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337A -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337A
KR20190141337A KR1020180067962A KR20180067962A KR20190141337A KR 20190141337 A KR20190141337 A KR 20190141337A KR 1020180067962 A KR1020180067962 A KR 1020180067962A KR 20180067962 A KR20180067962 A KR 20180067962A KR 20190141337 A KR20190141337 A KR 2019014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tatic electricity
collecting means
electric field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252B1 (ko
Inventor
한상보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를 포함하는 대전체와의 접촉으로 상기 대전체의 정전기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대전체와 접촉되는 도체 성질을 갖는 제1 전극(1st electrode,110)과, 상기 제1 전극으로 이동된 정전기를 제2 전극으로 이동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제1 전극의 타측과 결합된 유전체(Dielectric material,120)와, 상기 유전체로 이동한 정전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유전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도체 성질을 갖는 제2 전극(2nd electrode,130)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2개로 구성된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과;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전계(electric field)를 형성시켜 정전기 수집량이 높아지도록 상기 정전기수집수단 각각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계수단(200)과;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의 제1 전극(110)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노출부(3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유전체(120), 제2 전극(130) 및 전계수단(200)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제1 전극(110) 간에 기중방전(air discharge)되도록 방전갭(Discharge gap)이 형성된 절연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Portable static electricity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의 접촉으로 발생한 정전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전기를 방전갭을 통해 기중방전(air discharge)시키도록 한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기(static electricity)는 전하(電荷)가 정지 상태에 있어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전기로서, 통상적으로 말하는 전기 즉, 움직이는 상태에 있는 전기를 뜻하는 동전기(dynamic electricity)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정전기가 생기는 원인은 마찰에 있으므로 정전기는 옛날부터 마찰전기로 알려져 왔다.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핵의 주변에는 전자들이 돌고 있는데, 이 전자들은 마찰을 통해 다른 물체로 이동을 한다. 우리 몸 또한 주변의 물체들과 접촉이 일어날 때마다 전자를 주고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전기가 조금씩 저장되는데, 적정 한도 이상 전기가 쌓이면 적절한 유전체에 닿았을 때 순식간에 불꽃을 튀며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기는 날씨가 건조한 겨울철에 사람들이 입고 있는 의복과 건조한 피부가 서로 마찰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순간 전압은 높지만 전류가 없어 감전의 위험은 없으나 불꽃이 튀며 순간적으로 전기가 통하는 것에 대한 자극은 불쾌감을 줄 수 있고, 또한 저전압에서 작동되는 반도체 등의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작업장에서 상기 정전기는 전자부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불쾌감없이 안전하게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156호에는 정전기방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용 액세서리가 제안된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475호에는 정전기방지구가 제안된 바 있다(도 1의 (가), (나) 참조).
먼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156호의 정전기방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용 액세서리는 휴대전화기(2)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재(10), 상기 연결부재(10)에 결합되어 있는 정전기방전모듈(20), 및 상기 정전기방전모듈(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기대전체(3)에 접속되는 도전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방전모듈(20)에는 상기 도전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체접속부(21)와 상기 접속부(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22) 사이에 상기 정전기방전모듈(20)을 통해 흐르는 정전기의 세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다수의 발광소자(23)와 이에 대응하는 분압저항(24)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475호의 정전기방지구는 저부로 홈(11)이 형성된 금속원판(10)의 상부로는 다이오드(21)와 저항(22)을 직렬로 납땜 결선하여 형성하되, 다이오드(21)의 일측이 금속기판(20)에 부착되도록 납땜하여 형성하며; 상기 금속원판(10)과 금속기판(20)의 상부로는 중앙부에 터치판(31)을 형성한 돔형커버(30)를 부착 고정하되, 상기 터치판(31)의 저부에는 상기 저항(22)의 일측단이 납땜으로 부착 고정되며; 상기 금속원판(10) 저부에 형성된 홈(11)의 내측으로는 탄성편(12)을 부착 고정하며; 상기 금속원판(10) 저부의 둘레부로는 박리지(41)를 갖는 양면테이프(40)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 중 정전기방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용 액세서리는 통전된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하여 발광소자 및 음향발생회로 등 불필요한 구성이 포함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전기방지구는 엘리베이터의 개폐스위치부나 자동차 문 손잡이부, 현광문의 손잡이부 등과 같은 도전성이 있는 부착물체에 부착하여 부착물체와 접지된 지면으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구조이므로 휴대할 수 없고, 도전성의 부착물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의 접촉으로 발생한 정전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전기를 기중방전(air discharge)시키도록 한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를 포함하는 대전체와의 접촉으로 상기 대전체의 정전기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대전체와 접촉되는 도체 성질을 갖는 제1 전극(1st electrode,110)과, 상기 제1 전극으로 이동된 정전기를 제2 전극으로 이동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제1 전극의 타측과 결합된 유전체(Dielectric material,120)와, 상기 유전체로 이동한 정전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유전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도체 성질을 갖는 제2 전극(2nd electrode,130)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2개로 구성된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과;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전계(electric field)를 형성시켜 정전기 수집량이 높아지도록 상기 정전기수집수단 각각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계수단(200)과;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의 제1 전극(110)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노출부(3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유전체(120), 제2 전극(130) 및 전계수단(200)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제1 전극(110) 간에 기중방전(air discharge)되도록 방전갭(Discharge gap)이 형성된 절연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30) 각각은, 금속전극(Metal electrode),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메쉬전극(Mesh electrod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10)은, 침상(針狀) 또는 봉상(棒狀)으로 돌출된 방전유도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계수단(200)은, 1차전지, 2차전지 또는 커패시터(Capacitor) 중에서 어느 하나의 종류가 선택되되, 정전기 수집량을 늘리도록 다수개가 직렬 및 병렬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는, 휴대 가능하고,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의 접촉으로 발생한 정전기를 유전체에 수집하고, 수집된 정전기를 기중방전(air discharge)시킴으로써,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및 전자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 및 (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전기 방지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정전기수집수단의 세부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정전기수집수단의 제1 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실시예 중 전계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st electrode,110), 유전체(Dielectric material,120) 및 제2 전극(2nd electrode,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2개로 구성된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전계수단(200) 및 절연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구성된 제1 전극(1st electrode,11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를 포함하는 대전체와의 접촉으로 상기 대전체의 정전기가 이동하여 수집되도록 일측이 상기 대전체와 접촉되고, 도체 성질을 갖는다.
여기서, 정전기(static electricity)를 가진 대전체 중 인체는 날씨가 건조한 겨울철에 사람들이 입고 있는 의복과 건조한 피부가 서로 마찰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도체와 같이 고유저항이 비교적 적은 물체를 접촉하면 인체에 대전된 전하가 이동하면서 방전하게 되는데 주로 물체와의 접촉이 잦은 손에서 발생하게 되며, 주로 차량 손잡이, 현관문 손잡이나 엘리베이터 스위치와의 접촉으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은 정전기를 가진 대전체와 접촉하여 정전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극으로 후술할 유전체(120) 및 제2 전극(130)을 통하여 정전기를 수집할 수 있다.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구성된 유전체(Dielectric material,12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으로 이동된 정전기를 제2 전극으로 이동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제1 전극의 타측과 결합된다.
여기서, 유전체(Dielectric material)란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 물체에 해당하는 절연체 중에서 세라믹, 고무, 종이, 운모 등과 같이 전기적으로 분극 현상이 일어나는 물체로서 전기를 유도하거나 축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 사이에 분극 현상의 전기를 유도(혹은 전달)하는 특성을 가진 고체상태의 유전체를 구성시킴으로써, 정전기를 가진 대전체로부터 방전되어 전달된 제1 전극(110)의 정전기가 불꽃을 튀며 순간적으로 방전되지 않고, 상기 유전체(120)에 수집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제1 전극에서 제2 전극으로의 전기의 유전율(permittivity)을 높이기 위해 구성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방지기구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상기 유전체(120)는 필름(film)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구성된 제2 전극(2nd electrode,13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를 경유한 정전기를 전달받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유전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도체 성질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100) 및 제2 전극(300) 각각은, 금속전극(Metal electrode),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메쉬전극(Mesh electrod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전극(Metal electrode)은 은(Ag), 구리(Cu), 백금(Pt),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이다. 그리고,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은 광 투과성과 도전성을 가지는 전극으로서 전기 화학 반응을 하면서 생성물의 흡수 스펙트럼을 관찰하는 것이 용이하여 반응 중간체의 동정, 속도론적 해석, 반응 메커니즘 해명의 수단으로서의 활용성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생체 관련 물질의 산화-환원 거동과 각종 재료의 일렉트로크로미즘 연구용 등과 같은 생화학 분야나 태양 전지, 액정표시 패널용 등과 같은 전기전자 분야에서 투명 전극에 대한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화주석(SnO,SnO2), 산화인듐(In2O,In2O3), 백금(Pt), 금(Au), ITO(Indium Tin Oxide, 산화인듐주석), CNT(Carbon Nano Tube, 탄소나노튜브)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메쉬전극(Mesh electrode)은 가느다란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그물망(mesh) 형태(혹은 메쉬 형태)를 구성하도록 하고, 그물망의 선 부분으로 전기가 통하게 하고 그물망의 눈 부분으로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극으로서, 이러한 메쉬 형태의 전극 재료로서 실버나노입자잉크, 실버나노와이어 등이 사용되고, 금속전극의 금속이 메쉬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메쉬 전극을 이루는 선들의 밀도가 높을수록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영역이 늘어나므로 도전성은 향상되는 반면 선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늘어나므로 광 투과성이 저하되므로, 도전성 및 광 투과성을 적절히 최적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에 금속전극(Metal electrode),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메쉬전극(Mesh electrod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30)은 열(thermal) 증착법, 아크, 레이저, 전자빔이나 스퍼터링법에 의해 상기 유전체(200)의 양면에 증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열(thermal) 증착법이란 금속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증발시켜 그 증기로 금속을 박막상(薄膜狀)으로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진공 증착이라고도 하며, 이외에도 물리적 기상 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의 방식에 따라 레이저 증착, 전자빔 증착 및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이 있다.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은 진공증착법의 일종으로 비교적 낮은 진공도에서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이온화한 아르곤 등의 가스를 가속하여 타깃에 충돌시켜 목적의 원자를 분출, 그 근방에 있는 기판상에 막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은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를 포함하는 대전체와의 접촉으로 상기 대전체의 정전기를 수집하도록 일측이 상기 대전체와 접촉되는 도체 성질을 갖는 제1 전극(1st electrode,110)과, 일측이 상기 제1 전극의 타측과 결합된 유전체(Dielectric material,120)와, 상기 유전체로 이동하여 수집된 정전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유전체의 타측과 결합되고, 도체 성질을 갖는 제2 전극(2nd electrode,130)으로 이루어진다.
전계수단(200)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전계(electric field)를 형성시켜 정전기 수집량이 높아지도록 상기 정전기수집수단 각각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계수단(200)은 1차전지, 2차전지 또는 커패시터(Capacitor) 중에서 어느 하나의 종류가 선택되되, 정전기 수집량을 늘리도록 다수개가 직렬 및 병렬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1차전지는 방전한 뒤 충전으로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 화학반응을 하는 전지이고, 2차전지는 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로서, 친환경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니켈-카드뮴, 리튬이온, 니켈-수소, 리튬폴리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커패시터(Capacitor)는 정전 용량을 얻기위해 사용하는 부품으로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중요한 소자이며, 전하를 저장하는 용도 즉, 축전하는 용도로도 사용하므로 콘덴서(Condenser) 혹은 축전기로도 불리우고,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 유전체층과 금속 전극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일체 소결하여 얻어진 대용량의 콘덴서인 적층 콘덴서 (multilayer capacito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차전지, 2차전지 또는 커패시터(Capacitor)을 통해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전계(electric field)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1차전지, 2차전지 또는 커패시터(Capacitor)를 다수개로 직렬 및 병렬로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구성시키는 이유는 전압 및 전하를 축적하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합성 정전용량(capacitance)이 높을수록 정전기 수집량을 늘릴 수 있으며, 정전기에 의한 역전계가 전계수단의 전계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정진기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계수단(200)이 다수개의 커패시터이고, 병렬 연결시 합성 정전용량(capacitance)은 각각의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의 합이고, 직렬 연결시 합성 정전용량 역수는 각각의 커패시터의 정전용량 역수의 합과 같다.
절연막(30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의 제1 전극(110)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노출부(3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유전체(120), 제2 전극(130) 및 전계수단(200)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제1 전극(110) 간에 기중방전(air discharge)되도록 방전갭(Discharge gap)이 형성된다. 방전갭(Discharge gap)이란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 두 전극을 접근하여 마주보게 배치한 폭이 좁은 방전 공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제1 전극(11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하여 상기 제1 전극(110)으로 각각 전달된 정전기가 공기 중으로 기중방전(air discharge)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전극(110)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 침상(針狀) 또는 봉상(棒狀)으로 돌출된 방전유도부(1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상기 방전유도부(111)를 통해 상기 방전갭(Discharge gap) 내에서 코로나방전(corona discharge)을 유도시켜 부분적으로 빠르게 기중방전(air discharge)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코로나방전(corona discharge)이란 기체 속 방전 즉, 기중방전(air discharge)의 한 형태로 한 쪽이나 양 쪽의 전극이 뾰족한 모양일 때 극 부분의 전기장이 강해져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극 사이의 일부에만 방전이 일어나고 있어서 아크 방전과 구분된다. 2개의 전극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불꽃을 발하기 이전에 전기장의 강한 부분만이 발광(發光)하여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현상을 말한다. 2개의 전극이 모두 평판 또는 지름이 큰 구(球)와 같은 경우의 전기장은 거의 균일하지만, 한쪽 극 또는 양극이 봉상(棒狀) 또는 침상(針狀)으로 되어 있으면, 그 극 부근의 전기장이 특히 강해져 부분적인 방전이 일어나 빛이나 소리를 낸다. 이와 같은 상태를 코로나 방전이라고 한다. 방전은 극 사이의 일부에 방전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며, 극 사이의 전역(全域)이 방전하고 있는 아크 방전과는 다르다.
또한,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전계수단(200) 및 절연막(100)으로 구성된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동전과 같이 라운드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전계수단(200)으로 1차 전지가 사용될 경우 라운드형 리튬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는, 휴대 가능하고,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의 접촉으로 발생한 정전기를 유전체에 수집하고, 수집된 정전기를 기중방전(air discharge)시킴으로써,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및 전자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100b : 정전기수집수단
110 : 제1 전극 120 : 유전체
130 : 제2 전극 200 : 전계수단
300 : 절연막

Claims (4)

  1. 정전기를 가진 사용자의 인체 또는 물체를 포함하는 대전체와의 접촉으로 상기 대전체의 정전기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대전체와 접촉되는 도체 성질을 갖는 제1 전극(1st electrode,110)과, 상기 제1 전극으로 이동된 정전기를 제2 전극으로 이동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제1 전극의 타측과 결합된 유전체(Dielectric material,120)와, 상기 유전체로 이동한 정전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유전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도체 성질을 갖는 제2 전극(2nd electrode,130)을 가지며, 상기 제2 전극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2개로 구성된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과;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에 전계(electric field)를 형성시켜 정전기 수집량이 높아지도록 상기 정전기수집수단 각각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계수단(200)과;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의 제1 전극(110)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노출부(3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유전체(120), 제2 전극(130) 및 전계수단(200)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정전기수집수단(100a,100b) 각각의 제1 전극(110) 간에 기중방전(air discharge)되도록 방전갭(Discharge gap)이 형성된 절연막(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30) 각각은,
    금속전극(Metal electrode),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메쉬전극(Mesh electrode)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110)은,
    침상(針狀) 또는 봉상(棒狀)으로 돌출된 방전유도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수단(200)은,
    1차전지, 2차전지 또는 커패시터(Capacitor) 중에서 어느 하나의 종류가 선택되되, 정전기 수집량을 늘리도록 다수개가 직렬 및 병렬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KR1020180067962A 2018-06-14 2018-06-14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KR10206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62A KR102065252B1 (ko) 2018-06-14 2018-06-14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62A KR102065252B1 (ko) 2018-06-14 2018-06-14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37A true KR20190141337A (ko) 2019-12-24
KR102065252B1 KR102065252B1 (ko) 2020-01-10

Family

ID=6902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62A KR102065252B1 (ko) 2018-06-14 2018-06-14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84A1 (ko) * 2021-04-07 2022-10-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 발전 소자를 이용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937A (ja) * 2005-12-28 2007-07-12 Pentel Corp 携帯型静電気除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84A1 (ko) * 2021-04-07 2022-10-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 발전 소자를 이용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252B1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0897A1 (en) Pulse plating of lithium material in electrochemical devices
CN104426412B (zh) 一种基于皮肤的电信号输出装置和电信号输出方法
KR101709161B1 (ko) 이차 전지 및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US10340556B2 (en) Battery cell, battery module, detection system, and determination system
KR20160118600A (ko) 도체―도체 간의 마찰전기 에너지 발전 소자
KR20180053772A (ko) 단극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110350237A (zh) 具有参考电极的二次蓄能元件
KR100326486B1 (ko) 이중전기층을가진캐패시터
JP2014036570A (ja) 雷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CN106026758B (zh) 发电机及其制备方法和发电机组
KR102065252B1 (ko) 휴대 가능한 정전기 방지기구
TWI464951B (zh) 集流體、 鋰離子電池電極及鋰離子電池
TW202044663A (zh) 可原位充電的儲能裝置
KR102038772B1 (ko) 휴대 가능한 정전기 충전기구
EP2437341A3 (en) Lithium ion storage device
US9281537B2 (en) Method of fabricating thin film electrodes including metal tubes filled with active material
JP4868066B2 (ja) イオン発生器
JP2010161001A (ja) 電気化学セル
TW200807479A (en) Penetration ionization chamber
CN101999734A (zh) 静电型表面清洁杀菌工具
JP2009231189A (ja) 蓄電デバイスの電圧分布評価方法及び評価治具
JPH10247516A (ja) 全固体リチウム電池
CN111026290B (zh) 显示装置及显示终端
CN109154488B (zh) 测量二次电池的电极的厚度变化的设备和其中安装有所述设备的二次电池
KR100476655B1 (ko) 전기화학 제너레이터 소자 및 대응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