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732A -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 Google Patents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732A
KR20190139732A KR1020180110115A KR20180110115A KR20190139732A KR 20190139732 A KR20190139732 A KR 20190139732A KR 1020180110115 A KR1020180110115 A KR 1020180110115A KR 20180110115 A KR20180110115 A KR 20180110115A KR 20190139732 A KR20190139732 A KR 2019013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obile phone
unit
camera
stereo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506B1 (ko
Inventor
오성수
Original Assignee
오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수 filed Critical 오성수
Publication of KR2019013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에 관한 발명으로 폴더형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의 휴대폰 단말기는 제1폴더부(100)와 힌지연결부(200) 및 제2폴더부(300)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연결부(200)를 통하여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100)의 사이각을 0 내지 330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 사이에 넣어 사용함으로써, 이동시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그립감 및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는 내장부를 구비하여 지면에 다수의 접촉면을 가져 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으므로 별도의 휴대폰 거치대 없이 지면에 세워 영상물을 보는 것이 가능하여 누워서도 영상물을 볼 수 있으며, 상기 제2폴더부(300)에 카메라관통홀(340)을 구비하여 벽면의 못과 같은 요철부에 휴대폰을 걸어 사용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자세로 영상물을 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촬영 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휴대폰을 올려 촬영하면 찍어주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도 단체사진 촬영 시 전체 인원이 나오도록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고출력의 제3과 제4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탑재한 휴대폰 단말기는 사용의 편리성을 추구하고 획기적인 음향 성능 향상으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고품질의 음악을 마음껏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Rotatable reverse-v type cell phone device}
본 발명은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폴더부(100)와 힌지연결부(200) 및 제2폴더부(300)를 포함하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200)를 통해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의 사이각을 0 내지 330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폴더부(100) 및 상기 제2폴더부(300)에는 내장부가 더 구비되어 휴대폰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세울 수 있는 폴더형 휴대폰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단말기는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되는 생활기기의 하나로, 그 다양한 종류와 모양은 수많은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며, 휴대폰의 개폐상태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바형 및 슬라이드형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이든지 소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길가를 걸어가거나 급히 뛰면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등 사용자의 사용 형태와 휴대폰 구조에 따라 모두 주변의 위험요소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주변 환경을 잘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주머니에서 휴대폰 단말기를 꺼냈을 때 미끄러짐의 우려가 있으며, 휴대폰을 놓쳐 바닥에 떨어뜨림으로써 휴대폰 액정이 깨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 단말기는 휴대폰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셀프카메라 촬영을 하는 경우 배경과 함께 전신사진이 나오도록 셀프카메라를 촬영하는 것이 불편하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 단말기는 휴대폰을 특정 위치에 거치하려 할 때, 휴대폰 링이나 거치케이스 또는 거치대가 별도로 구비되어야만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휴대폰을 접었을 때, 겉면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 지에 따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다.
이에 현재까지도 계속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관련된 수많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8659(2014년 11월 15일)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편리한 폴더형 휴대폰 단말기 사용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더형 휴대폰 단말기를 기존의 ∨형상과 다르게 역브이∧형상으로도 변형가능하게 구비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힌지연결부 또는 내장부를 통하여 제1폴더부와 제2폴더부의 사이각을 0 내지 330도로 조절함으로써, 걸어 다니면서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휴대폰 파지 시 안정감을 높여 휴대폰을 떨어뜨릴 위험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 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휴대폰을 올려 촬영하면 찍어주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도 단체사진 촬영 시 전체 인원이 나오도록 촬영할 수 있으며, 휴대폰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고도 편한 자세로 영상물을 볼 수 있는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1폴더부; 상기 제1폴더부에 대향하는 제2폴더부; 및 상기 제1폴더부 상측 끝단과 상기 제2폴더부 상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을 조절하는 힌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폴더부의 좌우방향 양단의 상단부 내측에는 제3스테레오스피커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폴더부의 좌우방향 양단의 하단부에는 출력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상기 출력구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증폭유도관이 상기 제2폴더부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증폭유도관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와 연결되며, 하단부는 나팔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나팔관의 끝단이 상기 출력구를 향하도록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는, 상기 제2폴더부에 구비된 전용휠버튼에 의해 전원 및 음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음량은, 별도로 구비되는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원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제1폴더부와 제2폴더부가 힌지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을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 사이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휴대폰 사용 시 그립감을 좋게 만들고 안정감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을 한쪽 손에 끼고 접어서 안정감 있게 사용하므로 문자사용 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스테레오스피커를 구비하여 고품질의 음향효과가 있으며 상기 스테레오스피커의 음량크기를 조절하는 휠버튼을 아날로그식으로 구비하여 촉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폴더부에 별도로 장착된 고출력의 스트레오스피커는 주변환경의 소음 정도, 집중도가 필요한 음악 감상, MR 음악을 들으면서 악기를 연주하는 등 사용자의 스피커 이용목적 등의 용도에 따라 복수 개의 스트레오스피커 중 알맞은 출력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한 파생적 효과로는 사용자가 큰 음량으로 듣기위해 별도의 블루투스 스피커를 마련해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음향적으로도 성능이 뛰어난 휴대폰 단말기 기능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오스피커는 별도로 구비되는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전원 온/오프, 음량 조절 등이 가능함에 따라,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휠버튼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누름버튼의 의도치 않는 터치로 인한 음량의 변화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폴더부에는 카메라부의 전면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가 후방에 위치하게 되었을 경우, 사진 촬영 시 후방의 배경이 나올 수 있도록 카메라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관통홀에는 형태모듈부가 더 구비될 수 있어 촬영된 사진외곽의 형태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을 사용하면 휴대폰을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시켜 촬영하게 될 경우, 찍어주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도 단체사진 촬영 시 전체 인원이 나오도록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는 내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내장부를 통해 지면에 다수의 접촉면을 가져 지면에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폴더부 또는 상기 2폴더부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장부는 다수의 접철부를 더 구비할 수 있어 상기 내장부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면에 더욱 안정감 있게 휴대폰을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테레오스피커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하여 휴대폰의 각도에 상관없이 고품질의 음량을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브이식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휴대폰을 세우거나 카메라 관통홀을 이용하여 벽에 걸어서 영화감상을 하거나 각종 영상물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폴더부와 제2폴더부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안정된 각도로 옆으로 뉘여서도 영화를 감상할 수 있으며 장소의 구애됨이 없이 편안한 자세로 휴대폰을 통해 각종 영상물을 볼 수 있다.
또한, 제2폴더부에 미러부를 통하여 자신의 외모 관리를 하거나, 반사 빛을 이용하여 위험시 자기 위치를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 사용 시 역브이형 형태의 구조상 일반적인 높이보다 높게 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기존의 휴대폰과 비교하여 일자목 일명 거북목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어깨관절 통증을 미연에 예방하고 휴대폰 사용 시나 영상물 감상 시 자세를 똑바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배터리를 가지므로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폴더부의 주된 휴대폰 기능과 제2폴더부의 배터리 기능이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회로 집적도가 높아 위험성에 노출된 일체형보다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가 역브이식으로 세워진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 휠버튼(140)이 도 1과는 다른 위치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의 스테레오스피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가 180도 펴져 있는 경우의 정면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의 증폭유도관(55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가 180도 펴져 있는 경우의 후면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의 카메라관통홀(34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태모듈부(341)가 다양하게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내장부(170) 및 제2내장부(370)가 구비된 휴대폰 단말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결합부(171)와 제2결합부(371)가 자성을 띤 물질로 구비되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결합부(171)와 제2결합부(371)가 요부 및 철부로 구비되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장부가 아래를 향하는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장부가 위를 향하는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장부가 수평형상으로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제1내장부(170) 및 제2내장부(370)에 제1접철부(172) 및 제2접철부(372)를 더 구비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1접철부(172) 및 제2접철부(372)에 제3접철부(172-1) 및 제4접철부(372-1)가 더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1폴더부(100)의 지지부(180)가 제2폴더부(300)의 다수의 홈(39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홈(390)에 결합되어 제1폴더부(100)를 지지해주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폰 단말기가 180도 펴져 있는 경우, 제2폴더부의 미러부(320)에 카드수납홈(330)이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폰 단말기가 웨어러블 기기(600)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또는 “내장하다”또는 “구비하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 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기재된 용어 중“폴더부"란 폴더형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화면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각종 주요 정보 및 간단한 정보들이 표시되며,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는 휴대폰 단말기의 구성 성분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폴더부”를 “제1폴더부(100)”와 “제2폴더부(300)”로 나누어 기재하였다.
또한, “힌지연결부(200)”란 상기 제1폴더부(100) 상측 끝단과 상기 제2폴더부(300)의 상측 끝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의 사이각을 0 내지 330도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폰 단말기의 구성 성분을 나타낸 용어이다.
“사이각”이란 상기 제1폴더부의 상측 끝단과 상기 제2폴더부의 상측 끝단이 상기 힌지연결부를 통하여 연결하였을 때, 생기는 각도를 나타낸 용어로 열림 각도로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파지”란 물체를 손으로 잡는 경우를 나타낸 용어이며, 본 명세서 상에서는 휴대폰을 손으로 잡았을 경우를 나타낸 용어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및 “하측”이라 함은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에서의 위치를 지칭하는 용어로써, 상기 힌지연결부(200)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을 “상측”이라 지칭하였으며, 상기 힌지연결부(200)와 상대적으로 먼 부분을 “하측”이라 지칭하였다.
또한, 제1폴더부(100)에서 “전면”이란 상기 제1폴더부(100)에서 제1디스플레부(110)를 구비한 쪽의 면을 나타낸 용어이며, “후면”이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에 대향하는 면을 나타낸 용어이다.
또한, 제2폴더부(300)에서 “전면”이란 상기 제2폴더부(300)에서 제2디스플레이부(310)를 구비한 쪽의 면을 나타냈으며, “후면”이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310)에 대향하는 면을 나타낸 용어이다.
또한, “수평축”이란 본 명세서상에서 도 3에서 스테레오스피커의 장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축을 지칭한다.
또한, “힌지모듈”이란 각도가 변화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지칭하는 용어로써, 흔히 경첩과 같은 연결부를 지칭한다.
또한, “철부”란 볼록한 형상(凸)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또한, “요부”란 오목한 형상(凹)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부연하면, 일반적으로 휴대폰 단말기는 개폐방식에 따라 플립형, 바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며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느 곳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형 휴대폰 단말기는 주로 폴더부를 열었을 경우 일정한 각도로 사용되며, 셀프 카메라 촬영 시 풍경과 함께 전신 촬영을 하는 것이 어려우며, 길거리를 걸어 다닐 때 위험상황에 노출 되었을 시 사용자가 휴대폰을 바닥에 떨어뜨려 액정이 깨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폴더형식으로 구비되며, 제1폴더부(100), 힌지연결부(200) 및 제2폴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힌지연결부(200)는 상기 제1폴더부(100) 상측 끝단과 상기 제2폴더부(300) 상측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의 사이각을 0 내지 330도로 조절하여 기존의 브이(∨)형상과는 달리 역브이(∧)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동 시, 휴대폰을 잡았을 때 손의 위치를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 사이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안정감을 높여주며, 내장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세울 수 있으므로 휴대폰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지면에 세우는 것이 가능하며, 휴대폰 단말기를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올려 촬영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진촬영을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폴더부(100)와 힌지연결부(200) 및 제2폴더부(300)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연결부(200)는 상기 제1폴더부(100)의 상측 끝단과 상기 제2폴더부(300)의 상측끝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의 사이각을 0 내지 330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시 휴대폰 단말기의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 사이에 손을 끼워 사용함으로써 휴대폰 사용 시 그립감 및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폰 단말기를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 사이에 손을 끼워 사용함으로써, 이동 시에 휴대폰을 바닥에 떨어뜨릴 확률을 낮출 수 있으며, 다른 휴대폰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일자목, 일명 거북목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에 효과가 있으며, 목이나 어깨관절 통증을 예방하여 자세 교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폴더부, 상기 제2폴더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각종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해주며, 통화 시 외부 사람들에게 의견을 전달할 수 있으며,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단에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어 버튼이 익숙한 사용자에게 사용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로는,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폴더부(100)는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한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 하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홈 버튼(101), 뒤로가기 버튼(102), 모아보기 버튼(1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 버튼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하측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홈 버튼을 통하여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휴대폰을 켰을 때, 사용자가 지정한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상기 뒤로가기 버튼은 상기 홈 버튼 우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뒤로가기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가 전에 실행했던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아보기 버튼은 상기 홈 버튼 좌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아보기 버튼을 통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창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100)의 제1디스플레이부(110) 우측 하단에는 마이크(160)가 구비되어 통화 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아날로그 형식의 휠버튼(140)을 상기 제1폴더부에 구비하여 스테레오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아날로그방식이란 손으로 휠버튼(140)을 돌리는 것을 의미하며, 마우스의 휠과 같은 구조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또한, 상기 휠버튼(14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 우측상단 또는 좌측상단에 튀어나온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제2폴더부(300)에 상기 휠버튼(140)과 맞물리는 휠고정홈(391)을 구비하여 상기 제1폴더부(100) 전면과 상기 제2폴더부(300) 전면이 완전히 닿았을 때, 상기 휠버튼(140)이 상기 휠고정홈(391)과 대응되어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가 완전히 닫혔을 때, 상기 휠고정홈(391)의 내부에 상기 휠버튼(140)이 수용되어 상기 제1폴더부(100) 및 제2폴더부(300)가 들뜨는 형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휠버튼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 우측 또는 좌측에 약간 튀어 나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휠버튼이 상기 제1폴더부의 상측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구비되었을 경우 상기 휠버튼과 맞물리는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제2폴더부에 휠고정홈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휠버튼은 터치 시 화면동작을 준비하며, 턴업(Turn up) 및 턴다운(Turn down) 형식으로 작동된다.
이 때, 턴업이란 상기 휠버튼을 위로 돌리는 경우이며, 이 경우 음량의 크기를 키울 수 있다.
또한, 턴다운이란 상기 휠버튼을 아래로 돌리는 경우이며, 이 경우 음량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턴다운으로 음량의 크기를 최대로 줄인 후 턴다운 동작을 시행하게 되는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전원 오프(off) 창이 뜰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상기 휠버튼은 도면상에서 본래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내었으며, 턴업 및 턴다운 동작을 실행하여 음량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 각각 제1스테레오스피커(120) 및 제2스테레오스피커(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120) 및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1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120) 및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130)가 상기 제1폴더부(100) 상측에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120) 및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13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폴더부(100)에 직사각형 형상의 홀을 스테레오스피커의 개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홀에 장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축(400)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축에 스테레오스피커가 연결되어, 상기 스테레오스피커는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 및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님에 따라,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 및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폴더부의 정면 및 후면에서도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에 구애 받지 않고 고품질의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1폴더부(100)는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120)와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130) 사이에 카메라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1폴더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 장면 등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폴더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거나, 전면 및 후면 모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6과 같이 제1폴더부의 전면 및 후면에 모두 구비되거나, 제 1폴더부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만 구비하되 카메라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동되어 사용자가 촬영방향을 결정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제1폴더부의 전면 및 후면에 모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폴더부(100) 전면에 전면제1카메라(151) 및 전면제2카메라(1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폴더부(100) 후면에 후면제1카메라(153) 및 후면제2카메라(15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도 4 및 도 6과 같이 제1폴더부의 전면 및 후면 모두 두 개의 카메라를 두어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전방 및 후방 촬영 시 광각의 촬영 효과를 낼 수 있다.
카메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회동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부(150)는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로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180도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만이 회동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는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회동되는 카메라가 전면에 위치 시 전면카메라의 기능을 하나, 후면으로 회동되는 경우 고정되어 있는 후면카메라와 결합되어 듀얼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란 휴대폰 뒷면에 내장된 카메라가 2개로 늘어난 카메라 모듈을 말하며, 각각의 카메라가 다른 부분을 촬영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므로 기존의 휴대폰과는 불가능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들이 모두 회전하거나, 각각 회전이 가능할 수도 있어 소량의 카메라를 구비하더라도 다양한 시야각으로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면제1카메라(151) 및 상기 전면제2카메라(152)가 모두 회동되는 경우, 두 개의 카메라 모두가 전면 또는 후면을 대향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므로, 전면 또는 후면 모두 광각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전방 및 후방 촬영 시 광각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넓은 범위의 풍경을 손쉽게 촬영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힌지연결부(200)에 대해 상세하게로는, 상기 힌지연결부(200)는 제1폴더부(100)의 상측 끝단과 제2폴더부(300)의 상측 끝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의 사이각을 0 내지 330도로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힌지연결부는 내부에 각도고정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이 설정된 후, 상기 사이각이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지 힌지연결부는 열림, 닫힘 또는 사전에 정해놓은 각도에서 고정이 되는 힌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힌지장치는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며,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는 두 상대회전 부재의 접촉면에 각각 돌기와 홈을 만들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두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1폴더부의 접촉면에 돌기와 홈을 만들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두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닫힘과 열림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도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를 연결하며, 억지끼움이 가능한 힌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멈출 수 있도록 프리스톱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는 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캠의 이동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에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연결부에 각도를 조절해줄 수 있는 힌지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폴더부(3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로는, 상기 제2폴더부(300)는 힌지연결부(200)를 통하여 제1폴더부(100)와 연결되며, 시간과 날짜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디스플레이부(310)가 상기 제2폴더부(300)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폴더부(300)에는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폴더부(300)의 좌우방향 양단의 내측에는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의(520)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유도관(550)이 각각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는 상기 제2폴더부(300)의 좌우방향 양단의 상단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폴더부(300)의 좌우방향 양단의 하단부에는 출력구가 구비되며, 상기 증폭유도관(550)은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상기 출력구(551)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2폴더부(300)의 내측에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증폭유도관(55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와 연결되며, 하단부는 나팔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나팔관의 끝단이 상기 출력구(551)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력구(551)에는 커버(552)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증폭유도관(550)의 내부로 물,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커버(552)는 상기 증폭유도관(550)의 내부 공기 및 소리는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되, 외부로부터 물을 포함한 이물질 등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량의 공극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극의 직경이 0.01mm미만인 경우, 공기의 소통량이 너무 적어 소리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직경이 0.05mm를 초과하는 경우, 방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상기 공극의 직경은 0.01 ~ 0.05mm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는 흩어지지 않고 상기 증폭유도관(550)으로 모아진 상태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증폭유도관(550)의 하단부는 나팔관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증폭유도관(550)을 통과한 소리는 증폭된 상태로 상기 출력구(551)로 출력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증폭유도관(551)에 의해 소리를 증폭한 상태로 출력함에 따라,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120) 및 제2스테레오스피커(130)를 사용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큰 소리의 음향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환경이 시끄러운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음향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폴더부(3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상기 휠버튼(140)과 같이 턴업 및 턴다운에 의해 동작되는 전용휠버튼(530)이 구비되며, 상기 전용휠버튼(5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의 동작 준비가 이루어지고, 음량의 크기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전용휠버튼(530)이 아래로 완전히 돌려진 상태에서 상기 전용휠버튼(530)을 위로 돌리는 턴업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와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의 전원이 켜지면서 동작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전용휠버튼(530)을 위로 돌리는 턴업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와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의 음량이 커지게 되고, 상기 전용휠버튼(530)을 아래로 돌리는 턴다운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와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의 음량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전용휠버튼(530)을 아래로 완전히 돌리는 경우,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의 전원이 종료된다.
즉,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는 상기 전용휠버튼(530)에 의해 쉽게 동작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용휠버튼(530)이 제1폴더부(100)측으로 튀어나온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폴더부(300)에는 상기 전용휠버튼(530)이 수납 고정되는 전용휠고정홈(540)이 구비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전용휠고정홈(540)은 상기 제1폴더부(100)와 제2폴더부(30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전용휠버튼(5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전용휠버튼(530)이 상기 전용휠고정홈(540)과 완전히 맞물리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전용휠버튼(530)이 수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스테레오스피커(120, 130, 510, 520)는 사람의 신체(예 : 손목, 팔 등)에 착용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600)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600)에는 상기 제1스테레오스피커(120) 및 제2스테레오스피커(130)의 동작상태를 조작하는 제1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의 동작상태를 조작하는 제2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스테레오스피커의 동작상태를 각각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조작부 및 제2조작부는 각 스테레오스피커 음량 조절 수단, 전원 온/오프 수단 등을 포함하며, 이들의 조작상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6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는 사용되는 주변환경 요소와 사용자의 필요 요구조건에 따라 적절한 스테레오스피커를 선택하여 원격으로 쉽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단말기는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를 사용하는 경우 고품질의 음량을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별도의 블루투스 스피커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더부(300)는 전면 하측에 미러부(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미러부(320)를 통하여 자기 관리를 하거나 반사 빛을 이용하여 자기 위치를 알리는 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부는 평면거울, 오목거울 및 볼록거울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미러부에 틈을 구비하여 설치함으로써, 카드수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상기 제2폴더부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제1폴더부로 배선이 되어 상기 제1폴더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더부는 기존의 휴대폰 단말기보다 배터리 수용부가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 될 수 있으며, 대용량의 배터리가 내장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휴대폰 단말기는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전원공급이 안정적이며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일체형이나 교체형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공간을 절약하여 그립감이 좋아지고, 배터리 교체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상기 배터리가 교체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2개 이상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을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더부는 고무, 가죽 등의 재질로 구비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을 잡았을 때, 휴대폰이 미끄러져 떨어질 경우가 드물며, 지면에 안정감 있게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더부(300)는 전면 상측 중앙에 카메라부(150)가 후방에 위치할 때, 상기 카메라부(150)의 가시반경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관통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관통홀(34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폴더부(300)의 전면 상측과 후면 상측을 관통하는 구멍(홀)이 구비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카메라관통홀(340)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50)가 후방에 위치하여 후방의 사진을 촬영하게 되는 경우, 풍경이나 인물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진 촬영 시에 상기 제1폴더부의 후면과 상기 제2폴더부의 후면이 대응 되도록 접었을 때, 상기 카메라관통홀(340)의 중심은 상기 카메라부(150)가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150)의 중심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폴더부(300)는 330도 접었을 때, 사진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관통홀(340)을 통해 카메라부의 가시반경을 확보하여, 풍경이나 인물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촬영 시 본 발명에서 휴대폰 단말기는 지면에 세울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휴대폰을 위치시켜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삼각대를 구비한 것과 같은 위치에서의 사진촬영이 가능하며, 단체 사진을 찍을 경우, 찍어 주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도 단체 사진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관통홀(340)은 일측에 결합되는 형태모듈부(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관통홀은 도 7에서와 같이 다수의 암나사선을 구비하고, 도 8에서와 같이 형태모듈부는 다수의 수나사선을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관통홀의 암나사선에 형태모듈부의 수나선이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관통홀에 상기 형태모듈부를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모듈부는 사진촬영 시, 촬영된 사진 외곽의 형태를 설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도 8에서와 같이 형태모듈부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별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진 촬영 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도 촬영된 사진의 외곽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폴더부(100) 및 상기 제2폴더부(300)는 지면에 안정감 있게 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추가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장부(170) 및 상기 제2내장부(370)는 일측이 제1폴더부(100) 또는 제2폴더부(300)와 연결구조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제1폴더부(100) 및 제2폴더부(300)에 결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1폴더부(100)는 후면 하측에 제1내장부(170)가 힌지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폴더부(300)의 후면 하측에는 제2내장부(370)가 힌지결합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휴대폰 단말기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삼각형상의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폴더부 및 제2폴더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내장부는 폴더부와 연결되는 반대편, 즉 각각의 타단에 내장부끼리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인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1내장부 및 상기 제2내장부의 타측 끝단은 결합부로 자성을 띠는 물질을 구비하여 자력에 의해 서로 연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1내장부 및 제2내장부는 각각의 타측 끝단이 요철부를 가져 필요에 따라 요철 결합을 통하여 상기 제1내장부와 상기 제2내장부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내장부 및 상기 제2내장부는 자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요홈 및 요철부 결합을 통하여 결합됨으로써,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삼각형상의 휴대폰 단말기의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을 고정할 수 있으며, 지면에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안정감 있게 휴대폰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자성의 물질이나 요철부로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을 시켜줄 수 있는 다른 물질 또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든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장부(170) 및 상기 제2내장부(370)가 폴더부와 연결되는 또 다른 예로는, 도 11과 같이 상기 제1폴더부(100) 및 상기 제2폴더부(300)의 후면 정중앙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내장부(100) 및 상기 제2내장부(300)의 일측이 힌지결합 되는 위치가 상기 제1폴더부(100) 및 상기 제2폴더부(300) 후면 정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내장부(170) 및 상기 제2내장부(370)는 회동 방향에 따라 지면에 닿는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어 안정감 있게 휴대폰 단말기를 세울 수 있다.
또한 도 13 또는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제1내장부와 상기 제2내장부의 타단 회동 방향을 바꿈으로써 내장부들의 타단이 다양한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어, 힌지연결부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장부(170)와 상기 제2내장부(370)는 구비되는 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제1결합부(171) 및 제2결합부(37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은 위치에 내장부가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제1결합부(171) 및 제2결합부(3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부(170, 370)는 힌지연결부의 각도를 더욱 확실히 고정하고, 단말기의 직립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폴더부(100, 300)와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측, 즉 타단에 접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5를 통해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내장부(170)는 제1접철부(17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내장부(170) 타측 끝단과 상기 제1접철부(172) 일측 끝단을 힌지모듈로 연결하는 제1조절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내장부(370)는 제2접철부(37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내장부(370) 타측 끝단과 상기 제2접철부(372) 일측 끝단을 힌지모듈로 연결하는 제2조절부(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173)는 상기 제1내장부와 상기 제1접철부(172)를 연결하며, 상기 제1내장부(170)와 상기 제1접철부(17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373)는 상기 제2내장부(370)와 상기 제2접철부(372)를 연결하며, 상기 제2내장부(370)와 상기 제2접철부(37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내장부 및 제2내장부에 연결되는 제1접철부 및 제2접철부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상기 제1내장부 타측 끝단과 상기 제1접철부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조절부를 통하여 힌지모듈로 연결되며, 상기 제2내장부 타측 끝단과 상기 제2접철부 일측 끝단이 상기 제2조절부를 통하여 힌지모듈로 연결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상기 제1조절부를 통해 상기 제1내장부와 상기 제1접철부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조절부를 통해 상기 제2내장부와 상기 제2접철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내장부의 형태를 다양화하여 지면에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장부 및 상기 제2내장부는 상기 제1접철부 및 상기 제2접철부에 다수의 접철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접철부 타측 끝단에 다른 접철부가 더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철부가 다수 구비됨에 따라 힌지모듈로 작동되는 조절부가 접철부의 개수에 맞추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6은 제1접철부 및 제2접철부의 타측 끝단에 각각 하나의 접철부가 더 이어진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접철부를 다수 구비함에 따라, 상기 접철부를 통해 지면에 닿는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어 휴대폰 단말기를 안정감 있게 세울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로는, 도 16에서의 제3접철부(172-1) 및 제4접철부(372-1)의 일면이 지면에 완전히 닿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접철부를 통해 지면에 닿는 접촉면적을 더 늘릴 수 있으며, 상기 접철부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또는 도 14의 상기 제1내장부와 상기 제2내장부와 마찬가지로 접철부 타측 끝단에 제1결합부(171) 및 제2결합부(3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상기 제1내장부 및 상기 제2내장부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내장부 및 상기 제2내장부의 움직임과 형태에 따라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가 역브이 형상으로 접혀 있을 때, 안정감 있게 지면에 세워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더부(100)는 후면 상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내장되는 지지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폴더부(300)는 후면 상측에 다수의 홈(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폴더부(300)는 후면 상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내장되는 지지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폴더부(100)는 후면 상측에 다수의 홈(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지지부는 다수의 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홈에 상기 지지부의 타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제1폴더부 후면 상측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내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2폴더부 후면 상측에 다수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는 다수의 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홈에 타측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폴더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가 상기 다수의 홈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홈에 상기 지지부 타측이 끝단이 결합되는 형태를 지님에 따라,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폴더부가 상기 지지부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폰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고도 편한 자세로 영상물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는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사이각을 조절하여 상기 벽면의 요철부에 휴대폰을 걸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폴더부의 미러부를 틈을 구비하여 설치함으로써, 도 18에서와 같이 카드수납공간이 형성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선호 계층의 다양한 취향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제1폴더부와 제2폴더부가 힌지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의 각도를 0 내지 330도로 조절함으로써, 길거리를 이동하면서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할 때,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 사이에 손을 위치하여 휴대폰을 파지함으로써, 휴대폰을 떨어뜨릴 확률을 낮출 수 있으며, 휴대폰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안정감 및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서, 상기 제1폴더부와 상기 제2폴더부가 지면에 다수의 접촉면을 갖게 되어 지면에 세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폰 단말기가 지면에 세워짐에 따라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는 휴대폰 자체로써 카메라의 삼각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고도 각종 영상물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휴대폰 단말기 파지 시 그립감 및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세울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휴대폰을 위치시켜 사진촬영을 함으로써, 찍어주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도 단체사진 촬영 시 전체 인원이 나오도록 촬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제1폴더부 101 : 홈 버튼
102 : 뒤로가기 버튼 103 : 모아보기 버튼
110 : 제1디스플레이부 120 : 제1스테레오스피커
130 : 제2스테레오스피커 140 : 휠버튼
150 : 카메라부 151 : 전면제1카메라
152 : 전면제2카메라 153 : 후면제1카메라
154 : 후면제2카메라 152 : 제2카메라
160 : 마이크 170 : 제1내장부
171 : 제1결합부 172 : 제1접철부
172-1 : 제3접철부 173 : 제1조절부
173-1 : 제3조절부 180 : 지지부
200 : 힌지연결부 300 : 제2폴더부
310 : 제2디스플레이부 320 : 미러부
330 : 카드수납홈 340 : 카메라관통홀
341 : 형태모듈부 350 : 조명부
360 : 이어폰연결잭 370 : 제2내장부
371 : 제2결합부 372 : 제2접철부
372-1 : 제4접철부 373 : 제2조절부
373-1 : 제4조절부 380 : USB 및 충전기연결잭
390 : 홈 391 : 휠고정홈
400 : 수평축
510 : 제3스테레오스피커 520 : 제4스테레오스피커
530 : 전용휠버튼 540 : 전용휠고정홈
600 : 웨어러블 기기

Claims (5)

  1.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제1폴더부(100);
    상기 제1폴더부(100)에 대향하는 제2폴더부(300); 및
    상기 제1폴더부(100) 상측 끝단과 상기 제2폴더부(300) 상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폴더부(100)와 상기 제2폴더부(300)의 사이각을 조절하는 힌지연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폴더부(300)의 좌우방향 양단의 상단부 내측에는 제3스테레오스피커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폴더부의 좌우방향 양단의 하단부에는 출력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스테레오스피커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상기 출력구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증폭유도관이 상기 제2폴더부(3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증폭유도관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와 연결되며, 하단부는 나팔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나팔관의 끝단이 상기 출력구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스테레오스피커(510) 및 제4스테레오스피커(520)는,
    상기 제2폴더부(300)에 구비된 전용휠버튼(530)에 의해 전원 및 음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음량은,
    별도로 구비되는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원격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KR1020180110115A 2018-06-08 2018-09-14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KR102101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5941 2018-06-08
KR1020180065941 2018-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732A true KR20190139732A (ko) 2019-12-18
KR102101506B1 KR102101506B1 (ko) 2020-04-16

Family

ID=6905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115A KR102101506B1 (ko) 2018-06-08 2018-09-14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5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59Y1 (ko) 2004-09-08 2004-11-2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6140568A (ja) * 2004-11-10 2006-06-01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JP2006162074A (ja) * 2004-12-09 2006-06-22 Lg Electronics Inc ヒンジユニット、ヒンジ装置、携帯端末機及び電子機器
KR20160108051A (ko) * 2015-03-06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59Y1 (ko) 2004-09-08 2004-11-2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6140568A (ja) * 2004-11-10 2006-06-01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JP2006162074A (ja) * 2004-12-09 2006-06-22 Lg Electronics Inc ヒンジユニット、ヒンジ装置、携帯端末機及び電子機器
KR20160108051A (ko) * 2015-03-06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506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8742B2 (en) Multi-lens optical attachment for mobile devices
US10142592B1 (en) Smart minor
JP4992062B2 (ja) 骨伝導ヘッドセット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50338635A1 (en) Mobile Optical Magnifier
US20100208029A1 (en) Mobile immersive display system
CN203241642U (zh) 一种由眼镜和腕表构成的多功能无线多媒体装置
US20170366215A1 (en) I-Scope Cell Phone Smart Case Providing Camera Functonality
KR200470116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TW201419883A (zh) 頭戴式耳機裝置
ATE360957T1 (de) Tragbares telefon mit kamera
JP2004214946A (ja) 折り畳み式携帯情報機器
US20160309009A1 (en) Mobile device case with lighting and stand elements
WO2008117101A1 (en) A camera comprising a detachable projector
CN204859235U (zh) 一种手机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CN111314525A (zh) 书简式柔性折叠屏手机
EP1650934A3 (en) Foldable phone with a 3d ginge and a camera in the hinge
KR20190139732A (ko)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KR101868977B1 (ko) 역브이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
KR20130062534A (ko) 휴대,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한 화면확대경이 내장된 휴대폰
KR20180077981A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205545478U (zh) 一种带功放的自拍杆
CN209149061U (zh) 一种智能音箱投影仪
US20220206442A1 (en) Customizable Digital 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