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325A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325A
KR20190141325A KR1020180067932A KR20180067932A KR20190141325A KR 20190141325 A KR20190141325 A KR 20190141325A KR 1020180067932 A KR1020180067932 A KR 1020180067932A KR 20180067932 A KR20180067932 A KR 20180067932A KR 20190141325 A KR20190141325 A KR 20190141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hull
chain
mooring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844B1 (ko
Inventor
박태윤
김정
김현호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8Stoppers for anch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선체의 수평 방향 운동과 더불어 선체의 수직 방향 운동도 구속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 선체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서포터; 각각의 서포터와 결합하는 파일; 복수개의 서포터 중 적어도 두 개의 서포터의 측벽에 형성되는 체인 스토퍼; 및 체인 스토퍼를 통해 서포터와 해저면에 연결되어 선체의 히브 운동을 제어하는 무어링 체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 {Floater}
본 발명은 파일(pile)을 이용하여 계류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원유,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해양 구조물이 해상에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오랜 시간동안 해상에 부유하므로, 그것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위치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해양 구조물에 파일(pile), 앵커(anchor) 등의 기초를 이용하는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8834호 (공개일: 2014.04.24.)
파일(pile)을 이용하여 부유식 구조물을 계류하는 경우, 파일은 선체에 형성되어 있는 서포터(supporter)와 결합하여 선체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파일을 이용하여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 무어링(pile mooring)은 선체의 수평 방향 운동을 구속할 뿐이며, 선체의 수직 방향 운동을 구속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체의 수평 방향 운동과 더불어 선체의 수직 방향 운동도 구속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일 면(aspect)은,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서포터(supporter); 각각의 서포터와 결합하는 파일(pile); 상기 복수개의 서포터 중 적어도 두 개의 서포터의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 및 상기 체인 스토퍼를 통해 상기 서포터와 해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히브 운동을 제어하는 무어링 체인(mooring chain)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 스토퍼는 상기 복수개의 서포터 중 두 개의 서포터의 측벽에 형성되는 경우,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서포터와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서포터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인 스토퍼는 각각의 서포터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어링 체인에서 상기 서포터와 해저면을 연결하고 남은 부분은 상기 선체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체인 스토퍼는, 가운데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홈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홀; 상기 홈의 내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홀; 및 핀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무어링 체인이 상기 몸체부의 홈으로 끼움 형성되면, 상기 제1 홀, 상기 무어링 체인의 제3 홀 및 상기 제2 홀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상기 무어링 체인을 상기 서포터에 고정시키는 체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 스토퍼는 상기 무어링 체인을 미리 정해진 높이까지 권상시킨 후에 상기 서포터에 고정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체인 스토퍼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체인 스토퍼를 이용하여 무어링 체인과 서포터를 상호 연결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체인 스토퍼를 이용한 무어링 체인과 서포터 간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심이 깊지 않은 천해역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은 제티(jetty)나 돌핀(dolphin)에 계류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류 방법은 부유식 구조물의 운동을 크게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면 계류선을 제거하고 부유식 구조물을 대피시켜야 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파일을 이용한 계류 방법(pile mooring)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파일(pile)을 이용하여 선체(110)를 계류한다(mooring). 즉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10)를 계류할 때에 파일 무어링(pile mooring)을 이용한다.
파일 무어링은 해저의 지반에 파일을 관입시킴으로써 선체(11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계류 시스템보다 더 높은 환경 하중을 견뎌낼 수 있다. 또한 파일 무어링은 제티, 돌핀 등 기타 시설물 구축이 필요한 계류 시스템보다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파일 무어링은 선체(110)의 수평 방향 운동(ex. surge, sway 등)을 구속할 뿐, 선체(110)의 수직 방향 운동(ex. heave)을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욱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선체(110)의 상하 운동(heave motion)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추가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이를 위해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서포터(supporter)에 해저면과 연결되는 무어링 체인(mooring chain)을 설치하여 선체(110)의 수직 방향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10), 파일(120), 서포터(130), 무어링 체인(140) 및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 150)를 포함한다.
파일(120)은 기둥 형태의 것으로서,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해 선체(110)의 측면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파일(120)은 선체(11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외압(ex. 파도)에 대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선체(110)를 유효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파일(120)은 강철(steel)을 소재로 하는 강성 지지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120)은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에 한 개씩 구비되거나, 선체(110)의 일측에만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이 선체(110)의 양측에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 구비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개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 뿐만 아니라 전방, 후방 등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체(110)의 각 측에 구비되는 파일(120)의 개수는 한 개이거나 그 이상(두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선체(110)의 각 측에는 동일한 개수의 파일(120)이 구비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개수의 파일(12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방향에서 선체(110)를 효과적으로 계류하기 위해 파일(120)이 선체(110)의 적어도 양측에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일(120)은 그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파일(120)은 그 단면이 타원형인 타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그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해저의 지반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해저의 지반에 관입되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폭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파일(120)은 ㅗ 형태, Δ 형태, ↓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파일(120)은 앵커(anchor)와 결합하여 해저의 지반에 관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선체(110)에 탑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파일(120)은 선체(110)에 탑재된 채 선체(110)가 계류될 장소로 이동하여 해당 장소에서 선체(110)를 계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120)은 선체(110)에 탑재되지 않고, 선체(110)가 계류될 장소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터(130)는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파일(120)과 결합하여 선체(110)를 계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포터(130)는 파일(120)과의 결합을 통해 선체(110)를 고정시키기 위해 파일(120)이 선체(110)의 측면에 밀착되면 이 파일(1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포터(130)는 ㄷ 형태로 파일(1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서포터(13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거나 삿갓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터(130)는 파일(12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관통 홀(hole)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터(130)는 그 양측이 선체(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120)은 서포터(130)의 관통 홀을 통해 상측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서포터(13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선체(1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파일(120)은 힌지에 의해 서포터(130)의 일측이 개방(open)될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서포터(130)의 관통 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서포터(130)의 일측은 파일(120)을 삽입한 후 선체(110)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가 장착될 수도 있다.
서포터(130)는 파일(120)과 결합되는 것임을 참작하여, 파일(120)과 동일한 개수만큼 선체(1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 개 이상의 파일(120)이 한 개의 서포터(13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서포터(130)는 이 점을 고려하여 파일(120)보다 적은 개수로 선체(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서포터(130)와 관련한 제조 비용을 감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110)에 대한 각 파일(1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개의 파일(120)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서포터(13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서포터(130)는 선체(110)의 측면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포터(130)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터(130)는 파일(120)과 마찬가지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서포터(130)와 파일(120)이 모두 철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는 경우, 파도, 해일 등에 의해 서포터(130) 내에서 파일(120)이 움직일 때마다 서포터(130)와 파일(120) 사이에 마찰력이 생겨 서포터(130)와 파일(120)이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관통 홀이 형성된 서포터(130)의 내주면에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소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스펀지와 같은 완충재가 서포터(13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무어링 체인(140)은 선체(110)의 수직 방향 운동, 즉 히브 운동(heave motion)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무어링 체인(140)은 이를 위해 서포터(130)와 해저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무어링 체인(140)은 한 개의 파일(120)과 체결되는 복수개의 서포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어링 체인(140)은 선체(110)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서포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무어링 체인(140)은 복수개의 서포터(130) 중 어느 하나의 서포터(130)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서포터(130) 중 어느 하나의 서포터(130)에만 연결되는 경우, 무어링 체인(140)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서포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무어링 체인(140)은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서포터(130)에 연결되거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서포터(13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선체(11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서포터(130)가 세 개 이상인 경우, 무어링 체인(140)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서포터(130)와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서포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어링 체인(140)은 그 일단부가 서포터(130)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해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무어링 체인(140)은 그 일단부가 선체(110)의 체인 로커(chain locker)에 수납되고, 그 타단부가 해저면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무어링 체인(140)은 그 중간부가 서포터(130)에 연결된다. 즉, 무어링 체인(140)에서 서포터(130)에 연결되고 남은 체인이 선체(110)의 체인 로커에 보관될 수 있다.
무어링 체인(140)은 고정용 핀을 이용하여 체인을 서포터(130)에 고정시킴으로써 서포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무어링 체인(140)은 서포터(130)의 일측면(ex. 정면)에 장착되어 있는 체인 스토퍼(150)를 통해 서포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체인 스토퍼(150)는 무어링 체인(140)과 서포터(130)를 상호 연결시킬 때, 무어링 체인(140)을 통과시킨 후 원하는 높이까지 권상시킨 후에 무어링 체인(140)과 서포터(13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체인 스토퍼(150)는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강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인 스토퍼(150)는 서포터(130)로부터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볼팅(bolting), 용접(welding) 등을 통해 서포터(130)의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체인 스토퍼(150)는 서포터(1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인 스토퍼(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51), 제1 홀(152), 제2 홀(153) 및 체인 고정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부유식 구조물에 구비되는 체인 스토퍼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몸체부(151)는 가운데 부분에 홈(1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1 홀(152)은 이러한 홈(155)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되며, 제2 홀(153)은 홈(155)의 내부면 타측에 형성된다.
체인 고정부(154)는 핀 형태의 것이다. 체인 고정부(15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51)의 홈(155)으로 무어링 체인(140)이 끼움 형성되면, 제1 홀(152), 무어링 체인(140)의 제3 홀 및 제2 홀(153)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무어링 체인(140)을 서포터(130)에 고정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체인 스토퍼를 이용하여 무어링 체인과 서포터를 상호 연결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어링 체인(140)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서포터(130)에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무어링 체인(140)은 선체(11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모든 서포터(13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체인 스토퍼를 이용한 무어링 체인과 서포터 간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아래쪽(하단)에 위치하는 제1 서포터(131)에만 체인 스토퍼(150)를 설치하는 경우, 무어링 체인(140)에 작용하는 프리텐션(pre-tension)에 의해 체인 스토퍼(150)가 연결된 제1 서포터(131)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한다. 즉, 제1 서포터(131)에만 체인 스토퍼(150)를 부착하는 경우, A 지점에서 하방으로 프리텐션 T가 100% 부하된다. 그래서 제1 서포터(131)와 선체(110) 사이에 응력이 집중되어 제1 서포터(131)가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프리텐션 T로 인해 체인 스토퍼(150)가 부착된 제1 서포터(131)에 발생할 수 있는 큰 하중은 무어링 체인(140)을 제1 서포터(131)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 서포터(132), 제3 서포터(133) 등에도 연결함으로써 그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단의 체인 스토퍼(150)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체인 스토퍼(150)는 하단에 위치하는 제1 서포터(131)와 위쪽(상단)에 위치하는 제2 서포터(132)에 각각 부착된다. 제1 서포터(131)와 제2 서포터(132)에 부착된 체인 스토퍼(150)를 통해 무어링 체인(140)을 서포터(131, 132)에 연결하면, 하중이 이중으로 분산될 수 있다.
즉, A 지점에서는 하방으로 프리텐션 T가 작용하고, 상방으로 프리텐션 T1이 작용한다. 또한 C 지점에서는 하방으로 프리텐션 T1이 작용한다. 이때 A 지점에서의 프리텐션 T1과 C 지점에서의 프리텐션 T1이 상쇄되면서, 제1 서포터(131)와 제2 서포터(132)로 전달되는 하중(모멘트)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경우처럼 특정 서포터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체인 스토퍼(150)는 가운데 부분(중단)에 위치하는 제3 서포터(133)에 추가로 부착된다. 제1 서포터(131), 제2 서포터(132), 제3 서포터(133) 등에 각각 부착된 체인 스토퍼(150)를 통해 무어링 체인(140)을 서포터(131, 132, 133)에 연결하면, 하중이 삼중으로 분산될 수 있다.
즉, A 지점에서는 하방으로 프리텐션 T가 작용하고, 상방으로 프리텐션 T1이 작용한다. 또한 B 지점에서는 하방으로 프리텐션 T1이 작용하고, 상방으로 프리텐션 T2가 작용한다. 또한 C 지점에서는 하방으로 프리텐션 T2가 작용한다. 이때 A 지점에서의 프리텐션 T1과 B 지점에서의 프리텐션 T1이 상쇄되고, B 지점에서의 프리텐션 T2와 C 지점에서의 프리텐션 T2가 상쇄되면서, 제1 서포터(131), 제2 서포터(132), 제3 서포터(133) 등에 전달되는 하중이 도 5의 경우보다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 무어링을 이용하는 부유식 구조물(100)에서 선체(110)의 히브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체인 스토퍼(150)를 이용하여 서포터(130)와 무어링 체인(140)을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서포터(130), 각각의 서포터(130)에 부착되는 체인 스토퍼(150) 등을 이용함으로써 각 구간에 걸리는 장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유식 구조물(100)은 체인 스토퍼(150)를 이용하여 다수의 서포터(130)의 측벽에 무어링 체인(140)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해저면과 가장 아래쪽의 제1 서포터(131)를 무어링 체인(140)으로 연결하면, 제1 서포터(131)에 아래 방향으로 프리텐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제1 서포터(131)와 선체(110) 사이에 큰 하중이 가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서포터(131)와 그 위의 서포터(ex. 제2 서포터(132), 제3 서포터(133) 등)를 상방향으로 무어링 체인(140)으로 연결하여, 제1 서포터(131)의 위쪽 방향으로 프리텐션을 일부러 가함으로써, 제1 서포터(131)에서 아래 방향의 프리텐션과 위 방향의 프리텐션이 모두 발생하여 그 두 힘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부유식 구조물 110: 선체
120: 파일 130: 서포터
140: 무어링 체인 150: 체인 스토퍼
151: 몸체부 152: 제1 홀
153: 제2 홀 154: 체인 고정부

Claims (6)

  1.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서포터(supporter);
    각각의 서포터와 결합하는 파일(pile);
    상기 복수개의 서포터 중 적어도 두 개의 서포터의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 및
    상기 체인 스토퍼를 통해 상기 서포터와 해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히브 운동을 제어하는 무어링 체인(mooring chain)
    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스토퍼는 상기 복수개의 서포터 중 두 개의 서포터의 측벽에 형성되는 경우,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서포터와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서포터의 측벽에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스토퍼는 각각의 서포터의 측벽에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 체인에서 상기 서포터와 해저면을 연결하고 남은 부분은 상기 선체의 내부에 보관되는, 부유식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스토퍼는,
    가운데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홈의 내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홀;
    상기 홈의 내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홀; 및
    핀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무어링 체인이 상기 몸체부의 홈으로 끼움 형성되면, 상기 제1 홀, 상기 무어링 체인의 제3 홀 및 상기 제2 홀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상기 무어링 체인을 상기 서포터에 고정시키는 체인 고정부
    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스토퍼는 상기 무어링 체인을 미리 정해진 높이까지 권상시킨 후에 상기 서포터에 고정시키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80067932A 2018-06-14 2018-06-14 부유식 구조물 KR102070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32A KR102070844B1 (ko) 2018-06-14 2018-06-14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32A KR102070844B1 (ko) 2018-06-14 2018-06-14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25A true KR20190141325A (ko) 2019-12-24
KR102070844B1 KR102070844B1 (ko) 2020-01-29

Family

ID=6900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32A KR102070844B1 (ko) 2018-06-14 2018-06-14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087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용 체인 고정장치
KR20140048834A (ko) 2012-09-12 2014-04-24 한국과학기술원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해상플랫폼 및 그의 설치방법
KR20150067868A (ko) * 2013-12-10 2015-06-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플랜트의 계류설비 구조
KR101555362B1 (ko) * 2015-02-16 2015-09-25 주식회사 아이랜드 부유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087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용 체인 고정장치
KR20140048834A (ko) 2012-09-12 2014-04-24 한국과학기술원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해상플랫폼 및 그의 설치방법
KR20150067868A (ko) * 2013-12-10 2015-06-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플랜트의 계류설비 구조
KR101555362B1 (ko) * 2015-02-16 2015-09-25 주식회사 아이랜드 부유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844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24B2 (en) Floating, modular deepwater platform and method of deployment
US6910831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pile anchor
US4696603A (en) Compliant offshore platform
US20140205383A1 (en) Jack-up drilling unit with tension legs
OA11610A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US5054415A (en) Mooring/support system for marine structures
CN103708002A (zh) 潜标滑轮系泊系统
US7140319B2 (en) Pile anchor with external vanes
KR102070844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39692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474169B1 (ko) 앵커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 시스템
KR102128795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선체 계류용 조립체
KR102138802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90130223A (ko) 부유식 구조물
GB2436240A (en) Pile anchor with single planar external vane
US5884576A (en) Mooring arrangement
KR102070837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39689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095318B1 (ko) 부유식 구조물
WO1999010228A1 (en) Anchoring system for vessels
KR102070846B1 (ko) 부유식 구조물
CN102046458A (zh) 配合
US20240140566A1 (en) Offshore platform with vertical column assembly
KR20180002620U (ko) 앵커장치
JP2017053175A (ja) 杭式構造物の地盤流動対策構造及びそ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