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800A -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800A
KR20190137800A KR1020197028893A KR20197028893A KR20190137800A KR 20190137800 A KR20190137800 A KR 20190137800A KR 1020197028893 A KR1020197028893 A KR 1020197028893A KR 20197028893 A KR20197028893 A KR 20197028893A KR 20190137800 A KR20190137800 A KR 20190137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terminal
operator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960B1 (ko
Inventor
강수정
이덕기
류영선
박종한
윤강진
이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3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7Managing security policies for mobile devices or for controlling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인증된 단말에서의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검색하고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이 소정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하여, 단말에게 '사업자 특화 서비스' 해당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표기하고,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와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정보 등을 매칭하여 서비스를 나열하는 방법,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 시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위해 접속하는 것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방법, 단말기 사용자에게 '사업자 특화 서비스'가 가능한 주변 기지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뉴를 제공하여, 단말로 하여금 상기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기지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검색하고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smart card)이고, 일반적으로 상기 UICC에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 제어 모듈의 예로는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ISIM (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등이 있다. UICC는 UICC카드 또는 USIM카드, SIM카드로도 불리며 통상 SIM카드로 불린다. UICC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traffic) 보안 키(key)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통신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IoT 분야의 확산 등으로 eUICC (embedded UICC)가 wearable, 자동차, 스마트 미터 등 단말에 적용되고 있다. eUICC는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eUICC로 통칭한다. 즉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 중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는 UICC 카드를 통칭하며, 다운로드 받는 SIM 모듈정보를 통칭하여 eUICC 프로파일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단말의 SIM 카드 또는 eUICC또는 eUICC 프로파일 손상으로 네트워크에서 해당 단말 인식 불가 등 문제가 발생하거나, 무약정 단말이나 eUICC 적용 단말에서 직접 서비스 가입 및 개통을 원하는 경우사용자는 해당 단말에서고객센터, 특정 웹 사이트등을 통해 사업자 특화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해당 단말은 망에서 인증할 수 없는 무인증(unauthenticated) 상태이므로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및 전화를 통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검색하고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목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 아래 개시의 설명들로부터 관련되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하면,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사업자의 망에 대한 접속에 성공한 경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하면,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사업자의 망에 대한 접속에 성공한 경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의 SIM 카드 또는 eUICC, 또는 eUICC프로파일 손상으로 가입자 정보 인식 불가 등 문제가 발생할 때, 문제가 발생한 단말에서 해당 사업자의 서비스 센터의 콜센터 또는 웹 사이트로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약정 단말의 개통 또는 eUICC 프로파일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에, 해당 단말에서 바로 서비스 센터의 콜센터 또는 웹 사이트로 연결하여 개통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의해 달성 될 수있는 효과는 전술 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관련되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 될 수있다.
본 개시 내용 및 그 장점에 대한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단말에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정보가 pre-installed 되어 있을 경우의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정보가 pre-installed 되어 있을 경우의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살펴보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특정 단어/구 등의 정의를 제시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포함하다" ("include" 혹은 "comprise") 등의 용어 및 기타 관련 파생어들은 제한 없는 내포를 의미한다. "혹은"이라는 단어는 포괄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혹은"을 뜻할 수 있다. "~와 연관된" 그리고 "상기 ~와 연관된" 등의 구 혹은 그 파생 표현들은 "포함하다", "포함된다", "서로 연결되다", "함유하다", "함유되어 있다", "~에 연결되다", "~와 연결하다", "~에 결합하다", "~와 함께 결합하다", "~와 연결 가능해 지다", "~와 협력하다", "끼우다", "병치하다", "~에 근접하다", "~에/와 묶이다", "가지다", "~의 특징을 가지다"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라는 단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특정 장치 및 시스템 혹은 그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그와 같은 부류 두 개를 병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제어부와 연관된 기능은 국소적으로든 원거리로든 중앙화 혹은 분산화 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하기에 묘사된 다양한 기능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형성되고 컴퓨터가 인식 가능한 매개체로 구현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과 같은 용어는 컴퓨터가 적절하게 인식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실행 가능하도록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요소, 명령 집합, 절차, 기능, 오브젝트, 계급,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혹은 그와 같은 부류의 일부 등을 지칭한다. "컴퓨터 인식 가능 프로그램 코드" 라는 표현은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실행가능 코드 등을 포함한 특정 종류의 컴퓨터 코드 등을 아우를 수 있다. "컴퓨터 인식 가능 매체" 란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어떤 종류의 매체든 다 아우를 수 있다. 예컨대 읽기 전용 기억장치 (ROM), 임의 기억 추출 장치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 기타 메모리 등을 가리킨다. 한편, "비일시적" 컴퓨터 인식 가능 매체에서는 일시적인 전기적 혹은 타 신호들을 전송하는 유선 및 무선, 광(光) 혹은 타 형태의 통신 링크 등은 제외된다. 비일시적 컴퓨터 인식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혹은 데이터가 저장된 후 겹쳐져 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재작성 가능한 광 디스크 혹은 삭제 가능한 메모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단어 및 구에 대한 정의들이 본 특허 문서를 통틀어 제시되어 있으며, 당업자라면 많은 경우에 있어서 - 비록 대부분의 경우는 아닐지라도 - 그와 같은 정의들은 상기 단어 및 구의 사전적 혹은 사후적 용례에 있어서도 적용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서 다루는 도면 1부터 8까지 및 본 특허 문서에서 다루는 원리들을 묘사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로서만 제시된 것이며 이들을 해석할 때는 본 개시 범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원리들은 적절하게 구성된 시스템 혹은 장치에서라면 실행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문서가 다양한 실시예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당업자는 본 문서와 관련한 여러 가지 수정을 제안할 수도 있다. 본 문서는 첨부 청구항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그와 같은 수정 사항들을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는 게 본 문서가 의도하는 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smart card)이고 UICC 카드라고도 부른다. 상기 UICC에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제어 모듈의 예로는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ISIM (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등이 있다. USIM이 포함된 UICC를 통상 USIM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SIM 모듈이 포함된 UICC를 통상적으로 SIM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이후 설명에서 SIM 카드라 함은 UICC 카드, USIM 카드, ISIM이 포함된 UICC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의미로 사용하도록 하겠다. 즉 SIM 카드라 하여도 그 기술적 적용이 USIM 카드 또는 ISIM 카드 또는 일반적인 UICC 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traffic) 보안 키(key)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통신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SIM 카드는 일반적으로 카드 제조 시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사업자를 위한 전용 카드로 제조되며, 해당 사업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 예를 들어,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어플리케이션 및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K 값, OPc 값 등이 사전에 카드에 탑재되어 출고된다. 따라서 제조된 상기 SIM 카드는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가 납품 받아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이후 필요시에는 OTA (Over The Air)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 UICC 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수정, 삭제 등의 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가입자는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UICC 카드를 삽입하여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며, 단말기 교체 시 상기 UICC 카드를 기존 단말기에서 새로운 단말기로 이동 삽입함으로써 상기 UICC 카드에 저장된 인증정보, 이동통신 전화번호, 개인 전화번호부 등을 새로운 단말기에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SIM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이동통신사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SIM 카드를 물리적으로 획득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나라로 여행을 했을 때 현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현지 SIM 카드를 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로밍 서비스의 경우 상기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결해 주지만, 비싼 요금 및 통신사간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도 있다.
한편, UICC 카드에 상기 SIM 모듈을 원격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경우, 이러한 불편함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SIM 모듈을 UICC 카드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UICC 카드는 또한 복수개의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고 그 중의 한 개의 SIM 모듈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UICC 카드는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UICC를 eUICC (embedded UICC)라고 하는데,본 발명에서는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 중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는 UICC 카드를 통칭하여 eUICC로 사용하겠다. 또한 다운로드 받는 SIM 모듈정보를 통칭하여 eUICC 프로파일 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겠다.
상기 SIM 카드 및 eUICC. 또는 eUICC프로파일이 손상된 경우에, 단말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traffic) 보안 키(key) 생성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해당 단말은 긴급 전화 외 용도로 사업자 망 접속이 불가능하므로 문제 해결을 위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다. 이 경우에 단말의 사용자는 집전화나 PC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이나 전화가 가능한 단말을 통해 사업자 서비스 센터로 연결이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 사용자가 PC나 집전화 및 공중 전화 또는 다른 접속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수 없고, 최근에 집전화를 보유한 가구가 감속하고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한 휴대 단말이 유일하게 고객센터로 전화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 모든 수단이 불가능한 경우, 직접 대리점 방문을 통해서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시간을 따로 내어 방문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eUICC로 eUICC 프로파일을 다운로드를 하기 위해서는 프로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서버로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 eUICC 프로파일 다운로드는 최초 해당 사업자의 통신 서비스 개통을 위한 네트워크 접속 또는 eUICC 프로파일이 손상되어 재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허를 발명한 시점에서, eUICC 적용 단말을 구매하여 해당 단말에서의 직접 개통을 원하거나 또는 eUICC에 다운로드된 eUICC 프로파일에 문제가 있어 망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가입자를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없으므로 망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eUICC 프로파일을 eUICC 카드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화 단체인 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ssociation)는, eUICC 프로파일을 단말 내의 eUICC에 다운로드를 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Wi-Fi 또는 eUICC 프로파일과 동일하나 그 용도를 Connectivity 제공을 위해서만 한정한 프로파일인 ProvisioningProfile (이하 Provisioning 프로파일로 표기)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Wi-Fi는 한정된 지역에서만 제공하며, 특히 공공 Wi-Fi 인프라가 미흡한 일부 지역 및 국가에서는 단말에서 Wi-Fi를 통해 망에 접속하기 어렵다. 또한, Provisioning 프로파일은 단말 제조사가 이동통신사업자와 계약을 통해 대량으로 Provisioning 프로파일을 구매한 후, 단말에 Pre-Install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단말 제조사는 해당 프로파일 및 데이터를 구매에 따른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또한, 단말 제조사간 이동통신사업자간 계약된 프로파일 사용 기한이 만료되거나 또는 해당 프로파일로 계약된 데이터 사용량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는 해당 provisioning 프로파일을 가지고 더 이상 개통 및 eUICC 프로파일 다운로드를 위해 망 접속을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무약정으로 단말을 구매하여 서비스를 가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사용자가 이미 계약이 만료된 중고 단말 또는 약정 없는 단말을 가지고 원하는 이동통신사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대리점에서 서비스를 가입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이동통신사업자는 핸드폰 무약정 판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도 단말 보조금이 줄면서 무약정 단말을 구매하여 선택 약정으로 할인을 받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이런 무약정 단말은 사업자의 SIM카드 또는 개통정보가 없으므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업자 망에서 성공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고객은 해당 휴대 단말에서 개통을 위한 웹 사이트 접속이나 전화가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PC를 통한 해당 서비스 사업자의 웹사이트 가입 및 개통 신청, 전화를 통한 고객센터 연결 신청, 또는 이동통신사 방문을 통한 개통 방식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담당하는 3GPP의 SA1(Service and System Aspects Working Group 1 - Services) 작업반에서 무인증 단말(unauthenticated terminal)의 망 접속을 허용에 대한 표준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통신규제기관인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의 manual roaming 규제에 따르면, 소비자가 홈 사업자와 홈 사업자의 로밍 파트너가 없는 지역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할 경우라도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업자 특화 서비스는 통신사 특화 서비스, 사업자 제한 서비스(operator restricted service), 제한 사업자 서비스(restricted operator service), 제한 서비스(restricted service)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에 사업자 특화 서비스(또는 사업자 제한 서비스 등)가 필요한 모드 또는 상태는 단말에 3GPP네트워크 접속 인증을 위한 크리덴셜(credential)이 없는 경우, SIM이 있지만 SIM 연결에 오류가 있는 경우, 무약정 단말로 통신사에 연결하여 통신 서비스 가입 또는 개통이 필요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은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통해 접속하는 경우 프로파일 다운로드, 망 접속 인증을 위한 크리덴셜 수신, 통신사 가입 등 해당 사업자가 지원하는 제한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 (105)(110)(115)(120)과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125) 및 S-GW (Serving-Gateway)(1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terminal)(135)은 기지국(105)(110)(115)(120) 및 S-GW(1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상기 기지국들(105)(110)(115)(1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105)(110)(115)(1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쥴링을 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상기 MME(1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데이터 베어러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논리적인 (혹은 가상의) 채널을 뜻하며,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해당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베어러가 생성이 되어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MME(125) 및 S-GW(1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105)(110)(115)(120)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상기 기지국 (105)(110)(115)(120)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240), RLC(Radio Link Control)(210)(235), MAC (Medium Access Control)(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 (210)(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215)(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관련 등 다양한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RRC 계층의 메시지는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와, 셀 내에 있는 모든 단말에게 방송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RRC 계층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셀 내에 있는 단말들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으며, 혹은 특정 단말에게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특정 설정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예로는 셀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정보블록 (SystemInformationBlock, SIB) 등이 존재한다. 한편,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 RRC 메시지 가운데 상기 SIB 메시지를 사용하여 기지국에서의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인증된 단말이 제공받고자 하는 사업자 또는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여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인증된 단말이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온라인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위한 다음의 실시 예를 포함한다
- 기지국이 소정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하여, 단말에게 '사업자 특화 서비스' 해당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 단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표기하고, 특정 기준에 따라 사업자 리스트를 나열하는 방법
-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 시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위해 접속하는 것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방법
- 단말기 사용자에게 '사업자 특화 서비스'가 가능한 주변 기지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뉴를 제공하여, 단말로 하여금 상기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기지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단말에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부호 301은 단말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302는 단말에서 사업자 특화 서비스 메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단말을 처음 동작시켰을 때, 단말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메뉴가 생성될 수 있다(304).
해당 메뉴를 클릭 시에, 단말은 도면부호 303처럼 사업자 특화 서비스(통신사 특화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검색에 대한 동의를 요구하는 메시지 창을 생성하여 표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면부호 304와 같이 SIM정보가 없는 단말에서 모바일데이터 메뉴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모바일데이터 메뉴 활성화가 클릭되면, 단말은 도면부호 305와 같이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내와 제공 통신사 검색에 대한 동의를 요구하는 메시지 창을 생성하여 표기할 수도 있다.
단말에 해당 메시지를 받겠다는 동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306과 같이 단말은 무선 채널 검색을 시작하여 사업자 망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에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제공 유무 및 관련 메시지가 있는지 검출한다.
도면부호 307 및 309과 같이 검색된 리스트가 단말의 화면에 display되며, 단말은 네트워크 신호 세기, 지원 통신 기술 등 단말에서 취득 가능한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의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함께 표기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사업자 네트워크 별 신호세기, 제공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브로드캐스팅된 정보와 단말에서 취득한 소정의 정보를 결합하여, 서비스 리스트 나열 순서를 변경 표기해 줄 수 있다. 도면부호 307과 같이 display된 리스트에서 웹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메뉴(개통 사이트 연결)가 선택된 경우에, 도면부호 308과 같이 단말은 해당 URL에 맵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로 연결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 포탈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면부호 309와 같이 Tel URL 또는 SIP URI(session initiation protocol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와 맵핑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 도면부호 310처럼 해당 Tel URL 또는 SIP URI와 연결된 전화 번호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308또는 310상태에서 다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접속은 차단되며, 사업자 특화된 서비스 웹 포탈 또는 전화번호에 한정해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대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표기된 UE, eNB,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는 도 1에서 이미 설명된 바 있으며,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동, 데이터 통화설정 관리,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통화 요금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IP주소를 할당한다.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는 과금 및 정책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P-GW에 해당 과금 및 정책을 내려주어 접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는 단말 별로 Key정보와 가입자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는 가입자 DB(data base) 역할을 수행한다.
동작 401과 403은 단말이 채널 검색을 통해서 사업자가 제공하는 특화 서비스가 있는지 및/또는 특화 서비스에 대한 소정의 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도면부호 303 또는 305와 같이 단말에 표기된 서비스 검색을 동의하면, 동작 401, 403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의 동의 여부와 무관하게 단말에서 401 동작과 403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해당 동작(단말의 채널 검색)이 실행되는 동안 단말에는 도 3의 도면부호 306과 같이 메시지가 표시(display)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전술한 SIB 메시지로 브로드캐스팅 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사업자 서비스 (operator service) 정보 또는 사업자 제한 서비스(operator restricted service) 정보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되는 해당 서비스 정보에 사업자특화 서비스에 해당하는 식별자, 사업자의 해당 서비스 지원 유무 및 필수 지원 유무, 세부 지원 서비스 종류, 서비스 명칭 또는 서비스 번호, 서비스 번호와 명칭의 조합, 서비스에 맵핑되는 되는 웹 URL 또는 Tel URL 또는 SIP URI 와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팅 되는 정보를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에 대한 메시지 포맷에 대한 예시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1
상기 정보 (Information Element)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 (SIB1) 혹은 SystemInformationBlockType2 (SIB2) 와 같이 기존에 존재하는 SIB 메시지에 추가로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혹은 신규 SIB 메시지가 정의되어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on-demand 형태로 SIB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경우에 상기 정보가 신규 SIB 메시지로 정의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최소한의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는 minimum SIB 내에 상기 신규 SIB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 랜덤 엑세스 등을 수행하여 기지국에게 해당 SIB 정보를 요청 (on-demand)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신규 SIB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이 지원하는 모든 주파수, 혹은 기 저장된 정보에 따른 소정의 주파수들에 대해 상기 SIB 수신동작을 수행하여, 단말 주변에 있는 기지국들 가운데 해당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의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에서 채널 검색이 완료되면, 단말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이름과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이 도 3의 도면부호 307 또는 309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신호 세기, 지원 통신 기술 등 단말에서 취득 가능한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의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사업자 네트워크 별 신호세기, 제공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브로드캐스팅된 정보와 단말에서 취득한 소정의 정보를 결합하여, 서비스 리스트 나열 순서를 변경 표기해 줄 수 있다.
사용자가 이 중에서 사업자 1을 선택하면 단말은 사업자 1의 기지국으로 연결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405). 단말은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에는 연결 이유 (establishmentCause)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은 상기 연결 이유에 대해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위해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수행한다고 기지국에게 알려주기 위해 신규 연결 이유를 정의한다.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에게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는 RRC 계층의 RRCConectionSetup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407 동작). 이를 수신한 단말은 기지국에게 사용하여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RRC 계층의 RRCConnectionSetupComplete 메시지 이용), 추가로 상기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해당 사업자의 코어네트워크망에 접속하기 위해 접속 요청 (Attach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409 동작).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는 UE requested PDN Connectivity Request, Attach Type, Request Type 이 포함되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위해 망에 접속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상기 Attach Type 및 Request Type을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 Attach Type과 Request Type로 전송되는 값을 사업자 특화 서비스 (Operator Service) 와 같이 신규 정의된 값으로 설정
- Attach Type을 기존 emergency로 설정하고, Request Type를 사업자 특화 서비스 (Operator Service) 와 같이 신규 정의된 값으로 설정
- Request Type을 기존 emergency로 설정하고, Attach Type을 사업자 특화 서비스 (Operator Service) 와 같이 신규 정의된 값으로 설정
- Attach Type과 Attach Request로 전송되는 값을 기존 emergency로 설정하며, 추가로 상기 Attach Request 메시지 내에 '사업자 특화 서비스' 관련 신규 필드 추가 설정
상기 정보를 수신한 MME는 단말이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위해 망에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411 동작), 도난된 단말 인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단말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413 동작),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코어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 연결 시켜 주기 위해 세션 연결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위해 접속하는 단말은 SIM 정보에 내장된 정보가 아닌 단말 식별자인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을 정보를 가지고 망에 접속을 시도하므로 일반적인 망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에서의 인증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단말은 emergency call에 해당되는 보안 절차를 수행하며, 단말의 위치 등록 등을 위한 HSS 서버로의 메시지 전송도 생략될 수 있다(415 동작).
417 동작에서 MME는 S-GW에게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는 S-GW 에게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GW가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S-GW는 이를 다시 P-GW에 전송(419 동작)한다. P-GW는 PCRF와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P-GW에 IP filtering rule 등 해당 서비스 요청에 적용되는 사업자 정책을 P-GW에 적용하고 P-GW에 해당 URL 수신 시, Redirect를 위한 IP주소를 셋팅한다(421 동작). P-GW에서는 default EPS Bearer를 포함하여 세션 응답 메시지를 S-GW에게 전달(423 동작)하고, 해당 메시지는 최종적으로 MME에게 다시 전달된다 (425 동작). 이에 따라, P-GW와 S-GW사이에 베어러가 생성된다. 이후, MME는 기지국에게 Attach Accept 메시지를 전송하고 (427 동작),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베어러 (Radio Bearer)를 생성하기 위해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한다 (429 동작). 상기 무선 베어러 설정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기지국은 MME에게 Attach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Attach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고 (431 동작), 이에 따라 MME는 S-GW에게 S-GW와 기지국 사이의 베어러를 생성하기 위해 베어러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고(433 동작), S-GW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435 동작). 이에 따라 단말로부터 P-GW까지 모든 베어러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단말은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441 동작). 단말은 해당 URL에 맵핑되는 IP주소로 연결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 포탈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해당 Tel URL 또는 SIP URI와 연결된 전화 번호로 연결되어 전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접속은 차단되며, 사업자 특화된 서비스 웹 포탈 또는 전화번호에 한정해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501 블록에서 동작 시작. 단말의 전원이 켜진 다음 (502 동작), 503 동작에서 단말은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크리덴셜이 없는 경우, SIM 카드 또는 SIM 정보가 있으나 SIM 연결 오류가 있는 경우, 무약정 단말 상태로 통신사 가입이 필요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SIM 정보가 있는지 유무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SIM 정보뿐만 아니라, 접속 인증을 위한 credential의 유무, SIM 연결 오류 유무, 단말의 통신사 가입 유무에 대해서도 아래 동작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SIM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503 동작), 단말은 해당 SIM에 속한 개통 이동통신사 망으로 접속한다 (504 동작). 반면 단말의 SIM정보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503 동작),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메뉴를 보여주고, 해당 메뉴를 클릭 또는 메뉴에서 모바일 데이터를 클릭하는 경우 (505 동작), 설명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검색에 대한 동의를 요구하는 메시지 창을 생성하여 표기할 수 있다 (506 동작). 505 동작 및 506 동작은 생략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해당 메시지를 받겠다는 동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은 무선 채널 검색을 시작하여 사업자 망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정보를 수신한다 (507 동작). 단말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정보로부터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제공 유무 및 관련 메시지가 있는지 검출한다 (508).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사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사가 없음을 표기하고 종료한다 (509).
반면 검색된 사업자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리스트를 단말의 화면에 display한다 (510). 이 때, 단말에서 서비스 선텍에 도움을 위해 취득한 소정의 정보가 있다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사업자 네트워크 별 신호세기, 제공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단말의 화면에 네트워크 신호세기 또는 제공 통신 기술, 또는 기타 사용자 또는 단말 지정 기준에 따라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특정 사업자 및 서비스가 선택 된 경우 (511), 전술한 도 4의 절차에 따라 단말은 해당 사업자 망으로 접속을 요청하여 (512) 접속 요청이 만약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해당 IP로 연결한다 (515). 만약 접속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따라, 웹 URL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단말은 해당 URL에 맵핑되는 IP주소로 연결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 포탈로 연결된다. 또는 Tel URL 또는 SIP URI 정보와 맵핑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Tel URL 또는 SIP URI와 연결된 전화 번호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다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접속은 차단되며, 사업자 특화된 서비스 웹 포탈 또는 전화번호에 한정해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516 블록에서 동작이 종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정보가 pre-installed 되어 있을 경우의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부호 601은 단말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603은 단말에서 사업자 특화 서비스 메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단말을 처음 동작시켰을 때, 단말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메뉴인 예를 들어 '통신사 연결' 버튼이 생성될 수 있다. 해당 버튼을 클릭 시에, 단말 내에 기 저장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가 있을 경우에, 단말은 해당 리스트를 화면에 표기해 준다(도면부호 605 내에 사업자 1). 사용자는 해당 리스트 중에 원하는 사업자 및 서비스가 있으면 해당 사업자 및 서비스 정보를 선택한다. 이후의 절차는 전술한 도 4의 도면부호 405이후의 절차를 따른다.
만약, 원하는 사업자 및 서비스가 없을 경우, 사용자는 도면부호 605처럼 단말에 표기된 '추가 검색' 버튼이나 이에 상응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 검색 버튼을 클릭할 경우, 단말은 사업자 특화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검색에 대한 동의를 요구하는 메시지 창을 생성하여 표기할 수 있다(도면부호 607). 단말에 해당 메시지를 받겠다는 동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은 무선 채널 검색을 시작하여 사업자 망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에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제공 유무 및 관련 추가 정보가 있는지 검출한다(도면부호 609). 이후, 단말은 검출된 사업자 및 서비스 리스트(611, 613)는 화면에 display해 주고, 이후의 동작은 전술한 도 4의 도면부호 605이후의 절차를 따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정보가 pre-installed 되어 있을 경우의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의 전원이 켜진 다음 (동작 703), 705 동작에서 단말은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SIM 정보가 있는지 유무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SIM 정보뿐만 아니라, 망 접속 인증을 위한 credential의 유무, SIM 연결 오류 유무, 단말의 통신사 가입 유무에 대해서도 아래 동작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의 SIM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작 705), 단말은 해당 SIM에 속한 개통 이동통신사 망으로 접속한다 (동작 707). 반면 단말의 SIM정보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동작 705), 단말 내에 기 저장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가 있을 경우에 (동작 709), 단말은 해당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해 준다 (동작 711). 단말에서 서비스 선택에 도움을 위해 취득하는 소정의 정보가 있다면 함께 표시한다. 해당 정보는 사업자 네트워크 별 신호세기, 제공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단말의 화면에 네트워크 신호세기 또는 제공 통신 기술, 또는 기타 사용자 또는 단말 지정 기준에 따라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만일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리스트 중에 원하는 사업자 및 서비스가 존재하여 해당 사업자 및 서비스 정보가 선택되면 (동작 713), 전술한 도 4의 절차에 따라 단말은 해당 사업자 망으로 접속을 요청하여 (동작 715) 만약 접속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해당 IP로 연결한다 (동작 723). 만약 접속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따라, 웹 URL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단말은 해당 URL에 맵핑되는 IP주소로 연결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 포탈로 연결된다. 또는 Tel URL 또는 SIP URI 정보과 맵핑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Tel URL 또는 SIP URI와 연결된 전화 번호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다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접속은 차단되며, 사업자 특화된 서비스 웹 포탈 또는 전화번호에 한정해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원하는 사업자 및 서비스가 없을 경우 (동작 713), 사용자가 도 6의 도면부호 605처럼 단말에 표기된 '추가 검색' 버튼을 클릭할 경우(동작 717), 단말은 사업자 특화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검색에 대한 동의를 요구하는 메시지 창을 생성하여 표기할 수 있다(동작 719). 단말에 해당 메시지를 받겠다는 동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은 도 4에 전술한 것과 같이 무선 채널 검색을 시작하여 사업자 망에서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에 사업자 특화 서비스 제공 유무 및 관련 추가 정보가 있는지 검출하고, 단말은 해당 리스트를 화면에 표기해 준다 (동작 711). 이 때, 단말에서 서비스 선택에 도움을 위해 취득한 소정의 정보가 있다면 함께 표시한다. 해당 정보는 사업자 네트워크 별 신호세기, 제공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단말의 화면에 네트워크 신호세기 또는 제공 통신 기술, 또는 기타 사용자 또는 단말 지정 기준에 따라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만일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리스트 중에 원하는 사업자 및 서비스가 존재하여 해당 사업자 및 서비스 정보가 선택되면 (동작 713), 전술한 도 4의 절차에 따라 단말은 해당 사업자 망으로 접속을 요청하여 (동작 715) 만약 접속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해당 IP로 연결한다 (동작 723). 만약 접속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따라, 웹 URL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단말은 해당 URL에 맵핑되는 IP주소로 연결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 포탈로 연결된다. 또는 Tel URL 또는 SIP URI 정보와 맵핑된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Tel URL 또는 SIP URI와 연결된 전화 번호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다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접속은 차단되며, 사업자 특화된 서비스 웹 포탈 또는 전화번호에 한정해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메시지 송수신부 (810) 메시지 처리부 (820), 제어부 (830), 저장부 (840), 화면 표시부(86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단말을 간략히 구성하는 경우 송수신부(810)와 제어부(83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810)에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8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하는 RF 처리부를 포함하며,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810)에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810) 내의 기저대역처리부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810)는 송수신기(transceiver) 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 (820)는 상기의 메시지 송수신부(810)를 통해 송신하거나 혹은 수신한 데이터가 어떠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수신한 메시지가 (SIB를 포함한) RRC 계층의 제어 메시지인지 혹은 사용자의 데이터 메시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터는 제어부(83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83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830)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 (82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30)는 저장부(8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 (8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83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 (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 (840)에 기 저장된 사업자 특화 서비스 리스트가 있는 경우, 이를 화면표시부(860) 표시해주고, 만약 없거나, 혹은 사용자로부터 추가 검색을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830) 및 메시지 처리부(820), 메시지 송수신부(810)를 통해 주변 셀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셀 가운데 사용자가 선택한 사업자 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830)는 저장부(840)를 통해서 읽은 데이터 기록, 센서부(850)를 통해서 수집된 정보, 또는 상기 제어부(830) 및 메시지 처리부(820), 메시지송수신부(810)를 통해 수집된 주변 셀 정보를 매칭하여 서비스 선택에 참조할 수 있는 정보를 단말이 추론하는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830)는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하면,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사업자의 망에 대한 접속에 성공한 경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접속 인증을 위한 크리덴셜(credential)이 없는 경우, SIM 정보 획득에 오류가 있는 경우 또는 무약정 단말로 통신사 가입이 필요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이면,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는 프로파일 다운로드, 크리덴셜 다운로드, SIM 정보 획득 또는 통신사 가입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사업자 특화 서비스 식별 정보, 사업자 특화 서비스 지원 정보, 세부 서비스 지원 종류, 서비스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자 정보는 상기 단말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로드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비스 포탈로 연결 또는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Tel URL 또는 SIP URI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30)는 attach request message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ttach request message는 request type 및 attach type을 포함하고, 상기 request type 또는 상기 attach type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이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위해 접속함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선택된 사업자를 위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위한 연결 요청을 지시하는 연결 이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의 사업자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84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840)는 상기 제어부 (8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 (850)는 상기 단말에서 서비스 선택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정보 수집을 위해 단말에 포함된 센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GPS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8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전체 또는 일부 센서들을 활성화하여 요구되는 단말 주변 상태를 인지하여 제어부(830)에 바로 제공하거나 저장부(84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화면표시부 (860)는 상기 제어부(830)에서 처리/가공한 정보를 상기 단말 화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제어부(830) 처리를 통해 단말이 자동 수행 또는 사용자에게 수행을 요청하는 event에 대한 동의 등을 표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Claims (15)

  1.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사업자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에 성공한 경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접속 인증을 위한 크리덴셜이 없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SIM 정보 획득에 오류가 있는 경우, 또는 통신사와 약정 없이 상기 단말을 위한 가입이 필요한 경우를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는,
    프로파일 다운로드, 크리덴셜 다운로드, SIM 정보 획득, 또는 통신사 가입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사업자 특화 서비스 식별 정보, 사업자 특화 서비스 지원 정보, 세부 서비스 지원 종류, 서비스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되고,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이 미리 저장된 정보로부터 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비스 포탈로 연결, 또는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Tel URL 또는 SIP URI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attach request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ttach request message는 request type 및 attach type을 포함하고,
    상기 request type 또는 상기 attach type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이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위해 접속함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업자를 위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의 사업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위한 연결 요청을 지시하는 연결 이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사업자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에 성공한 경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접속 인증을 위한 크리덴셜이 없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SIM 정보 획득에 오류가 있는 경우, 또는 통신사와 약정 없이 상기 단말을 위한 가입이 필요한 경우를 사업자 제한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는,
    프로파일 다운로드, 크리덴셜 다운로드, SIM 정보 획득, 또는 통신사 가입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사업자 특화 서비스 식별 정보, 사업자 특화 서비스 지원 정보, 세부 서비스 지원 종류, 서비스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되고,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이 미리 저장된 정보로부터 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비스 포탈로 연결, 또는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Tel URL 또는 SIP URI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사업자를 위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사업자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사업자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의 사업자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업자 제한 서비스를 위한 연결 요청을 지시하는 연결 이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97028893A 2017-05-02 2018-04-30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4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6484 2017-05-02
KR1020170056484 2017-05-02
PCT/KR2018/005028 WO2018203642A1 (en) 2017-05-02 2018-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perator specific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800A true KR20190137800A (ko) 2019-12-11
KR102504960B1 KR102504960B1 (ko) 2023-03-03

Family

ID=6401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893A KR102504960B1 (ko) 2017-05-02 2018-04-30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0484928B2 (ko)
EP (1) EP3596952A1 (ko)
KR (1) KR102504960B1 (ko)
CN (2) CN110771188B (ko)
WO (1) WO20182036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386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임베디드 가입자 식별 모듈의 프로파일 정책 규칙을 처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960B1 (ko) 2017-05-02 2023-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57402B2 (en) * 2017-08-09 2022-09-27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y and access of restricted local services for unauthenticated UEs
CN112567777B (zh) * 2018-08-13 2024-03-08 苹果公司 用于受限本地运营商服务接入的演进分组核心中的技术
US10966085B2 (en) * 2018-09-28 2021-03-30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autonomous authentication for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in out-of-coverage scenarios
WO2020263781A1 (en) * 2019-06-26 2020-12-3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enabling external entity to provision payment credentials to a digital device
CN113014681A (zh) * 2019-12-20 2021-06-22 北京金山云科技有限公司 多网卡服务器的网卡绑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50109B (zh) * 2020-07-16 2024-03-0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网络服务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US11659397B2 (en) * 2020-10-21 2023-05-2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orchestrating distribution of network slices based on endpoint computing device security profiles
CN112738789B (zh) * 2020-12-21 2024-01-05 深圳酷派技术有限公司 Sim卡加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542481A (zh) * 2021-06-30 2021-10-22 惠州Tcl云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sim卡类型的功能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3676876B (zh) * 2021-08-25 2022-07-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服务共享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0423A1 (en) * 2005-05-24 2006-11-30 Nokia Corpor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service portal for subscribers of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37629A1 (en) * 2012-03-12 201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ccess control with ensured service continuity guarantees
US20170094512A1 (en) * 2015-09-30 2017-03-30 Apple Inc. Authentication failure handling for access to services through untrusted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0315A1 (en) * 2004-08-06 2006-02-09 Christopher Smith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wireless services using SIM information
DK2122983T3 (da) 2007-02-06 2014-02-10 Nokia Corp Understøtning af opkald uden UICC
KR20090097023A (ko) * 2008-03-10 2009-09-15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단말기 서비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710443B2 (en) * 2008-07-21 2017-07-1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implifying access to documents accessed recently in a remote system
DE102009040477A1 (de) * 2009-09-08 2011-03-10 Deutsche Telekom Ag Authentifizierung im Mobilfunknetz durch Authentifizierungszelle
US8171529B2 (en) * 2009-12-17 2012-05-01 Intel Corporation Secure subscriber identity module service
US8874083B2 (en) 2010-04-02 2014-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hibition of allowed closed subscriber group list
US8996002B2 (en) * 2010-06-14 2015-03-3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subscriber identity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8301136B2 (en) * 2010-06-08 2012-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stricting communicating service in roaming in multi mod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EP2580701A4 (en) * 2010-06-10 2016-08-17 Ericsson Telefon Ab L M USER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EP2437551A1 (en) * 2010-10-01 2012-04-04 Gemalto SA Method for steering a handset's user on preferred networks while roaming
US8555067B2 (en) 2010-10-28 2013-10-08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components over a wireless network
US20120202492A1 (en) * 2011-02-03 2012-08-09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identification of a rejecting network in connection with registration area updating
US8660533B2 (en) * 2011-03-01 2014-02-25 Tracfone Wireles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SIM or UICC cards with authorized wireless devices
US20130010593A1 (en) * 2011-07-08 2013-0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aging load, method for system access,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89806B2 (en) * 2011-09-16 2015-03-24 Alcatel Lucent Network operator-neutral provisioning of mobile devices
EP3691315A1 (en) * 2011-09-16 2020-08-05 Gemalto Sa Network operator neutral provisioning of mobile devices
WO2013091214A1 (zh) * 2011-12-22 201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方法及移动管理设备、用户设备
KR102093757B1 (ko) * 2012-05-24 2020-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eUICC 환경에서 SIM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9031511B2 (en) * 2012-06-13 2015-05-12 All Purpose Networks LLC Operational constraints in LTE FDD systems using RF agile beam forming techniques
US9219541B2 (en) * 2012-06-13 2015-12-22 All Purpose Networks LLC Baseb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n LTE wireless base station employing periodically scanning RF beam forming techniques
EP2680628A1 (en) * 2012-06-27 2014-01-01 Roger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rovisioning of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s.
JP6260540B2 (ja) * 2012-12-21 2018-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通信デバイス
US9088966B2 (en) * 2013-03-14 2015-07-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viding limited network access to user devices
US20160100451A1 (en) * 2013-05-17 2016-04-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xtended redirect
US9609507B2 (en) * 2014-03-28 2017-03-28 Mediatek Inc. Method of device-assisted enhanced SIM replacement
US9332480B2 (en) * 2014-03-28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Decoupling service and network provid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942762B2 (en) * 2014-03-28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credenti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GB2527276B (en) * 2014-04-25 2020-08-05 Huawei Tech Co Ltd Providing network credentials
KR20160002321A (ko) * 2014-06-30 2016-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파일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548781B2 (en) * 2014-08-12 2017-01-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nabling pre-provisioned proprietary carrier-specific feature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execution on a mobile device
EP3826338A1 (en) * 2014-11-24 202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lecting a service contract option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940141B2 (en) 2015-02-23 2018-04-10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ootstrap ESIMs
KR102303504B1 (ko) * 2015-03-25 2021-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프로파일 설치 방법 및 장치
CN105050071B (zh) * 2015-07-10 2019-09-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eUICC的多设备管理方法及系统
CN108029012B (zh) * 2015-09-11 2020-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文件处理方法、配置文件处理装置、用户终端及eUICC
US10038667B2 (en) * 2015-11-09 2018-07-31 Infosys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authentication and OTA registration of a new user without a SIM card in multi-operator mobile telephony
CN105516962B (zh) * 2015-12-03 2019-03-0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基于eUICC的开户方法和系统
US10299269B2 (en) * 2016-08-30 2019-05-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Flexible multicarrier NB-IoT operation in a network
KR102497592B1 (ko) * 2016-12-16 2023-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KR102504960B1 (ko) * 2017-05-02 2023-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0423A1 (en) * 2005-05-24 2006-11-30 Nokia Corpor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service portal for subscribers of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37629A1 (en) * 2012-03-12 201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ccess control with ensured service continuity guarantees
US20170094512A1 (en) * 2015-09-30 2017-03-30 Apple Inc. Authentication failure handling for access to services through untrusted wireless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386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임베디드 가입자 식별 모듈의 프로파일 정책 규칙을 처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82188A (zh) 2023-09-19
WO2018203642A1 (en) 2018-11-08
US20200092794A1 (en) 2020-03-19
US20210400562A1 (en) 2021-12-23
EP3596952A4 (en) 2020-01-22
US10772029B2 (en) 2020-09-08
US20180324672A1 (en) 2018-11-08
KR102504960B1 (ko) 2023-03-03
US11711746B2 (en) 2023-07-25
US10484928B2 (en) 2019-11-19
CN110771188B (zh) 2023-07-25
US20230370949A1 (en) 2023-11-16
CN110771188A (zh) 2020-02-07
EP3596952A1 (en) 2020-01-22
US20200404576A1 (en) 2020-12-24
US11115900B2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7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perator specific service
US10972970B2 (en) Method for capability negotiation and slice information mapping between network and terminal in 5G system
US20230164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ellular network for sim profile
EP3552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497592B1 (ko) 프로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EP31703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profile management server
US117296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compan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451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JP7246750B2 (ja) 受動ローミング及びデータ利用権
US11659621B2 (en) Selection of IP version
EP38798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communcation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EP352266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ust relationship establishment
US20200204982A1 (en) Modem-assisted network attach procedure without default sim profile
US202302093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network access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40210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899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d indicating subscrip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KR102618287B1 (ko) eSIM Profile을 iSSP 장치에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