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529A -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529A
KR20190140529A KR1020180062389A KR20180062389A KR20190140529A KR 20190140529 A KR20190140529 A KR 20190140529A KR 1020180062389 A KR1020180062389 A KR 1020180062389A KR 20180062389 A KR20180062389 A KR 20180062389A KR 20190140529 A KR20190140529 A KR 2019014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ot platform
energy savi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백
박재용
김환석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위키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0529A/ko
Publication of KR2019014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3차원 설비영상을 기반으로 설비 감지, 모니터링, 방범 및 재해 관리를 총괄적으로 관리하고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시나리오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설비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설비영상 생성부와, 설비 감시용 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3차원 설비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전달하고, 상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데이터 중계부; 상기 데이터 포맷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설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기업의 현장 설비에 대한 설비 감지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방범 및 재해 관리를 총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스마트 팩토리의 참조모델에 따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나리오 예측 모델을 설정하여 현장 설비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IoT 플랫폼; 및 상기 IoT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받은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지표와 데이터를 가공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Smart Factory Energy Saving System Using IoT Platform}
본 발명은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설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비 감지와 모니터링, 방범 및 재해 관리하고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려는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시나리오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 효율을 향상하는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 빌딩 등의 건물들은 대형화, 고기능화되어 감에 따라 공조, 위생, 전력, 조명, 방범 등의 각종 설비들이 복잡하게 설치되고 있다.
제조기업의 공장 운영은 각종 설비, 장비를 파트별로 개별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율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고 총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조기업의 에너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에 적합한 환경을 구축하려면 막대한 비용과 설비 투자가 뒤따르기 때문에 제조기업이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제조기업의 운영 관리와 설비 및 장비가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일률적인 스마트 팩토리 모델을 적용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652272호(2016.08.30. 공고)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 3차원 설비영상을 기반으로 설비 감지, 모니터링, 방범 및 재해 관리를 총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시나리오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 효율을 향상하는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설비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설비영상 생성부와, 설비 감시용 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3차원 설비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전달하고, 상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데이터 중계부; 상기 데이터 포맷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설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기업의 현장 설비에 대한 설비 감지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방범 및 재해 관리를 총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스마트 팩토리의 참조모델에 따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나리오 예측 모델을 설정하여 현장 설비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IoT 플랫폼; 상기 IoT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받은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지표와 데이터를 가공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3차원 설비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BIM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와, 상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플랫폼은 해당 제조기업의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복수 참조모델을 저장하는 참조모델 저장부와, 상기 복수 참조모델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예측모델을 설정하는 예측모델 설정부와, 상기 참조모델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참조모델 중 해당 제조기업의 참조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 참조모델 중 해당 제조기업의 참조모델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나리오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현장 설비에 대한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 통합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다 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3차원 설비 영상을 이용하여 설비 감시용 측정 장비와 센서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스마트 팩토리 구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시나리오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에너지 관리를 최적화함으로서 에너지 절감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참조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는 기초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 도 2b는 하위 중간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 도 2c는 상위 중간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 도 2d는 고도화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은 데이터 수집부(100), 데이터 중계부(200), IoT 플랫폼(300), 어플리케이션부(40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100)는 3차원 설비영상 데이터와 현장 설비에 설치된 센서 및 액츄에이터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3차원 설비영상 생성부(110)와, 센서(120) 및 액츄에이터(130)를 포함한다.
3차원 설비영상 생성부(110)는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제조기업의 현장 설비에 대한 3차원 설비영상을 생성한다. 3차원 설비영상 생성부(110)는 3차우너 영상 취득이 가능한 라이다 센서 또는 라이다 센서 기술이 적용된 3차원 스캐너 장비를 이용하여 3차원 설비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센서(120)는 동작과 운용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계측 장비와 감지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현장 설비의 온도, 압력, 전력량, 공정 진행 상황, 출하량 등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중계부(200)는 데이터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 3차원 설비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전달하고 아울러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210)를 구비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210)는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취득한 3차원 설비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후술하는 BIM/GIS 엔진(350)에서 처리할 수 있는 BIM 표준 포맷인 IFC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211)와, 센서(120) 및 액츄에이터(130)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212)를 포함한다.
IoT 플랫폼(300)은 인터페이스 장치(310), 저장부(320), 에너지 통합관리부(330), 관리단말(340), BIM/GIS 엔진(350), 참조모델 저장부(360), 예측모델 설정부(370)를 포함한다.
BIM/GIS 엔진(350)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211)에 의해 포맷 변환된 설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장 설비의 3차원 데이터에 대한 정합 또는 머지 등 데이터 가공 처리를 수행한다.
에너지 통합 관리부(330)는 BIM/GIS 엔진(350)에 의해 가공 처리된 3차원 공간 기반상에서 설비 감지,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범 및 재해 관리를 수행하며, 긴급한 상황에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의사결정과 정보 공유를 가능하도록 제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참조모델 저장부(360)는 다양한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스마트 팩토리의 참조모델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참조모델은 에너지 절감 시나리오 예측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참조모델은 기초수준 모델, 하위 중간수준 모델, 상위 중간수준 모델, 고도화수준 모델로 구분한다. 예컨대 도 2a는 기초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 도 2b는 하위 중간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 도 2c는 상위 중간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 도 2d는 고도화수준 모델을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기초수준 모델은 기초적인 ICT를 활용하여 생산 공정의 일부 분야의 정보를 수집/활용하고, 모기업의 인프라 활용 등을 통하여 자사의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하다. 하위 중간수준 모델은 설비 정보를 최대한 자동으로 획득하고 모기업과 고신뢰성 정보를 공유하여 기업 운영의 자동화를 지향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하다. 상위 중간수준 모델은 모기업과 공급사슬 관련 정보 및 엔지니어링 정보를 공유하며 글로벌 계획 최적화와 제어자동화를 기반으로 실시간 생산 공정을 달성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하다. 고도화수준 모델은 사물과 서비스를 IoT/IoS 화하여 사물, 서비스, 비즈니스 모듈간의 실시간 대화체계를 구축하고 사이버 공간 상에서 비즈니스를 실현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하다.
어플리케이션부(400)는 IoT 플랫폼(300)으로부터 전송받은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지표와 데이터를 가공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원격지의 사용자가 현장 설비의 에너지 관리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에너지 통합관리부(330)는 참조모델 저장부(360)에 저장된 복수 참조모델 중 해당 제조기업의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환경에 대응한 참조모델을 선택하고, 선택된 참조모델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예측모델을 설정하며, 설정된 시나리오 예측모델이 예측모델 설정부(370)에 설정된다. 에너지 통합관리부(330)가 해당 제조기업의 참조모델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나리오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현장 설비에 대한 에너지를 관리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데이터 수집부
200 : 데이터 중계부
300 : IoT 플랫폼
400 : 어플리케이션부

Claims (3)

  1.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설비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설비영상 생성부와, 설비 감시용 센서 및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3차원 설비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전달하고, 상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데이터 중계부;
    상기 데이터 포맷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설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기업의 현장 설비에 대한 설비 감지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방범 및 재해 관리를 총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제조기업의 환경에 맞는 스마트 팩토리의 참조모델에 따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나리오 예측 모델을 설정하여 현장 설비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IoT 플랫폼;
    상기 IoT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받은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지표와 데이터를 가공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3차원 설비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BIM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부와, 상기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해당 제조기업의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환경을 구분하기 위한 복수 참조모델을 저장하는 참조모델 저장부와, 상기 복수 참조모델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예측모델을 설정하는 예측모델 설정부와, 상기 참조모델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참조모델 중 해당 제조기업의 참조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 참조모델 중 해당 제조기업의 참조모델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나리오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현장 설비에 대한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 통합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KR1020180062389A 2018-05-31 2018-05-31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KR20190140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89A KR20190140529A (ko) 2018-05-31 2018-05-31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89A KR20190140529A (ko) 2018-05-31 2018-05-31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29A true KR20190140529A (ko) 2019-12-20

Family

ID=6906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389A KR20190140529A (ko) 2018-05-31 2018-05-31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05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5718A (zh) * 2021-02-02 2021-05-07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基于bim和物联网技术的净水厂运维系统及方法
KR20220007429A (ko) 2020-07-10 2022-01-18 한국전력공사 통합 검침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417706B1 (ko) 2021-12-09 2022-07-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식품산업의 공정별 에너지 분석을 통한 열에너지 절감방법
WO2023106871A1 (ko) * 2021-12-09 2023-06-1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식품산업의 단위공정에 따른 제품생산을 위한 열에너지 예측방법
KR20230130315A (ko) 2022-03-03 2023-09-12 주식회사 하이텍정보 Rpa 기반 수주등록 자동화 시스템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mes 시스템이 결합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429A (ko) 2020-07-10 2022-01-18 한국전력공사 통합 검침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N112765718A (zh) * 2021-02-02 2021-05-07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基于bim和物联网技术的净水厂运维系统及方法
KR102417706B1 (ko) 2021-12-09 2022-07-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식품산업의 공정별 에너지 분석을 통한 열에너지 절감방법
WO2023106871A1 (ko) * 2021-12-09 2023-06-1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식품산업의 단위공정에 따른 제품생산을 위한 열에너지 예측방법
WO2023106872A1 (ko) * 2021-12-09 2023-06-1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식품산업의 공정별 에너지 분석을 통한 열에너지 절감방법
KR20230130315A (ko) 2022-03-03 2023-09-12 주식회사 하이텍정보 Rpa 기반 수주등록 자동화 시스템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mes 시스템이 결합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0529A (ko) Io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US11537178B2 (en)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US2023026244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Operations Management
KR102023465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고장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2507B1 (ko)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KR101813067B1 (ko) IoT 감시 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및 스카다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US201403037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ding energy
JP2019530084A (ja) アクティブブラックボックスを利用した工場設備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59361B1 (ko) 데이터 보정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KR20130035577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물 에너지 소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01680B1 (ko) 실시간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실시간 스마트 게이트웨이
CN105740351A (zh) 一种输电运维设备的数据融合方法和系统
CN104821900A (zh) 基于移动平台应用的电力通信网应急抢修全程管控系统
KR102055984B1 (ko) 도시가스 기반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스템 제어방법
CN105867267A (zh) 通过图像识别技术实现配电站房仪表读数自动上报的方法
KR101716582B1 (ko) 데이터 중심 통신 기반의 통합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3017824B (zh) 使用测量机器人的监测系统
KR101515603B1 (ko) 플랜트 네트워크 시스템
KR102499180B1 (ko) 안전통합 연계를 위한 플랫폼 기반 통합관제시스템
US20210003634A1 (en) Monitoring of high-voltage or medium-voltage equipment
US20220053149A1 (en) Network camera with local control bus and therma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networked cameras
KR20180030333A (ko)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124184A1 (en) Comprehensive urban communications, data gathering and aggregation array
Rodríguez et al. CDA: IoT Digital and Intelligent Management Buildings for the Smart Campus project
CN112511656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安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