결합안내부재(30) 사이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to be fitted, mounted in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ing member 20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2). The coupling protrusion 32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When the coupling member 20 is fitted, the coupling protrusion 32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2 and the coupling guide 20. It is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members (30).

이때,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단부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안내부재(30)는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이 축조유닛(11)들의 일 면과 멀어지게 배치되고,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에 끼움되며 결합부재(20)와 결속되는 구조이므로 결합부재(20)와의 결속 향상을 위해서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 중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32 is formed at the end center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one end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disposed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construction unit 11, is fitted in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ing member 20 and the coupling member 20 The coupling protrusion 32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n order to improve the binding with the coupling member 20 because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20.

또한,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안내부재(30)를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위치할 때, 방향에 관계없이 안착시켜도 결합부재(20)를 결합안내부재(30)와 결속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32 is preferab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When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the coupling member 20 can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even when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seat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do.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옹벽구조물의 결합안내부재(30)는 원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은 결합안내부재(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홀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다르게는 결합안내부재(30)가 삼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홀(22)이 삼각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bar (bar),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ing member 20 is the shape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For example, but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illar, the coupling hole 22 may be formed as a triangular hole, of course.

상기 구성의 옹벽구조물에 의해 축조유닛을 고정하는 결합부재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축조유닛을 동시에 결속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면을 이루는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By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upling member for fixing the building unit can simultaneously bind the building units located on different layers, thereby improving the robustness of th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더욱이, 축조유닛 사이에 위치한 결합안내부재와 축조유닛을 결속하는 결합부재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재를 고정력을 향상시켜 옹벽을 이루는 축조유닛의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the coupling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coupling member for binding the construction unit are coupled by interference fit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coupling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onstruction unit forming the retaining wall.

한편, 도 6은 도 1의 결합안내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of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안내부재(30)는 제 1 수평측 축조유닛(11a)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b) 사이에 개재되되,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전, 후 방향(도 2의 방향축 참고)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안내부재(30)에 의하여, 결합부재(20)가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의 전면 방향 및 후면 방향 모두에서 모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hown in Figure 6,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a)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b),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It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fer to the direction axis of Figure 2) of the unit (11a, 11b). By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member 20 is mounted in both the front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11. It can work.

또한, 도 7은 도 1의 결합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변형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member of FIG. 1,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guide member of the modification of FIG. 1 is installed.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20)는 바디(26) 내면은 바디(26) 외면과 바디(26) 내부 중심을 연결하는 복수의 내벽(25)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때, 내벽(25)과 인접한 서로 다른 내벽 사이는 홀(28)로 형성되어 변형된 결합부재(20)가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에 설치되면 축조유닛(11)들 내부에 발아 가능한 씨가 상기 홀(28)을 관통하여 옹벽 외면으로 식물의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coupling member 2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6 by a plurality of inner walls 25 conne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6 and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26. Is formed. At this time, between the inner wall 25 and the adjacent inner wall is formed as a hole 28 so that the deformed coupling member 20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uilding unit 11 can be germinated inside the building unit (11) The growth of the plant is allowed to penetrate through the hole 28 to the outer wall of the retaining wall.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고, 도 10은 도 9의 수평측 축조유닛에 제 2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upling guide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of FIG.

이하 도 9 및 도 10의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 부호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 구성이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9 and 10, when the reference numerals illustrated in FIGS. 1 to 8 and the reference numerals illustrated in FIGS. 9 and 10 are the same, the same configuration is determin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결합안내부재(30A)는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이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upling guide member 30A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facing each other.

이때 결합안내부재(30A)는 제 1 수평측 축조유닛(11a)의 일 측면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b)의 일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결합안내부재(30A)의 일 단은 전술한 옹벽구조물의 제 1 실시예의 바(bar) 형상의 결합안내부재(30A)와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일 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guide member 30A is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a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11b.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A is one of the bar-shaped coupling guide member 30A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It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30A)가 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A)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the coupling guide member 30A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coupling hole 22A of the coupling member 20 is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shape.

또한, 결합안내부재(30A)의 표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결합부재(20)의 결합 시, 두 부재의 결합 고정력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30A, so that when the coupling member 20 is coupled, the coupling holding force of the two members may be improved.

한편, 도면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안내부재(30A)는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전, 후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앞서 설명된 제 1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30)과 같이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전, 후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서 결합안내부재(30A)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guide member 3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is an example formed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before and after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 (11a, 11b) Like the coupling guide member 30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11a and 11b. Of course, the coupling guide member (30A) can be mount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side construction unit (11c).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옹벽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토낭들로 이루어진 축조유닛들과, 그 축조유닛들 후방에 배치되는 현장토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further solidify the coupling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 consisting of the tonal and the field soil disposed behind the construction unit.

즉, 옹벽구조물로서 부하를 견뎌내기 위하여 토낭 등의 축조유닛끼리의 결합에 더하여, 축조유닛 후방에 축조되는 현장토 등의 구조물과도 그 결합을 더욱 증가시킨다. That is, in addition to the coupling of the construction units such as sack bag to withstand the load as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coupling with the structures such as field soils built behind the construction unit is further increased.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토낭인 축조유닛들로 구성된 옹벽을 제 1 옹벽(A)이라고 하고, 현장에서 시공되는 쇄석층이나 현장토를 쌓아올리는 옹벽을 제 2 옹벽(B)이라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taining wall composed of the building units, which are the toners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retaining wall A, and the retaining wall for stacking the crushed stone layer or the site soil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retaining wall B.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의 경우, 토낭들 사이를 델타모양 결합(즉, 제 1층의 축조유닛들과, 그 위 제 2 층의 축조유닛 사이에 연결부재에 의하여 삼각형상의 델타 모양으로 결합이 이루어짐)시키기 위하여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제 2 옹벽의 쇄석층 또는 현장토와 결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 triangular shape is formed between the angular caps by a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delta-shaped couplings (ie To form a delta shape),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crushed stone layer or the soil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using a connecting member.

상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옹벽구조물은 흙자루 또는 모래자루로 이루어진 축조유닛들이 복수개 쌓여서 만들어진 제 1 옹벽(A)과, 상기 제 1 옹벽(A)의 후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토층을 포함하는 제 2 옹벽(B)을 포함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11,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etaining wall A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uilding units made of soil or sand, and at least one rear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 FIG. It includes a second retaining wall (B) including a site soil layer.

제 2 옹벽(B)의 경우, 토낭 등의 축조유닛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때 경사면을 깎아 현장토나 석쇄들을 쌓아 올린 것에 해당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 2 옹벽(B)을 토낭 등의 축조유닛과 긴밀히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B),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using a building unit such as sacking, it is equivalent to the pile of field soil or stone piled up by cutting the inclined surface. We propose a structure that can be closely combined with the construction unit.

제 2 옹벽(B)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구조물의 지형에 따라 다양하게 축조될 수 있겠지만, 배수를 위하여 최하층은 자갈 등의 석쇄층(101)으로 구성되고, 상기 석쇄층(101)의 상부에는 석쇄층(101) 내부로 이물질 등의 배수를 방해하는 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부직포 배수층(100)이 구성된다. The second retaining wall B may be various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topography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o be constructed, but the lowermost layer is composed of a crushed stone layer 101 such as gravel for drainag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rushed stone layer 101 The nonwoven drainage layer 100 is configured to suppress the introduction of a substance that prevents the drainage of foreign matters or the like into the chain layer 101.

특히,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은 제 2 옹벽으로 스며드는 물이 옹벽의 측방향으로 배수되는 것을 돕는다. 제 1 옹벽의 전면을 전방, 제 1 옹벽의 후방에 제 2 옹벽이 위치한다고 할 때에, 부직포 배수층(100)에 의하여 제 2 옹벽으로 스며든 물은 전방과 후방이 아닌 측방향으로 배수된다. In particular, the nonwoven drainage layer 100 helps the water seeping into the second retaining wall to drain laterally of the retaining wall. When the second retaining wall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front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behind the first retaining wall, the water that has soaked into the second retaining wall by the nonwoven drainage layer 100 is drained laterally rather than forward and backward.

그리고,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은 제 2 옹벽을 구성하는 보강토(쇄석층, 현장토 등)를 축조할 때에 견고한 다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쇄석층 위에 현장토를 축조할 때에, 쇄석층 위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배수층을 배치시키고, 그 위에 현장토를 쌓아올리게 되면, 쇄석층 보다 부피가 작은 현장토가 쇄석층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부직포 배수층이 막아주기 때문이다. And, the nonwoven drainage layer 100 is to ensure a firm compaction when constructing the reinforcement soil (crushed stone, field soil, etc.) constituting the second retaining wall. That is, when constructing the spot soil on the crushed stone layer, if the drainage layer made of nonwoven fabric is placed on the crushed stone layer, and the stacked soil is piled up thereon, the nonwoven drainage layer indicates that the spot soil having a smaller volume than the crushed stone layer is introduced into the crushed stone layer. Because it prevents.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은 배면수압의 증가를 억제하고, 기존의 옹벽구조물에서 사용하는 지오그리드를 대신할 수 있으며, 배수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 The nonwoven drainage layer 100 may suppress an increase in back water pressure, replace the geogrid used in the exis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ay also secure drainage.

한편,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 상에 다져지는 현장토(102)는 현장 상황에 따라 몇차례 다짐을 반복하면서 현장토를 쌓아갈 수 있으며, 제 1 옹벽(A)의 축조유닛들과 제 2 옹벽(B)의 결합이 긴밀하도록 하는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에 의하여 현장토(102)가 둘러쌓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te soil 102 to be compacted on the nonwoven drainage layer 100 can be piled on the site soil repeating the compacting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the building unit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 The site soil 102 may be surrounded by an all-around strip 200 that allows the coupling of (B) to be tight.

그리고, 제 2 옹벽(B)에는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과 함께 현장토 또는 석쇄층 등의 제 2 옹벽을 구성하는 재료와 축조유닛을 결합시키는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올어라운드 스트립(200)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retaining wall B may be configured with the all-around strip 200 and a straight strip 300 for coupling the material and the construction unit constituting the second retaining wall, such as a field soil or a crushed layer. These all-around strips 200 and straight strips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실시예의 부직포 배수층(100)은 올어라운트 스트립(200)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 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현장토의 축조시 현장토 다짐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수에도 용이해진다. In addition, the non-woven drainage layer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ll-around strip 200 and the straight strip 300 position, and facilitates drainage while making the compaction of the site soil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ite soil.

상기 제 2 옹벽(B)과 제 1 옹벽(A)을 상호 결합시키는 올어라운드 스트립(200)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An all-around strip 200 and a straight strip 300 that couple the second retaining wall B and the first retaining wall A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를 연결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a straight stri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1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traight strip connecting tonal soil and earth soil as a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결합부재(20)를 통하여 제 1 옹벽의 토낭과, 제 2 옹벽의 현장토 등을 결합한다.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장에서 축조유닛과, 현장토를 쌓아올리면서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을 연결부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aight strip 300 couples the sack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field soil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0. The straight strip 3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by stacking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site soil in the field, by allowing the straight strip 300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the coupling can be made.

실시예의 결합부재(20)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26)와, 상기 바디(2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축조유닛인 토낭을 뚫어서 그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출부(24)와, 상기 바디(2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립 체결홀(40)을 포함한다. The coupling member 2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body 26 forming a body,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4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26 to be inserted into the tonang, which is a construction unit, and the body. At least one strip fastening hole 40 formed in the (26).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0)에는 앞서 설명한 결합안내부재(20)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홀(22)이 더 형성된다. The coupling member 2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22 through which the coupling guide member 20 described above may pass.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시공 현장에서 상기 결합부재(20)를 제 1 층의 축조유닛과, 제 2 층의 축조유닛의 전면에 결합/삽입시키는 때에 상기 스트립 체결홀(40)로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을 통과시킨다. The straight strip 300 is a straight strip 300 into the strip fastening hole 40 when the coupling member 20 is coupled / inser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nstruction units in the construction layer. Pass).

상기 스트립 체결홀(40)을 통과시킨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의 양단은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의해 현장토 일부가 감싸지도록 시공한다. Both ends of the straight strip 300 passed through the strip fastening hole 40 are coupled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etc., and are constructed so that a part of the site soil is wrapped by the straight strip 300.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결합부재(20)를 통하여 상하층의 축조유닛들이 상호 결합되고,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의하여 현장토과 축조유닛 사이의 결합/밀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옹벽구조물의 전문을 구성하는 토낭의 축조유닛들이 그들 사이의 결합 뿐만 아니라, 현장토 내지는 석쇄층 등의 후면의 구조물과도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등침하의 경우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의 붕괴력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한 옹벽구조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upper and lower construction unit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0, the coupling / compaction between the site soil and the construction unit by the straight strip 300 is made. Through such a structure, not only the case of uneven settlement but also the structure of the tonang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re connected not only to them but also to the structures on the back such as the soil or the crushed stone layer. Even if a decay force occurs, it can serve as a solid retaining wall structure.

그리고, 기존의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필요가 없으며, 부직포 배수층에 의하여 옹벽(제 2 옹벽)의 견고한 축조 및 원활한 배수를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by using the existing geogrid,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firm construction and smooth drainage of the retaining wall (second retaining wall) by the nonwoven drainage layer.

한편, 도 13은 하나의 결합부재(20)에 하나의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상호 연결되어, 제 1 옹벽과 제 2 옹벽 사이의 긴밀한 밀집력이 달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의 토낭에 장착된 결합부재들 중 선택적으로 일부의 결합부재에만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결합될 수 있다. 옹벽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의 상태, 제 2 옹벽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모든 결합부재가 아닌 일부 결합부재들에만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연결/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FIG. 13 shows that one straight strip 300 is connected to one coupling member 20 so that a close density between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is achieved. As described above, the straight strip 300 may be coupled to only some of the coupling members of the coupling members mounted on the bag of the first retaining wall.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ground on which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constructed, the state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and the like, the straight strip 300 may be connected / coupled only to some coupling members, not all coupling members.

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부재들 모두에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연결/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5, it will also be possible that the straight strip 300 is connected / coupled to each of the coupling members.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스트레이트 스트립 사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6 and 17 are views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straight st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의 경우와 같이, 실시예의 결합부재(20)는 도 12의 경우와 달리 스트레이트 체결홀이 결합부재에 형성되지 않고, 결합부재에 결합안내부재가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홀(22) 내에 걸림 바(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옹벽의 보강토(현장토 등) 내에 위치하게 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상기 걸림 바(50)에 연결됨으로써, 스트레이트 스트립(300)과 결합부재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As in the case of Figure 16, the engaging member 20 of the embodiment does not have a straigh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unlike the case of Figure 12, the engaging bar 22 in the coupling hole 22 so that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fitted to the coupling member 50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straight strip 300 positioned in the reinforcement soil (field soil, etc.)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bar 50, thereby 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straight strip 300 and the coupling member.

반면, 도 12의 스트립 체결홀(40)이나 도 16의 걸림 바(50)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결합부재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스트레이트 스트립(3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안내부재 등 별도의 부재와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결합홀(22)이 형성된 결합부재의 경우, 그 바디의 일부분(26a)에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재 바디의 일부분을 경유하도록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the strip fastening hole 40 of FIG. 12 or the locking bar 50 of FIG. 16 is not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the straight strip 300 may be coupled. That is, as shown in Figure 17, in the case of the coupling member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2 for engaging with a separate member such as a coupling guide member, the straight strip 300 passes through a portion 26a of the body Since it can be connect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via a part of the coupling member body.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 등의 외곽을 둘러싸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combine the all-around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19 shows a straight strip surrounding the periphery, such as tonang and field soil as a construction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gure showing.

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결합부재(20)를 통하여 제 1 옹벽의 토낭과, 제 2 옹벽의 현장토 등을 결합하며, 특히,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복수개의 결합부재(20)를 경유하여,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전체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전체 결합을 유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ll-around strip 200 combines the sack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field soil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0. In particular, the all-around strip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Via (20), i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thereby inducing the entire engagement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장에서 축조유닛과, 현장토를 쌓아올리면서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을 여러 개의 연결부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ll-around strip 2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by stacking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site soil in the field to pass the all-around strip 200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he combination can be made.

실시예의 결합부재(20)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26)와, 상기 바디(2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축조유닛인 토낭을 뚫어서 그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출부(24)와, 상기 바디(26)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통과할 수 있는 스트립 통과부(60)가 형성된다. The coupling member 2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body 26 forming a body,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4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26 to be inserted into the tonang, which is a construction unit, and the body. A strip passing portion 6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26 to allow the all-around strip 200 to pass therethrough.

상기 스트립 통과부(60)는 상기 결합부재(20)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 통과부(60)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홀을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통과하게 된다. 각각의 결합부재(20)에 형성된 스트립 통과부(60)를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경유함으로써, 복수의 결합부재(20)들이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으로 결속되고,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제 1 옹벽인 축조유닛 후방의 제 2 옹벽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립(300)과는 다른 구조로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을 결속하게 되는데, 옹벽구조물 전체 둘레를 따라 결속되기 때문에, 견고한 옹벽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해진다. The strip passing portion 60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20 body, and the all-round strip 200 passes through the hole made by the strip passing portion 60. By the all-round strip 200 passing through the strip passing portion 60 formed in each coupling member 20,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0 are bound to the all-round strip 200, the all-round strip ( 20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retaining wall behind the construction unit, which is the first retaining wall.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are bound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raight strip 300. Since the binding is per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the rigid retaining wall structure is possible.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ll-around strip is coupled using the coupling member shown in FIG. 17.

즉, 도 17의 경우와 같이, 결합부재 바디(26)에 홀(22)이 형성되고, 올어라운드 스트립이나 스트레이트 스트립이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제 1 옹벽과 제 2 옹벽 전체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을 결합부재(20)의 전면에서 홀(22)을 통과하여 후면으로 지나가도록 배치하면,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달성하고자 하는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That is, as in the case of Figure 17, even if the hole 22 is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body 26, there is no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all-around strip or straight strip,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as a whole When the all-around strip 200 disposed to surround the periphery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hole 22 from the front of the coupling member 20 to the rear,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first retaining wall 200 are to be achieved. Two retaining walls can be combined.

또한,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반드시 동일한 수평면 높이에 배치된 결합부재들을 통과하거나 결합부재에 결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결합부재들을 경유하도록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Further, the all-around strip 200 does not necessarily pass through or ar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s disposed at the same horizontal plane height, as shown in FIG. 21, the all-around strip to pass through coupling members of different heights. 200 may be installed.

한편, 전술한 설명과 도면에서는 사각 형상의 연결부재 바디(26)와, 결합홀(22)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바디와 홀의 형상은 삼각, 원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the connecting member body 26 and the coupling holes 22 of the rectangular shape are illustrated, bu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ody and the hole may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le and a circle. Of course.

Claims (10)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을 포함하는 수평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수직측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A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over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the coupling member being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And
A retaining wall comprising a coupling guid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s or between the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수직측 축조유닛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원통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안내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made of a cylindrical bar (bar) shape,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circular coupling hole of the size that the coupling guide member can pass throug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사각 형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안내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사각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made of a square plate shape,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of a square shape of the size that the coupling guide member can pa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안내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 body forming a body,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unit, and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coupling guide member can pass. Retaining Wall Structure.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 또는 결합되고, 상기 제 2 옹벽의 현장토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cluding a first retaining wall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and a second retaining wall disposed behind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including a crushed stone layer or spot soil,
The first retaining wall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over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in front of the first retaining wall. Including a coupling member,
The second retaining wall includes a crushed stone layer including gravel, and on-site soil built on the crushed stone layer,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 body forming a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unit.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aight strip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disposed in a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ite soil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립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립은 상기 스트립 체결홀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strip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coupling member,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strip is coupled through the strip fastening hole.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외주면따라 상기 제 1 옹벽 및 제 2 옹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cluding a first retaining wall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and a second retaining wall disposed behind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including a crushed stone layer or spot soil,
The first retaining wall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side construction unit disposed over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side construction unit. And a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side construction units and the vertical-side construction unit in front of the first retaining wall. Including a coupling member,
The second retaining wall includes a crushed stone layer including gravel, and on-site soil built on the crushed stone layer,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 body forming a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struction unit.
And an all-around strip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etaining wall and the second retaining wall via the coupl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 돌출형성된 스트립 통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strip passing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all-around strip can pass.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옹벽의 쇄석층 상부에는 부직포 배수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8,
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woven drainage layer is disposed above the crushed stone layer of the second retaining wall.
KR1020180070193A 2018-06-19 2018-06-19 Breast wall structure KR102194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93A KR102194293B1 (en) 2018-06-19 2018-06-19 Breast wal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93A KR102194293B1 (en) 2018-06-19 2018-06-19 Breast wal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27A true KR20190142927A (en) 2019-12-30
KR102194293B1 KR102194293B1 (en) 2020-12-22

Family

ID=6910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193A KR102194293B1 (en) 2018-06-19 2018-06-19 Breast wal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328A1 (en)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511A (en) * 2005-11-04 2007-05-09 김윤희 Vegetated retaining structures
KR20100082926A (en) * 2009-01-12 2010-07-21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External member, retaing wall for planting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40056956A (en) * 2012-11-02 2014-05-12 안은솔 Soil bag, connecting unit for connecting the soil bags, and soil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soil into the soil bag
KR20140091313A (en) * 2013-01-11 2014-07-21 김동근 Apparatus for fixing construction block
KR20150141264A (en) * 2014-06-09 2015-12-18 양지개발 주식회사 Retaining nature-rock wall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20170045549A (en) * 2015-10-19 2017-04-27 장동연 a connecting plate of soil sack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511A (en) * 2005-11-04 2007-05-09 김윤희 Vegetated retaining structures
KR20100082926A (en) * 2009-01-12 2010-07-21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External member, retaing wall for planting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40056956A (en) * 2012-11-02 2014-05-12 안은솔 Soil bag, connecting unit for connecting the soil bags, and soil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soil into the soil bag
KR20140091313A (en) * 2013-01-11 2014-07-21 김동근 Apparatus for fixing construction block
KR20150141264A (en) * 2014-06-09 2015-12-18 양지개발 주식회사 Retaining nature-rock wall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20170045549A (en) * 2015-10-19 2017-04-27 장동연 a connecting plate of soil sa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328A1 (en)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293B1 (en)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3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soil sack block for vegetation and fixed device and Structure for installation thereof
KR101162547B1 (en) Reinforcement mattress gabion for afforestation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method
US20070110522A1 (e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KR200185875Y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sand-bag
KR10067987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breast wall for tree planting
KR200402396Y1 (en) retaining wall block for planting
KR10212737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KR20190142927A (en) Breast wall structure
KR100843330B1 (en) The block for protecting bank
KR100445075B1 (en) Civil Structural Concrete-Block and A Method of Stabilizing the Slope Surface for using thereof
KR100317701B1 (en) a reinforcement land method of construction to using tires
KR20180101986A (en) Methods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fastening unit for stiffener
JP2750363B2 (en) Steep embankment
JP3472708B2 (en) Slope and seawall retaining wall structur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CN113445539A (en) Limited filling tir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24064B1 (en) The block construction method for inclined cut embankment
KR101012653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n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JP2000328577A (en) Soil retaining cage frame and method of building steep grade banking using the cage frame
KR102484636B1 (en) Retain wall structure
KR100843331B1 (en) The block construction method for protecting bank
KR10099509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block
CN114263197B (en) Green environment-friendly ecological slope prot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34837B1 (en) Breast wall structure
KR102048567B1 (en) Block for plants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80000510U (en) A support gunny bag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