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351A -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 Google Patents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351A
KR20190138351A KR1020180064682A KR20180064682A KR20190138351A KR 20190138351 A KR20190138351 A KR 20190138351A KR 1020180064682 A KR1020180064682 A KR 1020180064682A KR 20180064682 A KR20180064682 A KR 20180064682A KR 20190138351 A KR20190138351 A KR 2019013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barrier
toilet room
door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0253B1 (en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6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253B1/en
Publication of KR2019013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3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2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which comprises: a toilet room (20); an entrance door (22) disposed in the toilet room (20); and a water barrier formation unit (30)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an inne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22) to form a water barrier so as to prevent poisonous gas from permeating between the entrance door (22) and a door frame (24) of the toilet room (20) in case of fire. The water barrier formation unit (30) comprises: a water barrier pipe (32) provided with a water discharge hole for supplying water at an inner side of the entrance door (22); and a water supply device (34)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barrier pipe (32).

Description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본 발명은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열 기능은 물론 비상시 안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exert a heat function as well as a safety function in an emergency.

일반적으로 화재는 대규모 인명 피해와 물적 피해를 초래하는 재난 사고로서, 이로 인한 인명 피해와 물적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재 발생을 막는 것이 최우선이다. 아파트와 같은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거주자들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피난하기 위하여 구조를 위한 소방차량의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건물내 별도로 설치된 비상탈출을 위한 피난장치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a fire is a disaster that causes large-scale human and physical damages, and preventing fires is a top priority to effectively prevent human and physical damages.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residents use the ladder of firefighting vehicles for rescue to evacuate from flames and toxic gases or evacuation system using an evacuation device for emergency escape installed in the building. It is becoming.

그러나, 아파트와 같이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시 소방차량의 사다리 또는 피난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에는 큰 한계가 있고, 특별피난계단에 설치되는 피난시설 및 피난장치는 부실, 낙후되어 실제 작동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고층 아파트에서는 화재 발생시 특히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there is a big limitation in the method of using a ladder or an evacuation device of a fire engine, and the evacuation facilities and evacuation devices installed in the special evacuation stairs are insolvent and obsolete, so that many places do not actually operate. In high-rise apartments, fire damage, especially large casualties, is a reality.

한편, 화재발생시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피해보다는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가 크고, 상기 유독가스는 순식간에 화재가 발생한 내부공간을 뒤덮기 때문에 특히나 고층건물일 경우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기 어렵고 외부로부터의 도움의 손길을 기다리기 위해 시간을 벌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fire occurs, the damage caused by the toxic gas is generally greater than the damage caused by the flame, and since the toxic gas covers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fire occurred in a moment, it is difficult to have time to evacuate especially in a high-rise building and You have to buy time to wait for a helping hand.

따라서, 아파트의 화장실을 화재 대피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국내특허공보 제1010444호에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444 discloses a technique for utilizing the toilet of an apartment as a fire evacuation space.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은 구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아파트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 비용이나 기타 문제로 실제로 적용하기가 쉽지는 않다.However, this prior art is expensive because of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old structure, it is not easy to actually apply to the cost or other problems to be designed for the apartment.

한편,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화장실의 경우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어서 다른 실내에 비하여 기온이 더 낮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화장실에서 목욕을 하거나 샤워를 하고 나서 추위를 느끼게 되는데, 이제까지는 기온이 낮은 계절에 화장실에서 목욕이나 샤워를 하고 나서 추위를 안느끼게 하는 수단이 미비한 실정이다. 화장실 바닥을 온열 바닥으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온열 화장실 바닥의 경우에는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고, 기대한만큼이 온열 효율을 낼 수도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bathrooms installed in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the ventilation fan is installed, so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rooms, so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the user feels cold after bathing or showering in the bathroom. In this low season, there is a lack of means to feel cold after taking a bath or shower in the bathroom. There is a case where the toilet floor is a heated floor, but in the case of such a heated toilet floor, there is a problem of high construction cost, and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heat efficiency as expected.

국내등록특허 제10-0404996호(2003년10월29일 등록)Domestic Patent No. 10-0404996 (registered October 29, 2003) 국내등록특허 제10-1732662호(2017년04월26일 등록)Domestic Patent No. 10-1732662 (registered April 26, 2017) 국내등록특허 제10-0578046호(2006년05월02일 등록)Domestic Patent No. 10-0578046 (registered May 02, 200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실내룸에서 화재 발생시 화장실로 대피하여 있을 때에 유독가스의 침투를 방지하면서도 필요시 온열 기능도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toxic gas when evacuating to the toilet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indoor room of the building, such as apartments, while also providing a heating function if necessary To provide a new configuration of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룸; 상기 화장실룸에 구비된 출입도어; 상기 출입도어와 상기 화장실룸의 도어 프레임 사이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출입도어의 안쪽면에 물을 공급하여 물막을 형성하는 워터 배리어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oilet room; An entrance door provided in the toilet room; And a water barrier forming unit for supplying water to an inner surface of the access door to form a water film so as to prevent toxic gas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of the toilet room. An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is provided.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안쪽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토출홀을 구비한 워터 배리어 형성관;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관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barrier forming unit may include: a water barrier forming tube having a water discharge hol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entrance door; And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barrier forming tube.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관은, 상기 출입도어의 상부에 배치된 어퍼 워터 배리어 형성관; 상기 출입도어의 양족 측면에 배치된 사이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barrier forming tube may include: an upper water barrier forming tube disposed above the entrance door; And a side water barrier forming tub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상기 어퍼 워터 배리어 형성관은 상기 출입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화장실룸의 벽체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은 상기 출입도어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화장실룸의 벽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water barrier forming tube is mounted on a wall of the toilet room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entrance door, and the side water barrier forming tube is mounted on the walls of the toilet room so as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do.

상기 화장실룸 이외의 다른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화장실룸에 사람이 들어와 있을 때에 상기 워터 공급장치를 가동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A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toile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when a fire occurs in the room other than the toilet room, and activates the water supply device when a person enters the toilet room. .

상기 화장실룸의 내부를 온열로 덥혀주는 온열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r further warms the inside of the toilet room to the heat.

상기 화장실룸에는 추가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ilet roo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water barrier forming tube for forming an additional water barrier film is disposed.

상기 화장실룸에는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ilet room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rrier air blowing tube to be disposed behind the add water barrier forming pipe.

건물의 실내룸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 상기 소화 감지센서가 실내룸에서 화재가 진압된 소화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하는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e extinguishing sensor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in an indoor room of a building, and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stopping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detects a fire extinguishing state in a roo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와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에는 각각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와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가 연결되고, 상기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와 상기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에는 건물의 실내룸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d water supply control unit and an air supply control uni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ad water barrier forming pipe and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and the ad water supply control unit and the air The supply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for detecting the comple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in the indoor room of the building.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실내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이 화장실룸을 대피하고, 상기 화장실룸에 사람이 대피하여 있는 동안에는 화장실룸의 출입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스며들어 침투하여 하여도, 상기 출입도어의 안쪽에서 형성되는 워터 배리어막이 유독가스를 막아주어서 유독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므로, 화재시 사람이 화장실룸에 대피하여 있는 동안은 유독가스에 중독될 염려 없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화재시 화장실룸에 들어가 있는 사람이 유독가스에 의해 중독되어 정신을 잃거나 질식사하는 심각한 위험을 미연에 근절하게 되는 것이다.Emergency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 an indoor room of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 person evacuates the toilet room, while a person evacuates to the toilet room, the door and the door frame of the toilet room Even if the toxic gas penetrates into the gap between them, the water barrier film formed inside the entrance door prevents the toxic gas and prevents the toxic gas from penetrating. Can be safely protected without the risk of poisoning of toxic gases. In the event of a fire, the person who enters the toilet room is addicted by toxic gas, which eradicates the serious danger of losing his mind or chok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을 건물에 채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워터 배리어관에 의해 화장실의 출입도어 안쪽에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워터 배리어관과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에 의해 화장실의 출입도어 안쪽에서 워터 배리어막과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어 프레임 자체를 워터 배리어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 프레임에서 상하 방향과 사이드 방향으로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화장실의 출입도어 안쪽에서 워터 배리어막과 에어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회로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employing an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in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barrier film is formed inside an entrance door of a bathroom by a water barrier pipe that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barrier film and a side water barrier film are formed inside an entrance door of a toilet by a water barrier pipe and a side water barrier pipe, which ar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door frame itself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water barrier tub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water barrier film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ide direction in the door frame illustrated in FIG. 6.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barrier film and an air barrier film are formed inside an entrance door of a bath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in the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에서는 건물에 있는 복수개의 실내룸(10) 중에서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화장실룸(20)으로 정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that can be evacuated in case of fire among a plurality of indoor rooms 10 in a building is determined as the toilet room 20.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출입도어(22)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도어(22)의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게 마련이다. 출입도어(22)의 상단 둘레부와 좌우측 둘레부 및 하단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The toilet room 20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door 22 for a person to enter,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entranc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A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ircumference portion, the left and right circumference portion and the lower circumference portion of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본 발명에서는 화재 발생시에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상황에서 출입도어(22)를 닫아주더라도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침투하여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사림이 유독 가스에 질식되는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뒤쪽에서 워터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점에서 특징이 나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oor 22 is closed in a situation where the toilet room 20 is evacuated at the time of fire, the toxic gas penetrates into the gap between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so that the toilet room 20 In order to prevent the fire accident that the sarim evacuated to the toxic ga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water barrier behind the door 22 of the toilet room 20.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출입도어(22)의 뒤쪽에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도록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를 구비한다. 출입도어(22)는 앞면과 뒷면이 있는데, 출입도어(22)의 앞면은 화장실룸(20)의 내부 쪽으로 향하고 출입도어(22)의 앞면은 화장실룸(20) 밖의 실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입도어(22)의 뒤쪽이라 함은 출입도어(22)의 뒷면 안쪽을 의미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barrier forming unit 30 is provided to form the water barrier layer VW behind the entrance door 22. The door 22 has a front and a back, the front of the door 22 is dispos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toilet room 20 and the front of the door 22 is disposed to face toward the interior of the toilet room 20, The rear of the access door 22 refers to the inside of the rear of the access door 22.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는 출입도어(22)와 화장실룸(20)의 도어 프레임(24) 사이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 물을 공급하여 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막은 워터 배리어막(VW)을 의미한다.The water barrier forming unit 30 supplies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2 to prevent the poisonous gas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of the toilet room 20 in the event of a fire. To form a water film. The water film means the water barrier film VW.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는 워터 배리어관(32)과 워터 공급장치(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barrier forming unit 30 includes a water barrier tube 32 and a water supply device 34.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은 출입도어(22)의 상단부보다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은 화장실룸(20)의 벽체나 천정에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출입도어(22)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에 수평 방향으로 워터 배리어관(32)이 배치된다. 이때, 워터 배리어관(32)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워터 토출홀(AH)이 구비된다. 워터 토출홀(AH)은 워터 배리어관(32)의 내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The water barrier tube 32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entrance door 22. The water barrier tube 32 is fixed to the wall or ceiling of the toilet room 20 by a fixing means such as a bracket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water barrier tube 32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upper end of the door 22. At this time, the water barrier tube 3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AH) at regular intervals. The water discharge hole AH penetrates downward in the water barrier tube 32.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는 건물에 매설되는 배관을 매개로 워터 배리어관(32)에 연결된다. 워터 공급장치(34)의 물이 저장된 워터 탱크와,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워터 배리어관에 배관을 매개로 연결된 워터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의 워터 토출홀(AH)을 통해서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뒤쪽(즉,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서 화장실룸(20) 쪽으로 더 들어간 위치)에 일정 두께의 워터 배리어(VW)를 형성하게 된다. 일정 두께의 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워터 배리어관(32)의 워터 토출홀(AH)을 통하여 일정 압력의 물막이 형성되므로, 화재시 연기 등의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압력을 가진 물막이라 할 수 있는 워터 배리어(VW)가 압력에 의해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를 차단하게 된다. 워터 배리어관(32)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막이 힘없이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힘을 가지고 흘러내리게 되므로, 화재시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일정 압력의 물막이 유독가스를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오히려 화장실룸(20) 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water supply device 34 is connected to the water barrier pipe 32 via a pipe embedded in the building. It may be composed of a water tank in which water of the water supply device 34 is stored, and a water pump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barrier tube via a pipe.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4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water flows down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AH of the water barrier tube 32 while the entrance door 22 of the toilet room 20 is provided. A water barrier VW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at the rear side (that is, further into the toilet room 20 from the inner side of the door 22). It is to form a film of a certain thickness. Since water is suppli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4, a water film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is form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AH of the water barrier tube 32. Even if it tries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water barrier (VW), which can be said to be a water film with a pressure to block the case that the toxic gas penetrates into the interior of the toilet room 20 by the pressure. Since the water barrier flowing down by the water barrier tube 32 flows down with no constant force, it flows down with a certain force, so even if the toxic gas tries to penetrate into the toilet room 20 in the fire, the water barrier of constant pressure receives the toxic gas. Rathe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is to act to push out the toilet room (20).

이때, 본 발명에서는 워터 배리어관(32)에 더하여서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22)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워터 배리어관(32)이 배치되는 반면, 상기 출입도어(22)의 양족 측면에 인접하도록 좌우 양쪽 한 쌍의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이 배치된다.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은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의 내부에서 출입도어(22)의 측면쪽으로 연통된다.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water barrier tube 33 in addition to the water barrier tube 32. While the water barrier tube 32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access door 22,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water barrier tubes 33 are disposed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door 22. . The side water barrier pipe 33 is arranged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ide water barrier pipe 33 is provided with side water discharge holes SH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side water discharge hole SH communicates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22 in the side water barrier pipe 33.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는 건물에 매설되는 배관을 매개로 좌우 양쪽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도 연결된다.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의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을 통해서 물이 옆으로 토출되면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뒤쪽(즉,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서 화장실룸(20) 쪽으로 더 들어간 위치)에 일정 두께의 사이드 물막(사이드 워터 배리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의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을 통하여 일정 압력의 물막이 형성되므로, 화재시 연기 등의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압력을 가진 사이드 물막(사이드 워터 배리어)이 압력에 의해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차단하게 된다.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 의해 아래로 옆쪽으로 토출되는 사이드 물막이 힘없이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힘을 가지고 옆쪽으로 토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화재시 유독가스가 출입도어(22)의 양쪽 측면과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사이드 틈새로 들어와서 화장실룸(20)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일정 압력의 사이드 물막이 유독가스를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이중으로 화장실룸(20) 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water supply device 34 is also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 water barrier pipes 33 via pipes embedded in buildings.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4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side through the side water discharge hole SH of the side water barrier pipe 33. A side water barrier (side water barri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the rear side (that is, further into the toilet room 20 from the inner side of the door 22). Since water is suppli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4, a water film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is formed through the side water discharge hole SH of the side water barrier pipe 33. Even if it tries to penetrate the inside of 20, the pressure side water film (side water barrier) will more reliably block the case where the toxic gas penetrates into the toilet room 20 by pressure. Since the side water film discharged to the side by the side water barrier pipe 33 is not flowed down without force, the side water film is kept to be discharged to the side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in case of fire, toxic gas is discharged from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22. Even when entering the side gap between the door frame 24 and attempting to penetrate into the toilet room 20, the toilet has a double pressur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It is to act to push out the room (20).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 의해 흘러내리는 워터 배리어(VW)와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 의해 옆으로 토출되는 사이드 워터 배리어(SW)에 의해 이중으로 유독가스 차단용 물막이 형성된다.The water barrier VW which flows down by the water barrier tube 32 and the side water barrier SW which are discharged to the side by the side water barrier tube 33 are doublely formed to block the toxic gas.

한편, 본 발명은 화장실룸(20) 이외의 다른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센서(36)는 건물의 각 실내룸(10)에 설치된다. 상기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와 있을 때에 화장실룸(20)에 들어와 있는 상태를 센서(36)가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한 실내룸(10)에 설치된 센서(36)에 의해서는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를 가동시킨다. 물론,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화재가 발생한 실내룸(10)에 설치된 센서(36)가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를 가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nsor 36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event of a fire in a room other than the toilet room (20). The sensor 36 is installed in each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When a person enters the toilet room 20, the sensor 36 detects a state of entering the toilet room 20, and a fire is detected by the sensor 36 installed in the indoor room 10 where a fire has occurred. To operate the water supply device 34. Of course, even if no person enters the toilet room 20, the sensor 36 installed in the indoor room 10 in which the fire occurred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fire and operate the water supply device 34. .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룸(20)의 내부를 온열로 덥혀주는 온열장치(4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온열장치(40)는 화장실룸(20)에 설치된 히터(42)와, 이 히터(42)의 열을 화장실룸(20)에 블로잉하는 블로잉팬(44)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er 40 for warming the inside of the toilet room 20 to the heat. At this time, the heater 40 may be composed of a heater 42 installed in the toilet room 20, and a blowing fan 44 for blowing the heat of the heater 42 to the toilet room 20.

상기 히터(42)는 화장실룸(20)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장실룸(20)의 슬라브에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 히터(42)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42)는 화장실룸(20)의 슬라브와 천전판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천정판에 히터(42) 결합홀이 형성되고, 히터(42)가 천정판의 히터(42) 결합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heater 42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room 20. A duct may be installed in the slab of the bathroom room 20, and a heater 42 may be installed in the duct. The heater 42 is disposed between the slab of the toilet room 20 and the ceiling plate. Meanwhile, the heater 42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iling plate, and the heater 42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in the heater 42 coupling hole of the ceiling plate.

상기 블로잉팬(44)은 히터(42)의 열을 화장실룸(20)에 불어주도록 화장실룸(20)에 설치된다. 화장실룸(20)의 슬라브와 천정판 사이의 공간부에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의 경로에 히터(42)가 설치된 경우, 상기 블로잉팬(44)을 히터(42)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덕트에 설치할 수 있다. 블로잉팬(44)을 히터(42)의 뒤에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에는 화장실룸(20)에 구비된 스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화장실룸(20)에 들어온 사람이 스위칭 온(on) 상태롤 절환시키면 히터(42)와 블로잉팬(44)이 가동하고,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off) 상태로 절환시키면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The blowing fan 44 is installed in the toilet room 20 to blow the heat of the heater 42 to the toilet room 20. If the duct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lab and the ceiling plate of the toilet room 20, and the heater 42 is installed in the path of the duct, the duct so that the blowing fan 44 is disposed behind the heater 42 Can be installed 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nstall the blowing fan 44 in the position which can blow air behind the heater 42. FIG. The heater 42 and the blowing fan 44 are connected to a switch provided in the toilet room 20, and the person who enters the switch in the toilet room 20 switches the switching on state to the heater 42. When the blowing fan 44 is operated and the switch is switched off, the operation of the heater 42 and the blowing fan 44 may be stopped.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가서 용변을 보거나 목욕이나 샤워를 하는 등의 용도로 화장실룸(20)을 쓸 수 있도록 한다.Emergency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to use the toilet room (20) for the purpose of entering the toilet room (20) to see the toilet or take a bath or shower when the fire does not occur normally. To help.

한편,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이 화장실룸(20)에 대피하고, 화장실룸(20)으로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등의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fire occurs in the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a person evacuates to the toilet room 20, and the toilet room 20 is a toxic gas such as smoke generated during the fire penetrates the toilet room 20. Will be prevented.

화재시 사람이 화장실룸(20)에 대피한 상태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함으로써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람이 화재시에 화장실룸(20)에 대피한 다음,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의 내부로 일정 압력의 물이 공급되고,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 구비된 다수개의 워터 토출홀(AH)을 통하여 물이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한다.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의 각각 워터 토출홀(AH)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막이 워터 배리어막(VW)으로서 상기 출입도어(22)의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들어오려 하여도 상기 워터 배리어막(VW)이 유독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워터 배리어막(VW)은 출입도어(22)의 상단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의 상부 내측면 사이의 틈새, 출입도어(22)의 좌우 양쪽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의 안쪽 측면 사이의 틈새 및 출입도어(22)의 하단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의 하부 안쪽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물막으로 형성되므로, 유독가스가 출입도어(22)의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case of fire, the water barrier film VW is formed in a state where a person evacuates to the toilet room 20, thereby preventing the toxic gas from penetrating the toilet room 20. When a person evacuates to the toilet room 20 in case of a fire, wate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is supplied into the water barrier tube 32 while the door 22 of the toilet room 20 is closed, and the water Water flows dow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ntrance door 22 to form the water barrier film VW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AH provided in the barrier tube 32. Water film flowing down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AH of each of the water barrier pipes 32 is a water barrier film VW as a gap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The water barrier film VW blocks the penetration of the toxic gas even when the gas is about to enter. The water barrier layer VW may have a gap betwee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oor 22 an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24, the left and right circumferences of the door 22 and the inner side of the door frame 24. Since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oor 22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24 is formed as a water barrier, the toxic gas is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Penetration into the gap between the) is prevented.

따라서, 화재시 사람이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동안은 유독가스에 중독될 염려 없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룸(20)에 들어가 있는 사람이 유독가스에 의해 중독되어 정신을 잃거나 질식사하는 심각한 위험을 미연에 근절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a person is evacuated to the toilet room 20 during a fire can be safely protected without fear of poisoning the toxic gas, the person entering the toilet room 20 is addicted by the toxic gas and loses spirit It has the effect of eradicating serious risks of asphyxia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출입도어(22)의 위쪽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도어(22)의 좌우 양쪽에서도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함으로써 이중으로 유독가스 침투 방지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기 때문에, 화재시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서 토출되는 물에 의해 1차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서 옆으로 토출되어 나오는 물에 의해 2차로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기 때문에, 화재시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1차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할 때보다는 2차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할 때가 보다 더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water barrier film VW may be formed above the door 22, but also the side water barrier film VW is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22, thereby infiltrating the toxic gas. Since the prevention water barrier film VW is formed, the case where the toxic gas penetrates the toilet room 20 at the time of fire is more reliably prevented. The water barrier film VW is first formed by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barrier tube 32, and the side water barrier film VW is secondarily formed by the water discharged laterally from the side water barrier tube 33. ), It is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poisonous gas from penetrating the toilet room 20 in the event of fire. When the secondary water barrier film VW is formed, the safety may be increased more than when the primary water barrier film VW is formed.

또한,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애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는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이 배치될 수 있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상기 워터 배리어관(32)보다 더 뒤쪽에 배치된다. 화장실룸(20)에 있는 세면대와 출입도어(22) 사이에 워터 배리어관(32)이 배치된 경우,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상기 세면대와 워터 배리어관(32)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화장실룸(20)의 천정에 장착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화장실룸(20)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에는 내부에서 아래로 연통된 애드 워터 토출홀(50AH)이 구비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애드 워터 토출홀(50AH)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에도 배관을 통하여 워터 공급장치(34)가 연결되어,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에 의해 애드 워터 배리아관(5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n ad water barrier tube 50 forming an ad water barrier layer VW may be disposed in the toilet room 20. The add water barrier tube 50 is disposed further behind the water barrier tube 32. When the water barrier tube 32 is disposed between the sink in the bathroom room 20 and the door 22, the add water barrier tube 50 is disposed between the sink and the water barrier tube 32. Preferably, the add water barrier pipe 50 is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toilet room (20). The add water barrier pipe 50 is disposed in the toilet room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dd water barrier tube 50 is provided with an add water discharge hole 50AH which communicates downward from the inside. A plurality of add water discharge holes 50AH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dd water barrier tube 50. The water supply device 34 is also connected to the add water barrier pipe 50 through a pipe,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add water barrel pipe 50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34.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을 통해서 추가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기 때문에 만일 상기 워터 배리어막(VW)과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VW)을 유독가스의 일부가 통과되어 들어오더라도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막(VW)에 의해 추가적으로 유독가스를 막아주게 되므로, 화장실룸(20)으로 유독가스가 침투하는 경우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an additional water barrier layer VW is formed through the add water barrier tube 50, even if a portion of the toxic gas passes through the water barrier layer VW and the side water barrier layer VW, the water barrier layer VW is formed. Since the additional water barrier film (VW) to further prevent the toxic ga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case of the toxic gas penetrating the toilet room (20).

또한,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이 더 구비된다.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는 에어 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에어 공급장치의 가동에 따라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 일정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는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은 화장실룸(20)의 세면대와 애드 워터 배리어관(50) 사이에 배치되므로,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이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의 뒤쪽에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은 화장실룸(20)의 천정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는 내부에서 아래로 연통된 배리어 에어 토출홀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배리어 에어 토출홀은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의 내부에는 배관을 통하여 에어 공급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room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rrier air blowing pipe 60 to be disposed behind the add water barrier pipe (50). An air supply device is connected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so that air that can be inject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may be supplied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device. Since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is disposed between the sink of the toilet room 20 and the add water barrier pipe 50,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is disposed behind the add water barrier pipe 50. Take the structure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is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room 20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is provided with a barrier air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downward from the inside. In the plurality of barrier air discharge holes, the barrier air blowing pipes 6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 air supply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through a pipe.

따라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들어와서 상기 워터 배리어막(VW)과 애드 워터 배리어막(VW)까지 통과하더라도 다시 한번 일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에어 배리어막이 유독가스가 더 이상 화장실룸(20)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화장실에 대피하여 있는 사람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까지 하게 된다.Therefore, even if toxic gas enters the gap between the entranc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of the toilet room 20 and passes through the water barrier film VW and the add water barrier film VW,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again. The air barrier membrane is sprayed to prevent the toxic gas from entering the toilet room 20 anymore, and to function to supply fresh air to the person evacuated to the toilet.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 의해 화장실룸(20)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하면, 화장실룸(20)의 압력이 다른 실내룸에 비하여 더 높은 양압으로 형성되고, 다른 실내룸은 화장실룸(20)의 압력보다 더 낮은 음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화장실룸(20) 밖은 다른 실내룸에서 화재시 발생된 유독가스가 상기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룸(20)의 압력이 양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다른 실내룸으로부터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대피자의 안전을 더욱 확실하게 높여주는 것이다.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toilet room 20 by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the pressure of the toilet room 20 is formed at a higher positive pressure than other room rooms, and the other room room is the toilet room ( Since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pressure of 20), the outside of the toilet room 20 can prevent the toxic gas generated during the fire in the other room room to penetrate the interior of the toilet room 20 in advance. . The pressure of the toilet room 20 is formed with a positive pressur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toxic gas from the other indoor room to the interior of the toilet room 20 in advance. It is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evacuator evacuated to the toilet room 20 more reliab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입도어(22)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4) 자체를 워터 배리어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4)을 워터 배리어관과 좌우 양쪽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 및 로워 배리어관을 연결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24)에 출입도어(22)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24)으로 구성된 워터 배리어관에는 복수개의 워터 토출홀(AH)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24)으로 구성된 좌우 양쪽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에도 복수개의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이 구비될 수 있고, 도어 프레임(24)으로 구성된 로워 배리어관에도 복수개의 로워 워터 토출홀(AH)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frame 24 itself in which the door 22 is installed may be configured as a water barrier tube. The door frame 24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in which a water barrier pipe, left and right side water barrier pipes, and a lower barrier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door frame 24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22. At this time, the water barrier tube formed of the door frame 2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AH). A plurality of side water discharge holes SH may also be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 water barrier pipes formed of the door frame 24, and a plurality of lower water discharge holes AH in the lower barrier pipe formed of the door frame 24. This can be formed.

상기 도어 프레임(24)을 워터 배리어관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가 설치되기 위한 벽체에 출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출입홀에 도어 프레임(24)을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24) 자체인 워터 배리어관이 화장실룸(20)의 벽체에서 돌출되지 않고 벽체에 매입된 구조이므로, 상기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는 기능에 더하여 워터 배리어관이 화장실룸(20)에서 사람이 활동할 때에 걸리적거리는 경우도 방지하고, 시공에 있어서도 유리하며 미관상으로도 깔끔해서 좋다.When the door frame 24 is made of a water barrier tube, an entrance hole may be formed in a wall for installing the entrance door 22 of the toilet room 20, and the door frame 24 may be installed in the entrance hall. . In this case, since the water barrier tube, which is the door frame 24 itself, is embedded in the wall without protruding from the wall of the toilet room 20, the water barrier tub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unction of forming the water barrier film (VW) In the toilet room 2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people from getting stuck, and also advantageous in construction and aesthetically clean.

이때,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실내룸(10)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36), 상기 소화 감지센서(36)가 실내룸(10)에서 화재가 진압된 소화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의 작동을 중지하는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가 더 포함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in the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detects a fire extinguishing state in which the fire is suppressed in the indoor room 10.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76 furth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34 in the state.

따라서,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에 의해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안쪽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고, 상기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 발생 이후에 화재가 진압되어 소화가 완료된 상태가 되면, 상기 소화 감지센서(36)가 소화 완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소화 감지센서(36)의 소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재 진압 이후 소화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해제한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a fire occurs in the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a water barrier film VW is formed inside the entrance door 22 of the toilet room 20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34. When the fire is extinguished after the fire occurs in the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the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detects a fire extinguishing state, and responds to the fire extinguishing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Accordingly,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76 stop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34 and releases the water barrier film VW from the door 22 of the toilet room 20 in the state where the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after the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

또한, 본 발명은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34)와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에는 각각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와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가 연결되고, 상기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와 상기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에는 건물의 실내룸(10)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36)가 연결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device 34 for supplying water to the ad water barrier pipe 50 and the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are respectively an ad water supply control unit 76 and An air supply control unit 74 is connected, and the ad water supply control unit 76 and the air supply control unit 74 are connected to a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in the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do.

따라서,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 발생 이후에 화재가 진압되어 소화가 완료된 상태가 되면, 상기 소화 감지센서(36)가 소화 완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소화 감지센서(36)의 소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에서 상기 애드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재 진압 이후 소화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에서 추가로 형성된 애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해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e is extinguished after the fire is generated in the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the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detects a fire extinguishing state, and extinguish the fire of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The ad water supply control unit 76 stops the operation of the ad water supply device 34 in response to the signal, and the ad water additionally formed in the entrance door 22 of the toilet room 20 in the state where the extinguishing is completed after the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The barrier film VW is released.

또한,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 발생 이후에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소화 감지센서(36)가 감지하면, 상기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에서 상기 에어 서플라이 장치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에 인접 설치된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으로 에어의 공급을 중지하여 에어 배리어막을 해제하게 된다.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는 에어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에 의해서 에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36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after a fire occurs in the indoor room 10 of the building, the air supply control unit 74 stop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and the toilet room 20 The air barrier film is released by stopping supply of air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installed adjacent to the door 22 of the door). Air supply control unit 74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air by the air supply control unit 74.

또한,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의 워터공급장치(34)에 연결된 상기 센서(36)에는 온열장치(40)의 히터(42)와 블로잉팬(44)이 연결되고,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에는 스위칭 절환부(82)를 통해서 스위치(84)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절환부(82)는 상기 센서(36)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화장실룸(20)에 들어온 사람이 스위치를 스위칭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센서(36)에 의해 실내의 화재가 발생된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화장실룸(20)에 들어온 사람이 스위치를 스위칭 온(on)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36)에 의해 실내의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의 정상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재시에는 온열장치(40)의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더욱 안전성을 높이는 한편,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이면서 동시에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화장실룸(20)의 온도가 낮을 때에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을 가동시키서 화장실룸(20)의 기온을 높여줌으로써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화장실룸(20)에서 샤워 등을 한 사람이 따뜻함을 느끼게 하거나 샤워 이후에 머리를 히터(42)의 온열로 머리를 말려줄 수 있는 것과 같이 겨울철에 화장실룸(20)의 사용을 더 편리하게 하는 것과 같은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eater 36 and the blowing fan 44 of the heater 40 are connected to the sensor 36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34 of the water barrier forming unit 30. The switch 84 is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44 through a switching switch 82, and the switching switch 82 is connected to the sensor 36, and the switch enters the toilet room 20. Is configur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er 42 and the blowing fan 44 when a person switches the switch to a switching on state and the sensor 36 detects that a fire in the room has occurred. When the switch enters the toilet room 20 and the switch is switched on, the sensor 36 detects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fire does not occur in the room by the sensor 36. And the blowing fan 44 can be configured to start opera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e heater 42 and the blowing fan 44 of the heater 40 are stopped to further increase safety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nd the toilet room is usually used at a low temperature in winter when the fire does not occu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20 is low, the heater 42 and the blowing fan 44 are operat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toilet room 20 so that a person who takes a shower or the like in the toilet room 20 in the winter temperature is low. It is possible to achieve synergistic effects, such as to make the use of the toilet room 20 more convenient in winter, such as to feel the warmth or to dry the hair after the shower with the heat of the heater 42.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specific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e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실내룸 20. 화장실룸
22. 출입도어 24. 도어 프레임
30. 워터 배리어 형성부 32. 워터 배리어관
33.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 34. 워터 공급장치
36. 센서 40. 온열장치
42. 히터 44. 블로잉팬
50. 애드 워터 배리어관 60.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
62. 에어 배리어막 70. 소화 감지센서
74.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 76.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
82. 스위칭 절환부 84. 스위치
10. Indoor room 20. Toilet room
22. Entrance door 24. Door frame
30. Water barrier forming part 32. Water barrier pipe
33. Side water barrier pipe 34. Water supply
36. Sensor 40. Warmer
42. Heater 44. Blowing fan
50. Add Water Barrier Tube 60. Barrier Air Blowing Tube
62. Air Barrier Membrane 70. Fire Extinguishing Sensor
74. Air Supply Control Unit 76. Water Supply Control Unit
82. Switching switch 84. Switch

Claims (4)

화장실룸(20);
상기 화장실룸(20)에 구비된 출입도어(22);
상기 출입도어(22)와 상기 화장실룸(20)의 도어 프레임(24) 사이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 물을 공급하여 물막을 형성하는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Toilet room 20;
An entrance door 22 provided in the toilet room 20;
Water barrier to supply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2 to form a water barrier to prevent the ingress of toxic gas in the event of a fire between the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of the toilet room 20 Forming portion 30;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는,
상기 출입도어(22)의 안쪽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토출홀을 구비한 워터 배리어관(32);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barrier forming unit 30,
A water barrier tube 32 having a water discharge hol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door 22;
Emergency water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barrier tube (3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룸(20) 이외의 다른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와 있을 때에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를 가동시키는 센서(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 sensor 36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when a fire occurs in a room other than the toilet room 20 and operating the water supply device 34 when a person enters the toilet room 20;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룸(20)의 내부를 온열로 덥혀주는 온열장치(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heater (40) for warming the inside of the toilet room (20) to heat.
KR1020180064682A 2018-06-05 2018-06-05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KR102190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82A KR102190253B1 (en) 2018-06-05 2018-06-05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82A KR102190253B1 (en) 2018-06-05 2018-06-05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351A true KR20190138351A (en) 2019-12-13
KR102190253B1 KR102190253B1 (en) 2020-12-11

Family

ID=6884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682A KR102190253B1 (en) 2018-06-05 2018-06-05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25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96B1 (en) 1995-03-03 2004-02-05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assive toilet cleaner dispensing system
KR100578046B1 (en) 2004-04-22 2006-05-11 김경술 shunt epuipment temporary toilet of fire arrival
KR20100057349A (en) * 2008-11-21 2010-05-31 박세문 The strutcure of toilet having a temporary fire-escape function
KR20130057353A (en) * 2011-11-23 2013-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stroom system of high-rise building as fire-refuge compart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6169915A (en) * 2015-03-13 2016-09-23 株式会社ノーリツ Bathroom heating system
KR101732662B1 (en) 2016-08-25 2017-05-24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Flush Toilet System With Sewage Treatment System
KR20180025553A (en) * 2016-09-01 2018-03-09 유병길 Pneumohydraulic injection equipment for fire spreading preven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96B1 (en) 1995-03-03 2004-02-05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assive toilet cleaner dispensing system
KR100578046B1 (en) 2004-04-22 2006-05-11 김경술 shunt epuipment temporary toilet of fire arrival
KR20100057349A (en) * 2008-11-21 2010-05-31 박세문 The strutcure of toilet having a temporary fire-escape function
KR20130057353A (en) * 2011-11-23 2013-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stroom system of high-rise building as fire-refuge compart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6169915A (en) * 2015-03-13 2016-09-23 株式会社ノーリツ Bathroom heating system
KR101732662B1 (en) 2016-08-25 2017-05-24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Flush Toilet System With Sewage Treatment System
KR20180025553A (en) * 2016-09-01 2018-03-09 유병길 Pneumohydraulic injection equipment for fire spreading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253B1 (en)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013B1 (en) Fireproof doors using aerated concrete
KR101968080B1 (en) Fire evacuation chamber
KR101030195B1 (en) A fire preventing door established at the entrance of building
KR101145268B1 (en) Window cooling device
KR101306151B1 (en) Restroom system of high-rise building as fire-refuge compart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189404B2 (en) Building fire life sav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building fire life saving system
US438018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ife-sustaining air to persons entrapped within a burning building
KR101578929B1 (en) Fire evacuation chamber provided in the basement.
TWM535097U (en) Water film curtain with fireproof, heat-insulation and smoke-shielding properties
KR101010444B1 (en) The strutcure of toilet having a temporary fire-escape function
KR102073356B1 (en) Fir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ystem with air supply and air suction adjustment
KR102190253B1 (en)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KR102050539B1 (en) Fir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ystem
KR20090126972A (en) Fire prevention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and fire prevention method thereof
CN103908758B (en) A kind of production, manage, the anti-Ore-controlling Role of fire in three-in-one place of staying
JP2537868Y2 (en) Water injection device
WO2013110172A1 (en) Smar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180111072A (en) Ventilation system using emergency stairs of multi-story building
KR101355175B1 (en) Fire shelter system using the rest rooms of the higher buildings
JP3837653B2 (en)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H10118214A (en) Device and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and smoke elimination using water-mist
JP2006280854A (en) Fire-fighting system
CN110327559A (en) Building resident's fire disaster refuge facility
KR100587475B1 (en) Shielding device
KR20190022229A (en) Air-circulating Escaping Equipment during fire in apartment and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