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291A -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291A
KR20190140291A KR1020180066897A KR20180066897A KR20190140291A KR 20190140291 A KR20190140291 A KR 20190140291A KR 1020180066897 A KR1020180066897 A KR 1020180066897A KR 20180066897 A KR20180066897 A KR 20180066897A KR 20190140291 A KR20190140291 A KR 20190140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ipe
coffee
container
gri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8457B1 (en
Inventor
김자성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주)비섹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섹전자 filed Critical (주)비섹전자
Priority to KR102018006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457B1/en
Publication of KR2019014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a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bean grinding apparatus comprises: a hopper storing coffee beans and having an outlet disposed on a lower part to discharge the coffee beans; a coffee bean grinding unit disposed in the outlet of the hopper and grinding the coffee beans discharged from the outlet to produce coffee powder; a pipe unit connected to the coffee bean grinding unit and transferring the coffee powder; a cover unit forming a part of the pipe unit and opening/closing the pipe unit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unit; and a vessel unit disposed on an end part of the pipe unit and receiving the coffee powder. Accordingly, the pipe unit can be easily cleaned.

Description

커피 원두 분쇄 장치{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원두로부터 액상 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grinding the coffee beans to extract the liquid coffee from the coffee beans.

일반적으로, 커피 원두는 그 자체만으로 액상 커피를 추출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커피 원두를 가공한 분말을 사용하거나, 상기 커피 원두를 직접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커피 분말로 만들어 액상 커피로 추출하고 있다.In general, since coffee beans are difficult to extract liquid coffee by themselves, the coffee beans are processed into powders, or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into liquid coffee using a direct grinding device.

상기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경우, 상기 커피 분말에는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분말이 포함된다. 상기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분말은 상기 액상 커피를 추출할 때 일반적인 음용자가 전반적으로 좋아하지 않는 맛, 예를 들면, 떫은맛, 탄맛, 잡맛, 밍밍한 맛 등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분말이 상기 분쇄 장치의 분쇄날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성분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When the coffee bean is ground using the grinding device, the coffee powder includes a relatively small powder. The relatively small powder produces a taste that is generally unfavorable to the general drinker when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for example, astringent taste, a tan taste, a miscellaneous taste, a minced taste, and the lik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process of grinding the coffee beans, the relatively small powder causes component change due to heat generated at the grinding blade of the grinding apparatus.

따라서, 채를 이용하거나 상기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커피 분말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분말을 제거하고 있다. 상기 작은 분말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작업이 번거로우며, 상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elatively small powder is removed from the coffee powder by using a shaker or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during the grinding of the coffee beans. Since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small powder is made manually, the operation is cumbersome, and the operation may take a long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원두를 분쇄함과 동시에 이로부터 분쇄된 커피 분말로부터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분말을 분리시킬 수 있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bean grinding device capable of grinding coffee beans and at the same time separating relatively small particles from the ground coffee powd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피 분말의 배출 경로로서 기능하는 배관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bean grind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leaning a pipe serving as a discharge path of coffee powder.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원두 분쇄 장치는, 커피 원두를 수용하며, 하부에 상기 커피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분말을 생성하는 원두 분쇄부와, 상기 원두 분쇄부와 연결되며, 상기 커피 분말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부와, 상기 배관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관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상기 배관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배관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피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Coffee bea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bean is accommodated in the hopper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coffee beans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discharge hole of the hopper, the coffee beans discharged from the outlet to grind coffee powder A coffee bean crush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ffee bean crushing unit, and a pipe part for transferring the coffee powder, forms a part of the pipe part, and opens and closes the pipe part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part. And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pe portion, it may include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coffee pow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배관부는, 상기 커피 분말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커피 분말을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이송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커피 원두 분쇄 장치는, 상기 제1 배관의 하단부와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이송된 커피 분말에 수평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커피 분말을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제1 분말과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제2 분말로 분리하고, 상기 제2 분말을 상기 제2 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ipe portion, the first pipe for transporting the coffee powder downward and the second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includes a second pipe for transferring the coffee powd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is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and forms a flow of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coffee powder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pipe to make the coffee powder relatively larg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for separating the first powder into a second powder having relatively small particles and supplying the second powder to the second pi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용기부는, 상기 제1 배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2 배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ainer portion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pe, the first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owder and the first container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pe, it may include a second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pow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분말 및 상기 제2 분말을 공급하는 상기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제2 분말과 상기 공기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cond container, the inlet for the air is supplied to supply the second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and the air is continuously added through the inlet It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as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는 개별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may be provided to be withdrawn separ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배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배관을 개폐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2 배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배관을 개폐하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forms a part of the first pipe, and forms a part of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second pip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It may include a second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second cover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분말 및 상기 제2 분말에 포함되는 입자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volume of the blowing fan may be adjustable to adjust the range of particles included in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커피 분말과 상기 배관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배관부가 접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part may be grounded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of the coffee powder and the pipe part.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원두 분쇄 장치는 분쇄된 커피 분말을 상기 송풍팬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분말과 상기 제2 분말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제1 분말과 상기 제2 분말은 제1 용기와 제2 용기에 분리되어 수용되며,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는 개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분말이 수용된 상기 제1 용기를 인출하여 상기 제1 분말을 액상 커피 추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분말이 담긴 제2 용기를 인출하여 상기 제2 분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coffee powder may be separated into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using the blowing fan. The separated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may be separately contained in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may be separately taken out. Therefore, the first container containing the first powder can be taken out to use the first powder for liquid coffee extrac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containing the second powder can be taken out to easily remove the second powder. Can be.

또한, 상기 커피 분쇄 장치는 상기 배관부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배관부를 개폐하는 상기 덮개부를 갖는다. 상기 덮개부를 분리하여 상기 배관부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부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Moreover, the said coffee grinder has the said lid part which opens and closes the said piping part, forming a part of the said piping part. The pipe part may be opened by removing the cover part. Therefore, the inside of the pipe part can be easily clea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분쇄 장치를 설명하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분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두 분쇄부 및 제1 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커피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원두를 그라인딩 후 분말을 촬상한 사진들이다.
도 6은 커피 분쇄 장치에 포함된 송풍팬의 온/오프에 따라 커피 분말 내의 미분을 제거 전후의 커피 분말에 대한 수요자의 기호를 설문 조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ffee grind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ean crushing unit and the first pipe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ver part shown in FIG. 1.
5a to 5c are photographs taken of powder after grinding the coffee beans using a coffee grinder.
6 is a graph showing a survey result of a consumer's preference for coffee powder before and after removing fine powder in the coffee powder according to on / off of the blower fan included in the coffee grind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분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분쇄 장치를 설명하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분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두 분쇄부 및 제1 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ffee grind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offee grinder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and a first pip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ver part illust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피 원두 분쇄 장치(100)는 호퍼(110), 원두 분쇄부(120), 배관부(130), 덮개부(140), 송풍팬(150), 용기부(160)을 포함한다.1 to 4, 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100 includes a hopper 110, a coffee bean grinding part 120, a pipe part 130, a cover part 140, a blowing fan 150, and a container part ( 160).

호퍼(110)는 커피 원두를 수용하며, 상기 커피 원두를 원두 분쇄부(120)로 제공한다. 호퍼(110)는 상부에 상기 커피 원두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하부에 상기 커피 원두가 미세화된 커피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The hopper 110 accommodates coffee beans and provides the coffee beans to the coffee grinder 120. The hopper 110 may have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ffee beans are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ffee powder is refined.

상기 원두 분쇄부(120)는 상기 호퍼(110)의 배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분말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커피 분말은 다양한 크기의 입자들을 갖는다. 즉, 상기 커피 분말에는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큰 제1 분말과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은 제2 분말이 포함된다. 상기 제2 분말은 상기 액상 커피를 추출할 때 일반적인 음용자가 전반적으로 좋아하지 않는 맛을 생성하므로, 상기 제2 분말은 상기 제1 분말과 분리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제2 분말은 주로 미분으로 호칭된다.The coffee bean crusher 120 is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hopper 110 and grinds the coffee bean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to produce coffee powder. At this time, the coffee powder has particles of various sizes. That is, the coffee powder includes a first powder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and a second powder having a relatively small particle size. The second powder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owder because the second powder produces a taste generally unfavorable to the general drinker when the liquid coffee is extracted. The second powder is mainly called fine powder.

상기 원두 분쇄부(1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두 분쇄부(120)의 예로는 코니컬 버(conical burr), 플랫 버(flat burr) 등을 들 수 있다. The bean crusher 120 may have various shapes. Examples of the ground coffee beans 120 may include a conical burr, a flat burr, and the like.

상기 배관부(130)는 상기 원두 분쇄부(120)와 연결되며, 상기 원두 분쇄부(120)에 의해 분쇄된 커피 분말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The pipe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coffee grinder 120 and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ffee powder ground by the coffee grinder 120 moves.

상기 커피 분말이 상기 배관부(130)를 지속적으로 지나므로, 상기 배관부(130) 및 상기 커피 분말 사이에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배관부(130)에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정전기에 의해 상기 커피 분말이 상기 배관부(130)에 달라붙게 된다. Since the coffee powder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pipe 130, a continuous friction occurs between the pipe 130 and the coffee powder. Therefore,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in the pipe part 130, and the coffee powder is stuck to the pipe part 130 by the static electricity.

상기 배관부(130)는 전기적으로 접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부(13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접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부(130) 내에서 상기 커피 분말에 발생하는 상기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The pipe part 130 may be electrically grounded. That is, a ground part (not shown) for electrically grounding the pipe part 130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coffee powder in the pipe 130 may be removed.

상기 배관부(13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배관부(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관부(130)의 표면을 둘러싸는 금속막이 추가적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The pipe 1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n order to easily remove the static electricity, the pipe 1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metal film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pipe 130 may be additionally coated. It may be.

상기 배관부(130)에서 상기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전기에 의해 상기 커피 분말이 상기 배관부(130)의 내부에 달라붙거나, 상기 커피 분말이 상호 응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피 분말에 의해 상기 배관부(13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커피 분말이 상기 송풍팬(150)에 의해 생성된 공기 흐름에 의해 상기 제1 분말과 상기 제2 분말 간의 밀도 차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Since the static electricity may be removed from the pipe part 130, the coffee powder may be stuck to the inside of the pipe part 130 by the static electricity, or the coffee powder may be prevented from coagulating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ipe portion 130 is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by the coffee powder, and the coffee powder has a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due to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ing fan 150. Can be easily separated.

상기 배관부(130)는 제1 배관(131) 및 제2 배관(135)을 포함한다. The pipe part 130 includes a first pipe 131 and a second pipe 135.

상기 제1 배관(131)은 상기 원두 분쇄부(120)와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상기 커피 분말은 상기 제1 배관(131)을 따라 자유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배관(131)을 따라 상기 커피 분말이 하방으로 이송된다. The first pipe 131 is connected to the bean crushing unit 120 and extend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ffee powder may free fall along the first pipe 131. Therefore, the coffee powder is transferred downward along the first pipe 131.

상기 제2 배관(135)은 상기 제1 배관(131)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상기 제2 배관(135)은 상기 커피 분말을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The second pipe 13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131 and extend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pipe 135 transfers the coffee powd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2 배관(135)은 상기 제1 배관(131)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2 배관(135)과 상기 제1 배관(131)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pipe 135 is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31, but the second pipe 135 and the first pipe 131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덮개부(140)는 상기 배관부(130)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관부(130)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상기 배관부(130)를 개폐한다. The cover part 140 forms a part of the pipe part 130, and opens and closes the pipe part 130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part 130.

상기 덮개부(140)는 제1 덮개부(131) 및 제2 덮개부(145)를 포함한다. The cover part 140 includes a first cover part 131 and a second cover part 145.

상기 제1 덮개부(141)는 상기 제1 배관(131)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배관(131)을 개폐한다. The first cover part 141 forms a part of the first pipe 131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pipe 131.

상기 제2 덮개부(145)는 상기 제2 배관(135)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배관(135)을 개폐한다.The second cover part 145 forms a part of the second pipe 135 and opens and closes the second pipe 135.

상기 제1 덮개부(141)와 상기 제2 덮개부(1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배관(131)에는 가이드 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덮개부(141)에는 가이드 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32)와 상기 가이드 홈(142)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덮개부(141)를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1 배관(131)과 결합한 후, 나사 체결을 통해 상기 제2 덮개부(141)를 상기 제2 배관(135)과 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part 141 and the second cover part 145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4. In this case, a guide protrusion 132 is formed in the first pipe 131, a guide groove 142 is formed in the first cover part 141, and the guide protrusion 132 and the guide groove 142 are formed. It can be combined in a sliding manner. For example, after the first cover part 141 is coupled with the first pipe 131 by the sliding method, the second cover part 141 is coupled with the second pipe 135 by screwing. can do.

상기 제1 덮개부(141)와 상기 제2 덮개부(14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배관(131)과 상기 제2 배관(135)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배관(131)과 상기 제2 배관(135)의 청소와 같은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cover part 141 and the second cover part 145 ar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pipe part 131 and the second pipe part 135 can be opened and closed quickly and accurately. Therefore,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of the first pipe 131 and the second pipe 135 can be performed quickly.

한편, 상기 제1 덮개부(141)와 상기 제2 덮개부(145)는 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덮개부(141)와 상기 제1 배관(131), 상기 제2 덮개부(141)와 상기 제2 배관(135)이 각각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배관(131)과 상기 제2 배관(135)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part 141 and the second cover part 145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cover part 141 and the first pipe 131, the second cover part 141 and the second pipe 135 may be screwed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pipe 131 and the second pipe 135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상기 송풍팬(150)은 상기 제1 배관(131)의 하단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1 배관(131)에 의해 하방을 향하는 커피 분말에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바람,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바람에 의해 상기 커피 분말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The blower fan 150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131, and forms a flow of wind and ai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offee powder directed downward by the first pipe 131. Therefore, the coffee powder may be separated by the win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rticles.

구체적으로, 상기 커피 분말 중에서 상기 제1 분말은 입자가 상대적으로 커 상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분말은 제1 배관(131)의 수직 하방으로 낙하하거나, 상기 제1 배관(131)과 인접한 하방으로 낙하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powder of the coffee powder is relatively large particles are not affected by the wind or less. Therefore, the first powder falls vertically downward of the first pipe 131 or downwards adjacent to the first pipe 131.

상기 커피 분말 중에서 상기 제2 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분말은 상기 바람에 의해 상기 제2 배관(135)을 통해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Among the coffee powders, the second powder is relatively small in particle size and is affected by the wind. Therefore, the second powder is transferr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pipe 135 by the wind.

따라서, 상기 송풍팬(150)의 상기 바람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 분말로부터 상기 제1 분말과 상기 제2 분말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150)은 상기 제2 분말을 상기 제2 배관(135)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may be separated from the coffee powder by using the wind of the blowing fan 150. In addition, the blowing fan 150 may supply the second powder to the second pipe 135.

상기 송풍팬(150)의 바람 세기는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송풍팬(150)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풍량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50)의 바람을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분말 및 상기 제2 분말에 포함되는 입자의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wind strength of the blowing fan 150 may be adjusted. That is, the air flow control unit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lower fan 150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wind generated by the blower fan 150.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wind of the blowing fan 150,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range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팬(150)의 바람을 세기를 강하게 하는 경우, 상기 바람의 영향을 받는 커피 분말의 입자 범위가 증가한다. 즉, 상기 제1 분말에 포함되는 커피 분말의 범위가 줄어들고, 상기 제2 분말에 포함되는 커피 분말의 범위가 증가한다. Specifically, when the wind strength of the blowing fan 150 is increased, the particle range of the coffee powder affected by the wind increases. That is, the range of coffee powder included in the first powder is reduced, and the range of coffee powder included in the second powder is increased.

또한, 상기 송풍팬(150)의 바람을 세기를 약하게 하는 경우, 상기 바람의 영향을 받는 커피 분말의 입자 범위가 줄어든다. 즉, 상기 제1 분말에 포함되는 커피 분말의 범위가 증가하고, 상기 제2 분말에 포함되는 커피 분말의 범위가 줄어든다. In addition, when the wind strength of the blowing fan 150 is weakened, the particle range of the coffee powder affected by the wind is reduced. That is, the range of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first powder increases, and the range of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second powder decreases.

상기 용기부(160)는 배관부(13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피 분말을 수용한다. The container unit 160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ipe unit 130 and accommodates the coffee powder.

상기 용기부(160)는 제1 용기(161) 및 제2 용기(165)를 포함한다. The container unit 160 includes a first container 161 and a second container 165.

상기 제1 용기(161)는 상기 제1 배관(131)의 하단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용기(161)는 상기 제1 배관(131)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용기(161)는 상기 커피 분말 중에서 상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 상기 제1 분말을 수용한다. 상기 제1 용기(161)는 상방이 개방된 중공의 용기 형태를 갖는다. The first container 161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131. Fo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161 is disposed below the first pipe 131. Accordingly, the first container 161 accommodates the first powder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wind or is less affected by the wind. The first container 161 has a hollow container shape which is open upward.

상기 제2 용기(165)는 상기 제1 용기(161)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 배관(135)의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용기(165)는 상기 제2 배관(135)을 통해 공급된 상기 제2 분말을 수용한다. 즉, 상기 제2 용기(165)는 상기 커피 분말 중에서 상기 바람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상기 제2 분말을 수용한다. The second container 165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iner 1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ipe 135. The second container 165 accommodates the second powd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ipe 135. That is, the second container 165 accommodates the second powder which is relatively largely affected by the wind in the coffee powder.

따라서, 용기부(160)는 상기 커피 분말을 상기 제1 분말과 상기 제2 분말로 분리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기(161)와 상기 제2 용기(165)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제1 분말과 상기 제2 분말이 섞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ainer unit 160 may accommodate the coffee powd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are separat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ntainer 161 and the second container 16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may be stably separated without mixing.

한편, 상기 제2 용기(165)는 투입구(166)와 배출구(167)를 갖는 중공의 용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container 165 may have a hollow container shape having an inlet 166 and an outlet 167.

상기 투입구(166)는 상기 제2 용기(165)에서 상기 제2 배관(13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투입구(166)는 상기 제2 용기(165)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66)를 통해 상기 제2 분말 및 상기 제2 분말을 운반하는 상기 공기가 투입될 수 있다. The inlet 166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second pipe 135 in the second container 165. For example, the inlet 166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165. The air carrying the second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66.

상기 배출구(167)는 상기 투입구(166)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배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구(167)는 상기 제2 용기(165)의 상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가 상기 제2 용기의 상부 측면에 구비됨에 따라, 제2 분말은 제2 용기(165)의 바닥에 포집되는 반면에, 상기 공기는 배출구(167)를 통하여 배출된다. 즉, 상기 제2 분말을 운반하는 공기가 제2 용기(165)의 상단부로부터 유입되어 바닥을 경유하여 제2 용기(165)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배출구(167)를 통하여 흐름으로써, 공기의 경로를 상대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제2 분말이 상기 제2 용기(165)의 바닥에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let 167 discharge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166. For example, the outlet 16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165. As the outle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essel, the second powder i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vessel 165, whil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67. That is, the air carrying the second powder is introduc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tainer 165 and flows through the outlet 167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165 via the bottom, thereby providing a path of air. By relatively lengthening, a larger amount of the second powder can be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165).

상기 배출구(167)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용기(165)의 내부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분말과 상기 공기가 상기 투입구(166)를 통해 지속적으로 투입되기 어렵다. 상기 배출구(167)를 통해 상기 공기가 배출되므로 상기 제2 분말과 상기 공기가 상기 투입구(166)를 통해 지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When the outlet 167 is not provided, it is difficult for the second powder and the air to be continuously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66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ontainer 165. Sinc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67, the second powder and the air may be continuously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66.

상기 배출구(167)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길이가 길며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67)를 통해 상기 제2 분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투입구(166)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2 분말이 상기 제2 용기(165)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The outlet 167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have a long length and a curved shape. Accordingly, the second powde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67, and the second powd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166 may be stably received in the second container 165. .

상기 배출구(167)에는 교체가능한 메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는 상기 배출구(167)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 함께 배출되는 제2 분말을 필터링한다. 이로써, 상기 배출구(167)를 통하여 제2 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The outlet 167 may be provided with a replaceable mesh (not shown). The mesh filters the second powder which is discharged together when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167. As a result, the discharge of the second powd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7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the mesh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제1 용기(161) 및 제2 용기(165)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100)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용기(161)를 인출하여 액상 커피 추출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165)를 커피 원두 분쇄 장치(100)로부터 인출하여 액상 커피 추출시 음용자가 좋아하지 않는 맛을 발생하는 상기 제2 분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iner 161 and the second container 165 are provided to be withdrawn separately from 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100. Thus, the first powder may be obtained by taking out the first container 161 and using it for liquid coffee extraction. In addition, the second container 165 may be withdrawn from the coffee bean crushing apparatus 100 to easily remove the second powder that generates a taste that the drinker does not like when the liquid coffee is extracted.

도 5a 내지 도 5c는 커피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원두를 그라인딩 후 분말을 촬상한 사진들이다.5a to 5c are photographs taken of powder after grinding the coffee beans using a coffee grinder.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 중 상부는 제1 용기로부터 추출된 제1 분말을 나타내며, 하부는 제2 용기로부터 추출된 제2 분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한편, 도 5b는 도 5a의 상부를 근접 촬상한 사진인 반면에, 도 5c는 도 5a의 하부를 근접 촬상한 사진이다. 5A and 5B, the upper portion of FIG. 5A represents the first powder extracted from the first container, and the lower portion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econd powder extracted from the second container. Meanwhile, FIG. 5B is a close-up image of the upper portion of FIG. 5A, while FIG. 5C is a close-up image of the lower portion of FIG. 5A.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그라인딩된 분말 중 액상 커피 추출시 음용자가 좋아하지 않는 맛을 발생하는 상기 제2 분말(미분)이 효과적으로 분리추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5A to 5C,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powder (powder), which generates a taste that the drink does not like when the liquid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ground powder,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and extracted.

도 6은 커피 분쇄 장치에 포함된 송풍팬의 온/오프에 따라 커피 분말 내의 미분을 제거 전후의 커피 분말에 대한 수요자의 기호를 설문 조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a survey result of a consumer's preference for coffee powder before and after removing fine powder in the coffee powder according to on / off of the blower fan included in the coffee grinder.

도 6을 참조하면, 본 설문 조사는 향미, 산미, 여운, 무게감 및 깔끔한 5가지 기호에 관하여 총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은 송풍팬의 온/오프에 따라 커피 분말 내의 미분을 제거하기 전 및 미분을 제거한 후의 커피 분말(에디오피아 예가체프 G2 워시드 원두 기준)을 이용하여 음료용 커피를 동일한 레시피로 제조하였다.Referring to FIG. 6,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00 people in terms of flavor, acidity, afterglow, weight, and neat five symbols. Subjects made beverage coffee with the same recipe using coffee powder (based on Ethiopia Yegachev G2 washed beans) before and after removing the fine powder in the coffee powder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blower fan.

결과에 따르면, 무게감은 다소 감소하나, 나머지 향미, 산미, 여운 및 깔끔함 분야에서 송풍팬을 가동하여 미분이 제거된 커피 분말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results, the weight is somewhat reduc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ely powdered coffee powder was excellent by operating the blower fan in the remaining flavor, acidity, afterglow and neatnes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원두 분쇄 장치는 커피 분말을 분쇄하여 정상적인 제1 분말과 일반적인 음용자가 전반적으로 좋아하지 않는 맛을 내는 제2 분말로 분리하고, 상기 제2 분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말만을 이용하여 액상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액상 커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ush the coffee powder into a normal first powder and a second powder that tastes generally unfavorable to the general drinker, and to easily remove the second powder Can be. Since the liquid coffee can be extracted using only the first powder, the taste of the liquid coffee can be improved.

상기 커피 분쇄 장치는 배관을 용이하게 개폐하여 상기 배관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피 분쇄 장치를 편리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The coffee grind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pipe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Therefore, the coffee grinder can be conveniently maintain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100 : 커피 원두 분쇄 장치 110 : 호퍼
120 : 원두 분쇄부 130 : 배관부
131 : 제1 배관 135 : 제2 배관
140 : 덮개부 141 : 제1 덮개부
145 : 제2 덮개부 150 : 송풍팬
160 : 용기부 161 : 제1 용기
165 : 제2 용기
100: coffee beans grinding device 110: hopper
120: ground beans 130: piping
131: first pipe 135: second pipe
140: cover portion 141: first cover portion
145: second cover portion 150: blowing fan
160: container portion 161: first container
165: second container

Claims (11)

커피 원두를 수용하며, 하부에 상기 커피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호퍼;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분말을 생성하는 원두 분쇄부;
상기 원두 분쇄부와 연결되며, 상기 커피 분말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부;
상기 배관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관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상기 배관부을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배관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피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
A hopper accommodating coffee beans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coffee beans are discharged;
It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hopper, the coffee grinder to discharge the coffee bean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to produce a coffee powder;
A pipe part connected to the coffee grinder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coffee powder;
A cover part which forms a part of the pipe part and opens and closes the pipe part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part; And
Coffee bean grinding devic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p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coffee pow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은,
상기 커피 분말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제1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커피 분말을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이송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관의 하단부와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이송된 커피 분말에 수평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커피 분말을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제1 분말과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제2 분말로 분리하고, 상기 제2 분말을 상기 제2 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pe portion,
A first pipe for transferring the coffee powder downward; And
A second pip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coffee powder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pe, forming a flow of 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coffee powder transported through the first pipe to form the coffee powder relatively large particles and relatively small particles Separating into a second powder, and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an for supplying the second powder to the second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제1 배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2 배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ainer portion,
A first container provided below the first pipe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rst powder; And
And a second contain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in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ipe, the second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pow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분말 및 상기 제2 분말을 운반하는 상기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제2 분말과 상기 공기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상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container,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air carrying the second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is introduced; And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so that the second powder and the air are continuously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용기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 5. 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outlet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메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 5. 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mes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각각은 개별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each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is provided to be withdrawn separat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배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배관을 개폐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2 배관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배관을 개폐하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ver portion,
A first cover part which forms a part of the first pipe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pipe; And
And a second cover part which forms a part of the second pipe and opens and closes the second pi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second cover part are integrally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말 및 상기 제2 분말에 포함되는 입자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의 풍량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fan is adjustable to adjust a range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분말과 상기 배관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배관부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분쇄 장치.The coffee bean grin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pe part is grounded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of the coffee powder and the pipe part.
KR1020180066897A 2018-06-11 2018-06-11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KR102078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897A KR102078457B1 (en) 2018-06-11 2018-06-11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897A KR102078457B1 (en) 2018-06-11 2018-06-11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291A true KR20190140291A (en) 2019-12-19
KR102078457B1 KR102078457B1 (en) 2020-03-11

Family

ID=6905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897A KR102078457B1 (en) 2018-06-11 2018-06-11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4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506A (en) 2021-12-03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p coffee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2413A (en) * 2014-07-17 2016-02-0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Coffee bean grinder
KR20160048845A (en) * 2013-08-29 2016-05-04 라 마르쪼코 에스.알.엘. Coffee gri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845A (en) * 2013-08-29 2016-05-04 라 마르쪼코 에스.알.엘. Coffee grinding machine
JP2016022413A (en) * 2014-07-17 2016-02-0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Coffee bean gr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457B1 (en)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5773B2 (en) Separation apparatus, grinding apparatus and beverage producing apparatus
US10595665B2 (en) Extracting method and extracting apparatus
US7726233B2 (en) Brewing receptacle and a foam unit and a beverage maker comprising such a brewing receptacle
CA2885339C (en) Improvements in food processor appliances
KR20190045269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ffee grinding water purification
US10694884B2 (en) Extracting apparatus and extracting method
KR102078457B1 (en)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US20030159979A1 (en) Reservoir water treatment
KR101011692B1 (en) a hand mill with all-in-one fillter
US2118010A (en) Process of treating coffee and preserving its flavor
KR101285558B1 (en) Coffee extracting machine and the method using it
EP3692868A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KR101496342B1 (en)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7823500B2 (en) Compact grinder
JP2023041747A (en)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nd extraction method
KR20230069523A (en)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KR100664914B1 (en) A supply equipment in a bean-curd making apparatus
JP2022171968A (en) Coffee production device
JP2018089382A (en) Device for removing chaff and fine particle of roasted and crushed coffee bean
EP404488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grinders
KR200473090Y1 (en) Cover for coffee beans hand mill
KR20110000802U (en) Grinder for flavoring
US1069064A (en) Coffee grinder, cleaner, and separator.
CN107666844B (en) Method for brewing coffee and having enhanced aroma release
KR20240016687A (en)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