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832A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832A
KR20190142832A KR1020180070003A KR20180070003A KR20190142832A KR 20190142832 A KR20190142832 A KR 20190142832A KR 1020180070003 A KR1020180070003 A KR 1020180070003A KR 20180070003 A KR20180070003 A KR 20180070003A KR 20190142832 A KR20190142832 A KR 2019014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rail
pile
interfac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846B1 (ko
Inventor
천진솔
박태윤
김정
신상명
전상배
전준환
정성훈
최봉균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4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설치 단계에서 파일과 서포트 구조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레일; 레일에 형성된 홈에 끼움 형성되며, 파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파일 인터페이스; 및 상기 레일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를 고정시키는 걸림쇠를 포함하며, 파일 인터페이스와 파일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을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 {Floater}
본 발명은 파일(pile)을 이용하여 계류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원유,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해양 구조물이 해상에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오랜 시간동안 해상에 부유하므로, 그것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위치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해양 구조물에 파일(pile), 앵커(anchor) 등의 기초를 이용하는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858호 (공개일: 2018.03.28.)
파일을 이용하여 부유식 구조물을 계류하는 경우, 파일은 선체에 형성되어 있는 서포터(supporter)와 결합하여 선체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런데 서포터가 선체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일을 서포터에 결합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단계에서 파일과 서포트 구조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일 면(aspect)은,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레일(rail);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에 끼움 형성되며, 파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파일 인터페이스(pile interface); 및 상기 레일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를 고정시키는 걸림쇠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와 상기 파일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한다.
상기 레일은 양측에 각각 홈이 있는 I자 형태로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거나, 전면에 홈이 있는 ∩자 형태로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는, 상기 레일의 홈에 끼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 일측 또는 일면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T자 형태의 암(ar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는, 상기 T자 형태의 암이 상기 몸체부의 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T자 형태의 암의 양측에 상기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ㄱ자 형태의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형성되며, 회전 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쇠는 적어도 두 쌍 구비되며,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어느 한 쌍의 걸림쇠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한 쌍의 걸림쇠보다 상기 레일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걸림쇠의 아래에 형성되어 볼팅(bolting)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의 암과 상기 걸림쇠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선체와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볼팅을 이용하여 상기 선체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와 체결되는 상부 지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기 위해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와 체결되는 상기 파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레일과 파일 인터페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제1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레일과 파일 인터페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제2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걸림쇠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선체와 파일 인터페이스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선체와 파일 인터페이스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심이 깊지 않은 천해역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은 제티(jetty)나 돌핀(dolphin)에 계류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류 방법은 부유식 구조물의 운동을 크게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면 계류선을 제거하고 부유식 구조물을 대피시켜야 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파일을 이용한 계류 방법(pile mooring)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파일(pile)을 이용하여 선체(110)를 계류한다(mooring). 즉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10)를 계류할 때에 파일 무어링(pile mooring)을 이용한다.
파일 무어링은 해저의 지반에 파일을 관입시킴으로써 선체(11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계류 시스템보다 더 높은 환경 하중을 견뎌낼 수 있다. 또한 파일 무어링은 제티, 돌핀 등 기타 시설물 구축이 필요한 계류 시스템보다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파일 무어링은 선체(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파일과 서포터(supporter)를 체결시킨다. 그런데 서포터가 선체(110)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설치 단계에서 파일과 서포터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파일 무어링을 설치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10)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레일(rail)을 이용한 파일 서포트(pile support)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10), 레일(120) 및 파일 인터페이스(pile interface; 130)를 포함한다.
레일(120)은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선체(110)의 일측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파일 인터페이스(140)는 이러한 레일(120)과 결합하여 선체(110)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레일(120)은 단일 몸체로 이루어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레일(120)은 두 개 이상의 몸체들로 이루어진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일(120)을 구성하는 몸체는 I 자형, ∩ 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0)을 구성하는 몸체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몸체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일(120)은 선체(110)의 양측면에 적어도 두 개씩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레일(120)은 선체(110)의 양측면에 한 개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레일(120)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레일(12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레일(12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레일(120)에 끼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레일과 파일 인터페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제1 평면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3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두 개의 T 자형 암(arm)들(132, 133)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120)이 양측에 홈을 구비하는 I 자형 몸체로 형성되는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T 자형 암들(132, 133)을 통해 레일(120)에 끼움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3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개의 T 자형 암(134)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일(120)이 정면에 한 개의 홈을 구비하는 ∩ 자형 몸체로 형성되는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이 T 자형 암(134)을 통해 레일(120)에 끼움 형성될 수 있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31)의 비어 있는 공간으로는 파일이 삽입되어 선체(110)를 계류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런데 몸체부(131)의 비어 있는 공간으로 파일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파일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파일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몸체부(131)의 내부 공간에 롤러(roller; 135)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135)는 몸체부(131)의 내부면 각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롤러(135)는 몸체부(131)의 내부면 둘레에 걸쳐 형성되거나, 내부면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레일(120) 상에서 일정 지점까지 하강시킨 후 그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110)의 측면에 걸림쇠(140)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이러한 걸림쇠(140)에 의해 그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암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두 개의 T 자형 암들(132, 133)이 레일(120)에 끼움 형성되면서 동시에 걸림쇠(140)에 고정되는 역할도 한다.
반면 도 2의 (b)를 참조하면, T 자형 돌기(134)는 레일(120)에 끼움 형성될 뿐이다. 따라서 이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T 자형 돌기(134)의 양측에 ㄱ 자형 암들(136, 137)을 구비할 수 있다. ㄱ 자형 암들(136, 137)은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레일(120)로부터 바깥쪽 방향에 위치하는 걸림쇠(140)에 움직임 고정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0)이 단일 몸체로 형성되는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20)과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일(120)이 두 개의 몸체들로 형성되는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20)과 결합 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레일과 파일 인터페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제2 평면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레일(120)이 두 개의 I 자형 몸체들(121, 122)로 형성되는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도 2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31)와 두 개의 T 자형 암들(132, 133)을 구비하여 레일(1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레일(120)이 두 개의 ∩ 자형 몸체들(121, 122)로 형성되는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각각의 ∩ 자형 몸체(121, 122)에 끼움 형성될 수 있는 두 개의 T 자형 돌기들(134a, 134b)을 구비하여 레일(120)에 체결될 수 있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도 2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T 자형 돌기들(134a, 134b)의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ㄱ 자형 암들(136, 137)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레일(120)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고 있는 두 개의 ㄷ 자형 몸체들(121, 122)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도 3 (a)에 도시된 구조로 형성되어 레일(1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걸림쇠의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쇠(140)는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선체(110)를 파일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레일(120)을 통해 복수개의 파일 인터페이스(13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선체(110)의 측면 하부에 위치하는 걸림쇠(141a, 141b)는 레일(120)에 가깝게 형성하고, 선체(110)의 측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걸림쇠(142a, 142b)를 레일(120)로부터 멀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 위치하는 것(130a)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130b)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설치 단계에서 서포터 구조와 파일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선측에 서포터가 위치하지 않는다. 대신 선체 측면에는 레일(120)만 설치되어 있고 파일이 설치된 계류 포인트(point)에 갔을 때 그 레일(120)을 통해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내려 파일과 연결시키도록 한다.
레일(120)의 단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레일(120)의 홈에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끼워져 레일(120)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양단에 걸림쇠(140)에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암(arm)이 존재한다.
걸림쇠(140)는 레일(120) 양 옆으로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계산해 선체(110)에 미리 설치한다. 걸림쇠(140)의 위치와 개수는 선체(110)의 하중 및 환경 조건에 따른 운동 해석과 구조 해석 등을 통해 설계 단계에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선체(110)와 파일을 연결하여 선체(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때문에 큰 하중에 걸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120)에만 의존하지 않고, 선체(110)와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와 이를 받쳐주는 지지 구조도 제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선체와 파일 인터페이스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서 선체와 파일 인터페이스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걸림쇠(140) 위에 단순히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암(interface arm; 138, 139)이 놓여서 아래로 더 이동하지 못하게 걸치기만 하는 대신, 암(138, 139), 걸림쇠(140), 하부 지지 구조(153) 등을 볼팅(bolting; 151)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측도 너트(nut), 연결판 등 상부 지지 구조(152)를 대어 선체(110)의 측면에 수평하게/수직하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선체(110)와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연결 및 고정하여 선체(110)와 파일 인터페이스(130) 사이의 하중 전달 및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볼팅(151)을 이용하여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측을 상부 지지 구조(152)에 체결시키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6의 (a)는 선체(110)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시키는 경우의 예시이며, 도 6의 (b)는 선체(11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시키는 경우의 예시이다.
한편 선체(110)에 연결된 걸림쇠(140)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더 잘 받쳐주고 힘을 받아주기 위해 브라켓(bracket)과 같은 하부 지지 구조(153)를 그 하부에 달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부유식 구조물 110: 선체
120: 레일 130: 파일 인터페이스
135: 롤러 140: 걸림쇠
152: 상부 지지 구조 153: 하부 지지 구조

Claims (8)

  1.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레일(rail);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에 끼움 형성되며, 파일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파일 인터페이스(pile interface); 및
    상기 레일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를 고정시키는 걸림쇠
    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와 상기 파일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양측에 각각 홈이 있는 I자 형태로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거나, 전면에 홈이 있는 ∩자 형태로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는,
    상기 레일의 홈에 끼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 일측 또는 일면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T자 형태의 암(arm)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는, 상기 T자 형태의 암이 상기 몸체부의 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T자 형태의 암의 양측에 상기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ㄱ자 형태의 암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형성되며, 회전 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적어도 두 쌍 구비되며,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어느 한 쌍의 걸림쇠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한 쌍의 걸림쇠보다 상기 레일에 가깝게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의 아래에 형성되어 볼팅(bolting)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의 암과 상기 걸림쇠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구조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와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볼팅을 이용하여 상기 선체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와 체결되는 상부 지지 구조
    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80070003A 2018-06-19 2018-06-19 부유식 구조물 KR10207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03A KR102070846B1 (ko) 2018-06-19 2018-06-19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03A KR102070846B1 (ko) 2018-06-19 2018-06-19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32A true KR20190142832A (ko) 2019-12-30
KR102070846B1 KR102070846B1 (ko) 2020-01-29

Family

ID=6910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003A KR102070846B1 (ko) 2018-06-19 2018-06-19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354A (ja) * 1994-07-27 1996-02-13 Shirashima Sekiyu Bichiku Kk 浮揚体の係留装置
KR20100114186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101410372B1 (ko) * 2014-03-31 2014-06-24 김정민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20140131408A (ko) * 2013-05-02 2014-1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20180000858U (ko) 2016-09-20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핸드 레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354A (ja) * 1994-07-27 1996-02-13 Shirashima Sekiyu Bichiku Kk 浮揚体の係留装置
KR20100114186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20140131408A (ko) * 2013-05-02 2014-1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410372B1 (ko) * 2014-03-31 2014-06-24 김정민 파일가이드용 수상시설물 계류장치
KR20180000858U (ko) 2016-09-20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핸드 레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846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5481A (en) Non-rigid marine platform with surface wellheads
KR20130124457A (ko) 해저 정박 시스템 및 방법
WO2014113386A2 (en) Jack-up drilling unit with tension legs
GB2551379A (en) Upgrading subsea foundations of mooring systems
KR20160035816A (ko)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926737B1 (ko) 해상 부유체 계류장치
US4704049A (en) Process and arrangement for installing a pipeline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and pipeline thus produced
WO2014032106A1 (en) Buoy
JPS62218296A (ja) 引張り脚を有するプラツトホ−ムの支持装置
KR102070846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Mangiavacchi et al. Design Criteria Of Apile Founded Guyed Tower.
US3394672A (en) Apparatus for mooring floating structures
KR20190129480A (ko) 앵커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 시스템 및 방법
US20100054863A1 (en) Flex-Leg Offshore Structure
KR102128795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선체 계류용 조립체
KR102039689B1 (ko) 부유식 구조물
GB2153886A (en) Method of constructing offshore platform
CN207712261U (zh) 漂浮式水上光伏阵列固定装置
US20100166503A1 (en) Flex-leg Offshore Structure
KR20190134358A (ko) 부유식 구조물
AU2014100817A4 (en) Buoy
AU537441B2 (en) Rope guiding device
US11867149B2 (en) Offshore column tension leg platform
KR102070844B1 (ko)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