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201A -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201A
KR20220060201A KR1020200145906A KR20200145906A KR20220060201A KR 20220060201 A KR20220060201 A KR 20220060201A KR 1020200145906 A KR1020200145906 A KR 1020200145906A KR 20200145906 A KR20200145906 A KR 20200145906A KR 20220060201 A KR20220060201 A KR 20220060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handoff
broadcast
providing
service hand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호
라상중
배병준
양규태
최동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201A/ko
Publication of KR2022006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4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broadcast system and non-broadcas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은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의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서비스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HANDOFF}
본 발명은 서비스 핸드오프(service handoff)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북미 디지털 방송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인 ATSC 3.0에서는 관련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 A/332)을 완료하였다. 상기 규격은 서비스 획득(service acquisition)을 위해 필요한 저 수준 시그널링(LLS: Low Level Signaling)과 서비스 계층 시그널링(SLS: Service Layer Signaling)에 대한 세부 규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ATSC 3.0을 적용하는 방송 환경에서, 이동중인 사용자가 권역 이동 시나 음역 지역에 위치할 경우에도, 제공 받고 있는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 10-2020-0107616 호“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는 MMT(MPEC Media Transpor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함에 있어서, 핸드오프(Handoff)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동중인 사용자가 권역 이동 시나 음역 지역에 위치할 경우, 현재 제공중인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 받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 경험을 향상시키고, 차량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은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의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서비스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서비스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 및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트리밍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중인 사용자가 권역 이동 시나 음역 지역에 위치할 경우, 현재 제공중인 방송 서비스를 지속 제공 받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서비스 수신 경험을 향상시키고, 차량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을 위한 방송 수신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을 위한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ATSC 3.0 기반의 UHD 방송망을 통한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을 위한 방송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을 위한 방송 수신 환경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차량과 같은 이동 방송 수신 환경에서는 방송 신호로는 DMB와 FM을 수신하여 라디오 및 비디오를 포함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TSC 3.0 기술을 적용한 지상파 UHD는 DMB와 같이 이동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HD 이동 방송(UHD 모바일 방송)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HD급의 비디오 및 차량에 요구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HD 모바일 방송은 MFN(Multiple Frequency Network) 환경에서는 이동 시 권역의 경계에서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터널과 같이 방송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음영 지역에서도 서비스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현재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인접하는 방송망의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로 연결해서 서비스를 지속하게 하고, 더 나아가 방송 권역이 불가할 때는 통신망을 연결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로 지속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동일한 방송망뿐만 아니라 DMB나 FM과 같이 이종망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연결하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인접한 동종 UHD망을 포함하여 DMB나 FM과 같은 이종 방송망을 연계하여 서비스를 지속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방송망이 불가할 경우 통신망(브로드밴드망)에서 제공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연동하여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술한 동종망과 이종망 서비스 핸드오프 방송망 구성에 대한 일 실시 예로 UHD1 방송망을 현재 수신 중인 방송망으로 가정하면 인접한 동종 방송망은 UHD2와 UHD3가 있을 수 있으며, 이종 방송망의 경우에는 DMB와 FM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통신망으로는 4G, LTE나 5G망이 공존할 수 있다.
이 때, UHD1 방송 서비스를 수신 중인 사용자가 인접한 동종의 UHD2 방송 권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종의 DMB 방송 권역으로 이동할 경우 현재 수신 중인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면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이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서 관련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면 적절하게 서비스를 연계하여 지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동종 방송망을 포함하여 이종 방송망과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연계 정보 즉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서비스 핸드오프 장치인 방송 수신기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는 방송망을 통해 방송 수신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방송망을 통해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 포맷(형식)을 고려해야 한다.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ATSC 3.0 기술을 기반으로 한 UHD 방송망을 통한 전송을 가정하여 XML 형태의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ATSC 3.0 시그널링 방식을 기반으로 동종 또는 이종 방송 환경에서 서비스 핸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ATSC 3.0을 적용하는 방송 환경에서 권역 이동 시 자동으로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 동종 또는 이종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연계 가능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ATSC 3.0 방송망을 통해 전송하고,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인 방송 수신기에서 이를 수신 처리하여 권역 이동이나 음영 지역에 위치 시 자동으로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핸드오프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동일 방송망과 이종 방송망의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ATSC 3.0의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에 포함하여 방송 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다. 동일 방송망의 경우에는 핸드오프 파라미터로 서비스 식별자, 주파수, 방송사 식별자 및 스트리밍 주소(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MB와 같은 이종 방송망의 경우에는 주파수, 앙상블 식별자 및 서비스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FM 방송망의 경우에는 주파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이동 방송 환경에 적용할 경우, 이동중인 사용자가 권역 이동 시나 음역 지역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수동 조작 없이 자동으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확보하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어 이동중인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지상파 UHD를 포함하여 DMB나 FM에서 제공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로 연계하여 지속할 수 있어서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을 위한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을 위한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100)인 방송 수신기는 상기 전술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UHD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고,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방송망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핸드오프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는 시그널링 서버를 통해 가공되어 게이트웨이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서버에서는 USBD 프레그먼트를 포함하여 기타 SLS를 위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 프레그먼트를 정해진 주기로 반복해서 게이트웨이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MMT/ROUTE 서버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고자 모든 데이터를 다중화 하여 ATSC 3.0 익사이터를 통해 방송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UHD 방송망을 통해 수신한 USBD 정보를 파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 후 핸드오프 이벤트가 발생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인접한 방송권역 및 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방송 권역은 동일 방송망의 다른 서비스, 동종의 UHD 방송망의 서비스, DMB 방송망의 서비스, FM 라디오 서비스 또는 통신망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포함한다.
통신망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에 방송 수신기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 탑재되었거나 별도로 연결된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망(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에 포함된 @handoffURL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는 신호 수신부(110),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베이스 및 스트리밍 수신부(140)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10)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수신부(110)는 UHD 수신부, DMB 수신부 및 FM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UHD 수신부는 UHD 방송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UHD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UHD 수신부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DMB 수신부는 DMB 신호를 수신하여 DMB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M 수신부는 FM 신호를 수신하여 FM 라디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서비스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UHD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베이스(130)에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저장,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RF 신호 및 서비스 품질을 모니터링 하여 서비스 핸드오프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서비스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동일 방송망의 다른 서비스, 인접한 동종의 UHD망을 우선적으로 서비스 핸드오프 대상에 대한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상기 과정에서 적절한 서비스 핸드오프가 진행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스트리밍 수신 중에 DMB 망이나 FM 망을 검색한 후 적절한 대상이 결정되면, 스트리밍 서비스는 과금이 수반되므로, 사용자에게 안내를 하고 DMB 서비스나 FM 서비스로 연계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는 모든 방송 권역에 대해 서비스 핸드오프를 모두 진행한 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로의 서비스 핸드오프를 마지막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베이스(130)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스트리밍 수신부(140)는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리밍 수신부(140)는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120)에서 서비스 핸드오프가 스트리밍 서비스로 결정된 경우,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handoffURL)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스트리밍 수신부(140)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브로드밴드망)에 존재하는 스트리밍 서버(10)에 연결하고, 스트리밍 서버(10)로부터 해당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달받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은 먼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즉, 단계(S210)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UHD 방송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UHD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DMB 신호를 수신하여 DMB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FM 신호를 수신하여 FM 라디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은 서비스 핸드오프를 처리할 수 있다(S220).
즉, 단계(S220)는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UHD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수신하여 파싱하고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베이스(130)에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저장,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RF 신호 및 서비스 품질을 모니터링 하여 서비스 핸드오프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서비스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동일 방송망의 다른 서비스, 인접한 동종의 UHD망을 우선적으로 서비스 핸드오프 대상에 대한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단계(S220)는 상기 과정에서 적절한 서비스 핸드오프가 진행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스트리밍 수신 중에 DMB 망이나 FM 망을 검색한 후 적절한 대상이 결정되면, 스트리밍 서비스는 과금이 수반되므로, 사용자에게 안내를 하고 DMB 서비스나 FM 서비스로 연계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모든 방송 권역에 대해 서비스 핸드오프를 모두 진행한 후,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로의 서비스 핸드오프를 마지막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은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30).
즉, 단계(S230)는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0)는 서비스 핸드오프가 스트리밍 서비스로 결정된 경우,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handoffURL)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30)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브로드밴드망)에 존재하는 스트리밍 서버(10)에 연결하고, 스트리밍 서버(10)로부터 해당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달받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 포맷에 대한 일 실시 예로 XML 형식으로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 포맷은 최상위 엘리먼트로 handoffServices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handoffServices 엘리먼트는 @serviceid 속성(attribute)을 포함하여 자식(child) 엘리먼트로 handoffviaInband, handoffviaBroadcast, handoffviaBroadband, handoffviaDMB 및 handoffviaFM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serviceid는 현재 수신 중인 서비스 식별자에 해당하며 현 방송방에서 고유한 식별자일 수 있다.
상기 handoffviaInband는 동일한 방송 권역 내의 다른 서비스로의 핸드오프를 위한 정보로 일 예로 4K 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하다가 고속 이동시 HD급의 비디오로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속성으로 @inbandserviceid 및 @handofftyp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inbandserviceid는 동일 방송 권역의 다른 서비스 식별자에 해당하며 handofftype은 상기 inbandservice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동일한 서비스인지 또는 유사한 서비스 인지를 나타내는 속성일 수 있다. 동일 서비스는 사이멀케스트(simulcast)와 같이 동일한 서비스를 의미하며, 유사 서비스는 지역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지역 프로그램이 편성되어 서비스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동일 계열의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유사 서비스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handofftype 속성은 사용자에게 안내 시 사용할 수 있다.
handoffviaBroadcast는 인접한 동종의 방송망으로의 핸드오프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엘리먼트로 속성으로 @frequency, @bsid 및 @handoffserviceid 및 @handofftyp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frequency는 해당 방송망의 주파수를 의미한다. 상기 @bsid는 해당 방송 권역의 방송사 정보를 broadcast stream identifier에 해당한다. 상기 @handoffserviceid는 인접한 방송 권역에서 제공되는 연계할 서비스 식별자를 의미한다. 상기 @handofftype은 상기 전술한 handoffInband내의 handofftype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정리하면, handoffviaBroadcast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인접한 동일 방송망으로의 핸드오프를 할 수 있다.
상기 handoffviaBroadband는 인접한 동종의 방송망으로의 핸드오프가 가능하지 않을 경우 통신망(브로드밴드망)을 통한 핸드오프를 위한 정보로 @handoffURL 및 @handofftype을 속성으로 갖는다. 상기 @handoffURL은 인터넷 상의 스트리밍 주소로 예로 "http://etbroadcat/uhdmobile/mobile1.mpd"와 같이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주소가 명시될 수 있다.
상기 handoffviaDMB는 인접한 DMB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로의 연계를 위한 정보로 @frequency, @ensembleid, @serviceid 및 @handofftype을 속성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frequency는 인접한 DMB 방송망의 주파수에 해당할 수 있다. @ensembleid는 DMB 방송망의 앙상블 id로 bsid와 유사한 방송사 식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dmbserviceid는 연계할 서비스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handofftype은 연계할 DMB 서비스가 동일한 서비스 인지 유사한 서비스 인지를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handoofviaFM은 FM 방송망의 라디오 서비스로 연계하기 위한 것으로 속성으로는 @frequency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는 상기 전술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 방송망의 다른 서비스, 인접한 동종의 방송망의 서비스, 인접한 DMB 서비스, 인접한 FM 라디오 서비스 또는 통신망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로 수신 중인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ATSC 3.0 기반의 UHD 방송망을 통한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는 UHD 방송망을 통해 수신기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 실시 예로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에 추가(확장)하여 UHD 방송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USBD는 SLS(Service Layer Signaling) 전송 세션을 통해 전송이 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시그널링(service signaling)이라고 명시된 세션(tsi-0)을 통해 수신기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USBD의 전송 방법은 ATSC 3.0 표준을 따르며 자세하게는 USBD 프래그먼트(fragment)로 구성되어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는 상기 전송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를 수신한 후 파싱(parsing)하여 핸드오프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1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및 스토리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11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130)나 스토리지(11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0) 및 스토리지(11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131)이나 RAM(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향후 이동 방송을 지원하는 차량 단말에서 UHD 모바일 수신 기능과 DMB 및 FM 수신 기능이 다 가능할 경우 UHD 방송망뿐만 아니라 인접한 DMB 및 FM 라디오 서비스까지 자동으로 연계를 할 수 있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어 서비스 수신 경험 및 운전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스트리밍 서버 100: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110: 신호 수신부 120: 서비스 핸드오프 처리부
130: 서비스 핸드오프 데이터베이스
140: 스트리밍 수신부
1100: 컴퓨터 시스템 1110: 프로세서
1120: 버스 1130: 메모리
1131: 롬 1132: 램
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160: 스토리지 1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80: 네트워크

Claims (1)

  1.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의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동종 또는 이종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서비스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핸드오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방법.
KR1020200145906A 2020-11-04 2020-11-04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60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906A KR20220060201A (ko) 2020-11-04 2020-11-04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906A KR20220060201A (ko) 2020-11-04 2020-11-04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01A true KR20220060201A (ko) 2022-05-11

Family

ID=8160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906A KR20220060201A (ko) 2020-11-04 2020-11-04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2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ultimedia content
KR10075302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송 핸드오버
US8005987B2 (en) Multi-representation media event handoff
US7865558B2 (en) STB messaging system
JP4392424B2 (ja) 伝送パラメータ情報
US20130291040A1 (e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combine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ervice
KR20210001101A (ko)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60445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20200077125A1 (en)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2009002504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television services, corresponding gateway and network
GB2455065A (en) Handover of broadcast services between networks
KR20190139454A (ko) 서비스 팔로잉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496810B2 (en) Receiver,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US20060154669A1 (en)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service and broadcasting receiver therefor
EP1914913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DVB-H system
KR100810359B1 (ko) Dvb―h 시스템에서 통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20060201A (ko) 서비스 핸드오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90179B1 (ko) Dvb―h 수신 단말에서 브로드캐스팅 데이터를효율적으로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dvb―h 수신단말
KR20200054549A (ko) 이동 방송 환경에서 서비스 팔로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40580A (ko) 멀티 다운로드 알고리즘을 사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다운로드 방법과 그 방법이 적용되는 dmb 데이터다운로드 장치
KR20200132464A (ko) 지상파 uhd 방송에서 서비스 핸드오프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40155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8k shvc service based on broadcast network interconnection
JP2011077718A (ja) 放送受信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54659B1 (ko)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상파 dmb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3438A (ko) 5g 및 방송망 기반의 융합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리포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