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454A -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454A
KR20190139454A KR1020180065915A KR20180065915A KR20190139454A KR 20190139454 A KR20190139454 A KR 20190139454A KR 1020180065915 A KR1020180065915 A KR 1020180065915A KR 20180065915 A KR20180065915 A KR 20180065915A KR 20190139454 A KR20190139454 A KR 20190139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broadcast
providing
following information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호
양규태
이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6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9454A/ko
Publication of KR2019013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의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LLOWING}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서비스를 연계하여 지속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팔로잉(service following)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방송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 및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세대 방송 시스템들은 기존의 HD 해상도보다 4배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UHD 콘텐츠를 제공하는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차세대 방송 시스템의 방송 표준은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그널링 정보는 방송 서비스의 서비스 획득(service acquisition)을 위해 필요한 저 수준 시그널링(LLS: Low Level Signaling)과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 Service Layer Signaling)를 포함하며, 수신단에서는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단의 방송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7-0057978 호“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의 시그널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는 디지털 방송망과 통신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그널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각각의 컴포넌트들로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의 시그널링 데이터 전송 기술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최소 권역 이동 시 자동으로 방송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팔로잉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방송 환경에서 권역을 옮겨 갈 때, 채널을 다시 선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방송 서비스로 자동 연계하여 지속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방송 서비스 지속 제공을 통해 편리함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의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상기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나고, 제2 방송 수신 권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브로드밴드망 주소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브로드밴드망 주소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중인 제1 방송 서비스의 상기 방송사 식별자 및 상기 연계서비스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주파수 식별자가 상이한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의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게 된 경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하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상기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나고, 제2 방송 수신 권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브로드밴드망 주소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브로드밴드망 주소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중인 제1 방송 서비스의 상기 방송사 식별자 및 상기 연계서비스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주파수 식별자가 상이한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의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게 된 경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소 권역 이동 시 자동으로 방송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팔로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방송 환경에서 권역을 옮겨 갈 때, 채널을 다시 선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방송 서비스로 자동 연계하여 지속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방송 서비스 지속 제공을 통해 편리함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방송 수신 권역 및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수신 차량의 방송 수신 권역 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수신 차량의 브로드밴드망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 권역 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방송 수신 권역 또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연계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된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ROUTE 기반의 시그널링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MMTP 기반의 시그널링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MMTP 기반의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LLS 시그널링을 적용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전송하는 위한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서비스 팔로잉을 LLS 테이블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LLS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방송 수신 권역 및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ATSC 3.0 이동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이동경로를 따라 지역 A(서울/경기)에서 지역 B(부산)로 이동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다양한 방송 수신 권역을 거쳐 도달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여러 방송 수신 권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방송 수신 권역을 이동할 때, SFN(Single Frequency Network) 이 아닌 MFN(Multi Frequency Network) 환경이고, 수신하는 방송 신호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방송 수신 권역이 변경되어도, 방송 서비스의 채널을 자동적으로 재검색하거나 현재 수신 중인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수신 차량의 방송 수신 권역 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가 장착된 사용자의 차량이 CH 52번 권역에서 CH 53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CH 52 방송 신호가 인접한 권역 CH 53과 CH 56에 대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동 방송 수신이 변경되어도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차량이 상기 전술한 권역을 이동하는 상황 외에도 해당 권역 내의 음영지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해당 방송 서비스를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받아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수신 차량의 브로드밴드망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 권역 간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해당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주소(예, http://download.tsi.abc1.co.kr/abcdacu1.mpd)를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받아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H 53에 위치한 사용자가 CH 52로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CH 53 권역에서는 현재 사용자가 수신중인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수신한 방송 신호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인접한 모든 권역에서 해당 서비스와 연계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인 최소 4개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와 1개의 브로드밴드망의 인터넷 주소(URL)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 생성부(11), 방송 신호 생성부(12) 및 송신부(13)를 포함한다.
서비스 팔로잉 정보 생성부(11)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정보 생성부(11)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더 생성할 수도 있다.
방송 신호 생성부(12)는 현재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사가 제공 가능한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신호 생성부(12)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전달 받아,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부(13)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현재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수신부(110),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130) 및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부(111)는 안테나로부터 전달된 ATSC 3.0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R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는 방송 신호에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는 방송 신호와, 방송 신호에서 추출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상기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는 권역 별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켜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에 의해 권역 별로 연결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권역 별로 연결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된 일 예는 하기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다.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난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나고, 제2 방송 수신 권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은 기설정된 시간 내에 방송 신호가 수신할 수 있거나, 방송 신호에 기설정된 값 미만의 잡음이 검출되는 등의 정상적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조건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브로드밴드망 주소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브로드밴드망 주소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중인 제1 방송 서비스의 상기 방송사 식별자 및 상기 연계서비스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주파수 식별자가 상이한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의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게 된 경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동일한 방송 수신 권역에서 UHD 방송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HD 방송 서비스가 동일한 방송사에서 주파수(채널)만 달리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 제공부(140)는 UHD 방송 서비스 수신 상태가 불량한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HD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UHD 방송 서비스의 수신 상태가 정상화 된 경우, 다시 HD 방송 서비스에서 UHD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먼저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10).
즉, 단계(S210)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더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방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즉, 단계(S220)는 현재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사가 제공 가능한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전달 받아,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방송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230).
즉, 단계(S230)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현재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먼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즉, 단계(S3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310)는 안테나로부터 전달된 ATSC 3.0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R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10)는 방송 신호에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10)는 방송 신호와, 방송 신호에서 추출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S320).
즉, 단계(S32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20)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상기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단계(S320)는 권역 별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켜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20)는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130)가,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120)에 의해 권역 별로 연결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권역 별로 연결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된 일 예는 하기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30).
즉, 단계(S330)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난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나고, 제2 방송 수신 권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은 기설정된 시간 내에 방송 신호가 수신할 수 있거나, 방송 신호에 기설정된 값 미만의 잡음이 검출되는 등의 정상적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조건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브로드밴드망 주소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브로드밴드망 주소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중인 제1 방송 서비스의 상기 방송사 식별자 및 상기 연계서비스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주파수 식별자가 상이한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의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게 된 경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330)는 동일한 방송 수신 권역에서 UHD 방송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HD 방송 서비스가 동일한 방송사에서 주파수(채널)만 달리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30)는 UHD 방송 서비스 수신 상태가 불량한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HD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UHD 방송 서비스의 수신 상태가 정상화 된 경우, 다시 HD 방송 서비스에서 UHD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 방송 수신 권역 또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연계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X는 현재 수신 중인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는 연계 서비스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X는 비디오, 오디오 또는 앱 기반 서비스가 될 수 있으며, 별도의 독립적인 데이터 서비스 일 예로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과 같은 TTI(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연계된 서비스 A는 인접한 특정 권역내의 동일 또는 유사 서비스에 접근 할 수 있는 파라미터에 상응할 수 있다.
연계된 서비스 B는 다른 권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동일 또는 유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파라미터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연계된 서비스는 현재 방송 수신 권역에 따라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연계된 서비스는 서비스 식별자(SERVICEID), 주파수(FREQUENCY) 및 방송사 식별자(BSID)를 포함할 수 있다.
연계된 서비스 N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주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된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서비스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의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130)에 권역 별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되는 형식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연계된 서비스 DB 는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상응할 수 있다.
연계된 서비스 DB 는 모든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상응할 수 있고,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하부에 연계된 서비스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계된 서비스 세트는 연계된 서비스 키 값으로 구분될 수 있고, 연계 서비스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된 서비스 세트는 현재 방송 수신 권역에서 수신 가능한 연계 서비스 목록을 포함할 수 있고, 연계 서비스는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또는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팔로잉 파라미터 구조체(파라미터 집합)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술한 내용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ATSC 3.0 방송망을 통해 전송하고자 할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ATSC 3.0 규격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A/331)에 명시된 시그널링 방법을 적용하여 방송 신호와 함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ROUTE 기반의 시그널링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SC 3.0의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방식를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해당하는 SFD(Service Following Description)를 USBD, MPD, S-TSID, APD, HELD 및 DWD 등을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시그널링 데이터 모델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MMTP 기반의 시그널링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SC 3.0의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방식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해당하는 SFD(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을 USBD, MPD 및 MMT Package Table 등을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시그널링 데이터 모델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SFD의 데이터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SFD는 mmt_atsc3_message() 비트 스트림 내에 하나의 'atsc3_message_content_type'으로 전송 할 수 있다. 이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와 유사한 형태로 mmt_atsc3_message()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와 연계된 서비스 목록은 LinkedServices란 엘리먼트(element)를 최상위로 하고 하부에 속성(attribute)으로 serviceid, LinkedviaBroadcast와 LinkedviaBroadband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LinkedviaBroadcast 엘리먼트는 속성으로 frequency, bsid, serviceid 또는 linkagetype을 속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LinkedviaBroadband 엘리먼트는 속성으로 linkedURL 또는 linkagetype을 속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LinkedServices 엘리먼트에 속하는 속성값 serviceid는 ATSC 3.0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고 16비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serviceid는 인접 권역에서 현재 수신중인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에 상응할 수 있다.
LinkedviaBroadcast 엘리먼트에 속하는 frequency는 인접 권역의 주파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bsid(broadcast stream identifier)는 방송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에 상응할 수 있다. serviceid는 인접 권역에서 현재 수신중인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에 상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linkagetype은 연계된 서비스가 동일한 서비스이거나 유사한 서비스임을 구분하는 값에 상응할 수 있다. 만약, linkagetype은 값이 '1'이면 현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임을 나타낼 수 있고, '0'이면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서비스 임을 나타낼 수 있다.
LinkedviaBroadband 엘리먼트는 서비스 연계를 인접한 방송망이 아닌 브로드밴드 망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즉, LinkedviaBroadband 엘리먼트는 URL과 연계된 서비스 타입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linkedURL과 linkagetype을 속성 값으로 포함할 수 있다. linkedURL은 현재 수신 중인 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URL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linkagetype은 LinkedviaBroadcast 엘리먼트에 사용된 linkagetype과 동일한 속성으로 연계된 서비스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1'이면 동일 서비스, '0'이면 유사 서비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MMTP 기반의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SC 3.0의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방식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해당하는 SFD(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descriptor_tag와 descriptor_length는 일반적인 서술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해당 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number_of_linked_services는 해당 서비스와 연관된 인접 권역 및 브로드밴드를 포함한 연계 서비스 수를 나타낼 수 있다.
delivery_type은 'ROUTE' 또는 'MMT(MPEG Media Transport)'를 나타낼 수 있다. delivery_type이 'ROUTE'인 경우, frequency, bsid, serviceid 또는 linkage_type 값을 포함할 수 있고, 'MMT'인 경우, number_of_URL_byte, linkage_URL 또는 linkage_type 값을 포함할 수 있다.
frequency는 인접 권역의 주파수에 상응할 수 있다.
bsid는 스트림 식별자와 같은 방송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에 상응할 수 있다.
serviceid는 인접 권역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식별자에 상응할 수 있다.
linkagetype은 연계된 서비스가 동일한 서비스이거나 유사한 서비스임을 구분하는 값에 상응할 수 있다. 만약, linkagetype은 값이 '1'이면 현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임을 나타낼 수 있고, '0'이면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서비스 임을 나타낼 수 있다.
number_of_URL_byte는 브로드밴드의 'URL' 주소 길이를 나타낼 수 있고, URL은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LLS 시그널링을 적용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전송하는 위한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SC 3.0의 LLS(Low Level Signaling) 시그널링을 적용한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해당하는 SFD(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ATSC 3.0에서 서비스 레벨(SLS: service layer signaling)에서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지만 LLS(Low Level Signaling)에서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때, LLS는 LLS 테이블 내에 포함되는 SLT(Service List Table)와 같이 하나의 테이블로 제공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SLT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에 대한 연계 정보를 전체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조와 달리 하나 이상의 서비스 연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구체적으로는 LinkedServices의 'Use' 값이 '1...N'을 가지면 SLT내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 목록에 대한 연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LinkedServices 엘리먼트가 하나 이상 올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5에 도시된 모든 엘리먼트와 속성 값은 도 13에서 설명한 엘리먼트와 속성 값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팔로잉 정보인 SFD를 LLS 테이블 내에 제공할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SLS에 비해 보다 빠르게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접근 할 수 있으며 전체 서비스 팔로잉 정보가 하나의 테이블로 통합되어 있으므로 관리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서비스 팔로잉을 LLS 테이블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LLS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LLS 테이블 내에 SFD를 제공하는 신택스(syntax)에 대한 일 실시 예로, SLT 및 기타 테이블과 유사하게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ATSC 3.0에서 reserved한 '0x06' 값을 부여하여 SFT(Service Following Table)을 제공할 수 있다. SFT는 도 15에 도시된 Service Following Description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을 위해 송신단에서 전송하는 서비스 팔로잉 디스크립션(Service Following Descrip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동일 방송 수신 권역에서 다른 서비스로 연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일 반송 권역에서 연계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LinkedviaInBand 엘리먼트가 LinkedServices의 하위 엘리먼트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LinkedviaInBand 엘리먼트는 serviceid 및 linkagetype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LinkedviaInBand 엘리먼트는 동일 방송 수신 권역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에 대한 식별 정보(serviceid)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HD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HD 채널이 동일 권역에 전송 되는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동일 권역 내의 다른 서비스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HD는 4K 해상도를 가진 방송 신호에 대한 UHD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권역 내의 HD 서비스로 이동하여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1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및 스토리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11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130)나 스토리지(11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0) 및 스토리지(11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131)이나 RAM(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 서비스 팔로잉 정보 생성부 12: 방송 신호 생성부
13: 통신부 110: 수신부
111: 튜너부 112: 베이스밴드 처리부
120: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 130: 서비스 팔로잉 데이터베이스부
140: 방송 서비스 제공부
1100: 컴퓨터 시스템 1110: 프로세서
1120: 버스 1130: 메모리
1131: 롬 1132: 램
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160: 스토리지 1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80: 네트워크

Claims (20)

  1.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의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상기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나고, 제2 방송 수신 권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브로드밴드망 주소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브로드밴드망 주소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중인 제1 방송 서비스의 상기 방송사 식별자 및 상기 연계서비스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주파수 식별자가 상이한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의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게 된 경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11.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방송 수신 권역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처리하는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이 포함되는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연계 서비스 타입 및 브로드밴드망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 처리부는
    상기 방송 수신 권역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상기 인접 방송 수신 권역 및 상기 브로드밴드망의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1 방송 수신 권역에서 벗어나고, 제2 방송 수신 권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방송 서비스의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방송 수신 권역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에 포함된 브로드밴드망 주소 및 연계 서비스 타입을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브로드밴드망 주소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팔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권역에서 제공중인 제1 방송 서비스의 상기 방송사 식별자 및 상기 연계서비스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주파수 식별자가 상이한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의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신호가, 상기 방송 신호 수신 조건이 상응하게 된 경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로 재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KR1020180065915A 2018-06-08 2018-06-08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139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15A KR20190139454A (ko) 2018-06-08 2018-06-08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15A KR20190139454A (ko) 2018-06-08 2018-06-08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54A true KR20190139454A (ko) 2019-12-18

Family

ID=6905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15A KR20190139454A (ko) 2018-06-08 2018-06-08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945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2726A1 (en) * 2021-08-06 2023-02-09 Sony Group Corporatio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WO2023012732A1 (en) * 2021-08-06 2023-02-0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601707B2 (en) 2021-08-06 2023-03-07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11611799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US11611792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US11711568B2 (en) 2021-08-06 2023-07-2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US11838680B2 (en) 2021-08-06 2023-12-0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848716B2 (en) 2021-08-06 2023-12-1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2726A1 (en) * 2021-08-06 2023-02-09 Sony Group Corporatio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WO2023012732A1 (en) * 2021-08-06 2023-02-0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601707B2 (en) 2021-08-06 2023-03-07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11611790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US11611799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US11611792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US11711568B2 (en) 2021-08-06 2023-07-2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US11838680B2 (en) 2021-08-06 2023-12-0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848716B2 (en) 2021-08-06 2023-12-1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9454A (ko)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01101A (ko)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10037075A1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102617287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300987B1 (en) Logical content ad insertion
US10999612B2 (en)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KR101760445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CN110446054B (zh) 一种直播流传输方法、装置、节点、系统及存储介质
US11871087B2 (en) Receiver,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KR20110044311A (ko) 디지털 tv 서비스들 사이의 동적 스위칭
US11689304B2 (en) Receiving device, and signaling device
WO2008046643A1 (en) Device for selection of bearer channel type for broadcasting contents to communication terminals
US20190261253A1 (en) Broadcast identifier signaling
KR101863972B1 (ko) 하이브리드 전송 메커니즘
CN109644138B (zh) 在蜂窝广播系统上的地面广播电视服务
KR102529153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19103B1 (ko) 동적 이벤트 시그널링
KR20200132464A (ko) 지상파 uhd 방송에서 서비스 핸드오프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54549A (ko) 이동 방송 환경에서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0201A (ko)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EP3503441A1 (en) Provision of a regional radio program
US20240155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8k shvc service based on broadcast network interconnection
KR102669857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90387260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20230143438A (ko) 5g 및 방송망 기반의 융합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리포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