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746A -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746A
KR20190140746A KR1020180067629A KR20180067629A KR20190140746A KR 20190140746 A KR20190140746 A KR 20190140746A KR 1020180067629 A KR1020180067629 A KR 1020180067629A KR 20180067629 A KR20180067629 A KR 20180067629A KR 20190140746 A KR20190140746 A KR 2019014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transmission
charging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083B1 (ko
Inventor
정학근
백종복
배국열
오세승
박석인
김규덕
유승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6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0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송전선로로 연결되는 수전장치와 발전장치 사이의 재생에너지 송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상기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전장치로부터 상기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1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에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에서, 상기 송전선로의 길이 및 상기 누적송전량에 비례적으로 결정되는 송전비용에서 상기 송전량과 상기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패널티적으로 결정되는 불일치비용이 추가되도록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COMPENSATING METHOD OF ELECTRICITY GENERATION AMOUNT, CHARGING METHOD OF ELECTRICITY RECEIVING AMOUNT AND CHARGING METHOD OF ELECTRICITY TRANSMITTING AMOUNT}
본 실시예는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에너지부족, 화석연료의 사용에 의한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다각도로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공급의무자들에게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량을 할당하는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제도이다. 여기서, 공급의무자는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설비용량을 운용하는 사업자로서, 대체적으로 상업적으로 대규모 발전소를 운용하는 발전사업자가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공급의무자들은 RPS를 맞추기 위해 자체적으로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소를 건설하기도 하지만, 다른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로부터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량을 매입하는 형태로 RPS를 충족시키기도 한다.
후자는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로 알려진 방식으로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은 공급의무자들을 대신하여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량을 공급하고 그 대가로서 공급의무자들로부터 보상금을 받는 방식이다.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은, 발전부지비용, 발전인허가비용, 발전소건설비용 등 다양한 비용이 초기에 발생하게 되는데, REC를 활용하게 되면, 공급의무자들은 이러한 초기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RPS를 충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발전부지 등을 활용하여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고 그 대가로서 보상금을 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상호 간의 이익 결합에 의해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이 촉진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RPS제도는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있으나, 공급의무자에게 강제적으로 할당량을 부여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그 증대폭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RPS제도에 의한 할당량은 매년 1%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공급의무자들의 비용부담이 있기 때문에 할당량의 증대폭을 무리하게 올리기는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른 시스템의 도입이 촉구된다. 새롭게 도입되어야 하는 시스템은 정부의 강제적인 정책에 의한 것이 아닌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보상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 재생에너지의 수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과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재생에너지의 송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하부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송전선로로 연결되는 수전장치와 발전장치 사이의 재생에너지 송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상기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전장치로부터 상기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1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에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에서, 상기 송전선로의 길이 및 상기 누적송전량에 비례적으로 결정되는 송전비용에서 상기 송전량과 상기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패널티적으로 결정되는 불일치비용이 추가되도록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제2과금구간 동안 상기 수전량에서 상기 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수전비용을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3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에서 상기 수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송전량에 전력판매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에서, 매시점에서의 상기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된 패널티금액을 상기 제1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전량으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해당되는 상기 송전량에 대해서는 상기 패널티금액을 부과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송전망을 통해 수전장치와 연결되는 복수의 발전장치의 송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제1과금구간 동안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하여 상기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에 대한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과금구간 동안 각각의 발전장치의 상기 송전량의 총합(총송전량)과 상기 총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대한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하여, 상기 수전장치에 이르는 송전선로의 길이 및 상기 누적송전량에 비례적으로 상기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제2과금구간 동안 상기 총수전량에서 상기 총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수전비용을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매시점에서의 상기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된 패널티금액을 상기 제1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송전선로를 통해 수전장치로 재생에너지를 송전하는 발전장치의 발전량을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상기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전장치로부터 상기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 중 상기 수전량을 초과하지 않은 전력량(적합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RE(Renewable Energy)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 혹은 상기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과 상기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을 누적한 누적불일치전력량에 대한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에서 상기 수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초과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송전량에 대한 전력판매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E보상금 및 상기 전력판매금이 추가되고, 상기 송전비용 및 상기 불일치비용이 차감되도록 발전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되는 패널티금액을 상기 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송전량이 상기 수전량보다 작은 경우의 패널티금액(마이너스패널티금액)이 상기 송전량이 상기 수전량보다 큰 경우의 패널티금액(플러스패널티금액)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RE보상금의 단가가 상기 전력판매금의 단가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송전망을 통해 복수의 발전장치로부터 재생에너지를 수전하는 수전장치의 수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과금구간 동안 상기 총수전량에서 각각의 발전장치의 상기 송전량의 총합(총송전량)을 초과하지 않은 전력량(적합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RE(Renewable Energy)수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총수전량에서 상기 총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초과수전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대한 일반수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과수전량에 비례적으로 설정되는 부족분보상금액을 상기 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불일치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E수전비용 및 상기 일반수전비용이 추가되고, 상기 불일치보상금이 차감되도록 수전비용을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수전량 과금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총수전량을 복수의 수전량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상기 수전량을 매칭시켜 각각의 발전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가능량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전량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송전가능량에 비례적으로 상기 수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수전량과 상기 송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을 누적한 누적불일치전력량을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전량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해 상기 누적불일치전력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수전량의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RE100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처리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송전량 과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서 수전량과 송전량에 따른 불일치비용의 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서 송전거리에 따른 발전단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서 발전량에 따른 발전단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송전량 과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4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4는 제4실시예에 따른 발전량 보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수전량 과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4실시예에서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매칭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RE100이란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모두 재생에너지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의미한다. RE100을 추구하는 기업은 제품이 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되었음을 광고함으로써 제품이미지 혹은 기업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고, 소비자들은 RE100에 의한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재생에너지에 의한 제품 생산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RE100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E100시스템은 발전장치(10), 송전선로(20) 및 수전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장치(10)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로서, 태양광발전장치, 풍력발전장치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전장치(10)에 ESS(Energy Storage System)장치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의 RE100시스템의 개념에서는 RE100을 추구하는 기업이 수전장치(30)의 인근에 발전장치(10)를 건설하고, 수전장치(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발전장치(10)로부터 공급받았다. 수전장치(30)의 수전량과 발전장치(10)의 발전량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발전장치(10) 내에는 ESS장치가 더 포함되기도 하였다.
한편, 이러한 발전장치(10)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발전부지가 필요하고, 초기건설비용이 필요하게 되는데, 수전장치(30)의 인근에 대규모의 발전부지를 마련하는 것은 쉽지 않고, 자금회전을 중시하는 기업의 특성상 발전장치(10)를 위해 초기건설비용을 대규모로 투입하는 것도 쉽지는 않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종래 RE100시스템은 잘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데,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전장치와 수전장치를 분리된 형태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발전장치(110), 송전선로(120) 및 수전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전선로(1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송전선로(도 1의 20 참조)와 다른 형태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송전선로(도 1의 20 참조)는 기업의 내부 전력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송전선로(120)는 외부 전력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외부 전력망은, 예를 들어, 전력사업자가 소유한 상업전력망으로서, 이러한 외부 전력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력사업자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발전장치(110)가 임의로 발전전력을 송전선로(120)로 송신할 수 없으며, 수전장치(130)가 임의로 송전선로(12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없다.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발전장치(110), 송전선로(120) 및 수전장치(130)는 서로 다른 주체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장치(110)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에 의해 운용되고, 송전선로(120)는 송전사업자에 의해 운용되고, 수전장치(130)는 수전사업자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발전장치(110)와 수전장치(130)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발전장치(11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송전선로(120)를 통해 수전장치(130)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때, 수전장치(130)를 운용하는 주체에게는 수전비용이 부과되고, 발전장치(110)를 운용하는 주체에게는 발전보상금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발전장치(110)는 발전전력을 송신하는 과정에서 송전선로(120)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송전되는 전력량에 대해 송전선로(120)의 운용 주체에게 송전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전장치(130)의 주체는 수전비용에 해당되는 비용을 지불하면서 재생에너지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발전장치(110)의 주체는 발전보상금에서 송전비용을 차감한 만큼의 발전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며, 송전선로(120)의 주체는 송전비용만큼의 송전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3주체의 이익이 서로 조화가 되는 방향으로 시스템(100)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전장치(110)에서 생산된 전력이 모두 수전장치(130)로 송신되거나 수전장치(1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모두 발전장치(110)로부터 유래되는 경우, 시스템(10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나, 발전장치(110)의 발전량과 수전장치(130)의 수전량이 불일치하는 경우, 송전선로(120)의 전압 혹은 전류가 교란되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송전선로(120)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100)은 수전장치(130)의 수전량을 초과하는 발전장치(110)의 발전량이 송전선로(120)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300)은 발전장치(310), 송전선로(320), 수전장치(330) 및 저장장치(3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전장치(330)는 송전선로(320)를 통해 수신되는 수전량(A)을 계측하고, 수전량(A)을 실시간적으로 다른 장치-예를 들어, 발전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발전장치(310)는 수전장치(330)의 수전량(A)을 확인하고, 발전량 중 수전량(A) 이하에 해당하는 전력량은 송전선로(320)로 송신하고, 수전량(A)을 초과하는 초과발전량(B)은 내부 전력망에 연결된 저장장치(340)로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처리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전장치는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S400).
그리고, 발전장치는 수전장치의 수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S401).
그리고, 발전장치는 발전량이 수전량(A)을 초과하는지 확인하고(S402), 수전량(A)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S402에서 YES), 발전량을 송전선로로 송전할 수 있다(S404).
그리고, 발전장치는 발전량이 수전량(A)을 초과하는 경우(S402에서 NO), 수전량(A)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내부 전력망에 연결된 부하를 통해 소비할 수 있다(S410).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500)은 발전장치(310), 송전선로(320), 수전장치(330) 및 저장장치(340)를 포함하고, 중앙장치(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전장치(310)는 발전기(512), 송전미터기(514), 송전제어기(516)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수전장치(330)는 부하(532), 수전미터기(534), 수전제어기(5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전장치(330)는 부하(532)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송전선로(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부하(532)로 공급되는 수전량은 수전미터기(534)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수전제어기(536)는 수전미터기(534)를 통해 수전량을 확인하고, 수전량을 발전장치(310)의 송전제어기(516)로 송신하거나 중앙장치(550)로 송신할 수 있다.
수전량이 중앙장치(550)로 송신되는 경우, 중앙장치(550)는 수전량을 발전장치(310)에 맞도록 재계산한 후 발전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전장치(330)로 복수의 발전장치(310)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서 중앙장치(550)는 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310)에 매칭되도록 (서브)수전량으로 분할하고, (서브)수전량을 각 발전장치(310)의 송전제어기(516)로 송신할 수 있다.
송전제어기(516)는 수신되는 수전량 혹은 (서브)수전량을 확인하고, 발전기(512)의 발전량 중에서 수전량 혹은 (서브)수전량 이하에 해당되는 전력량을 송전선로(320)로 송신하고, 이를 초과하는 전력량을 저장장치(3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송전제어기(516)는 송전미터기(514)를 통해 확인되는 송전량을 중앙장치(55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중앙장치(550)는 발전장치(310)로부터 확인되는 송전량과 수전장치(330)로부터 확인되는 수전량을 비교하여 송전이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실시예는 하드웨어적으로 발전장치에서 송전선로로 초과발전량을 송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에 관한 것인데, 시스템은 비용을 통해 송전선로에 과도한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600)은 발전장치(610), 송전선로(620), 수전장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전장치(630)는 송전선로(620)를 통해 수신되는 수전량(A)을 계측하고, 수전량(A)을 실시간적으로 다른 장치-예를 들어, 발전장치(610)-로 송신할 수 있다.
발전장치(610)는 수전장치(630)의 수전량(A)을 확인하고, 발전량 중 수전량(A) 이하에 해당되는 전력량을 송전선로(620)로 송신하도록 노력할 수 있으나, 발전량 중 수전량(A)을 초과하는 일부의 전력량(B)은 송전선로(620)로 송신될 수 있다.
이때, 과금주체는 수전장치(630)의 주체에 수전량(A)에 대응되는 수전비용을 과금하고, 발전장치(610)의 주체에 송전량에 대응되는 송전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그리고, 과금주체는 발전장치(610)에 대하여 송전량과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패널티적으로 결정되는 불일치비용을 추가적으로 과금할 수 있다.
여기서, 과금주체는 일종의 서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과금주체의 과금행위는 서버가 과금액을 결정하는 것 혹은 더 나아가서 서버가 결정된 과금액을 전자적으로 발전장치(610)의 주체 혹은 수전장치(630)의 주체에게 고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과금체계에 의하면, 발전장치(610)는 불일치비용을 추가적으로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송전량과 수전량이 최대한 일치하도록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송전량 과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전선로에서의 송전량을 과금하는 장치(이하 '과금장치'라 함)는 수전장치로부터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700). 수전장치의 총수전량은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매칭되어 분할될 수 있는데, 과금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총수전량을 바탕으로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수전량이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동일하게 분할되는 경우, 과금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확인하고, 총수전량을 발전장치의 수로 나누어서 각각의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혹은,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일정 비율이 사전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경우, 과금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별 비율을 곱해서 각각의 발전장치별 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과금장치는 전술한 것과 같은 계산을 통해 각각의 발전장치별 수전량을 확인할 수도 있고, 수전장치로부터 각각의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수신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발전장치로부터 각각의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702). 발전장치는 총송전량을 복수의 수전장치로 나누어서 매칭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매칭은 과금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발전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과금장치는 발전장치로부터 총송전량을 수신하고, 총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별로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총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별로 매칭시키는 것은 전술한 내용에서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매칭시키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금장치는 총송전량을 수전장치의 수로 나누어서 각각의 수전장치별로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할 수도 있고, 각각의 수전장치별로 일정 비율이 사전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경우, 과금장치는 발전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총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별 비율을 곱해서 각각의 수전장치별 송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과금장치는 전술한 것과 같이 계산을 통해 각각의 수전장치별 송전량을 확인할 수도 있고, 발전장치로부터 각각의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수신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제1과금구간 동안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에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할 수 있다(S704).
송전망이용금 과금단계(S704)에서, 과금장치는 송전선로의 길이 및 누적송전량에 비례적으로 송전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송전량과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불일치전력량에 패널티적으로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송전비용에서 불일치비용이 추가되도록 송전망이용금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제2실시예에서 수전량과 송전량에 따른 불일치비용의 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전량(810)은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이때, 발전장치는 송전량(820)이 수전량(810)을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발전장치 내의 제어다이나믹이나 발전장치와 수전장치 사이의 통신딜레이에 의해 송전량(820)이 수전량(810)을 정확히 추종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발전장치는 발전된 전력을 소비하거나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전력을 송전선로로 송신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송전량(820)이 수전량(810)과 불일치할 수 있다.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장치(과금장치)는 송전량(820)과 수전량(810)의 불일치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불일치비용을 과금함으로써 발전장치가 좀더 정교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과금장치는 매시점에서의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되는 패널티금액을 제1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과금장치는, 제어적인 한계를 고려하여, 수전량으로부터 일정 범위에 해당되는 송전량(도 8에서 상한과 하한 사이의 송전량)에 대해서는 패널티금액을 부과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이러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불일치전력량(830)에 대하여 불일치비용을 부과할 수 있다.
한편, 송전량이 수전량보다 작은 경우의 패널티금액(마이너스패널티금액)이 송전량이 수전량보다 큰 경우의 패널티금액(플러스패널티금액)보다 클 수 있다. 송전량이 수전량보다 작은 경우는 수전장치가 RE100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는데, 마이너스패널티금액은 수전장치의 이러한 피해를 고려하여 플러스패널티금액보다 크게 책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제2과금구간 동안 수전량에서 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수전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누적초과수전량은 실질적으로 발전장치에서 비롯된 전력이 아니고 다른 장치에 의해 송전선로에 투입되는 전력이기 때문에 과금장치는 이러한 누적초과수전량에 대해 별도로 비용(수전비용)을 부과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과금구간은 제1과금구간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제3과금구간 동안 송전량에서 수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송전량에 전력판매금을 제공할 수 있다. 누적초과송전량은 실질적으로 수전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은 아니고 송전선로에 연결된 다른 장치에 의해 소비된 전력량으로서, 과금장치는 다른 장치로 전력을 송전한 것을 보상하기 위해 누적초과송전량에 전력판매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발전장치는 수전장치와 적절한 거리에 배치됨으로써 과도한 송전선로의 이용을 방지할 수 있고, 송전량과 수전량의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송전선로의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제2실시예에서 송전거리에 따른 발전단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전장치와 수전장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송전거리의 증가에 따라 발전단가가 증가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송전비용은 송전선로의 길이(송전거리)에 비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송전비용의 특성을 반영할 경우, 발전장치의 발전단가(910)는 송전거리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곡선을 나타낼 수 있다.
발전보상단가보다 발전단가가 높은 경우, 발전이익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시장의 원리에 따라 발전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데, 송전거리에 따라 발전단가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발전장치는 발전보상단가와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거리(L)보다 짧은 거리에 설치되게 된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서 발전량에 따른 발전단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전단가(1010)는 수전량(A)과 동일할 때 가장 낮고, 수전량(A)과의 차이가 증가할 수록 발전단가도 증가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불일치비용은 불일치전력량에 비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불일치비용의 특성을 반영할 경우, 발전장치의 발전단가(1010)는 수전량(A)과 동일할 때 가장 낮고, 수전량(A)과의 차이가 증가할 수록 발전단가도 증가할 수 있다.
발전보상단가보다 발전단가가 높은 경우, 발전이익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시장의 원리에 따라 발전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데, 불일치전력량에 따라 발전단가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발전장치는 송전량이 수전량과 같아지도록 송전량을 제어하게 된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스템(1100)은 발전장치(610), 송전선로(620), 수전장치(630), 저장장치(640) 및 과금장치(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장치(610)는 발전기(1112), 송전미터기(1114), 송전제어기(1116)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수전장치(630)는 부하(1132), 수전미터기(1134), 수전제어기(1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전장치(630)는 부하(1132)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송전선로(6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부하(1132)로 공급되는 총수전량은 수전미터기(1134)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수전제어기(1136)는 수전미터기(1134)를 통해 총수전량을 확인하고,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61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수전량을 발전장치(610)의 송전제어기(1116)로 송신하거나 과금장치(115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수전제어기(1136)가 과금장치(1150)로 총수전량을 송신하고, 과금장치(1150)가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61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수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610)로 송신할 수 있다.
발전장치(610)는 발전기(1112)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62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송전선로(620)로 송전되는 총송전량은 송전미터기(1114)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송전제어기(1116)는 송전미터기(1114)를 통해 총송전량을 확인하고, 총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63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송전량을 수전장치(630)의 수전제어기(1136)로 송신하거나 과금장치(115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송전제어기(1116)가 과금장치(1150)로 총송전량을 송신하고, 과금장치(1150)가 총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63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송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63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전제어기(1116)는 수전장치(630)의 수전량을 확인하고 발전기(1112)의 발전량 중에서 수전량 이하에 해당되는 전력량을 송전선로(620)로 송신하고, 이를 초과하는 전력량을 저장장치(6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과금장치는 불일치비용을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과금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수전장치로 송전하는 전체 발전장치에 대해 불일치비용을 과금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송전량 과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과금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1200).
그리고, 과금장치는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수전장치와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1202).
그리고, 과금장치는 제1과금구간 동안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하여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에 대한 송전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1204).
이러한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S1204)에서, 과금장치는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하여, 수전장치에 이르는 송전선로의 길이 및 누적송전량에 비례적으로 송전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제1과금구간 동안 각각의 발전장치의 송전량의 총합(총송전량)과 총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대한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1206).
이러한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S1206)에서, 과금장치는 매시점에서의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된 패널티금액을 제1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과금장치는 불일치비용을 각 발전장치의 불일치기여율에 따라 정산하고, 각 발전장치별로 송전비용에 정산된 불일치비용을 합쳐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할 수 있다(S1208).
여기서, 불일치기여율은 각 발전장치별로 누적된 누적불일치전력량의 비율로서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송전망이용금은 각 발전장치별로 개별적으로 과금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발전장치는 재생에너지를 수전장치로 공급함으로써 획득하는 발전보상금에서 송전망이용금을 차감하여 발전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보상금은 중계장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계장치는 발전보상금과 더불어 송전망이용금도 함께 관리함으로써 전체적인 비용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제4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스템(1300)은 발전장치(1310), 송전선로(1320), 수전장치(1330), 저장장치(1340) 및 중개장치(1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장치(1310)는 발전기(1312), 송전미터기(1314), 송전제어기(1316)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수전장치(1330)는 부하(1332), 수전미터기(1334), 수전제어기(13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전장치(1330)는 부하(1332)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송전선로(1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부하(1332)로 공급되는 총수전량은 수전미터기(1334)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수전제어기(1336)는 수전미터기(1334)를 통해 총수전량을 확인하고,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131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수전량을 발전장치(1310)의 송전제어기(1316)로 송신하거나 중개장치(135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수전제어기(1336)가 중개장치(1350)로 총수전량을 송신하고, 중개장치(1350)가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131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수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1310)로 송신할 수 있다.
발전장치(1310)는 발전기(1312)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132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송전선로(1320)로 송전되는 총송전량은 송전미터기(1314)에 의해 계측될 수 있다.
송전제어기(1316)는 송전미터기(1314)를 통해 총송전량을 확인하고, 총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133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송전량을 수전장치(1330)의 수전제어기(1336)로 송신하거나 중개장치(135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송전제어기(1316)가 중개장치(1350)로 총송전량을 송신하고, 중개장치(1350)가 총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1330)에 매칭되도록 분할한 송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송전량을 각각의 수전장치(133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전제어기(1316)는 수전장치(1330)의 수전량을 확인하고 발전기(1312)의 발전량 중에서 수전량 이하에 해당되는 전력량을 송전선로(1320)로 송신하고, 이를 초과하는 전력량을 저장장치(1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중개장치(1350)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정산하여 과금하고 발전장치(1310)로 발전보상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제4실시예에 따른 발전량 보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중개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1400). 중개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수신하고, 총수전량으로부터 각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각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수신할 수도 있다.
중개장치는 발전장치로부터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1402).
중개장치는 과금구간 동안 송전량 중 수전량을 초과하지 않은 전력량(적합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RE(Renewable Energy)보상금을 결정할 수 있다(S1404). RE보상금은 계약단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계약단가는 수전장치의 운용 주체와 발전장치의 운용 주체 사이의 계약단가일 수 있다. 중개장치는 이러한 계약단가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면서, 누적적합전력량에 계약단가를 적용시켜 RE보상금을 결정할 수 있다.
중개장치는 과금구간 동안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 혹은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송전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1406).
중개장치는 과금구간 동안 송전량과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을 누적한 누적불일치전력량에 대한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1408).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S1408)에서, 중개장치는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되는 패널티금액을 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불일치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S1408)에서, 중개장치는 송전량이 수전량보다 작은 경우의 패널티금액(마이너스패널티금액)이 송전량이 수전량보다 큰 경우의 패널티금액(플러스패널티금액)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중개장치는 과금구간 동안 송전량에서 수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초과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송전량에 대한 전력판매금을 결정할 수 있다(S1410). 이때, RE보상금의 단가는 전력판매금의 단가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보상금은 전력판매금에 일정 추가보상금이 더 더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 추가보상금은 일반적인 REC보상금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중개장치는 RE보상금 및 전력판매금이 추가되고, 송전비용 및 불일치비용이 차감되도록 발전보상금을 결정할 수 있다(S1412).
도 1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수전량 과금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중개장치는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1500).
그리고, 중개장치는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S1502).
그리고, 중개장치는 과금구간 동안 총수전량에서 각각의 발전장치의 송전량의 총합(총송전량)을 초과하지 않은 전력량(적합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RE(Renewable Energy)수전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1504).
그리고, 중개장치는 과금구간 동안 총수전량에서 총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초과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대한 일반수전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S1506).
그리고, 중개장치는 초과수전량에 비례적으로 설정되는 부족분보상금액을 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불일치보상금을 결정할 수 있다(S1508).
그리고, 중개장치는 RE수전비용 및 일반수전비용이 추가되고, 불일치보상금이 차감되도록 수전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S1510).
도 16은 제4실시예에서 총수전량을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매칭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중개장치는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가능량을 수신할 수 있다(S1600).
그리고, 중개장치는 과금구간 동안 수전량과 송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을 누적한 누적불일치전력량을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계산할 수 있다(S1604).
그리고, 중개장치는 수전장치의 총수전량을 복수의 수전량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수전량을 매칭시켜 각각의 발전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데(S1604), 이때, 중개장치는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수신한 송전가능량에 비례적으로 수전량을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해 누적불일치전력량이 증가할수록 수전량의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송전선로로 연결되는 수전장치와 발전장치 사이의 재생에너지 송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상기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전장치로부터 상기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1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에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에서,
    상기 송전선로의 길이 및 상기 누적송전량에 비례적으로 결정되는 송전비용에서 상기 송전량과 상기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패널티적으로 결정되는 불일치비용이 추가되도록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과금구간 동안 상기 수전량에서 상기 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수전비용을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3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에서 상기 수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송전량에 전력판매금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에서,
    매시점에서의 상기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된 패널티금액을 상기 제1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망이용금을 과금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전량으로부터 일정한 범위에 해당되는 상기 송전량에 대해서는 상기 패널티금액을 부과하지 않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6. 송전망을 통해 수전장치와 연결되는 복수의 발전장치의 송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제1과금구간 동안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하여 상기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에 대한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과금구간 동안 각각의 발전장치의 상기 송전량의 총합(총송전량)과 상기 총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에 대한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하여, 상기 수전장치에 이르는 송전선로의 길이 및 상기 누적송전량에 비례적으로 상기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2과금구간 동안 상기 총수전량에서 상기 총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수전비용을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매시점에서의 상기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된 패널티금액을 상기 제1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송전량 과금방법.
  9. 송전선로를 통해 수전장치로 재생에너지를 송전하는 발전장치의 발전량을 보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상기 발전장치에 매칭되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전장치로부터 상기 수전장치에 매칭되는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 중 상기 수전량을 초과하지 않은 전력량(적합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RE(Renewable Energy)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송전량 혹은 상기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송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과 상기 수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을 누적한 누적불일치전력량에 대한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송전량에서 상기 수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초과송전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송전량에 대한 전력판매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E보상금 및 상기 전력판매금이 추가되고, 상기 송전비용 및 상기 불일치비용이 차감되도록 발전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불일치전력량의 절대값에 비례적으로 설정되는 패널티금액을 상기 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일치비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송전량이 상기 수전량보다 작은 경우의 패널티금액(마이너스패널티금액)이 상기 송전량이 상기 수전량보다 큰 경우의 패널티금액(플러스패널티금액)보다 큰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E보상금의 단가가 상기 전력판매금의 단가보다 높게 설정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13. 송전망을 통해 복수의 발전장치로부터 재생에너지를 수전하는 수전장치의 수전량에 과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장치로부터 총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과금구간 동안 상기 총수전량에서 각각의 발전장치의 상기 송전량의 총합(총송전량)을 초과하지 않은 전력량(적합전력량)을 누적한 누적적합전력량에 대한 RE(Renewable Energy)수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총수전량에서 상기 총송전량을 초과하는 전력량(초과수전량)을 누적한 누적초과수전량에 대한 일반수전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과수전량에 비례적으로 설정되는 부족분보상금액을 상기 과금구간 동안 누적시켜 불일치보상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E수전비용 및 상기 일반수전비용이 추가되고, 상기 불일치보상금이 차감되도록 수전비용을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수전량 과금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총수전량을 복수의 수전량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상기 수전량을 매칭시켜 각각의 발전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생에너지 수전량 과금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송전가능량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전량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발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송전가능량에 비례적으로 상기 수전량을 결정하는 재생에너지 수전량 과금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구간 동안 상기 수전량과 상기 송전량의 차이에 해당되는 전력량(불일치전력량)을 누적한 누적불일치전력량을 각각의 발전장치별로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전량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발전장치에 대해 상기 누적불일치전력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수전량의 점유율을 감소시키는 재생에너지 수전량 과금방법.
KR1020180067629A 2018-06-12 2018-06-12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 KR10207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629A KR102075083B1 (ko) 2018-06-12 2018-06-12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629A KR102075083B1 (ko) 2018-06-12 2018-06-12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746A true KR20190140746A (ko) 2019-12-20
KR102075083B1 KR102075083B1 (ko) 2020-02-10

Family

ID=6906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629A KR102075083B1 (ko) 2018-06-12 2018-06-12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0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914A (ko) * 2006-08-29 2008-03-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전요금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2614A (ko) * 2014-08-20 2016-03-02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JP2016095863A (ja) * 2014-07-24 2016-05-26 三菱電機株式会社 需給制御装置、蓄電装置、充放電制御装置、需給制御システムおよび需給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914A (ko) * 2006-08-29 2008-03-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전요금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095863A (ja) * 2014-07-24 2016-05-26 三菱電機株式会社 需給制御装置、蓄電装置、充放電制御装置、需給制御システムおよび需給制御方法
KR20160022614A (ko) * 2014-08-20 2016-03-02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083B1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cciariello et al. Distributed generation and distribution pricing: Why do we need new tariff design methodologies?
Wang et al. Review of real-time electricity markets for integrating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d demand response
CN107240002B (zh) 一种电力交易方法、装置及微电网系统
US20090319415A1 (en) Momentary Power Market
JP6512503B2 (ja) 電力調整装置、電力調整方法、プログラム
Barth et al. Distribution of costs induced by the integration of RES-E power
CN103262115A (zh) 电力管理系统
US20180041037A1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JP2021106027A (ja) 電力管理装置、電力システム、需要家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Heo et al. Development of operator-oriented peer-to-peer energy trading model for integration into the existing distribution system
US20180137580A1 (en) Power station system, and server for power station system
JP5474716B2 (ja) 太陽光発電設備分譲システム
Lo et al. Towards reactive power markets. Part 1: reactive power allocation
MansourLakouraj et al. Optimal power management of dependent microgrid considering distribution market and unused power capacity
JP2021086312A (ja) 電力取引支援システム、電力取引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76948A (ja) 料金管理装置、料金管理方法及び料金管理システム
JP6698371B2 (ja) 電気料金管理装置、電気料金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naya et al. Reactive power procurement: lessons from three leading countries
Yao et al. Virtual Prosumers' P2P Transaction Based Distribution Network Expansion Planning
Akinbode A distribution-class locational marginal price (DLMP) index for enhanced distribution systems
KR102075083B1 (ko)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 보상방법, 수전량 과금방법 및 송전량 과금방법
Houghton et al. Solving the rate puzzle: the future of electricity rate design
Good et al. Business cases
Tribunal et al. Solar feed-in tariffs: setting a fair and reasonable value for electricity generated by small-scale solar PV units in NSW
WO2017035571A1 (en) Analysing smart meter data for solar or storage recomme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