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903A -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903A
KR20190139903A KR1020197031677A KR20197031677A KR20190139903A KR 20190139903 A KR20190139903 A KR 20190139903A KR 1020197031677 A KR1020197031677 A KR 1020197031677A KR 20197031677 A KR20197031677 A KR 20197031677A KR 20190139903 A KR20190139903 A KR 2019013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lock
information
synchronization signal
syn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029B1 (ko
Inventor
카즈나리 요코마쿠라
쇼헤이 야마다
히데카즈 츠보이
히로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단말 장치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셀 ID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신호로부터 상기 블록의 인덱스를 검출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4월 27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088206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현재, 제5 세대 셀룰러 시스템을 향한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서,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Advanced Pro 및 NR(New Radio technology)의 기술 검토 및 규격 책정이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제5 세대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고속ㆍ대용량 전송을 실현하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저지연ㆍ고신뢰 통신을 실현하는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 등 머신형 디바이스가 다수 접속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의 3개가 서비스의 상정 시나리오로서 요구되고 있다.
NR에서는, 높은 주파수로 초기 액세스를 하기 위한 구성 및 프로시저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4).
RP-161214, NTT DOCOMO, "Revision of SI: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6월 R1-1612723, NTT DOCOMO, "Discussion on initial access procedure for NR", 2016년 11월 R1-1612801, 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On Synchronization Signals for Single-beam and Multi-beam Configurations", 2016년 11월 R1-1704862, LG Electronics, "Discussion on SS block, SS burst set composition and time index indication", 2017년 4월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효율적으로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셀 ID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신호로부터 상기 블록의 인덱스를 검출한다.
(2)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셀 ID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3)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셀 ID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신호로부터 상기 블록의 인덱스를 검출한다.
(4)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셀 ID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5)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 수단과,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셀 ID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신호로부터 상기 블록의 인덱스를 검출한다.
(6)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기지국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는 상위층 처리 수단과,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셀 ID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빔 포밍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동기 신호 블록, 동기 신호 버스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동기 신호 블록 내의 PSS, SSS, PBCH의 다중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동기 신호 블록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국소적 또는 이산적인 슬롯에 있어서의 동기 신호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시간 인덱스와 슬롯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TSS가 다중된 국소적 또는 이산적인 동기 신호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A 내지 1C) 및 기지국 장치(3)를 구비한다. 이하, 단말 장치(1A 내지 1C)를 단말 장치(1)라고도 칭한다.
단말 장치(1)는, 유저 단말기, 이동국 장치, 통신 단말기, 이동기, 단말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라고도 칭해진다. 기지국 장치(3)는, 무선 기지국 장치, 기지국, 무선 기지국, 고정국, NB(Node B), eNB(evolved Node 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Base Station), NR NB(NR Node B), NNB,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gNB라고도 칭해진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싱글 캐리어 주파수 다중(SC-FDM: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멀티캐리어 부호 분할 다중(MC-CDM: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xing)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유니버설 필터 멀티캐리어(UFMC: Universal-Filtered Multi-Carrier), 필터 OFDM(F-OFDM: Filtered OFDM), 창 함수가 승산된 OFDM(Windowed OFDM), 필터 뱅크 멀티캐리어(FBMC: Filter-Bank Multi-Carrier)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OFDM을 전송 방식으로 하여 OFDM 심볼로 설명하지만, 상술한 다른 전송 방식의 경우를 사용한 경우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포함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CP를 사용하지 않거나, 혹은 CP 대신에 제로 패딩을 한 상술한 전송 방식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CP나 제로 패딩은 전방과 후방의 양쪽에 부가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싱글 캐리어 주파수 다중(SC-FDM: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멀티캐리어 부호 분할 다중(MC-CDM: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xing)이 사용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ㆍ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ㆍPCCH(Physical Control CHannel)
ㆍPSCH(Physical Shared CHannel)
PBCH는, 단말 장치(1)가 필요한 중요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중요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EIB: Essential Information Block, BCH: Broadcast Channel)을 보고하기 위해 사용된다.
PCCH는,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단말 장치(1)로부터 기지국 장치(3)로의 무선 통신)인 경우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하향 링크의 채널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UL-SCH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케줄링 요구(SR: Scheduling Request)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가 포함되어도 된다. HARQ-ACK는, 하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AC PDU, Downlink-Shared Channel: DL-SCH)에 대한 HARQ-ACK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무선 통신)인 경우에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대하여, 1개 또는 복수의 DCI(DCI 포맷이라고 칭해도 됨)가 정의된다. 즉,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필드가 DCI로서 정의되어, 정보 비트에 맵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신호가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인지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대한 HARQ-ACK를 송신하는 타이밍(예를 들어, PSCH에 포함되는 최후의 심볼에서부터 HARQ-ACK 송신까지의 심볼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의 송신 기간, 갭, 및 상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1개의 셀에 있어서의 1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 PSCH(1개의 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1개의 셀에 있어서의 1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 PSCH(1개의 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DCI에는, PSCH에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가 포함되는 경우에 PSCH의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에 대한 DCI를, 하향 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또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down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여기서, 상향 링크에 대한 DCI를, 상향 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또는 상향 링크 어사인먼트(Up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PSCH는, 매개 액세스(MAC: Medium Access Control)로부터의 상향 링크 데이터(UL-SCH: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하향 링크 데이터(DL-SCH: Down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에 사용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경우에는 시스템 정보(SI: System Information)나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 등의 송신에도 사용된다. 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HARQ-ACK 및/또는 CS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CSI만, 또는 HARQ-ACK 및 CSI만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즉, UCI만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상위층(higher layer)에 있어서 신호를 교환(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층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RRC message: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RRC information: Radio Resource Control information이라고도 칭해짐)을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MAC(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시스템 정보(브로드캐스트 신호 등),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상위층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PSCH는,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의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어떤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라고도 칭함)이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 고유(UE 스페시픽)의 정보는, 어떤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PSCH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 UE의 능력(UE Capability)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PCCH 및 PSCH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서 동일한 호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서 상이한 채널이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의 공유 채널은,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공유 채널은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라고 칭해져도 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은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라고 칭해져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가 사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ㆍ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ㆍ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
동기 신호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또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를 포함해도 된다. PSS와 SSS를 사용하여 셀 ID가 검출되어도 된다.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기지국 장치(3)에 의한 프리코딩 또는 빔 포밍에 있어서의 프리코딩 또는 빔의 선택에 사용되어도 된다.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상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CSI를 산출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무선 파라미터나 서브캐리어 간격 등의 수비학(Numerology)이나 FFT의 창 동기 등이 가능할 정도의 섬세한 동기(Fine synchronization)에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의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가 사용된다.
ㆍ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ㆍ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ㆍ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ㆍMRS(Mobility Reference Signal)
DMRS는, 변조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DMRS에는, PBCH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와, PSCH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2종류가 정의되어도 되며, 양쪽을 DMRS라고 칭해도 된다.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측정 및/또는 빔 매니지먼트에 사용된다. PTRS는, 단말기의 이동 등에 의해 위상을 트랙하기 위해 사용된다. MRS는, 핸드오버를 위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에는,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참조 신호가 정의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고 칭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고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고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시그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을 총칭하여, 물리 시그널이라고 칭한다.
BCH, UL-SCH 및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고 칭한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B: transport block) 및/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MAC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마다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제어가 행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에 전달하는(deliver)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 워드에 맵되고, 코드 워드마다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참조 신호는, 무선 리소스 측정(RRM: Radio Resource Measurement)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빔 매니지먼트에 사용되어도 된다.
빔 매니지먼트는, 송신 장치(하향 링크인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이고, 상향 링크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1)임)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빔과, 수신 장치(하향 링크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1), 상향 링크인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임)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빔의 지향성을 맞추어, 빔 이득을 획득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3) 및/또는 단말 장치(1)의 수속이어도 된다.
또한, 빔 페어링을 구성, 설정 또는 확립하는 수속으로서, 하기의 수속을 포함해도 된다.
ㆍ빔 선택(Beam selection)
ㆍ빔 개선(Beam refinement)
ㆍ빔 리커버리(Beam recovery)
예를 들어, 빔 선택은,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의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빔을 선택하는 수속이어도 된다. 또한, 빔 개선은, 더 이득이 높은 빔의 선택, 혹은 단말 장치(1)의 이동에 의해 최적의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의 사이의 빔의 변경을 행하는 수속이어도 된다. 빔 리커버리는,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의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차폐물이나 사람의 통과 등에 의해 생기는 장해에 의해 통신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었을 때 빔을 재선택하는 수속이어도 된다.
빔 매니지먼트에는, 빔 선택, 빔 개선이 포함되어도 된다. 빔 리커버리에는, 하기의 수속을 포함해도 된다.
ㆍ빔 실패(beam failure)의 검출
ㆍ새로운 빔의 발견
ㆍ빔 리커버리 리퀘스트의 송신
ㆍ빔 리커버리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의 모니터
예를 들어, 단말 장치(1)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의 송신 빔을 선택할 때 CSI-RS 또는 동기 신호 블록 내의 동기 신호(예를 들어, SSS)를 사용해도 되고, 의사 동일 위치(QCL: Quasi Co-Location) 상정을 사용해도 된다.
만약 어떤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어떤 심볼이 반송되는 채널의 긴 구간 특성(Long Term Property)이 다른 쪽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어떤 심볼이 반송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면, 2개의 안테나 포트는 QCL이라고 일컬어진다. 채널의 긴 구간 특성은,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및 평균 지연 중 1개 또는 복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1)와 안테나 포트(2)가 평균 지연에 관하여 QCL인 경우, 안테나 포트(1)의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안테나 포트(2)의 수신 타이밍이 추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QCL은, 빔 매니지먼트로도 확장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공간으로 확장된 QCL이 새롭게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간의 QCL 상정에 있어서의 채널의 긴 구간 특성(Long term property)으로서, 무선 링크 혹은 채널에 있어서의 도래각(AoA(Angle of Arrival), ZoA(Zenith angle of Arrival) 등) 및/또는 각도 확대(Angle Spread, 예를 들어 ASA(Angle Spread of Arrival)나 ZSA(Zenith angle Spread of Arrival)), 송출각(AoD, ZoD 등)이나 그 각도 확대(Angle Spread, 예를 들어 ASD(Angle Spread of Departure)나 ZSS(Zenith angle Spread of Departure)), 공간 상관(Spatial Correlation)이어도 된다.
이 방법에 의해, 빔 매니지먼트로서, 공간의 QCL 상정과 무선 리소스(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의해 빔 매니지먼트와 등가인 기지국 장치(3), 단말 장치(1)의 동작이 정의되어도 된다.
이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프레임이라고 칭하지만, 리소스 유닛, 무선 프레임, 시간 구간, 시간 간격 등으로 칭해져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하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ms 길이이다. 또한,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개의 서브프레임 및 X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즉, 1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다. 슬롯의 각각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시간 길이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 NCP(Normal Cyclic Prefix)인 경우, X=7 혹은 X=14이며, 각각 0.5ms 및 1ms이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경우에는, X=7 혹은 X=14이며, 각각 0.125ms 및 0.25ms이다. 도 2는, X=7인 경우를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X=14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 슬롯도 마찬가지로 정의되며, 하향 링크 슬롯과 상향 링크 슬롯은 별개로 정의되어도 된다.
슬롯의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물리 채널은,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1개의 슬롯을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의 수는, 셀의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대역폭에 각각 의존한다. 리소스 그리드 내의 엘리먼트의 각각을 리소스 엘리먼트라고 칭한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서브캐리어의 번호와 OFDM 심볼의 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되어도 된다.
리소스 블록은, 어떤 물리 하향 링크 채널(PDSCH 등) 혹은 상향 링크 채널(PUSCH 등)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매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소스 블록은, 가상 리소스 블록과 물리 리소스 블록이 정의된다. 어떤 물리 상향 링크 채널은, 우선 가상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그 후, 가상 리소스 블록은,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 X=7이며, NCP인 경우에는,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7개의 연속된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2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즉,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7×1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ECP(Extended CP)인 경우,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 있어서 6개의 연속된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2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에 의해 정의된다. 즉,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6×1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이때,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1개의 슬롯에 대응하고, 15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인 경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80kHz(60kHz인 경우에는 720kHz)에 대응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0부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어서,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3종류의 시간 유닛이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구애되지 않고 1ms이며,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는 7 또는 14이고, 슬롯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이하다. 여기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1서브프레임에는 14 OFDM 심볼이 포함된다. 그 때문에, 슬롯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Δf(kHz)라고 하면, 1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가 7인 경우, 슬롯 길이는 0.5/(Δf/15)ms로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Δf는 서브캐리어 간격(kHz)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1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가 7인 경우, 슬롯 길이는 1/(Δf/15)ms로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Δf는 서브캐리어 간격(kHz)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를 X라고 하였을 때, 슬롯 길이는 X/14/(Δf/15)ms로 정의되어도 된다.
미니 슬롯(서브 슬롯이라고 칭해져도 됨)은,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보다 적은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시간 유닛이다. 도 3은 미니 슬롯이 2 OFDM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다. 미니 슬롯 내의 OFDM 심볼은,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 타이밍에 일치해도 된다. 또한,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는 슬롯 또는 미니 슬롯이어도 된다.
도 4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서브캐리어 간격 15kHz에 있어서 슬롯 길이가 0.5ms인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D는 하향 링크, U는 상향 링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떤 시간 구간 내(예를 들어, 시스템에 있어서 1개의 UE에 대하여 할당되지 않으면 안되는 최소의 시간 구간)에 있어서는,
ㆍ하향 링크 파트(듀레이션)
ㆍ갭
ㆍ상향 링크 파트(듀레이션) 중 1개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된다.
도 4의 (a)는, 어떤 시간 구간(예를 들어, 1UE에 할당 가능한 시간 리소스의 최소 단위, 또는 타임 유닛 등으로도 칭해져도 됨. 또한, 시간 리소스의 최소 단위를 복수 묶어 타임 유닛으로 칭해져도 됨)에서, 모두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예이고, 도 4의 (b)는, 최초의 시간 리소스에서 예를 들어 PCCH를 통하여 상향 링크의 스케줄링을 행하여, PCCH의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으로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통하여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도 4의 (c)는, 최초의 시간 리소스에서 하향 링크의 PCCH 및/또는 하향 링크의 PSCH의 송신에 사용되고,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으로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통하여 PSCH 또는 PCCH의 송신에 사용된다. 여기서, 일례로서는, 상향 링크 신호는 HARQ-ACK 및/또는 CSI, 즉 UCI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도 4의 (d)는, 최초의 시간 리소스에서 하향 링크의 PCCH 및/또는 하향 링크의 PSCH의 송신에 사용되고,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으로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통하여 상향 링크의 PSCH 및/또는 PCCH의 송신에 사용된다. 여기서, 일례로서는, 상향 링크 신호는 상향 링크 데이터, 즉 UL-SCH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도 4의 (e)는, 모두 상향 링크 송신(상향 링크의 PSCH 또는 PCCH)에 사용되고 있는 예이다.
상술한 하향 링크 파트, 상향 링크 파트는, LTE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5는, 빔 포밍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1개의 송신 유닛(TXRU: Transceiver unit)(10)에 접속되어, 안테나 엘리먼트마다의 위상 시프터(11)에 의해 위상을 제어하고, 안테나 엘리먼트(12)로부터 송신함으로써 송신 신호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빔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TXRU가 안테나 포트로서 정의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1)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만이 정의되어도 된다. 위상 시프터(11)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이득이 높은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동기 신호 블록, 동기 신호 버스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1개의 동기 신호 버스트가 포함되고, 1개의 동기 신호 버스트에 3개의 동기 신호 블록이 포함되고, 동기 신호 블록은 1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는, 1개 또는 복수의 동기 신호 버스트로 구성되고, 1개의 동기 신호 버스트는, 1개 또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으로 구성된다. 동기 신호 블록은, 1개 또는 복수의 연속되는 OFDM 심볼로 구성되는 타임 유닛으로 구성된다. 또한, 동기 신호 블록에 포함되는 타임 유닛은, OFDM 심볼 길이보다 짧아도 된다.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는, 주기적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초기 액세스에 사용되기 위한 주기와, 접속되어 있는(Connected 또는 RRC_Connected) 단말 장치를 위해 설정하는 주기가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접속되어 있는(Connected 또는 RRC_Connected) 단말 장치를 위해 설정하는 주기는 RRC층에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접속되어 있는(Connected 또는 RRC_Connected) 단말기를 위해 설정하는 주기는 잠재적으로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시간 영역의 무선 리소스의 주기이며, 실제로는 기지국 장치(3)가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또한, 초기 액세스에 사용되기 위한 주기는, 사양서 등에 미리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초기 액세스에 사용되기 위한 PSS 및/또는 SSS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미리 사양으로 정의되고, 접속되어 있는 단말 장치를 위해 설정된다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System Frame Number)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개시 위치(바운더리)는, SFN과 주기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복수의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에 있어서의 각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시간이 동일한 동기 신호 버스트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은, 동일한 빔이 적용되고 있다고 상정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에 있어서의 각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시간이 동일한 동기 신호 버스트 또는 동기 신호 블록에 있어서의 안테나 포트는, 평균 지연, 도플러 시프트, 공간 상관에 관하여 QCL이라고 상정되어도 된다.
복수의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간에서, 동기 신호 버스트가 배치되는 상대적인 시간 위치는 고정이어도 된다.
동기 신호 버스트는, 해당 동기 신호 버스트 내에 1개 또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수를 포함해도 된다.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어떤 상대적인 시간의 동기 신호 블록의 안테나 포트와, 다른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상대적인 시간이 동일한 동기 신호 블록의 안테나 포트는, 평균 지연, 도플러 시프트, 공간 상관에 관하여 QCL이라고 상정되어도 된다.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복수의 동기 신호 버스트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기 신호 버스트의 상대적인 시간 간격은 고정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를 15ms라고 하고, 해당 버스트 세트 내에 3개의 동기 신호 버스트가 포함되는 경우, 5ms마다 동기 신호 버스트가 배치되어도 된다.
동기 신호 블록은, PSS, SSS, PBCH 중 1개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도 된다. PSS, SSS, PBCH는 시간 영역에서 다중(TDM)되어도 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FDM)되어도 된다. 또한, PSS, SSS, PBCH 중, 1개 또는 복수가 동기 신호 블록에 복수 포함되어도 된다.
도 7은, 동기 신호 블록 내의 PSS, SSS, PBCH의 다중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1개의 동기 신호 블록 내에서 PSS, SSS, PBCH가 1개씩 시간 다중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b)는, 1개의 동기 신호 블록 내에서 PSS, SSS, PBCH가 시간 다중되고, PBCH에 사용되는 대역폭이 넓은 경우(예를 들어, PBCH의 서브캐리어수 또는 리소스 엘리먼트수가 PSS 및/또는 SSS보다 많음)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c)는, 1개의 동기 신호 블록 내에서 PBCH, PSS, SSS, PBCH와 시간 다중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동기 신호 블록 내의 선두의 PBCH와 최후의 PBCH는 동일해도 된다. 또한, PSS, SSS, PBCH의 시간순은 PSS, SSS, PBCH, PBCH의 순서여도 된다. 도 7의 (d)는, 1개의 동기 신호 블록 내에, PSS, SSS, PBCH의 순으로 동일한 것이 2회 송신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PSS, SSS, PBCH가 복수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PSS, SSS, PBCH가 동기 신호 블록 내에서 X(도 7의 (d)의 예에서는, X=2)회 반복된다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PSS, SSS, PBCH가 Y회(도 7의 (d)의 예에서는 Y=1) 재송된다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PSS, SSS, PBCH가 재송된다고 정의되어도 된다. 도 7의 (e)는, 1개의 동기 신호 블록에 PSS, SSS, PBCH가 시간 다중되고, 다음 동기 신호 블록에 동일한 PSS, SSS, PBCH가 다중되어 있다. 이것은, 동기 신호 블록이 X회(도 7의 (e)의 예에서는 X=2) 반복된다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블록이 Y회(도 7의 (e)의 예에서는 Y=1) 재송된다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어떤 동기 신호 블록이 복수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에 배치된다고 정의되어도 된다. 도 7의 (f)는, 1개의 동기 신호 블록에 PSS, SSS, PBCH가 시간 다중되고, PSS 및/또는 SSS의 대역폭보다 넓은 대역폭에서 송신된 PBCH가 2심볼 시간 다중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간 다중 및 주파수 다중은, 조합하여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PSS 및 SSS는 주파수 다중, PSS/SSS와 PBCH는 시간 다중과 같은 다중 방법이어도 된다. 이들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임의의 신호ㆍ채널에 대하여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시간 다중되는 경우, 연속되는 무선 리소스여도 되고, 불연속의 무선 리소스여도 된다. 또한, 주파수 다중되는 경우, 주파수 위치가 연속되는 무선 리소스여도 되고, 불연속의 무선 리소스여도 된다.
동기 신호 블록수는, 예를 들어 동기 신호 버스트,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수(개수)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블록수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셀 선택을 위한 빔 그룹의 수를 나타내도 된다. 여기서, 빔 그룹은,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 블록 또는 상이한 빔의 수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임의의 2개의 안테나 포트로 송신된 동기 신호 블록의 빔이 상이한 것은,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에 있어서, 동기 신호 블록의 송신에 사용되는 2개의 안테나 포트가 공간 파라미터에 관하여 QCL이 아니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빔은, 송신 또는 수신 필터 설정(Filter Configuration)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공간 파라미터는 하기 중 적어도 1개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된다.
ㆍ공간 상관(Spatial Correlation)
ㆍ수신 각도(AoA(Angle of Arrival) 및/또는 ZoA(Zenith angle of Arrival))
ㆍ수신 각도 분산(ASA(Angle Spread of Arrival) 및/또는 ZSD(Zenith angle Spread of Arrival))
ㆍ발사 각도(AoD(Angle of Departure) 및/또는 ZoD(Zenith angle of Departure))
ㆍ발사 각도 분산(ASD(Angle Spread of Departure) 및/또는 ZSD(Zenith angle Spread of Departure))
동기 신호 블록은, 빔 그룹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빔수를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있어서의 (a), (b), (c), (d), (f)의 경우, 동기 신호 블록 내에서 1개의 빔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빔수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에서 송신되고 있는 동기 신호 블록의 수이며, 도 7의 (e)의 경우, 2회 동일한 빔으로 동기 신호 블록이 송신되고 있으므로, 빔수는 동기 신호 블록수/2여도 된다.
또한, 미리 사양서에 정의되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수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잠재적인 동기 신호 블록수의 최댓값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미리 사양서에 의해 정의되는 동기 신호 버스트 시간 길이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길이의 정수배로 정의되어도 되고, 슬롯 길이 또는 서브프레임 길이의 1/2이나 1/3과 같은 슬롯 길이 또는 서브프레임 길이에 기초하여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슬롯 길이나 서브프레임 길이 대신에 OFDM 심볼 길이나 최소 시간(Ts)에 기초하여 정의되어도 된다.
이어서,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수의 지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PSS 및/또는 SSS를 생성하는 아이덴티티에 의해 단말 장치(1)에 지시되어도 된다.
PSS 및 SSS는, M 계열 또는 골드 계열(PN 계열이어도 됨)에 의해 생성된다. 이때, 시프트 레지스터의 초기값이 적어도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시프트 레지스터의 초기값은 또한 셀 ID 또는 셀 ID에 기초하는 값에 기초해도 된다.
PSS 및/또는 SSS에 대하여 커버 코드(예를 들어, 사이클릭 시프트나 아다마르 계열)가 더 포함되는 경우, 사이클릭 시프트양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또는 아다마르 계열의 행 인덱스가 적어도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e-클릭 시프트양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또는 아다마르 계열의 행 인덱스는, 또한 셀 ID 또는 셀 ID에 기초하는 값에 기초해도 된다.
또한, PBCH로 전송되는 MIB 또는 시스템 정보 중에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수가 포함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수로부터 셀의 수신 품질(예를 들어, RRM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RSRP나 RSRQ, RS-SINR 등)을 측정한다. 이때,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간에 측정값을 평균화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X개(X는 1이어도 됨. X는 2 이상의 정수여도 됨)의 동기 신호 블록간의 평균값을 셀 선택의 측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의 동기 신호 블록수는 지시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설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 수만을 나타냄으로써, 비트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PBCH로 전송되는 MIB에,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는, 개별적인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시간 인덱스는 제3 신호(예를 들어, TSS(Tertiary 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셀 고유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의 ID로 통지되어도 된다. 여기서, 셀 고유의 CSI-RS는, PBCH에 포함되는 MIB, 또는 PDSCH에 포함되는 SIB로 시그널링되어도 된다(예를 들어, CSI-RS의 주기, 리소스(시간, 주파수, 부호를 포함함), 안테나 포트수 중 1개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여도 됨). 또한, TSS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동기 신호 블록 내의 PSS, SSS, PBCH와 시간 다중되어도 되고, 주파수 다중되어도 된다. 또한, TSS도 동기 신호 블록 내의 신호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CSI-RS에 관해서도 동기 신호 블록 내에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PBCH로 전송되는 MIB에, 동기 신호 버스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의 배치 방법(국소적(Localized/Contiguous) 또는 이산적(Distributed/Non-contiguous))이 나타나도 된다. 또한, 배치 방법은, 1비트로 지시되어도 된다. 또한, 배치 방법에 관한 정보는, 개별적인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도 8에, 동기 신호 블록의 배치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의 (a)는 시간 영역에서 주기의 바운더리로부터 국소적으로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 8의 (b)는, 시간 영역에서 주기 중에 이산적으로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여기서, 주기란, 동기 신호 버스트의 주기,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또는 동기 신호의 주기로 설정되어도 된다.
도 8의 (a)의 경우, 동기 신호 블록이 시간적으로 국소적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잠재적인 동기 신호 블록수를 L이라고 한 경우, 단말 장치(1)는 L개의 연속된 동기 신호 블록을 상정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L개의 잠재적인 동기 신호 블록수 중, 지시된 동기 신호 블록의 장소 또는 수만큼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해도 된다. 도 8의 (b)의 경우, 또한 단말 장치(1)는 L개의 잠재적인 동기 신호 블록수 중, 시간적으로 이산적으로 배치된 동기 신호 블록을 상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L개의 잠재적인 동기 신호 블록수 중, 지시된 동기 신호 블록의 장소 또는 수만큼 동기 신호 블록을 상정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블록을 복수 포함하는 동기 신호 버스트가 국소적 또는 이산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연속되는 동기 신호 블록을 상정하여 측정을 행하거나, 동기 신호 블록의 리소스를 PDSCH의 리소스 엘리먼트로부터 생략하거나 해도 된다.
L의 값은, 사양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L의 값은 주파수 밴드에 의해 사양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국소적이란,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에 있어서의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는 후보 중에서 국소적으로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내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어떤 슬롯에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 내에 동기 신호 버스트 또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세트가 국소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해도 된다.
도 8의 (b)의 경우, 단말 장치(1)가 상정하는 동기 신호 블록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의 시간 위치는, 잠재적인 동기 신호 블록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의 수 L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1주기 내의 OFDM 심볼수를 NSC, 동기 신호 블록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에 포함되는 심볼수를 S(동기 신호 버스트인 경우에는, 동기 신호 버스트가 배치되는 시간 영역에 포함되는 OFDM 심볼수로 해도 됨), 동기 신호 블록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를 배치할 수 있는 시간 위치의 총수를 NSS라고 하면, NSS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1
NSS개의 후보 중, 잠재적인 l번째(l=0 내지 L-1 또는 l=1 내지 L) 동기 신호 블록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의 시간 위치는, 다음 식과 같이 정의해도 된다. 다음 식은, 동기 신호 블록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동기 신호 버스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식이 정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Figure pct00002
n(l)은, l번째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l은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리소스를 단위로 한 인덱스로 하고 있지만, OFDM 심볼의 인덱스로 표현되어도 되고, 슬롯의 인덱스로 표현되어도 된다. 또한, 식 (2)에서 결정된 값에 대하여 슬롯의 바운더리에 맞도록(예를 들어, 슬롯의 선두, 슬롯의 최후미 등) 정의된 식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식 (2)로 표시된 위치 중 가장 가까운 슬롯의 선두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L개의 동기 신호 블록 중, 단말 장치(1)는, 지시된 실제의 동기 신호 블록의 수 또는 시간 위치의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해도 된다.
또한, 식 (2)에 있어서, 식 중의 L을 지시된 동기 신호 블록의 수로 치환한 것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9는, 국소적 또는 이산적인 동기 신호 블록의 구성으로서, 국소적인 슬롯 또는 이산적인 슬롯에 동기 신호 블록을 배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는, 국소적으로 지시된 경우의 PSS, SSS, PBCH가 시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와 같이, 연속되는 슬롯에 각각 동기 신호 블록이 1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 블록의 선두는, 슬롯 내의 3번째 OFDM 심볼부터 배치되어 있다. 어느 OFDM 심볼부터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는가는 사양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도 9의 (b)는, 이산적인 슬롯으로 배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에 포함되는 슬롯수를 Nslot, 동기 신호 블록에 포함되는 심볼수를 S, 동기 신호 블록을 배치할 수 있는 시간 위치의 총수를 NSS라고 하면, NSS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3
NSS개의 후보 중, 잠재적인 l번째(l=0 내지 L-1 또는 l=1 내지 L) 동기 신호 블록이 포함되는 주기 내의 슬롯은, 다음 식과 같이 정의되어도 된다.
Figure pct00004
이와 같이,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는, 동기 신호 블록이 국소적인지 이산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수, 및 미리 정의된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내에서의 최대수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이산적인 배치인 경우, 동기 신호 블록간의 시간 간격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의 주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되어도 되고, PBCH나 SIB, 개별적인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여도 되고, 동기 신호 버스트여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수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 정보는 PBCH에 포함되는 MIB로 지시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가 설정되지 않으면 미리 정의된 주기(예를 들어, 디폴트 주기)여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수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미리 정의된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내에서의 최대수를 상정해도 된다. 또한, RRC 시그널링에 의해 기능이 설정되지 않았다는 것은, 설정하지 않는다고 하는 메시지를 포함해도 되고, 설정할 메시지가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시간 위치의 통지는, 비트맵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트 1은 동기 신호 블록이 송신된 시간 위치, 비트 0은 동기 신호 블록이 송신되지 않은 시간 위치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길이 L의 비트맵에 의해 논리적인 동기 신호 블록의 비트가 설정되고, 그것이 국소적 또는 이산적인 물리적인 시간 위치에 대응한다고 상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길이 L의 비트맵으로 표시되는 동기 신호 블록의 비트와, 상술한 국소적 또는 이산적이라고 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물리적인 시간 위치를 상정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예는 동기 신호 블록이 국소적, 이산적으로 배치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동기 신호 버스트 또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을 1개의 단위로 하여, 국소적ㆍ이산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4개의 동기 신호 블록을 1개의 단위로 하여 국소적으로 배치하고, 그 1개의 단위를 이산적으로 배치하는 등의 방법도 고려된다. 또한, 동기 신호 버스트 또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을 1개의 단위로 하여 비트맵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에 사용되는(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심볼은 맵되지 않는다.
이어서, PBCH의 스크램블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동기 신호의 주기, 동기 신호 버스트의 주기, 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의 주기)를 20밀리초로 하고, PBCH의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을 80밀리초로 하여 설명한다.
PBCH에 의해 송신되는 MIB의 부호 비트는, 골드 계열에 의해 스크램블링된다. 여기서, M 계열(또는 골드 계열을 구성하는 M 계열이어도 됨)은, 셀 ID로 80밀리초마다 초기화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System Frame Number)를 nf라고 하면, nf mod 8=0을 충족하는 각 프레임에서 PSS 또는 SSS로부터 검출된 셀 ID를 사용하여 초기화되어도 된다.
또한, PBCH에 의해 송신되는 MIB의 부호 비트는, 골드 계열에 의해 스크램블링된다. 여기서, M 계열(또는 골드 계열을 구성하는 M 계열이어도 됨)은, 셀 ID 및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를 사용하여 80밀리초마다 초기화되어도 된다.
또한, PSS 및 SSS로부터 검출된 셀 ID와, TSS 또는 PBCH에 의해 각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 또는 ID로부터 동기 신호 블록 ID(SS block identifier)가 정의되고, 동기 신호 블록 ID에 의해 초기화되어도 된다.
도 10은, 국소적으로 동기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에 관하여, 시간 인덱스와 슬롯의 관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는 1슬롯 내에 1개의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어 있고, 4슬롯에 동기 신호 블록이 4개 배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1슬롯 내에 1개의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시간 인덱스는 슬롯 또는 슬롯 내의 동기 신호 블록마다 인덱스가 결정된다. 도 10의 (b)는, 1슬롯 내에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 가능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4슬롯에 동기 신호 블록이 8개 배치되어 있다. 도 10의 (b)의 예에서는, 1슬롯 내에 2개의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고, 선두부터 차례로 인덱스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간 인덱스는, 동기 신호 블록의 ID를 나타냄과 함께, 빔의 인덱스의 지시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동기 신호 블록(동기 신호)의 시간 위치는, 슬롯 인덱스, 슬롯 및 슬롯 내의 시간 위치,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여도 된다.
이어서, 상술한 TSS를, 기지국 장치(3)가 단말 장치(1)에 설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초기 액세스의 경우, 단말 장치(1)는, 미리 정의된 주기(예를 들어, 20밀리초)의 주기로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한다. 단말 장치(1)가 기지국 장치(3)에 캠핑 또는 접속된 후, 기지국 장치(3)로부터 네트워크가 실제로 송신하고 있는 동기 신호 블록(또는 동기 신호 버스트, 동기 신호 버스트 세트여도 됨)의 주기가 지시되어도 된다.
이때, 기지국 장치(3)는 동기 신호 블록에 TSS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인 경우, 단말 장치(1)는, 다른 셀에 관한 RRM 측정(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나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S-RSRP(Synchronization Signal Reference Signal Reception Power) 또는 CSI-RSRP(CSI-RS RSRP) 등)을 할 때, PBCH를 복호하지 않고 TSS를 사용하여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 또는 동기 신호 블록 ID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TSS를 사용하여 다른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설정은,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되어도 되고,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의해 단말 장치(1)에 지시되어도 된다.
TSS를 다중하는 경우에는, 시간 다중하는 경우에는 동기 신호 블록 내에서, 하기의 순서(OFDM 심볼 번호의 순) 중 어느 하나로 다중되어도 된다.
ㆍPSS, SSS, PBCH, TSS
ㆍPSS, PBCH, SSS, TSS
ㆍSSS, PSS, PBCH, TSS
ㆍSSS, PBCH, PSS, TSS
ㆍPBCH, PSS, SSS, TSS
ㆍPBCH, SSS, PSS, TSS
ㆍTSS, PSS, SSS, PBCH
ㆍTSS, PSS, PBCH, SSS
ㆍTSS, SSS, PSS, PBCH
ㆍTSS, SSS, PBCH, PSS
ㆍTSS, PBCH, PSS, SSS
ㆍTSS, PBCH, SSS, PSS
또한, PBCH가 복수 심볼 있는 경우, 연속되는 심볼에 PBCH를 배치해도 되고, PBCH, PSS, SSS, PBCH와 같이 PBCH를 동기 신호 블록 내에서 시간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도 11에, TSS가 다중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a)는 국소적, 도 11의 (b)는 이산적으로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이와 같이, 핸드오버 시를 위해 TSS를 단말 장치(1)에 설정함으로써, 단말 장치(1)는, PBCH의 복호를 하지 않고 동기 신호 블록의 수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1)는, PSS, SSS, PBCH만으로 초기 액세스를 행하고, 핸드오버 시에 설정된 TSS와 동기 신호 블록의 PSS, SSS, TSS에 의해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을 측정해도 된다.
TSS나 CSI-RS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이때, TSS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 장치(1)는, 동기 신호 블록 내의 PSS 및 SSS, TSS를 수신한다. 또한, TSS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 장치(1)는, 동기 신호 블록 내의 PSS 및 SSS와 PBCH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TSS가 설정된 경우에는, PSS와 SSS와 TSS에 기초하여 메저먼트하고, TSS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PSS와 SSS에 기초하여 메저먼트한다.
여기서, 메저먼트는, 빔마다의 수신 전력(예를 들어, L1-RSRP 등)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해도 되고, 셀 레벨의 RRM 측정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TSS가 설정된 경우에는, PSS와 SSS와 TSS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블록 ID(SS block identifier)가 정의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PSS와 SSS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블록 아이덴티티(SS block identifier)가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에 TSS가 설정된 경우에는, PSS와 SSS와 TSS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PDSCH의 심볼은 맵되지 않고, TSS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PSS와 SSS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심볼은 맵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 장치(1)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동기 신호 블록이 수신한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에 PSS, SSS, TSS가 포함된다고 상정하여 상술한 동작이 적용되어도 된다.
이어서, 메저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1)는,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수신하고,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빙 셀과 동일한지 상이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메저먼트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빙 셀과 동일하다고 설정된 경우에는, 서빙 셀에서 설정되어 있는 주기를 상정하여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메저먼트를 행하고,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최대수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실제의 수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빙 셀과 상이하다고 설정된 경우에는, 디폴트 주기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최대수 또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실제의 수를 상정하여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메저먼트를 행한다.
또한, 동기 신호 내의 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빙 셀과 동일한지 상이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메저먼트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동기 신호 내의 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가 서빙 셀과 동일하다고 설정된 경우에는, 서빙 셀에서 설정된 시간 위치를 상정하여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메저먼트를 행하고, 동기 신호 내의 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빙 셀과 동일하다고 설정된 경우에는, 디폴트 시간 위치를 상정하여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메저먼트를 행해도 된다. 또한,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빙 셀과 동일한지 상이한지라고 하는 정보는,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가 메저먼트 오브젝트 내에 포함되는지 포함되지 않는지라고 하는 정보여도 된다.
메저먼트 오브젝트는, 단말 장치가 메저먼트를 행해야 할 대상물(오브젝트)이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주파수 내(intra-frequency) 및 주파수간(inter-frequency)의 측정을 위해, 메저먼트 오브젝트는 1개의 NR 캐리어 주파수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무선 액세스 기술간(inter-RAT)의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라고도 칭해짐)의 메저먼트를 위해, 메저먼트 오브젝트는 1개의 EUTRA 캐리어 주파수, 또는 1개의 EUTRA 캐리어 주파수 상의 셀의 집합이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무선 액세스 기술간(inter-RAT)의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WCDMA(등록 상표), HSPA라고도 칭해짐)의 메저먼트를 위해, 1개의 UTRA 캐리어 주파수 상의 셀의 집합이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측정 설정(메저먼트 컨피규레이션)에,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측정용 동기 블록 주기 정보)가 포함되고, 측정 대상의 주파수(및/또는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가 측정용 동기 블록 주기 정보와 동일하다고 상정할지 상이하다고 상정할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메저먼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측정 설정(메저먼트 컨피규레이션)에, 복수의 측정용 동기 블록 주기 정보가 포함되고, 측정 대상의 주파수(및/또는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가 어느 측정용 동기 블록 주기 정보라고 상정할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메저먼트 오브젝트는,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캐리어 주파수에 의해 지시된 캐리어 주파수에서, 인접 셀의 RSRP 및 RSRQ 측정을 위해 이용 가능한 동기 신호 블록의 측정 리소스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메저먼트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셀에서, 동기 신호 블록의 측정 리소스가, 어떤 서빙 셀(예를 들어, PCell)과 동일하다고 상정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블록의 측정 리소스는, 주기, 동기 신호 블록의 최대수, 동기 신호 블록의 실제의 수 중 1개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메저먼트 오브젝트는, 어떤 주파수의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측정 리소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1비트가 정의되고, 하기와 같이 실장되어도 된다.
ㆍ0: 인접 셀은 서빙 셀과 동일한 동기 신호 블록의 측정 리소스를 갖지 않는다
ㆍ1: 모든 인접 셀의 동기 신호 블록의 측정 리소스는 서빙 셀과 동일(identical)하다.
단말 장치(1)는, 상술한 설정에 기초하여 측정을 행하고, 측정 결과를 기지국 장치(3)에 보고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일 양태는, LTE나 LTE-A/LTE-A Pro와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과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 오퍼레이션되어도 된다. 이때, 일부 또는 모든 셀 또는 셀 그룹, 캐리어 또는 캐리어 그룹(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SCell), MCG(Master Cell Group), SCG(Secondary Cell Group) 등)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단독으로 오퍼레이션하는 스탠드 얼론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하향 링크의 무선 전송 방식으로서, CP-OFDM, 상향 링크의 무선 전송 방식으로서 CP DFTS-OFDM(SC-FDM)을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1)는, 상위층 처리부(101), 제어부(103), 수신부(105), 송신부(107)와 송수신 안테나(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1013) 및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 제어부(10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105)는, 복호화부(1051), 복조부(1053), 다중 분리부(1055), 무선 수신부(1057)와 측정부(1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107)는, 부호화부(1071), 변조부(1073), 다중부(1075), 무선 송신부(1077)와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01)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송신부(107)에 출력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1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01)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자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행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1011)는, 상향 링크의 각 채널에 배치되는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107)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1)가 구비하는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1013)는, 수신부(105)를 통하여 수신한 DCI(스케줄링 정보)의 해석을 행하고, 상기 DCI를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CSI 보고 제어부(1015)는, 측정부(1059)에, CSI 참조 리소스에 관련된 채널 상태 정보(RI/PMI/CQI/CRI)를 도출하도록 지시한다. CSI 보고 제어부(1015)는, 송신부(107)에, RI/PMI/CQI/CRI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CSI 보고 제어부(1015)는, 측정부(1059)가 CQI를 산출할 때 사용할 설정을 세팅한다.
제어부(103)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3)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에 출력하여 수신부(105) 및 송신부(107)의 제어를 행한다.
수신부(105)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하여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1057)는,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하여 수신한 하향 링크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1057)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GI)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가드 인터벌을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다중 분리부(1055)는, 추출한 신호를 하향 링크의 PCCH, P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 각각 분리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측정부(1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으로부터, PCCH 및 PSCH의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1055)는, 분리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부(1059)에 출력한다.
복조부(1053)는, 하향 링크의 PCCH에 대하여, 복조를 행하고, 복호화부(1051)에 출력한다. 복호화부(1051)는, PCCH의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성공한 경우, 복호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와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대응하는 RNTI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복조부(1053)는, PSCH에 대하여,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등의 하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된 변조 방식의 복조를 행하고, 복호화부(1051)에 출력한다. 복호화부(1051)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로 통지된 전송 또는 원부호화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측정부(1059)는, 다중 분리부(1055)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의 패스 로스의 측정, 채널 측정 및/또는 간섭 측정을 행한다. 측정부(1059)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한 CSI 및 측정 결과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또한, 측정부(1059)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의 전반로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다중 분리부(1055)에 출력한다.
송신부(107)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UCCH, PUSCH 및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하고,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하여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부호화부(1071)는, 상위층 처리부(101)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변조부(1073)는, 부호화부(1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79)는, 기지국 장치(3)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PCI, Cell ID 등으로 칭함),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배치하는 대역폭, 상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된 사이클릭 시프트, DMRS 시퀀스의 생성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식)으로 구해지는 계열을 생성한다.
다중부(1075)는,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 다중되는 PUSCH의 레이어의 수를 결정하고, MIMO 공간 다중(MIMO SM: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patial Multiplexing)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USCH로 송신되는 복수의 상향 링크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하고, 이 레이어에 대하여 프리코딩(precoding)을 행한다.
다중부(1075)는, 제어부(1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PSCH의 변조 심볼을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한다. 또한, 다중부(1075)는, PCCH와 P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다중한다. 즉, 다중부(1075)는, PCCH와 PSCH의 신호와 생성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1077)는, 다중된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SC-FDM 방식의 변조를 행하고, SC-FDM 변조된 SC-FDM 심볼에 가드 인터벌을 부가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중간 주파수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생성하고, 중간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고주파수의 신호로 변환(업컨버트: up convert)하고,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109)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3)는, 상위층 처리부(301), 제어부(303), 수신부(305), 송신부(307) 및 송수신 안테나(3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301)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 스케줄링부(3013) 및 CSI 보고 제어부(30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305)는, 복호화부(3051), 복조부(3053), 다중 분리부(3055), 무선 수신부(3057)와 측정부(30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송신부(307)는, 부호화부(3071), 변조부(3073), 다중부(3075), 무선 송신부(3077)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0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30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301)는,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303)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는, 하향 링크의 PSCH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여, 송신부(307)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는, 단말 장치(1) 각각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스케줄링부(3013)는, 수신한 CSI 및 측정부(3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이나 채널의 품질 등으로부터, 물리 채널(PSCH)을 할당하는 주파수 및 서브프레임, 물리 채널(PSCH)의 전송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 및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한다. 스케줄링부(3013)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303)에 출력한다. 스케줄링부(3013)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P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정보(예를 들어, DCI(포맷))를 생성한다.
상위층 처리부(301)가 구비하는 CSI 보고 제어부(3015)는, 단말 장치(1)의 CSI 보고를 제어한다. CSI 보고 제어부(3015)는, 단말 장치(1)가 CSI 참조 리소스에 있어서 RI/PMI/CQI를 도출하기 위해 상정하는,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부(307)를 통하여,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제어부(303)는,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3)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에 출력하여 수신부(305) 및 송신부(307)의 제어를 행한다.
수신부(305)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송수신 안테나(309)를 통하여 단말 장치(1)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30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송수신 안테나(309)를 통하여 수신된 상향 링크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GI)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무선 수신부(3057)는, 가드 인터벌을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하여 다중 분리부(3055)에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1055)는, 무선 수신부(3057)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PCCH, PSCH, 상향 링크 참조 신호 등의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이 분리는, 미리 기지국 장치(3)가 무선 리소스 제어부(3011)에서 결정하고, 각 단말 장치(1)에 통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다중 분리부(3055)는, 측정부(3059)로부터 입력된 전반로의 추정값으로부터, PCCH와 PSCH의 전반로의 보상을 행한다. 또한, 다중 분리부(3055)는, 분리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측정부(3059)에 출력한다.
복조부(3053)는, PSCH를 역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하여, 변조 심볼을 취득하고, PCCH와 PSCH의 변조 심볼 각각에 대하여,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미리 결정된,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1) 각각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부(3053)는, 단말 장치(1) 각각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공간 다중되는 계열의 수와, 이 계열에 대하여 행하는 프리코딩을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MIMO SM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SCH로 송신된 복수의 상향 링크 데이터의 변조 심볼을 분리한다.
복호화부(3051)는, 복조된 PCCH와 PSCH의 부호화 비트를,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의, 미리 정해진, 또는 자장치가 단말 장치(1)에 상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전송 또는 원부호화율로 복호를 행하고, 복호한 상향 링크 데이터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01)에 출력한다. PSCH가 재송신인 경우에는, 복호화부(3051)는,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되는 HARQ 버퍼에 유지되어 있는 부호화 비트와, 복조된 부호화 비트를 사용하여 복호를 행한다. 측정부(3059)는, 다중 분리부(3055)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참조 신호로부터 전반로의 추정값, 채널의 품질 등을 측정하고, 다중 분리부(3055) 및 상위층 처리부(301)에 출력한다.
송신부(307)는, 제어부(303)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PCCH, PSCH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 또는 별개의 무선 리소스에서, 송수신 안테나(309)를 통하여 단말 장치(1)에 신호를 송신한다.
부호화부(3071)는, 상위층 처리부(301)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변조부(3073)는, 부호화부(3071)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3079)는, 기지국 장치(3)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CI) 등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규칙으로 구해지는, 단말 장치(1)가 기지의 계열을 하향 링크 참조 신호로서 생성한다.
다중부(3075)는, 공간 다중되는 PSCH의 레이어의 수에 따라, 1개의 PSCH로 송신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매핑하고, 해당 1개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대하여 프리코딩(precoding)을 행한다. 다중부(3075)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신호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다중한다. 다중부(3075)는,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신호와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3077)는, 다중된 변조 심볼 등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OFDM 방식의 변조를 행하고, OFDM 변조된 OFDM 심볼에 가드 인터벌을 부가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중간 주파수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생성하고, 중간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고주파수의 신호로 변환(업컨버트: up convert)하고,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수신 안테나(309)에 출력하여 송신한다.
(1)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제1 동기 신호와 제2 동기 신호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한다.
(2)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메저먼트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메저먼트한다.
(3)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블록 아이덴티티가 정의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블록 아이덴티티가 정의된다.
(4)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심볼은 맵되지 않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심볼은 맵되지 않는다.
(5)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제3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위치는, 상기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는 시간 인덱스이다.
(6)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단말기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제1 동기 신호와 제2 동기 신호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송신하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7)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블록 아이덴티티가 정의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블록 아이덴티티가 정의된다.
(8)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심볼을 맵하지 않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상기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심볼을 맵하지 않는다.
(9)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제3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의 시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위치는, 상기 주기 중의 동기 신호 블록이 배치되는 시간 인덱스이다.
(10)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동기 신호와 제2 동기 신호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한다.
(11)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동기 신호와 제2 동기 신호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송신하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12)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이며, 제1 동기 신호와 제2 동기 신호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하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제1 정보는,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제3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동기 신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동기 신호와 상기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신한다.
(13)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있어서의 집적 회로는, 기지국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이며, 제1 동기 신호와 제2 동기 신호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송신하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제1 정보는, 제3 동기 신호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 혹은 그 밖의 기억 장치 시스템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매체, 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그 밖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에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여도 되고, 종래 형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전술한 전기 회로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 기술이 출현할 경우, 본 발명의 1 또는 복수의 양태는 당해 기술에 의한 새로운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ㆍ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기타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혹은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1A, 1B, 1C): 단말 장치
3: 기지국 장치
10: 송신 유닛
11: 위상 시프터
12: 안테나
101: 상위층 처리부
103: 제어부
105: 수신부
107: 송신부
109: 안테나
301: 상위층 처리부
303: 제어부
305: 수신부
307: 송신부
1011: 무선 리소스 제어부
1013: 스케줄링 정보 해석부
1015: 채널 상태 정보 보고 제어부
1051: 복호화부
1053: 복조부
1055: 다중 분리부
1057: 무선 수신부
1059: 측정부
1071: 부호화부
1073: 변조부
1075: 다중부
1077: 무선 송신부
1079: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3011: 무선 리소스 제어부
3013: 스케줄링부
3015: 채널 상태 정보 보고 제어부
3051: 복호화부
3053: 복조부
3055: 다중 분리부
3057: 무선 수신부
3059: 측정부
3071: 부호화부
3073: 변조부
3075: 다중부
3077: 무선 송신부
3079: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Claims (6)

  1. 단말 장치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셀 ID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신호로부터 상기 블록의 인덱스를 검출하는,
    단말 장치.
  2. 기지국 장치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는 상위층 처리부와,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셀 ID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기지국 장치.
  3.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셀 ID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신호로부터 상기 블록의 인덱스를 검출하는,
    통신 방법.
  4. 기지국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셀 ID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통신 방법.
  5. 단말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층 처리 수단과,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셀 ID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신호로부터 상기 블록의 인덱스를 검출하는,
    집적 회로.
  6. 기지국 장치에 탑재되는 집적 회로이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송신하는 상위층 처리 수단과,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및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어떤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상기 블록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셀 ID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집적 회로.
KR1020197031677A 2017-04-27 2018-04-25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523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8206 2017-04-27
JPJP-P-2017-088206 2017-04-27
PCT/JP2018/016793 WO2018199162A1 (ja) 2017-04-27 2018-04-25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903A true KR20190139903A (ko) 2019-12-18
KR102523029B1 KR102523029B1 (ko) 2023-04-19

Family

ID=6391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677A KR102523029B1 (ko) 2017-04-27 2018-04-25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01901B2 (ko)
EP (1) EP3618536B1 (ko)
JP (1) JP7201587B2 (ko)
KR (1) KR102523029B1 (ko)
CN (1) CN110603873B (ko)
AU (1) AU2018257199B2 (ko)
IL (1) IL270150B (ko)
RU (1) RU2764460C2 (ko)
SG (1) SG11201909923XA (ko)
WO (1) WO2018199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8521A4 (en) * 2017-04-28 2021-03-2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CN110603853B (zh) 2017-05-05 2020-1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传送同步信号定时信息的技术
US10887939B2 (en) 2017-08-10 2021-01-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s
US11337265B2 (en) 2017-08-10 2022-05-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1950287B2 (en) 2017-08-10 2024-04-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configuration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0855359B2 (en) 2017-08-10 2020-12-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y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and uplink channels
US11277301B2 (en) 2017-09-07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nifi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beam management
WO2019049350A1 (ja) * 2017-09-08 2019-03-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611468B2 (en) 2017-09-28 2023-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management with DRX configuration
CA3024596A1 (en) 2017-11-16 2019-05-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paging assistance
KR102606801B1 (ko) * 2017-12-26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US10863570B2 (en) 2018-01-09 2020-12-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selec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transmission
EP3525516B1 (en) 2018-02-09 2022-08-3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in carrier aggregation
US11419066B2 (en) 2018-02-15 2022-08-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port
EP4239905A3 (en) 2018-03-30 2023-10-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CA3038779A1 (en) 2018-04-02 2019-10-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EP3930237A1 (en) 2018-05-10 2021-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iza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11147104B2 (en) * 2018-05-11 2021-10-12 Apple Inc. PRACH resource selection
US11071000B2 (en) * 2018-07-19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RM measurement enhancement for NR unlicensed
EP3609285B1 (en) 2018-08-09 2021-10-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11324064B2 (en) 2018-09-24 2022-05-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11343735B2 (en) 2018-09-25 2022-05-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ells
EP3874828A1 (en) * 2018-11-02 2021-09-0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s
US11109448B2 (en) * 2018-12-11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configuration of discovery signal and channel
CN113826365B (zh) * 2019-03-12 2024-02-06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9003B1 (en) * 2005-12-13 2010-02-17 Panasonic Corporation Mapping of broadcast system information to transport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81456B2 (en) * 2011-12-15 2017-06-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he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9232503B2 (en) 2012-04-27 2016-01-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information ind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14084383A1 (ja) * 2012-11-30 2014-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8521391B (zh) * 2013-03-11 2021-02-09 Lg电子株式会社 接收用于在用户设备之间直接通信的同步信息的方法及其的装置
JP6204100B2 (ja) 2013-07-23 2017-09-27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6639395B2 (ja) * 2014-07-29 2020-02-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820247B2 (en) * 2014-07-30 2017-11-14 Intel IP Corporation Enhanced node B (ENB) and method for MTC coexistence
WO2016203290A1 (en) * 2015-06-15 2016-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synchronization block format
US10165536B2 (en) * 2015-06-19 2018-12-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scanning and acquisition
JP6047269B1 (ja) 2015-11-10 2016-12-21 株式会社宮富士工業 サイロ内壁面ライニング方法
SG11201907020XA (en) * 2017-02-03 2019-08-27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WO2018209497A1 (en) * 2017-05-15 2018-11-22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rm measurement and reporting mechanism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3092* *
3GPP R1-1703832 *
3GPP R1-1704710 *
3GPP R1-1705843 *
3GPP R2-1702858* *
R1-1612723, NTT DOCOMO, "Discussion on initial access procedure for NR", 2016년 11월
R1-1612801, 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On Synchronization Signals for Single-beam and Multi-beam Configurations", 2016년 11월
R1-1704862, LG Electronics, "Discussion on SS block, SS burst set composition and time index indication", 2017년 4월
RP-161214, NTT DOCOMO, "Revision of SI: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6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70150B (en) 2022-06-01
AU2018257199B2 (en) 2022-08-04
EP3618536A1 (en) 2020-03-04
EP3618536A4 (en) 2020-12-23
WO2018199162A1 (ja) 2018-11-01
SG11201909923XA (en) 2019-11-28
RU2019134588A3 (ko) 2021-08-31
KR102523029B1 (ko) 2023-04-19
CN110603873A (zh) 2019-12-20
EP3618536C0 (en) 2023-07-12
AU2018257199A1 (en) 2019-11-14
US20200195358A1 (en) 2020-06-18
RU2764460C2 (ru) 2022-01-17
JPWO2018199162A1 (ja) 2020-03-12
RU2019134588A (ru) 2021-05-27
JP7201587B2 (ja) 2023-01-10
US11101901B2 (en) 2021-08-24
EP3618536B1 (en) 2023-07-12
CN110603873B (zh)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029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EP3618490B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112851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114709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10214466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和集成电路
CN110249599B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JP6960944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049938A1 (j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1937462A (zh)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WO2019189397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19179981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19179982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