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874A - 접이식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874A
KR20190140874A KR1020190081101A KR20190081101A KR20190140874A KR 20190140874 A KR20190140874 A KR 20190140874A KR 1020190081101 A KR1020190081101 A KR 1020190081101A KR 20190081101 A KR20190081101 A KR 20190081101A KR 20190140874 A KR20190140874 A KR 2019014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coupled
hand res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지트
Priority to KR102019008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0874A/ko
Publication of KR2019014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2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attached or incorporated article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6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forearm rests, i.e. for non-us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손을 대고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의 손받침대(210); 손받침대(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ㄷ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의 4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전면과 후면 수직프레임들(240);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밑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4개의 바퀴(260); 및 손받침대(210)의 양쪽 측면부를 지지하고, 양쪽 측면부의 전면과 후면 수직프레임들(24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역 U형 높이조절 프레임(250);을 포함하고, 수직프레임들(240) 각각은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다.

Description

접이식 보행보조기{Foldable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접이식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행보조기는 관절염, 하지 절단, 고도의 비만, 외상성 관절 좌상, 인공관절치환술 등에 기인하여 직립보행시 자세 균형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보행 장애인을 위한 자세 균형 재활 훈련에 주로 활용되며, 이런 환자 외에도 보행이 비정상적인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보행을 보조하는 장치로 많이 활용된다.
보행보조기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의 보행보조기가 도 1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도 1과 같은 보행보조기를 사용해 환자나 노약자의 보행을 돕지만, 이런 환자나 노약자가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경우, 보행보조기를 같이 운방해야만 하고, 이 경우 도 1과 같은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운반장치, 예컨대 자동차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많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경우, 좌우 방향 접이식과 전후 방향 접이식이 있으며, 좌우 방향 접이식의 경우 주로 엑스자(X자) 링크 구조를 이용해 의자에 위치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좌우로 접힐 수 있는 방식으로 되어 있고, 전후 방향 접이식의 경우에 하나의 힌지를 중심으로 접거나 복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접히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기존의 접이식 보행보조기는 링크에 연결된 손잡이를 잡고 움직이면서 접는 방식이 일반적이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자가 접고펴는데 상당한 불편함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쉽게 접고 펼수 있는 접이식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환자나 노약자등의 보행을 돕기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환자가 손을 대고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의 손받침대(10);
상기 손받침대(10)의 양측 밑면을 지지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ㄷ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20,30);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메인프레임(20)의 후방 상단부(22)와 제2 메인프레임(30)의 후방 하단부(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후면 수직프레임(40);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메인프레임(20)의 후방 하단부(24)와 제2 메인프레임(30)의 후방 상단부(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후면 수직프레임(50); 및
상기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0,30)의 밑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4개의 바퀴(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후면 수직프레임(40,50) 각각은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며;
상기 손받침대(10)는 제2 메인프레임(30)의 윗변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메인프레임(20)의 윗변에는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후면 수직프레임(50)에 돌출부(52)가 형성되고, 손받침대(10)의 밑면에는 상기 돌출부(52)에 맞물릴 수 있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손받침대(10)의 한쪽을 제1 메인프레임(20)에서 분리한 뒤 제1, 제2 메인프레임들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2)이 돌출부(52)에 맞물려 손받침대(10)가 고정되는 접이식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이런 보행보조기는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메인프레임(20)의 전방 상단부(26)와 제2 메인프레임(30)의 전방 하단부(3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정이 가능한 제1 전면 수직프레임(44)과,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2 메인프레임(30)의 전방 상단부(37)와 제1 메인프레임(20)의 전방 하단부(2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정이 가능한 제2 전면 수직프레임(54), 제1 후면 수직프레임(40)과 제1 전면 수직프레임(44)을 연결하는 제1 중간지지대(46)와 제2 후면 수직프레임(50)과 제2 전면 수직프레임(54)을 연결하는 제2 중간지지대(56)의 어느 한쪽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쪽 중간지지대(46,56)에 지지되는 시트(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면 수직프레임(40)에 제2 돌출부(42)가 형성되고 시트(70)에는 제2 돌출부(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72)이 형성되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홈(72)이 제2 돌출부(42)에 결합되어 시트(70)가 고정되면 바람직하다.
또, 제1, 제2 메인프레임(20,30) 각각의 전면부에 나란하게 보강프레임(20',30')을 형성하고, 이들 보강프레임들도 서로 교차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0,30)의 중간 부위에 단턱부(27)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7)에 중앙부가 접히는 구조의 지지프레임(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3)에 다목적 바구니(1)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나 노약자등의 보행을 돕기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환자가 손을 대고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의 손받침대(110);
상기 손받침대(110)의 양측 밑면을 지지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ㄷ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120,130);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메인프레임(120)의 후방 상단부(122)와 제2 메인프레임(130)의 후방 하단부(1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후면 수직프레임(140);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메인프레임(120)의 후방 하단부(124)와 제2 메인프레임(130)의 후방 상단부(1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후면 수직프레임(150); 및
상기 제1, 제2 메인프레임들(120,130)의 밑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4개의 바퀴(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후면 수직프레임(140,150) 각각은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며;
상기 손받침대(110)의 중앙에 피봇부(112)가 형성되고, 보행보조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피봇부(11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대(115)가 피봇부(112)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피봇부(112)가 아래로 접히면서 손받침대(110)가 접히는 접이식 보행보조기도 제공한다.
이런 보행보조기가 제1, 제2 메인프레임(120,130)의 밑변을 연결하고 중앙부가 피봇 가능한 하단 지지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나 노약자등의 보행을 돕기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환자가 손을 대고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의 손받침대(210);
상기 손받침대(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ㄷ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의 4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전면과 후면 수직프레임들(240);
상기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밑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4개의 바퀴(260); 및
상기 손받침대(210)의 양쪽 측면부를 지지하고, 양쪽 측면부의 전면과 후면 수직프레임들(24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역 U형 높이조절 프레임(25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들(240) 각각은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며;
상기 손받침대(210)가 한쪽은 2개의 높이조절 프레임(250) 중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은 나머지 높이조절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손받침대의 다른쪽을 분리한 뒤 메인프레임들을 완전히 접을 수 있는 접이식 보행보조기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나 노약자등의 보행을 돕기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환자가 손을 대고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의 손받침대(310);
상기 손받침대(310)의 양측 밑면을 지지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ㄱ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320,330);
상기 메인프레임들(320,330)의 하단부에서 메인프레임들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위치하며 중앙부가 분리되어 접힐 수 있는 시트(370);
상기 시트(370)를 지지하도록 메인프레임들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중앙부가 피봇되는 구조의 시트프레임(372);
상기 시트프레임(372)의 양쪽 측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방으로 수평으로 뻗는 2개의 보강프레임(374);
상기 시트프레임(372)의 전면에 연결되어 L 형상으로 아래로 뻗었다가 후방으로 뻗는 2개의 하단프레임(376);
상기 메인프레임들(320,330)과 보강프레임들(374)과 하단프레임들(376)의 후단부에 연결되되, 메인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의 후단부에는 회동 가능하게, 보강프레임의 후단부에는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정이 가능한 2개의 후면 수직프레임(340); 및
상기 하단프레임의 밑변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4개의 바퀴(360);를 포함하고,
한쪽 후면 수직프레임(340)에 돌출부(352)가 형성되고, 손받침대(310)의 밑면에는 상기 돌출부(352)에 맞물릴 수 있는 걸림턱(312)이 형성되어, 손받침대(310)의 한쪽을 제1 메인프레임(320)에서 분리한 뒤 제1, 제2 메인프레임들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312)이 돌출부(352)에 맞물려 손받침대(310)가 고정되고, 시트(370)도 접히는 접이식 보행보조기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는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고펼 수 있으며, 운반을 위해 완전히 접을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운반시 차지하는 공간도 크게 절감되므로, 종래의 보행보조기에 비해 운반이 아주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1 실시예로서, 2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2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2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2 실시예로서, 3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3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3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3 실시예로서, 4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4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4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4 실시예로서, 5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5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5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5 실시예로서, 6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6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6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6 실시예로서, 7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7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7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7 실시예로서, 8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8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8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몇가지 보행보조기의 사용례.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1 실시예로서, 2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2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2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보조기는 환자나 노약자등이 손이나 팔을 대고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의 손받침대(10)를 포함한다. 손받침대(10)는 손을 받치기 쉽도록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받침대(10)의 밑에는 ㄷ자 형태의 2개의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0,30)이 예컨대 중간 부분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채 설치된다. 이렇게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20,30)의 윗변에 손받침대(10)의 양쪽 가장자리 밑면이 지지되는데, 보행보조기를 접을 수 있도록 손받침대 한쪽은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쪽은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컨대, 손받침대(10)가 제2 메인프레임(30)의 윗변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메인프레임(20)의 윗변에는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다.
교차결합된 상태의 메인프레임들(20,30)의 후방에 2개의 수직프레임들(40,50)이 설치된다. 즉, 제1 메인프레임(20)의 후방 상단부(22)와 제2 메인프레임(30)의 후방 하단부(34)에 제1 후면 수직프레임(40)이 연결되고, 제1 메인프레임(20)의 후방 하단부(24)와 제2 메인프레임(30)의 후방 상단부(32)에 제2 후면 수직프레임(50)이 연결된다. 이들 후면 수직프레임들(40,50)은 보행보조기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보행보조기를 접을 수 있도록, 도 2B~C와 같이, 화살표(X1)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길이조정이 가능하고 메인프레임의 단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즉, 제1, 제2 후면 수직프레임(40,50) 각각은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조정이 가능하다.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0,30)의 밑변의 양단부에 4개의 바퀴(6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런 바퀴의 구조와 구성에 대해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2 후면 수직프레임(50)에 돌출부(52)가 형성되고, 손받침대(10)의 밑면에는 돌출부(52)에 맞물릴 수 있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손받침대(10)의 한쪽을 제1 메인프레임(20)에서 분리한 뒤 제1, 제2 메인프레임들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걸림턱(12)이 돌출부(52)에 맞물려 손받침대(1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2 실시예로서, 3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3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3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더 보강하고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를 배치해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메인프레임(20,30)의 전면에도 수직프레임들(44,54)을 더 설치하고, 중간에 시트(70)를 추가로 배치한다.
즉, 제1 메인프레임(20)의 전방 상단부(26)와 제2 메인프레임(30)의 전방 하단부(36)에 회동 가능하게 제1 전면 수직프레임(44)을, 제2 메인프레임(30)의 전방 상단부(37)와 제1 메인프레임(20)의 전방 하단부(28)에 회동 가능하게 제2 전면 수직프레임(54)을 연결한다. 이들 전면 수직프레임들도 후면 수직프레임들과 마찬가지로 길이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또, 제1 후면 수직프레임(40)과 제1 전면 수직프레임(44)을 연결하는 제1 중간지지대(46)와 제2 후면 수직프레임(50)과 제2 전면 수직프레임(54)을 연결하는 제2 중간지지대(56)에 시트(70)를 설치한다. 이 시트는 손받침대(10)와 마찬가지로 양쪽 중간 지지대의 어느 한쪽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중간지지대에는 분리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3B~C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손받침대(10)와 겹쳐지도록 손받침대와는 반대쪽 부분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B~C와 같이, 접힌 상태의 시트(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후면 수직프레임(40)에 제2 돌출부(42)가 형성되고 시트(70)에는 제2 돌출부(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72)이 형성되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홈(72)이 제2 돌출부(42)에 결합되어 시트(70)가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2 돌출부(42)가 다른쪽 수직프레임(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3 실시예로서, 4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4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4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도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더 보강하여 안정성을 강화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메인프레임(20,30) 각각의 전면부, 즉 정면부에 나란하게 뒷쪽으로 각각 보강프레임(20',30')을 형성하고, 이들 보강프레임들도 서로 교차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구조로 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교차결합된 메인프레임의 구조가 강화되어 사용자가 더 안전하게 보행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4 실시예로서, 5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5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5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0,30)의 중간 부위에 단턱부(27)가 형성된다. 즉, 도 5A에서 보듯이, 적당한 지점, 예컨대, 전체 높이의 2/3 정도 되는 높이에서 메인프레임들(20,30)이 앞으로 돌출되어 단턱부(27)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단턱부(27)에 별도의 지지프레임(33)을 설치한다. 이 지지프레임(33)은 도 5B~C와 같이 중앙부가 접히는 구조로 한다. 지지프레임(33)에 다목적 바구니(1)를 설치한다. 이런 다목적 바구니(1)는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며, 도 5B~C와 같이 접히는 구조에 대응되게, 지지프레임(33) 양쪽에 각각 하나씩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5 실시예로서, 6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6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6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해 손받침대(110)의 구조가 다르다. 즉, 이 실시예의 손받침대는 메인프레임에서 분리되지 않고 중앙 부분이 접히는 구조를 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받침대(110)의 양측 밑면을 지지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ㄷ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120,130)이 설치되고,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메인프레임(120)의 후방 상단부(122)와 제2 메인프레임(130)의 후방 하단부(1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후면 수직프레임(140)과,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메인프레임(120)의 후방 하단부(124)와 제2 메인프레임(130)의 후방 상단부(1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후면 수직프레임(150)은 제1 실시예와 구조와 기능이 동일하다. 4개의 바퀴(160)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단, 손받침대(110)의 중앙에 피봇부(112)가 형성되고, 보행보조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피봇부(11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버팀대(115)가 피봇부(112)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A와 같이, 이 버팀대(115)는 사용자가 손받침대(110)를 누를 때 손받침대의 피봇부(112)가 접히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6B~C와 같이 보행보조기를 접을 때는, 버팀대(115)가 회전축(119)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피봇부(112)를 벗어나 손받침대를 접을 수 있다.
또, 보행보조기가 필요 이상으로 좌우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구조를 보강하기 위해, 제1, 제2 메인프레임(120,130)의 밑변을 하단 지지대(117)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하단지지대(117)도 중앙부가 접힐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6 실시예로서, 7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7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7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손받침대(21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 접을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손받침대(210)의 하부에 ㄷ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위치하고, 이들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다. 도 7A에서 보듯이,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4 모서리에 4개의 전면과 후면 수직프레임들(24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들 수직프레임들은 자체적으로도 전술한 실시예처럼 상하 프레임들이 압수 결합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마찬가지로,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밑변의 양단부에 4개의 바퀴(260)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역 U형 높이조절 프레임들(250)이 손받침대(210)의 양쪽 측면부를 지지하는데, 이들 높이조절 프레임들은 그 밑에 위치하는 4개의 수직프레임들(24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결합되는 양쪽 프레임들에 다수의 구멍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이 구멍에 볼트형 고정구를 결합하여, 손받침대(210)를 필요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구체적으로 파단선으로 표시된 높이와 실선으로 표시된 높이와 같이 손받침대(210)를 화살표(X2) 방향으로 움직여 필요한대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앞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손받침대(210)가 한쪽은 2개의 브라켓(250) 중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은 나머지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도 7B~C와 같이 손받침대의 다른쪽을 분리한 뒤 메인프레임들을 완전히 접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이식 보행보조기의 제7 실시예로서, 8A는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8B는 접힌 상태의 전방사시도, 8C는 접힌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사용자나 다른 사람이 앉아서 휴식할 수 있는 시트(370)를 별도로 설치한 점에서 앞의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ㄱ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320,330)이 손받침대(310)의 양측 밑면을 지지한다. 이런 메인프레임들(320,330)의 하단부에서 메인프레임들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시트(370)가 배치되는데, 이 시트는 보행보조기의 접힘을 방해하지 않도록 중앙부가 분리되어 접힐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370)는 시트프레임(372)에 의해 지지되는데, 시트프레임은 메인프레임들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접힐 수 있도록 중앙부가 피봇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프레임(372)의 양쪽 측면부에 후방으로 수평으로 뻗는 2개의 보강프레임(374)이 연결되는데, 보강프레임(374)과 시트프레임(372)은 보행보조기의 접힘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시트프레임(372)의 전면에 L 형상으로 아래로 뻗었다가 후방으로 뻗는 2개의 하단프레임(376)이 연결된다.
이런 메인프레임들(320,330)과 보강프레임들(374)과 하단프레임들(376)의 후단부에 2개의 후면 수직프레임(340)이 연결되어 전체 구조물을 지지한다. 보행보조기의 접는 기능을 위해, 이런 수직프레임(340)은 메인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의 후단부에는 회동 가능하게, 보강프레임의 후단부에는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수직프레임(340) 각각은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정이 가능하다. 또, 하단프레임의 밑변의 양단부에 4개의 바퀴(360)가 설치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쪽 후면 수직프레임(340)에 돌출부(352)가 형성되고, 손받침대(310)의 밑면에는 돌출부(352)에 맞물릴 수 있는 걸림턱(312)이 형성된다. 도 8B~C와 같이, 손받침대(310)의 한쪽을 제1 메인프레임(320)에서 분리한 뒤 제1, 제2 메인프레임들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걸림턱(312)이 돌출부(352)에 맞물려 손받침대(310)가 고정되고, 시트(370)도 접힌다.
도 9는 이렇게 구성된 보행보조기의 몇가지 사용례를 보여준다.
도 9A~B는 기본형인 도 2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환자가 보행보조기 안에 들어가 손받침대(10)에 팔을 얹고 걸어다닐 수 있다.
도 9C는 도 3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환자가 시트(70)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9D는 도 8의 제7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환자가 시트(370)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1)

  1. 환자나 노약자등의 보행을 돕기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환자가 손을 대고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의 손받침대(210);
    상기 손받침대(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 ㄷ자 형태의 제1 및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
    교차결합된 상태의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의 4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전면과 후면 수직프레임들(240);
    상기 제1, 제2 메인프레임들(220,230)의 밑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4개의 바퀴(260); 및
    상기 손받침대(210)의 양쪽 측면부를 지지하고, 양쪽 측면부의 전면과 후면 수직프레임들(24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역 U형 높이조절 프레임(25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들(240) 각각은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며;
    상기 손받침대(210)가 한쪽은 2개의 높이조절 프레임(250) 중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은 나머지 높이조절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손받침대의 다른쪽을 분리한 뒤 메인프레임들을 완전히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행보조기.
KR1020190081101A 2019-07-05 2019-07-05 접이식 보행보조기 KR20190140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01A KR20190140874A (ko) 2019-07-05 2019-07-05 접이식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01A KR20190140874A (ko) 2019-07-05 2019-07-05 접이식 보행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251A Division KR101999921B1 (ko) 2018-06-12 2018-06-12 접이식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74A true KR20190140874A (ko) 2019-12-20

Family

ID=6906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101A KR20190140874A (ko) 2019-07-05 2019-07-05 접이식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08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947A (ko) * 2020-09-04 2022-03-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947A (ko) * 2020-09-04 2022-03-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004B2 (en) Mobility aiding device
US4371183A (en) Folding wheel-chair
US5419571A (en) Wheel chair with provisions for patient walker
US5364120A (en) Mobility aid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JP5635101B2 (ja) 歩行器兼用車椅子
US5605169A (en) Collapsible walker with a retractable seat
US20160106617A1 (en) Walker for Disabled Persons
EP0007955A1 (en) Collapsible frame for a stroller.
US20080029138A1 (en) Walking aid
KR101999921B1 (ko) 접이식 보행보조기
TWI221129B (en) Baby carriage
JP2004508116A (ja) 後傾機能を備えた縦方向に折畳み可能な車椅子
TW201507718A (zh) 移動支撐組件
KR102047630B1 (ko) 접이식 보행보조기
KR20190140874A (ko) 접이식 보행보조기
KR20190140873A (ko) 접이식 보행보조기
US20020070533A1 (en) Foldable rollator with transport feature
JP2503312B2 (ja) 歩行補助器
KR101019660B1 (ko) 보행 보조기
US20220331190A1 (en) Walker with a foldable foot rest or collapsible step
AU2008250921A1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TWI649076B (zh) 移動支撐組件
GB2124556A (en) Foldable pushchair
JP4403567B2 (ja) 車椅子の車台
JP2521316Y2 (ja)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