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253B1 -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 Google Patents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0253B1 KR102190253B1 KR1020180064682A KR20180064682A KR102190253B1 KR 102190253 B1 KR102190253 B1 KR 102190253B1 KR 1020180064682 A KR1020180064682 A KR 1020180064682A KR 20180064682 A KR20180064682 A KR 20180064682A KR 102190253 B1 KR102190253 B1 KR 102190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barrier
- toilet room
- barrie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화장실룸(20); 상기 화장실룸(20)에 구비된 출입도어(22); 상기 출입도어(22)와 상기 화장실룸(20)의 도어 프레임(24) 사이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 물을 공급하여 물막을 형성하는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는, 상기 출입도어(22)의 안쪽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토출홀을 구비한 워터 배리어관(32);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room (20); An entrance door 22 provided in the toilet room 20; A water barrier that forms a water film by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cess door 22 to prevent toxic gas from penetrating in the event of a fire between the access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of the toilet room 20 Forming portion 30; includes, the water barrier forming portion 30, a water barrier tube 32 having a water discharge hol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access door 22; And a water supply device 34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barrier tube 32.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열 기능은 물론 비상시 안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a new configuration capable of exerting a safety function in case of an emergency as well as a heating function.
일반적으로 화재는 대규모 인명 피해와 물적 피해를 초래하는 재난 사고로서, 이로 인한 인명 피해와 물적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재 발생을 막는 것이 최우선이다. 아파트와 같은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거주자들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피난하기 위하여 구조를 위한 소방차량의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건물내 별도로 설치된 비상탈출을 위한 피난장치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fires are disasters that cause large-scale human and material damages, and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human and material damages, preventing fires is the top priority.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residents use the ladder of a fire truck for rescue to evacuate from flames and toxic gases, or a system to evacuate by using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installed separately in the building is applied. Has become.
그러나, 아파트와 같이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시 소방차량의 사다리 또는 피난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에는 큰 한계가 있고, 특별피난계단에 설치되는 피난시설 및 피난장치는 부실, 낙후되어 실제 작동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고층 아파트에서는 화재 발생시 특히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there is a great limit to the method of using the ladder or evacuation device of a fire truck in the event of a fire. In high-rise apartments, it is a reality that in the event of a fire, particularly large-sized people are damaged.
한편, 화재발생시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피해보다는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가 크고, 상기 유독가스는 순식간에 화재가 발생한 내부공간을 뒤덮기 때문에 특히나 고층건물일 경우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기 어렵고 외부로부터의 도움의 손길을 기다리기 위해 시간을 벌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when a fire occurs, the damage caused by the toxic gas generated is greater than the damage caused by the flame, and the toxic gas quickly covers the interior space where the fire occurred, so it is difficult to have time to evacuate especially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You have to make time to wait for a helping hand from you.
따라서, 아파트의 화장실을 화재 대피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국내특허공보 제1010444호에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a technique for using the bathroom of an apartment as a fire evacuation spa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444.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은 구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아파트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 비용이나 기타 문제로 실제로 적용하기가 쉽지는 않다.However, such prior art is expensive because the old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t is not easy to actually apply it due to cost or other problems by designing it suitable for an apartment.
한편,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화장실의 경우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어서 다른 실내에 비하여 기온이 더 낮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화장실에서 목욕을 하거나 샤워를 하고 나서 추위를 느끼게 되는데, 이제까지는 기온이 낮은 계절에 화장실에서 목욕이나 샤워를 하고 나서 추위를 안느끼게 하는 수단이 미비한 실정이다. 화장실 바닥을 온열 바닥으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온열 화장실 바닥의 경우에는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고, 기대한만큼이 온열 효율을 낼 수도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oilets installed in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ventilation fans are installed and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rooms, so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you feel cold after taking a bath or shower in the bathroom. In this low season, after taking a bath or shower in the bathroom, there is a lack of means to make you feel cold. There is a case where the bathroom floor is a heated floo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in the case of such a heated toilet floor, and the heating efficiency cannot be achieved as expect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실내룸에서 화재 발생시 화장실로 대피하여 있을 때에 유독가스의 침투를 방지하면서도 필요시 온열 기능도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oxic gases when evacuating to the bathroom in case of fire in an indoor room of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while also providing a thermal function when necessary. It is to provide a new configuration of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룸; 상기 화장실룸에 구비된 출입도어; 상기 출입도어와 상기 화장실룸의 도어 프레임 사이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출입도어의 안쪽면에 물을 공급하여 물막을 형성하는 워터 배리어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toilet room; An entrance door provided in the toilet room; And a water barrier forming unit configured to form a water film by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cess door so as to prevent toxic gas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access door and the door frame of the toilet room when a fire occurs. An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is provided.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안쪽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토출홀을 구비한 워터 배리어 형성관;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관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barrier forming part may include a water barrier forming pipe having a water discharge hol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entrance door; And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barrier forming pipe.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관은, 상기 출입도어의 상부에 배치된 어퍼 워터 배리어 형성관; 상기 출입도어의 양족 측면에 배치된 사이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barrier forming pipe may include an upper water barrier forming pipe disposed above the entrance door; And a side water barrier forming pip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door.
상기 어퍼 워터 배리어 형성관은 상기 출입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화장실룸의 벽체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은 상기 출입도어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화장실룸의 벽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water barrier forming pipe is mounted on the wall of the toilet room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access door, and the side water barrier forming pipe is mounted on the wall of the toilet room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ccess door. do.
상기 화장실룸 이외의 다른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화장실룸에 사람이 들어와 있을 때에 상기 워터 공급장치를 가동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A toilet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further comprising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when a fire occurs in a room other than the toilet room and to activate the water supply device when a person enters the toilet room. .
상기 화장실룸의 내부를 온열로 덥혀주는 온열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for warming the interior of the toilet room with heat.
상기 화장실룸에는 추가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ilet room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dditional water barrier forming pipe is disposed to form an additional water barrier layer.
상기 화장실룸에는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oilet room, a barrier air blowing pipe is further provided to be disposed behind the ad water barrier forming pipe.
건물의 실내룸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 상기 소화 감지센서가 실내룸에서 화재가 진압된 소화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하는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e extinguishing detection sens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fire extinguishing has been completed in an indoor room of a building, and a water supply control unit configur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when the fire extinguishing sensor detects a fire extinguishing state in which a fire has been extinguished in the indoor roo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와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에는 각각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와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가 연결되고, 상기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와 상기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에는 건물의 실내룸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d water supply control unit and an air supply control unit ar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ad water barrier forming pipe and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air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respectively, and the add water supply control unit and the air A fire extinguishing detection sensor is connected to the supply control unit to detect a state in which fire extinguishing is completed in an indoor room of the building.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실내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이 화장실룸을 대피하고, 상기 화장실룸에 사람이 대피하여 있는 동안에는 화장실룸의 출입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스며들어 침투하여 하여도, 상기 출입도어의 안쪽에서 형성되는 워터 배리어막이 유독가스를 막아주어서 유독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므로, 화재시 사람이 화장실룸에 대피하여 있는 동안은 유독가스에 중독될 염려 없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화재시 화장실룸에 들어가 있는 사람이 유독가스에 의해 중독되어 정신을 잃거나 질식사하는 심각한 위험을 미연에 근절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 an indoor room of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 person evacuates the toilet room, and while the person is evacuating the toilet room, the access door and door frame of the toilet room Even if toxic gas penetrates into the gap between the gaps, the water barrier film formed inside the entrance door blocks the toxic gas and prevents the penetration of toxic gas, so in case of a fire, while a person is evacuating to the bathroom room. Can be safely protected without fear of poisoning by poisonous gas. In the event of a fire, a person entering the toilet room is poisoned by poisonous gas, thereby eradicating the serious risk of losing mind or suffocat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을 건물에 채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워터 배리어관에 의해 화장실의 출입도어 안쪽에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워터 배리어관과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에 의해 화장실의 출입도어 안쪽에서 워터 배리어막과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어 프레임 자체를 워터 배리어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 프레임에서 상하 방향과 사이드 방향으로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화장실의 출입도어 안쪽에서 워터 배리어막과 에어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회로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in a buildin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forming a water barrier film inside the entrance door of the toilet by the water barrier pipe that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barrier film and a side water barrier film are formed inside the entrance door of a toilet by a water barrier pipe and a side water barrier pipe, which ar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Figure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door frame itself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water barrier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water barrier layer is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a side direction in the door frame shown in FIG. 6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9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7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for forming a water barrier layer and an air barrier layer inside the entrance door of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에서는 건물에 있는 복수개의 실내룸(10) 중에서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화장실룸(20)으로 정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that can be evacuated in case of fire among a plurality of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출입도어(22)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도어(22)의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게 마련이다. 출입도어(22)의 상단 둘레부와 좌우측 둘레부 및 하단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The
본 발명에서는 화재 발생시에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상황에서 출입도어(22)를 닫아주더라도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침투하여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사림이 유독 가스에 질식되는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뒤쪽에서 워터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점에서 특징이 나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출입도어(22)의 뒤쪽에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도록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를 구비한다. 출입도어(22)는 앞면과 뒷면이 있는데, 출입도어(22)의 앞면은 화장실룸(20)의 내부 쪽으로 향하고 출입도어(22)의 앞면은 화장실룸(20) 밖의 실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입도어(22)의 뒤쪽이라 함은 출입도어(22)의 뒷면 안쪽을 의미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는 출입도어(22)와 화장실룸(20)의 도어 프레임(24) 사이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 물을 공급하여 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막은 워터 배리어막(VW)을 의미한다.The water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는 워터 배리어관(32)과 워터 공급장치(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은 출입도어(22)의 상단부보다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은 화장실룸(20)의 벽체나 천정에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출입도어(22)의 상단부보다 더 위쪽에 수평 방향으로 워터 배리어관(32)이 배치된다. 이때, 워터 배리어관(32)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워터 토출홀(AH)이 구비된다. 워터 토출홀(AH)은 워터 배리어관(32)의 내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는 건물에 매설되는 배관을 매개로 워터 배리어관(32)에 연결된다. 워터 공급장치(34)의 물이 저장된 워터 탱크와, 상기 워터 탱크와 상기 워터 배리어관에 배관을 매개로 연결된 워터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의 워터 토출홀(AH)을 통해서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뒤쪽(즉,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서 화장실룸(20) 쪽으로 더 들어간 위치)에 일정 두께의 워터 배리어(VW)를 형성하게 된다. 일정 두께의 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워터 배리어관(32)의 워터 토출홀(AH)을 통하여 일정 압력의 물막이 형성되므로, 화재시 연기 등의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압력을 가진 물막이라 할 수 있는 워터 배리어(VW)가 압력에 의해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를 차단하게 된다. 워터 배리어관(32)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막이 힘없이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힘을 가지고 흘러내리게 되므로, 화재시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일정 압력의 물막이 유독가스를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오히려 화장실룸(20) 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워터 배리어관(32)에 더하여서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도어(22)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워터 배리어관(32)이 배치되는 반면, 상기 출입도어(22)의 양족 측면에 인접하도록 좌우 양쪽 한 쌍의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이 배치된다.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은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의 내부에서 출입도어(22)의 측면쪽으로 연통된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는 건물에 매설되는 배관을 매개로 좌우 양쪽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도 연결된다.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의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을 통해서 물이 옆으로 토출되면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뒤쪽(즉,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서 화장실룸(20) 쪽으로 더 들어간 위치)에 일정 두께의 사이드 물막(사이드 워터 배리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의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을 통하여 일정 압력의 물막이 형성되므로, 화재시 연기 등의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압력을 가진 사이드 물막(사이드 워터 배리어)이 압력에 의해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차단하게 된다.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 의해 아래로 옆쪽으로 토출되는 사이드 물막이 힘없이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힘을 가지고 옆쪽으로 토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화재시 유독가스가 출입도어(22)의 양쪽 측면과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사이드 틈새로 들어와서 화장실룸(20) 내부로 침투하려 하여도 일정 압력의 사이드 물막이 유독가스를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이중으로 화장실룸(20) 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 의해 흘러내리는 워터 배리어(VW)와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 의해 옆으로 토출되는 사이드 워터 배리어(SW)에 의해 이중으로 유독가스 차단용 물막이 형성된다.A water film for blocking toxic gas is formed by the water barrier VW flowing down by the
한편, 본 발명은 화장실룸(20) 이외의 다른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센서(36)는 건물의 각 실내룸(10)에 설치된다. 상기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와 있을 때에 화장실룸(20)에 들어와 있는 상태를 센서(36)가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한 실내룸(10)에 설치된 센서(36)에 의해서는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를 가동시킨다. 물론,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화재가 발생한 실내룸(10)에 설치된 센서(36)가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를 가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룸(20)의 내부를 온열로 덥혀주는 온열장치(4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온열장치(40)는 화장실룸(20)에 설치된 히터(42)와, 이 히터(42)의 열을 화장실룸(20)에 블로잉하는 블로잉팬(44)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히터(42)는 화장실룸(20)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장실룸(20)의 슬라브에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 히터(42)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42)는 화장실룸(20)의 슬라브와 천전판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천정판에 히터(42) 결합홀이 형성되고, 히터(42)가 천정판의 히터(42) 결합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블로잉팬(44)은 히터(42)의 열을 화장실룸(20)에 불어주도록 화장실룸(20)에 설치된다. 화장실룸(20)의 슬라브와 천정판 사이의 공간부에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의 경로에 히터(42)가 설치된 경우, 상기 블로잉팬(44)을 히터(42)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덕트에 설치할 수 있다. 블로잉팬(44)을 히터(42)의 뒤에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에는 화장실룸(20)에 구비된 스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화장실룸(20)에 들어온 사람이 스위칭 온(on) 상태롤 절환시키면 히터(42)와 블로잉팬(44)이 가동하고,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off) 상태로 절환시키면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The blowing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가서 용변을 보거나 목욕이나 샤워를 하는 등의 용도로 화장실룸(20)을 쓸 수 있도록 한다.The toilet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uses the
한편,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이 화장실룸(20)에 대피하고, 화장실룸(20)으로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등의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화재시 사람이 화장실룸(20)에 대피한 상태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함으로써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람이 화재시에 화장실룸(20)에 대피한 다음,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의 내부로 일정 압력의 물이 공급되고,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 구비된 다수개의 워터 토출홀(AH)을 통하여 물이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한다.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의 각각 워터 토출홀(AH)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막이 워터 배리어막(VW)으로서 상기 출입도어(22)의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들어오려 하여도 상기 워터 배리어막(VW)이 유독가스의 침투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워터 배리어막(VW)은 출입도어(22)의 상단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의 상부 내측면 사이의 틈새, 출입도어(22)의 좌우 양쪽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의 안쪽 측면 사이의 틈새 및 출입도어(22)의 하단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의 하부 안쪽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물막으로 형성되므로, 유독가스가 출입도어(22)의 둘레부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event of a fire, a water barrier film (VW) is formed while a person is evacuated to the
따라서, 화재시 사람이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동안은 유독가스에 중독될 염려 없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룸(20)에 들어가 있는 사람이 유독가스에 의해 중독되어 정신을 잃거나 질식사하는 심각한 위험을 미연에 근절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case of a fire, while a person is evacuated to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출입도어(22)의 위쪽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도어(22)의 좌우 양쪽에서도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함으로써 이중으로 유독가스 침투 방지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기 때문에, 화재시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서 토출되는 물에 의해 1차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서 옆으로 토출되어 나오는 물에 의해 2차로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기 때문에, 화재시 유독가스가 화장실룸(20)을 침투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1차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할 때보다는 2차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할 때가 보다 더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water barrier film (VW) be formed above the
또한,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애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는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이 배치될 수 있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상기 워터 배리어관(32)보다 더 뒤쪽에 배치된다. 화장실룸(20)에 있는 세면대와 출입도어(22) 사이에 워터 배리어관(32)이 배치된 경우,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상기 세면대와 워터 배리어관(32)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화장실룸(20)의 천정에 장착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화장실룸(20)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에는 내부에서 아래로 연통된 애드 워터 토출홀(50AH)이 구비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애드 워터 토출홀(50AH)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에도 배관을 통하여 워터 공급장치(34)가 연결되어,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에 의해 애드 워터 배리아관(5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n ad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을 통해서 추가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기 때문에 만일 상기 워터 배리어막(VW)과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VW)을 유독가스의 일부가 통과되어 들어오더라도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막(VW)에 의해 추가적으로 유독가스를 막아주게 되므로, 화장실룸(20)으로 유독가스가 침투하는 경우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a water barrier film VW is additionally formed through the ad
또한,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이 더 구비된다.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는 에어 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에어 공급장치의 가동에 따라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 일정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는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은 화장실룸(20)의 세면대와 애드 워터 배리어관(50) 사이에 배치되므로,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이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의 뒤쪽에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은 화장실룸(20)의 천정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는 내부에서 아래로 연통된 배리어 에어 토출홀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배리어 에어 토출홀은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의 내부에는 배관을 통하여 에어 공급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와 도어 프레임(24) 사이의 틈새로 유독가스가 들어와서 상기 워터 배리어막(VW)과 애드 워터 배리어막(VW)까지 통과하더라도 다시 한번 일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에어 배리어막이 유독가스가 더 이상 화장실룸(20)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화장실에 대피하여 있는 사람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까지 하게 된다.Therefore, even if toxic gas enters into the gap between the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 의해 화장실룸(20)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하면, 화장실룸(20)의 압력이 다른 실내룸에 비하여 더 높은 양압으로 형성되고, 다른 실내룸은 화장실룸(20)의 압력보다 더 낮은 음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화장실룸(20) 밖은 다른 실내룸에서 화재시 발생된 유독가스가 상기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룸(20)의 압력이 양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다른 실내룸으로부터 화장실룸(20)의 내부로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화장실룸(20)에 대피하여 있는 대피자의 안전을 더욱 확실하게 높여주는 것이다.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입도어(22)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4) 자체를 워터 배리어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4)을 워터 배리어관과 좌우 양쪽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 및 로워 배리어관을 연결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24)에 출입도어(22)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24)으로 구성된 워터 배리어관에는 복수개의 워터 토출홀(AH)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24)으로 구성된 좌우 양쪽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에도 복수개의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이 구비될 수 있고, 도어 프레임(24)으로 구성된 로워 배리어관에도 복수개의 로워 워터 토출홀(AH)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도어 프레임(24)을 워터 배리어관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가 설치되기 위한 벽체에 출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출입홀에 도어 프레임(24)을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24) 자체인 워터 배리어관이 화장실룸(20)의 벽체에서 돌출되지 않고 벽체에 매입된 구조이므로, 상기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는 기능에 더하여 워터 배리어관이 화장실룸(20)에서 사람이 활동할 때에 걸리적거리는 경우도 방지하고, 시공에 있어서도 유리하며 미관상으로도 깔끔해서 좋다.When 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실내룸(10)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36), 상기 소화 감지센서(36)가 실내룸(10)에서 화재가 진압된 소화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의 작동을 중지하는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가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extinguishing
따라서,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에 의해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안쪽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고, 상기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 발생 이후에 화재가 진압되어 소화가 완료된 상태가 되면, 상기 소화 감지센서(36)가 소화 완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소화 감지센서(36)의 소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재 진압 이후 소화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에서 워터 배리어막(VW)을 해제한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a fire occurs in the
또한, 본 발명은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34)와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에는 각각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와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가 연결되고, 상기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와 상기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에는 건물의 실내룸(10)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36)가 연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 발생 이후에 화재가 진압되어 소화가 완료된 상태가 되면, 상기 소화 감지센서(36)가 소화 완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소화 감지센서(36)의 소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76)에서 상기 애드 워터 공급장치(34)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재 진압 이후 소화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에서 추가로 형성된 애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해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e is extinguished after the fire occurs in the
또한, 건물의 실내룸(10)에서 화재 발생 이후에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소화 감지센서(36)가 감지하면, 상기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에서 상기 에어 서플라이 장치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에 인접 설치된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으로 에어의 공급을 중지하여 에어 배리어막을 해제하게 된다.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는 에어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74)에 의해서 에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의 워터공급장치(34)에 연결된 상기 센서(36)에는 온열장치(40)의 히터(42)와 블로잉팬(44)이 연결되고,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에는 스위칭 절환부(82)를 통해서 스위치(84)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절환부(82)는 상기 센서(36)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화장실룸(20)에 들어온 사람이 스위치를 스위칭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센서(36)에 의해 실내의 화재가 발생된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화장실룸(20)에 들어온 사람이 스위치를 스위칭 온(on)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36)에 의해 실내의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의 정상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화재시에는 온열장치(40)의 히터(42)와 블로잉팬(44)의 가동을 중지시켜서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더욱 안전성을 높이는 한편,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이면서 동시에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화장실룸(20)의 온도가 낮을 때에 상기 히터(42)와 블로잉팬(44)을 가동시키서 화장실룸(20)의 기온을 높여줌으로써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화장실룸(20)에서 샤워 등을 한 사람이 따뜻함을 느끼게 하거나 샤워 이후에 머리를 히터(42)의 온열로 머리를 말려줄 수 있는 것과 같이 겨울철에 화장실룸(20)의 사용을 더 편리하게 하는 것과 같은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not chang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실내룸 20. 화장실룸
22. 출입도어 24. 도어 프레임
30. 워터 배리어 형성부 32. 워터 배리어관
33.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 34. 워터 공급장치
36. 센서 40. 온열장치
42. 히터 44. 블로잉팬
50. 애드 워터 배리어관 60.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
62. 에어 배리어막 70. 소화 감지센서
74.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 76.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
82. 스위칭 절환부 84. 스위치10.
22.
30. Water
33. Side
36.
42.
50. Add
62.
74. Air
82.
Claims (4)
상기 화장실룸(20)에 구비된 출입도어(22);
상기 출입도어(22)와 상기 화장실룸(20)의 도어 프레임(24) 사이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출입도어(22)의 안쪽면에 물을 공급하여 물막을 형성하는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워터 배리어 형성부(30)는,
상기 출입도어(22)의 안쪽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토출홀을 구비한 워터 배리어관(32);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애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는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이 배치되고,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은 상기 워터 배리어관(32)보다 더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화장실룸(20)에는 애드 워터 배리어관(50)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는 에어 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에어 공급장치의 가동에 따라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60)에 일정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는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는 건물에 매설되는 배관을 매개로 좌우 양쪽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에도 연결되어, 상기 워터 공급장치(34)에서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워터 배리어관(32)에서 토출되는 물에 의해 1차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워터 배리어관(33)의 사이드 워터 토출홀(SH)을 통해서도 물이 옆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화장실룸(20)의 출입도어(22) 뒤쪽에 일정 두께의 2차로 사이드 워터 배리어막(VW)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Toilet room 20;
An entrance door 22 provided in the toilet room 20;
A water barrier that forms a water film by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cess door 22 to prevent toxic gas from penetrating in the event of a fire between the access door 22 and the door frame 24 of the toilet room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water barrier forming part 30,
A water barrier pipe 32 having a water discharge hol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access door 22;
And a water supply device 34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barrier tube 32,
An ad water barrier tube 50 forming an ad water barrier layer VW is disposed in the toilet room 20, and the ad water barrier tube 50 is disposed further behind the water barrier tube 32, ,
The toilet room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rrier air blowing pipe 60 to be disposed behind the ad water barrier pipe 50, and an air supply device is connected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to supply the air. It is configured to supply air that can be injected at a constant pressure to the barrier air blowing pipe 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he water supply device 34 is also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ter barrier pipes 33 through a pipe buried in the building, and supplies wat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4, and the water barrier pipe ( A water barrier film (VW) is firstly formed by water discharged from 32), and water is discharged sideways through the side water discharge hole (SH) of the side water barrier pipe (33), and the toilet room (20)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a secondary side water barrier film (VW)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behind the entrance door (22) of.
상기 화장실룸(20) 이외의 다른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화장실룸(20)에 사람이 들어와 있을 때에 상기 워터 공급장치(34)를 가동시키는 센서(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sensor 36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when a fire occurs in a room other than the toilet room 20 and activates the water supply device 34 when a person enters the toilet room 20; further includes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상기 화장실룸(20)의 내부를 온열로 덥혀주는 온열장치(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toilet safety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device (40) that warms the interior of the toilet room (20) with he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682A KR102190253B1 (en) | 2018-06-05 | 2018-06-05 |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682A KR102190253B1 (en) | 2018-06-05 | 2018-06-05 |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8351A KR20190138351A (en) | 2019-12-13 |
KR102190253B1 true KR102190253B1 (en) | 2020-12-11 |
Family
ID=6884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4682A KR102190253B1 (en) | 2018-06-05 | 2018-06-05 |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025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69915A (en) * | 2015-03-13 | 2016-09-23 | 株式会社ノーリツ | Bathroom heat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55679A (en) | 1995-03-03 | 2000-05-02 | S. C. Johnson & Son, Inc. | Passive lavatory cleanser dispensing system |
KR100578046B1 (en) | 2004-04-22 | 2006-05-11 | 김경술 | shunt epuipment temporary toilet of fire arrival |
KR101010444B1 (en) * | 2008-11-21 | 2011-01-21 | 박세문 | The strutcure of toilet having a temporary fire-escape function |
KR101306151B1 (en) * | 2011-11-23 | 2013-09-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Restroom system of high-rise building as fire-refuge compart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1732662B1 (en) | 2016-08-25 | 2017-05-24 |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 Flush Toilet System With Sewage Treatment System |
KR20180025553A (en) * | 2016-09-01 | 2018-03-09 | 유병길 | Pneumohydraulic injection equipment for fire spreading prevention |
-
2018
- 2018-06-05 KR KR1020180064682A patent/KR10219025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69915A (en) * | 2015-03-13 | 2016-09-23 | 株式会社ノーリツ | Bathroom heat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8351A (en) | 2019-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3013B1 (en) | Fireproof doors using aerated concrete | |
KR101968080B1 (en) | Fire evacuation chamber | |
KR101306151B1 (en) | Restroom system of high-rise building as fire-refuge compart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6189404B2 (en) | Building fire life sav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building fire life saving system | |
KR20060109400A (en) | Escaping device of the building with a room for a fire escape | |
KR20140046214A (en) | Device for preventing smoke diffusion | |
KR101578929B1 (en) | Fire evacuation chamber provided in the basement. | |
KR10226317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helter for the Old and the Infirm | |
KR101720746B1 (en) | Poisonous gas exhaust system | |
TWM535097U (en) | Water film curtain with fireproof, heat-insulation and smoke-shielding properties | |
KR102190253B1 (en) | Emergency evacuation toilet safety system | |
KR20200145982A (en) | Fire evacuation chamber | |
JP2003111858A (en) | Fire/smoke protection zone formation system | |
KR20100133223A (en) | Apparatus for fire prevention of building using water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 of that | |
KR101010444B1 (en) | The strutcure of toilet having a temporary fire-escape function | |
KR102073356B1 (en) | Fir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ystem with air supply and air suction adjustment | |
KR102320354B1 (en) | Poisonous gas exhaust system | |
KR20090126972A (en) | Fire prevention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and fire prevention method thereof | |
KR20190053592A (en) | Fir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ystem | |
KR20180111072A (en) | Ventilation system using emergency stairs of multi-story building | |
KR20130104618A (en) | Fire shelter system using the rest rooms of the higher buildings | |
KR20120083672A (en) | Fire door that have fire fighting exclusive door | |
JP3791768B2 (en) | Fire and smoke protection compartment formation system | |
KR102423971B1 (en) | smoke control system for fire fighting | |
KR20190022229A (en) | Air-circulating Escaping Equipment during fire in apartment and build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