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747A -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747A
KR20190137747A KR1020190159163A KR20190159163A KR20190137747A KR 20190137747 A KR20190137747 A KR 20190137747A KR 1020190159163 A KR1020190159163 A KR 1020190159163A KR 20190159163 A KR20190159163 A KR 20190159163A KR 20190137747 A KR20190137747 A KR 2019013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veguide
radiating
groun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241B1 (ko
Inventor
김재영
안성용
이상종
최성희
한규범
류정기
문병철
최창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03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4237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3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8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mounted in or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chip-type antenna or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into an IC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2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 H01Q19/3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the primary active element being centre-fed and substantially straight, e.g. Yagi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05Patch antenna using one or more coplanar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는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의 무선 통신에 이용되며, 기판에 실장되어 신호처리 소자의 급전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방사하는 칩 안테나로, 블록 형태를 가지며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급전 신호를 전달받아 방사하는 방사부, 상기 방사부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결합되며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 블록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사부와 나란하게 상기 제1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방사부에서 방사하는 전자기파를 상기 방사부 측으로 반사하는 접지부, 및 블록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사부와 나란하게 상기 제2 블록에 결합되는 도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부, 상기 제1 블록, 및 방사부의 전체 폭은 2mm 이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블록은 3.5 이상, 2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Description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CHIP ANTENNA AND CHIP ANTENN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칩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5G 통신 시스템은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높은 주파수(mmWave) 대역들, 가령 10Ghz 내지 100GHz 대역들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무선파의 전파 손실을 줄이고 전송 거리를 늘리기 위해, 빔포밍, 대규모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전차원(full dimensional) MIMO(FD-MIMO), 어레이 안테나, 아날로그 빔포밍, 대규모 스케일의 안테나 기법들이 5G 통신 시스템에서 논의되고 있다.
한편,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PDA, 네비게이션, 노트북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무선랜, DM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안테나이다.
한편,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에서는 파장이 수 mm 정도로 작아지기 때문에 종래의 안테나를 이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에 적합한 안테나 모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558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칩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는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의 무선 통신에 이용되며, 기판에 실장되어 신호처리 소자의 급전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방사하는 칩 안테나로, 블록 형태를 가지며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급전 신호를 전달받아 방사하는 방사부, 상기 방사부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결합되며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 블록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사부와 나란하게 상기 제1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방사부에서 방사하는 전자기파를 상기 방사부 측으로 반사하는 접지부, 및 블록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사부와 나란하게 상기 제2 블록에 결합되는 도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부, 상기 제1 블록, 및 방사부의 전체 폭은 2mm 이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블록은 3.5 이상, 2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일면이 접지 영역, 급전 영역, 소자 실장부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소자 실장부에 실장되어 상기 급전 영역으로 방사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소자, 상기 기판의 일면 실장되어 수평 편파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칩 안테나,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어 수직 편파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칩 안테나는,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접지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방사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2 블록, 및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도파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 영역에 실장되며, 상기 방사부는 상기 급전 영역에 실장되고, 상기 칩 안테나와 상기 패치 안테나는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일면이 접지 영역과 급전 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상기 급전 영역으로 방사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소자, 및 상기 기판의 일면 실장되어 수평 편파를 방사하며 다이폴 안테나로 기능하는 한 쌍의 칩 안테나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칩 안테나는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접지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방사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2 블록, 및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도파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방사부에 각각 접합되는 2개의 급전 패드와, 상기 급전 패드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기판 내부의 배선층과 연결되는 2개의 급전 비아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급전 패드는 일직선 상에서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2개의 급전 비아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칩 안테나 모듈은 배선 형태의 다이폴 안테나가 아닌, 칩 안테나를 사용하므로 모듈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칩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칩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
도 5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칩 안테나를 구비하는 칩 안테나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칩 안테나의 저면도.
또한 도 12는 도 10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는 본 실시예의 칩 안테나 모듈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칩 안테나 모듈은 고주파 영역에서 동작하며,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칩 안테나 모듈은 20GHz ~ 60G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칩 안테나 모듈은 무선신호를 수신 또는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자기기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칩 안테나는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노트북, 드론 등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칩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를 설명한다.
칩 안테나(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솔더와 같은 도전성 접착제 등을 통해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칩 안테나(100)는 몸체부(120),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및 도파기(130c)를 포함한다.
몸체부(120)는 방사부(130a), 접지부(130b)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블록(120a), 그리고 방사부(130a)와 도파기(130b)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블록(120b)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칩 안테나(100)는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접지부(130b),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120a),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방사부(130a),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2 블록(120b), 및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도파기(130b)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제1 블록(120a)과 제2 블록(120b)은 모두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유전체(dielectric substance)로 형성된다. 예컨대, 몸체부(120)는 유전율을 가지는 폴리머나 세라믹 소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는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에서 사용되는 칩 안테나이다. 따라서 파장의 길이에 대응하여, 방사부(130a), 제1 블록, 및 접지부(130b)가 형성하는 전체 폭(W4+W1+W3)이 2 mm 이하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는 상기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해, 길이(L)가 0.5mm ~ 2mm의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록(120a)의 유전율이 3.5 미만인 경우, 칩 안테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어야 한다.
테스트 결과, 제1 블록(120a)의 유전율이 3.5 미만인 경우, 20GHz ~ 60GHz 대역에서 칩 안테나(100)는 방사부(130a), 제1 블록, 및 접지부(130b)가 형성하는 전체 폭(W4+W1+W3)이 2mm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2mm 보다 크게 칩 안테나를 구성하는 경우, 칩 안테나의 전체 크기가 증가되므로 박형의 휴대 기기에 탑재되기 어렵다.
또한 제1 블록(120a)의 유전율이 25를 초과하는 경우, 칩 안테나의 사이즈가 0.3mm 이하로 작아져야 하며, 이 경우 안테나의 성능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전체 폭을 2mm 이하로 구성하면서 안테나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제1 블록(120a)은 유전율이 3.5 이상, 25 이하인 유전체로 제조된다.
제2 블록(120b)은 제1 블록(120a)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2 블록(120b)의 폭(W2)은 제1 블록(120a) 폭(W1)의 50 ~ 60% 크기로 구성된다. 또한 제2 블록(120b)의 길이(L)와 두께(T)는 제1 블록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2 블록(120b)은 제1 블록(120a)과 동일한 재질,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며, 폭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2 블록(120b)을 제1 블록(120a)과 다른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제2 블록(120b)은 제1 블록(120a)과 유전율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2 블록(120b)은 제1 블록(120a)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방사부(130a)는 제1면이 제1 블록(120a)의 제1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접지부(130b)는 제1 블록(120a)의 제2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면과 제2면은 육면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120a)에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면을 의미한다.
또한 방사부의 제2면은 제2 블록(120b)의 제1면에 결합되며, 도파기(130c)는 제2 블록(120b)의 제2면에 결합된다. 제2 블록(120b)의 제1면과 제2면은 육면체로 형성되는 제2 블록(120b)에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면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블록(120a)의 폭(W1)은 제1 블록(120a)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2 블록(120b)의 폭(W2)은 제2 블록(120b)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따라서, 제1면에서 제2면을 향하는 방향(또는 제2면에서 제1면을 향하는 방향)은 제1 블록 또는 칩 안테나의 폭방향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접지부(130b)와 방사부(130a)의 폭(W4, W3), 도파기(130c)의 폭(W5)은 상기한 칩 안테나의 폭방향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방사부(130a)의 폭(W4)은 제1 블록(120a)의 제1면에 접합되는 방사부(130a)의 접합면에서 제2 블록(120b)과의 접합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고, 접지부(130b)의 폭(W3)은 제1 블록(120a)의 제2면에 접합되는 접지부(130b)의 접합면(제1면)에서 상기 접합면의 반대면(제2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도파기(130c)의 폭(W5)은 제2 블록(120b)에 접합되는 도파기(130c)의 접합면에서 상기 접합면의 반대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방사부(130a)는 제1 블록(120a)의 6면 중 한 면에만 접촉하며 제1 블록(120a)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접지부(130b)도 제1 블록(120a)의 6면 중 한 면에만 접촉하며 제1 블록(120a)에 결합된다.
이처럼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는 제1 블록(120a)의 제1면과 제2면 외에 다른 면에는 배치되지 않으며, 제1 블록(12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가 제1 블록(120a)의 제1면과 제2면에만 결합되는 경우, 칩 안테나는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 사이의 유전체(예컨대, 제1 블록)로 인하여 커패시턴스를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커플링 안테나를 설계하거나, 공진주파수를 튜닝할 수 있다.
도파기(130c)는 방사부(130a)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2 블록(120b)의 6면 중 한 면(예컨대 제2면)에만 접촉하며 제2 블록(120b)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파기(130c)는 제2 블록(120b)에 의해 방사부(130a)와 이격 배치되며, 방사부(130a)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블록(120b)의 폭(W2)이 제1 블록(120a)의 폭(W1)보다 작으므로, 방사부(130a)는 접지부(130b)보다 도파기(130c)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4는 칩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로, (a)는 제2 블록(120b)과 도파기(130c)가 생략된 칩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b)는 제2 블록(120b)과 도파기(130c)를 구비하는 도 1에 도시된 칩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측정에 이용된 칩 안테나는,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도파기(130c)의 폭(W3, W4, W5)이 각각 0.2mm, 제1 블록(120a)의 폭(W1)이 0.6mm, 제2 블록(120b)의 폭(W2)이 0.3mm로 구성되고, 두께(T)는 0.5mm로 구성되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도파기(130c)가 없는 칩 안테나는 28GHz에서 3.54dBi이고, (b)를 참조하면 도파기(130c)를 구비하는 칩 안테나는 28GHz에서 4.25dBi로 나타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에서 이득(Gain)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칩 안테나가 도파기(130c)를 포함하는 경우, 방사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는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의 폭(W4, W3)이 증가할수록 반사 손실(S11)이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의 폭(W4, W3)이 100㎛ 이하인 구간에서 높은 감소율로 반사 손실(S11)이 감소하고, 폭(W4, W3)이 100㎛를 초과하는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감소율로 반사 손실(S11)이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방사부(130a)의 폭(W4)과 접지부(130b)의 폭(W3)은 각각 100㎛이상으로 규정된다.
또한,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의 폭(W4, W3)이 제1 블록(120a)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외부 충격이나 기판 실장 시 방사부(130a)나 접지부(130b)가 몸체부(120)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방사부(130a)나 접지부(130b)의 최대 폭(W4, W3)은 제1 블록(120a) 폭(W1)의 50% 이하로 규정된다.
박형의 휴대 기기에 칩 안테나를 탑재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부(130a), 제1 블록, 및 접지부(130b)가 형성하는 전체 폭(W4+W1+W3)은 2mm 이하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에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를 동일한 폭으로 구성하는 경우 방사부(130a)나 접지부(130b)의 최대 폭은 대략 500㎛, 최소 폭은 100㎛로 규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의 폭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한 최대 폭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칩 안테나(100)는 길이(L)를 증가시키는 경우, 반사 손실(S11)이 감소될 수 있으나, 동시에 공진 주파수가 낮아진다. 따라서, 칩 안테나는 길이(L)는 공진 주파수를 최적화하거나, 반사 손실(S11)을 줄이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도파기(130c)는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도파기(130c)는 각각 제1 도체(131)와 제2 도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체(131)는 제1 블록(120a) 또는 제2 블록(120b)에 직접 접합되는 도체이며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도체(132)는 제1 도체(132)의 표면을 따라 막(layer )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도체(131)는 인쇄공정 또는 도금 공정을 통해 제1 블록(120a) 또는 제2 블록(120b) 상에 형성되며, Ag, Au, Cu, Al, Pt, Ti, Mo, Ni, W 중에서 선택된 1종이거나 혹은 2종 이상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에 폴리머(polymer), 글라스(glass) 등의 유기물이 함유된 전도성 페이스트나 전도성 에폭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도체(132)는 도금 공정을 통해 제1 도체(13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체(132)는 니켈(Ni) 층과 주석(Sn) 층을 차례로 적층하거나, 아연(Zn) 층과 주석(Sn) 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도체(131)는 제1 블록(120a) 및 제2 블록(120b)과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도파기(130c)의 두께(t2)는 제1 도체(131)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도체(132)에 의해 제1 블록(120a)의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100)는 20GHz 이상 60GHz 이하의 고주파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방사부(130a), 제1 블록, 및 접지부(130b)가 형성하는 전체 폭(W4+W1+W3)이나, 전체 길이(L)가 2mm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어 박형의 휴대 기기에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방사부(130a)와 접지부(130b)가 각각 제1 블록(120a)의 한 면에만 접촉하므로 공진 주파수의 튜닝이 용이하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100)는 도파기(130c)를 구비하며 접지부(130b)가 반사기(reflector)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빔 직진성과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방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유전체와 도전체 사이에는 접합부가 개재될 수 있다. 접합부는 제1 블록과 방사부(130a) 사이, 그리고 제1 블록과 접지부(130b)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2 블록과 방사부 사이, 그리고 제2 블록과 도파기 사이에도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는 제1 도체(131)와 몸체부(120)를 상호 접합한다. 따라서,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도파기(130c)는 접합부를 매개로 하여 몸체부(120)에 접합될 수 있다.
접합부는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도파기(130c)를 몸체부(1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접합부는 방사부(130a), 접지부(130b), 도파기(130c)의 제1 도체(131) 및 몸체부(120)와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는 Cu, Ti, Pt, Mo, W, Fe, Ag, Au, Cr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은 페이스트(Ag-paste), 구리 페이스트(Cu-paste), 은-구리 페이스트(Ag-Cu paste), 니켈 페이스트(Ni-Paste), 솔더 페이트스(solder past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는 유기 화학물, 유리(glass), SiO2 및 그래핀(graphene) 또는 산화 그래핀(graphene oxid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는 하나의 층(layer)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들 들어 10㎛ ~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층을 적층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칩 안테나는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칩 안테나는 도파기(130c)의 길이(L2)가 방사부(130a)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된다. 예컨대, 도파기(130c)의 길이(L2)는 방사부(130a) 길이보다 5% 짧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도파기(130c)의 중심은 방사부(130a)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칩 안테나는 도파기(130c)와 함께 제2 블록(120b)도 방사부(130a)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블록(120b)은 도파기(130c)와 동일한 길이(L2)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파기(130c)와 제2 블록(120b)은 방사부(130a) 길이보다 5% 짧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들 들어, 제2 블록(120b)을 도파기(130c)보다 길게 형성하거나 짧게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칩 안테나는 접지부(130b)의 폭(W3)이 방사부(130a)의 폭(W4)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접지부(130b)는 반사기(reflector)로 기능하므로, 폭(W3)을 증가시킴으로써 길이를 연장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칩 안테나는 야기 우다(Yagi-Uda) 안테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야기 우다 안테나와 마찬가지로 복사기로 기능하는 방사부(130a)에서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도파기(130c)는 방사부(130a)에서 방사된 전자기파로 인해 유도된 전자기파를 방사하게 된다. 이때 위상차에 의해 방사부(130a)와 도파기(130c)에 의해 형성된 파장은 보강 간섭을 일으켜 안테나의 이득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방사부(130a)의 반대측(접지부 방향)으로 방사되는 전자기파는 반사기로 기능하는 접지부(130b)에 의해 도파기(130c) 측으로 반사되어 방사 효율을 높인다.
일반적인 야기 우다(Yagi-Uda) 안테나는 반사기를 복사기보다 길게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칩 안테나는 크기가 제한되므로, 접지부(130b)의 폭(W3)을 방사부(130a)의 폭(W4)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예컨대, 접지부(130b)의 폭(W3)은 방사부(130a) 폭(W4)의 150%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칩 안테나는 접지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접지부(130b1)와 제2 접지부(130b2)를 포함한다. 그리고 방사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방사부(130a1)와 제2 방사부(130a2)를 포함하며, 도파기도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도파기(130c1)와 제2 도파기(130c2)를 포함한다.
제1 접지부(130b1)와 제1 방사부(130a1), 제1 도파기(130c1)는 모두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접지부(130b2)와 제2 방사부(130a2), 제2 도파기(130c2)도 모두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칩 안테나는 하나의 칩 안테나 내에서 다이폴 안테나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폴 안테나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2개의 칩 안테나가 아닌, 하나의 칩 안테나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블록(120a)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나, 제2 블록(120b)은 2개로 분리되어 제1 방사부(130a1)와 제1 도파기(130c1) 사이, 그리고 제2 방사부(130a2)와 제2 도파기(130c2)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도 9의 제2 블록처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도파기(130c1)와 제2 도파기(130c2)의 길이는 각각 제1 방사부(130a1)와 제2 방사부(130a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칩 안테나는 방사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방사부(130a1)와 제2 방사부(130a2)를 포함하며, 도파기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도파기(130c1)와 제2 도파기(130c2)를 포함한다. 그리로 접지부(130b)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블록(120a)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방사부(130a1, 130a2)와 접지부(130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블록(120b)도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방사부(130a1, 130a2)와 도파기(130c1, 130c2)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칩 안테나는 접지부(130b)의 길이가 방사부(130a1, 130a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전자기파의 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도파기(130c1)와 제2 도파기(130c2)의 길이는 각각 제1 방사부(130a1)와 제2 방사부(130a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칩 안테나를 구비하는 칩 안테나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칩 안테나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0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 모듈(1)은 기판(10)과 전자 소자(50), 및 칩 안테나(100)를 포함한다.
기판(10)은 무선 안테나에 필요한 회로 또는 전자부품이 탑재되는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은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표면에 탑재된 PCB일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에는 전자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배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은 다수의 절연층과 다수의 배선층이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절연층 양면에 배선층이 형성된 양면 기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기판(10)으로는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기판(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연성 기판, 세라믹 기판, 유리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기판(10)의 상부면인 제1면은 소자 실장부(11a)와 접지 영역(11b), 급전 영역(11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자 실장부(11a)는 전자 소자(50)가 실장되는 영역으로 후술되는 접지 영역(11b)의 내부에 배치된다. 소자 실장부(11a)에는 전자 소자(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 패드(12a)가 배치된다.
접지 영역(11b)은 접지층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소자 실장부(11a)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자 실장부(11a)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지 영역(11b)은 사각의 링(ring) 형상으로 소자 실장부(11a)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소자 실장부(11a)의 둘레를 따라 접지 영역(11b)이 배치됨에 따라, 소자 실장부(11a)의 접속 패드(12a)는 기판(10)의 절연층을 관통하는 층간 접속 도체(미도시)를 통해 외부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영역(11b)에는 다수의 접지 패드(12b)가 형성된다. 접지층이 최상위 배선층에 배치되는 경우, 접지 패드(12b)는 접지층을 덮는 절연 보호층(미도시)을 부분적으로 개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지층이 최상위 배선층이 아닌 다른 배선층들 사이에 배치된 경우, 접지 패드(12b)를 최상위 배선층에 배치하고 층간 접속 도체를 통해 접지 패드(12b)와 접지층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지 패드(12b)는 후술되는 급전 패드(12c)와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급전 패드(12c)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급전 영역(11c)은 접지 영역(11b)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 영역(11b)이 형성하는 2개의 변 외측에 급전 영역(11c)이 형성된다. 따라서, 급전 영역(11c)은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전 영역(11c)에는 다수의 급전 패드(12c)와 다수의 더미 패드(12d)가 배치된다. 급전 패드(12c)는 접속 패드(12a)와 마찬가지로 최상위 배선층에 배치되며, 절연층을 관통하는 층간 접속 도체를 통해 전자 소자(50)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급전 패드(12c)는 2개씩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급전 패드(12c)는 2개씩 총 4개이 쌍이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전 패드(12c)가 형성하는 쌍의 개수는 모듈의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급전 패드(12c)는 방사부(130a)의 하부면(또는 접합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형성된다. 예컨대, 급전 패드(12c)의 면적은 칩 안테나(100)의 방사부(130a)의 하부면 면적 기준 80% ~ 120%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쌍을 이루는 2개의 급전 패드(12c)는 각각 선형으로 형성되며 일직선 상에서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된다.
이처럼 급전 패드(12c)의 면적을 칩 안테나(100)의 방사부(130a)의 하부면 면적과 유사하게 구성하는 경우, 칩 안테나(100)와 기판(10)과의 접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급전 패드(12c)에 연결되는 층간 접속 도체(18b, 이하 급전 비아)는 급전 패드(12c)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급전 비아(18b)는 급전 패드(12c)와 수직한 방향으로 기판(10) 내에 연장되어 기판 내부의 배선층(16)과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전 패드(12c)는 2개가 쌍을 이루며 배치된다. 따라서 급전 패드(12c)에 연결되는 급전 비아(18b)도 2개가 쌍을 이루며 배치된다.
쌍을 이루는 2개의 급전 비아(18b)는 쌍을 이루는 2개의 급전 패드(12c)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급전 비아(18b)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2개의 급전 비아(18b)는 0.5mm 이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2개의 급전 비아들(18b) 간의 이격 거리는 쌍을 이루는 2개의 급전 패드들(12c)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더미 패드(12d)는 급전 패드(12c)와 마찬가지로 최상위 배선층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기판에 실장되는 칩 안테나(100)의 도파기(130c)와 접합된다.
더미 패드(12d)는 도파기(130c)와 기판(10) 내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 아닌, 칩 안테나(100)를 기판(10)에 보다 견고하게 접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급전 패드(12c)와 접지 패드(12a)만으로 칩 안테나(100)가 기판(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더미 패드(12d)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도파기(130c)는 기판(10)과 접촉할 수 있으나,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소자 실장부(11a)와 접지 영역(11b), 급전 영역(11c)은 상부에 접지층(16a)의 형상이나 위치에 따라 각 영역들이 구분되며, 최상위 절연층 상부에 적층 배치되는 절연 보호층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접속 패드(12a)나 접지 패드(12b), 급전 패드(12c), 더미 패드(12d)들은 절연 보호층(19)이 제거된 개구부를 통해 패드 형태로 외부에 노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급전 패드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급전 패드(12c)의 면적을 칩 안테나(100)의 방사부(130a)의 하부면(또는 접합면) 면적의 절반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전 패드(12c)는 선(line)이 아닌 점(point)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방사부(130a)의 하부면 전체에 접합되지 않고, 방사부(130a)의 하부면 중 일부분에만 접합된다.
기판(10)의 내부나 하부면인 제2면에는 패치 안테나(90)가 배치된다.
패치 안테나(90)는 기판(10)에 구비되는 배선층(16)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안테나(90)는 급전 전극(92)과 무급전 전극(94)으로 구성되는 급전부(9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치 안테나(90)는 다수개의 급전부(91)가 다수개가 기판(10)의 제2면 측에 분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급전부(91)가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패치 안테나(90)는 일부(예컨대, 무급전 전극)가 기판(10)의 제2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치 안테나(90) 전체를 기판(10)의 내부에 배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급전 전극(92)은 일정한 면적을 갖는 편평한 편 형태의 금속층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도체판으로 구성된다. 급전 전극(92)은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급전 전극(92)은 층간 접속 도체(18)를 통해 전자 소자(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층간 접속 도체(18)는 후술되는 제2 접지층(97b)을 관통하여 전자 소자(50)와 연결될 수 있다.
무급전 전극(94)은 급전 전극(92)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편평한 하나의 도체판으로 구성된다. 무급전 전극(94)은 급전 전극(9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면적을 갖는다. 예컨대, 무급전 전극(94)은 급전 전극(92)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급전 전극(92) 전체와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급전 전극(94)은 급전 전극(92)보다 기판(10)의 표면 측에 배치되어 도파기(director)로 기능한다. 따라서 무급전 전극(94)은 기판(10)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배선층(16)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급전 전극(94)은 절연층(17)의 하부면 배치되는 절연 보호층(19)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판(10)은 접지구조(95)를 포함한다. 접지구조(95)는 급전부(91)의 주변에 배치되어 급전부(91)를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접지구조(95)는 제1 접지층(97a), 제2 접지층(97b), 및 접지 비아(18a)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접지층(97a)은 무급전 전극(94)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며, 무급전 전극(94)을 감싸는 형태로 무급전 전극(94)의 주위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접지층(97a)은 무급전 전극(94)과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제2 접지층(97b)은 제1 접지층(97a)과 다른 배선층(16)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접지층(97b)은 급전 전극(92)과 기판(10)의 제1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전 전극(92)은 무급전 전극(94)과 제2 접지층(97b)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지층(97b)은 해당 배선층(16)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급전 전극(92)과 연결되는 층간 접속 도체(18)가 배치되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접지 비아(18a)는 제1 접지층(97a)과 제2 접지층(97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층간 접속 도체로, 급전부(91)의 둘레를 따라 급전부(91)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열로 접지 비아들(18a)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수의 열로 접지 비아(18a)를 배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급전부(91)는 제1 접지층(97a)과 제2 접지층(97b), 그리고 접지 비아(18a)에 의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지구조(95) 내에 배치된다. 이때,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접지 비아 (18a)는 상기한 용기 형상의 측면을 획정한다.
본 실시예의 급전부들(91)은 각각 상기 용기 형상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각 급전부들(91) 간의 간섭은 접지구조(95)에 의해 차단된다. 예컨대, 기판(1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전달되는 노이즈는 복수의 접지 비아(18a)가 구성하는 용기 형상의 측면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접지 비아들(18a)이 상기한 캐비티의 측면을 형성함에 따라, 급전부(91)는 인접한 다른 급전부들(91)과 격리된다. 또한 용기 형상의 접지구조(95)가 반사기(reflector) 역할을 하므로, 패치 안테나(90)의 방사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패치 안테나(90)의 급전부(91)는 기판(10)의 두께 방향(예컨대 하부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방사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지층(97a)과 제2 접지층(97b)은 기판(10)의 제1면에서 규정되는 급전 영역(도 2의 11c)과 마주보는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패치 안테나(90)는 접지 영역(11b), 소자 실장부(11a)와 마주보는 영역에만 배치되며, 이에 칩 안테나(100)와 패치 안테나(90)는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는 후술되는 칩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무선 신호와 접지구조(95)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패치 안테나(90)가 급전 전극(92)과 무급전 전극(9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급전 전극(92)만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패치 안테나(90)는 기판(10)의 두께 방향(즉 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방사한다.
전자 소자(50)는 기판(10)의 소자 실장부(11a)에 실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자 소자(50)가 실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수의 전자 소자들이 실장될 수도 있다.
전자 소자(50)는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안테나의 급전부에 방사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처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칩 안테나(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칩 안테나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솔더와 같은 도전성 접착제 등을 통해 기판에 실장된다.
본 실시예의 칩 안테나(100)는 접지부(130b)가 접지 영역에 실장되고, 방사부와 도파기는 급전 영역에 실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칩 안테나(100)의 접지부(130b), 방사부(130a), 및 도파기(130c)는 각각 기판(10)의 접지 패드(12b), 급전 패드(12c), 및 더미 패드(12d)에 접합되며 실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 모듈은 칩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평 편파를 방사하고, 패치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직 편파를 방사한다. 즉, 칩 안테나들은 기판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기판의 면 방향(예컨대 기판의 수평 방향)으로 전파를 방사하고, 패치 안테나는 기판의 제2면에 배치되어 기판의 두께 방향(예컨대 기판의 수직 방향)으로 전파를 방사한다. 따라서 전파의 방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칩 안테나 모듈은 쌍으로 배치되는 2개의 칩 안테나들이 다이폴 안테나로 기능할 수 있다.
쌍으로 배치되는 2개의 칩 안테나들(100)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하나의 다이폴 안테나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2개의 칩 안테나들(100)이 이격되는 거리는 0.2mm ~ 0.5mm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한 이격 거리가 0.2mm 미만인 경우, 2개의 칩 안테나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0.5mm 이상인 경우, 다이폴 안테나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칩 안테나 대신 기판의 배선층을 이용하여 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다이폴 안테나는 방사부의 길이가 해당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다이폴 안테나가 배치되는 급전 영역이 기판에서 차지하는 크기가 비교적 넓다.
반면에 본 실시예와 같이 칩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 제1 블록의 유전율(예컨대 10 이상)을 통해 칩 안테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를 기판의 제1면에 배선 패턴으로 형성하는 경우, 다이폴 안테나의 급전 라인은 접지 영역에서부터 1 mm 이상 이격 배치되어야 한다. 반면에 칩 안테나를 적용하는 경우, 급전 패드는 접지 영역으로부터 1 mm 이하로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다이폴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급전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안테나 모듈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칩 안테나(100)의 방사부(130a)와 접지 영역(11b) 간의 이격 거리(P)가 0.2mm 미만인 경우, 칩 안테나(100)의 공진 주파수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칩 안테나(100)의 방사부(130a)와 기판(10)의 접지 영역(11b)은 0.2mm 이상, 1mm 이하의 범위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칩 안테나(100)는 기판의 수직 방향을 따라 패치 안테나와 대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칩 안테나(100)는 기판의 수직 방향을 따라 패치 안테나와 대면하지 않는 위치란, 기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칩 안테나(100)를 기판(10)의 제2면에 투영하였을 때, 칩 안테나가 패치 안테나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칩 안테나(100)가 접지구조(95)와도 대면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접지구조(95)와 부분적으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칩 안테나(100)와 패치 안테나(90) 간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칩 안테나 모듈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칩 안테나 모듈(1)은 휴대 단말기(20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이때, 칩 안테나 모듈(1)은 칩 안테나(100)가 휴대 단말기(200)의 모서리(또는 꼭지점)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네 모서리에 모두 칩 안테나 모듈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의 내부 공간이 부족한 경우, 휴대 단말기의 대각 방향으로 두 개의 칩 안테나 모듈만 배치하는 등 칩 안테나 모듈의 배치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칩 안테나 모듈은 급전 영역이 휴대 단말기의 테두리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휴대 단말기에 결합된다. 이에 칩 안테나 모듈의 칩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전파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를 향해 휴대 단말의 면 방향으로 방사된다. 그리고 칩 안테나 모듈의 패치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전파는 휴대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방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 칩 안테나 모듈
100: 칩 안테나
10: 기판
120: 몸체부
120a: 제1 블록
120b: 제2 블록
130a: 방사부
130b: 접지부
130c: 도파기

Claims (21)

  1. 밀리미터파 통신 대역의 무선 통신에 이용되며, 기판에 실장되어 신호처리 소자의 급전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방사하는 칩 안테나로,
    블록 형태를 가지며,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급전 신호를 전달받아 방사하는 방사부;
    상기 방사부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결합되며,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
    블록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사부와 나란하게 상기 제1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방사부에서 방사하는 전자기파를 상기 방사부 측으로 반사하는 접지부; 및
    블록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사부와 나란하게 상기 제2 블록에 결합되는 도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부, 상기 제1 블록, 및 방사부의 전체 폭은 2mm 이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블록은 3.5 이상, 2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 칩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칩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 상기 접지부, 및 상기 도파기는,
    상기 제1 블록과 제2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합되는 제1 도체; 및
    상기 제1 도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 도체;
    를 각각 포함하는 칩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방사부가 접합되는 제1면과 상기 접지부가 접합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방사부가 접합되는 제1면과 상기 도파기가 접합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구성되는 칩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제1 블록에 접합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방사부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칩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기는,
    상기 방사부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칩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기는,
    상기 방사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칩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도파기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칩 안테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방사부와 제2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파기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도파기와 제2 도파기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방사부 및 상기 제1 도파기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지부; 및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 방사부 및 상기 제2 도파기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지부;
    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11. 일면이 접지 영역, 급전 영역, 소자 실장부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소자 실장부에 실장되어 상기 급전 영역으로 방사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소자;
    상기 기판의 일면 실장되어 수평 편파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칩 안테나;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어 수직 편파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치 안테나;
    를 포함하며,
    상기 칩 안테나는,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접지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방사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2 블록, 및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도파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 영역에 실장되며, 상기 방사부는 상기 급전 영역에 실장되고,
    상기 칩 안테나와 상기 패치 안테나는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더미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도파기는 상기 더미 패드에 접합되는 안테나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기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안테나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안테나는,
    상기 접지 영역 및 상기 소자 실장부와 마주보는 영역에만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상기 접지 영역에서 0.2mm 이상 이격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다이폴 안테나로 기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칩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칩 안테나 사이의 이격 거리는 0.2mm 이상 0.5mm 이하인 안테나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영역은,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상기 급전 영역에 배치되는 급전 패드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소자로부터 직접 상기 방사 신호를 전송 받아 외부로 방사하는 안테나 모듈.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안테나는,
    상기 기판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처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전극; 및
    상기 급전 전극과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급전 전극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무급전 전극;
    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20. 일면이 접지 영역과 급전 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상기 급전 영역으로 방사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처리 소자; 및
    상기 기판의 일면 실장되어 수평 편파를 방사하며 다이폴 안테나로 기능하는 한 쌍의 칩 안테나;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칩 안테나는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접지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1 블록,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방사부, 유전체로 형성되는 제2 블록, 및 도전성을 갖는 블록 형태의 도파기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방사부에 각각 접합되는 2개의 급전 패드와, 상기 급전 패드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기판 내부의 배선층과 연결되는 2개의 급전 비아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급전 패드는 일직선 상에서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2개의 급전 비아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어 수직 편파를 방사하는 패치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KR1020190159163A 2018-01-31 2019-12-03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KR102382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41 2018-01-31
KR20180012041 2018-01-31
KR1020180070357A KR102054237B1 (ko) 2018-01-31 2018-06-19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57A Division KR102054237B1 (ko) 2018-01-31 2018-06-19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747A true KR20190137747A (ko) 2019-12-11
KR102382241B1 KR102382241B1 (ko) 2022-04-04

Family

ID=6739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163A KR102382241B1 (ko) 2018-01-31 2019-12-03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18418B2 (ko)
JP (1) JP7255771B2 (ko)
KR (1) KR102382241B1 (ko)
CN (1) CN1100984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4234B (zh) * 2017-04-27 2022-06-10 Agc株式会社 天线和mimo天线
CN111063988A (zh) * 2019-10-31 2020-04-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037A (ko) *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형편파와 선형편파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패치 안테나 및 그 발생 방법
KR101355865B1 (ko) 2012-08-31 2014-02-03 한국과학기술원 영상이론을 적용한 수직 매립형 야기-우다 안테나와 송수신 집적회로 칩이 실장된 수직 매립형 야기-우다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7309B2 (ja) * 2000-05-16 2009-07-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DE10322371A1 (de) * 2003-05-13 2004-12-0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Radarsensor für Automobilanwendungen
US6982672B2 (en) * 2004-03-08 2006-01-03 Intel Corporation Multi-band antenna and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s
KR100649495B1 (ko) * 2004-09-06 2006-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EP2065975A1 (en) 2006-09-20 2009-06-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EP2477274A3 (en) * 2006-11-06 2013-08-2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atch antenna device and antenna device
JP4905231B2 (ja) * 2007-04-13 2012-03-28 ソニー株式会社 パッチ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情報機器
KR100930618B1 (ko) * 2009-02-09 2009-12-09 (주)파트론 이중 평행판 형태의 내장형 칩 안테나 구조
GB2513755B (en) 2010-03-26 2014-12-17 Microsoft Corp Dielectric chip antennas
KR20130076291A (ko) * 2011-12-28 2013-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측면 방사 안테나 및 무선통신 모듈
US9779990B2 (en) * 2013-02-27 2017-10-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ntegrated antenna on interposer substrate
CN103401069B (zh) * 2013-08-20 2015-09-23 厦门大学 棒缝复合引向双频双馈低仰角高增益微带天线
US9819098B2 (en) * 2013-09-11 2017-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tenna-in-package structures with broadside and end-fire radiations
CN103531891B (zh) * 2013-10-24 2015-07-22 哈尔滨工程大学 宽带高增益探针与贴片相切层叠微带天线
US9773742B2 (en) * 2013-12-18 2017-09-26 Intel Corporation Embedded millimeter-wave phased array module
KR102138909B1 (ko) * 2014-09-19 202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WO2016063759A1 (ja) * 2014-10-20 2016-04-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モジュール
US10892547B2 (en) * 2015-07-07 2021-01-12 Cohere Technologies, Inc. Inconspicuous multi-directional antenna system configured for multiple polarization modes
CN105186120B (zh) * 2015-08-18 2018-01-05 广东顺德中山大学卡内基梅隆大学国际联合研究院 一种磁偶极子的八木天线
US10749263B2 (en) * 2016-01-11 2020-08-18 Mimosa Networks, Inc.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antenna and waveguide interface
US9972892B2 (en) * 2016-04-26 2018-05-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illimeter wave antennas on stacked printed circuits
EP3731270B1 (en) * 2016-07-01 2023-09-27 INTEL Corporation Semiconductor packages with antennas
KR102471203B1 (ko) * 2016-08-10 2022-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63332B2 (en) * 2017-09-18 2019-04-16 Apple Inc. Antenna arrays with etched substrates
US10276920B2 (en) * 2017-09-28 2019-04-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ackage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package structure
US11374322B2 (en) * 2017-09-30 2022-06-28 Intel Corporation Perpendicular end fire antennas
US10965007B2 (en) * 2017-12-14 2021-03-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module
KR102549921B1 (ko) * 2018-07-17 2023-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모듈
US10978785B2 (en) * 2018-09-10 2021-04-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module
US11139551B2 (en) * 2018-09-18 2021-10-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module
KR102482195B1 (ko) * 2018-10-26 2022-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모듈
JP6888222B2 (ja) * 2019-02-08 2021-06-16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チップアンテナモジュール
US11233336B2 (en) * 2019-02-08 2022-01-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and chip antenn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37198B1 (ko) * 2019-03-18 2020-07-2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안테나 모듈 및 그에 배치되는 칩 패치 안테나
US11158948B2 (en) * 2019-03-20 2021-10-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apparatus
US11223100B2 (en) * 2019-03-25 2022-0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US11417959B2 (en) * 2019-04-11 2022-08-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1431107B2 (en) * 2019-04-11 2022-08-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hip antenna module
US11223133B2 (en) * 2019-04-18 2022-0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ip antenna
KR102268383B1 (ko) * 2019-08-02 2021-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KR102257930B1 (ko) * 2019-08-13 2021-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KR102211746B1 (ko) * 2019-08-30 2021-02-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037A (ko) *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형편파와 선형편파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패치 안테나 및 그 발생 방법
KR101355865B1 (ko) 2012-08-31 2014-02-03 한국과학기술원 영상이론을 적용한 수직 매립형 야기-우다 안테나와 송수신 집적회로 칩이 실장된 수직 매립형 야기-우다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241B1 (ko) 2022-04-04
CN110098480B (zh) 2023-06-06
US11018418B2 (en) 2021-05-25
JP2019134403A (ja) 2019-08-08
JP7255771B2 (ja) 2023-04-11
US20190237861A1 (en) 2019-08-01
CN110098480A (zh)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6466B2 (ja) 通信デバイス
KR102549921B1 (ko) 칩 안테나 모듈
KR102530828B1 (ko)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KR102211746B1 (ko) 칩 안테나
US11637362B2 (en) Antenna module
KR102603106B1 (ko) 어레이 안테나
KR102470355B1 (ko) 칩 안테나 모듈
CN110890621B (zh) 片式天线模块
EP3688840B1 (en) Perpendicular end fire antennas
KR102382241B1 (ko)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KR102482195B1 (ko) 칩 안테나 모듈
CN110911826A (zh) 片式天线模块
KR102054237B1 (ko)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안테나 모듈
CN115642394A (zh) 天线模组及通信设备
KR102520432B1 (ko) 안테나 모듈
KR102500007B1 (ko) 칩 안테나 모듈
KR102565122B1 (ko) 칩 안테나 모듈
KR102475629B1 (ko) 칩 안테나
KR102565121B1 (ko) 칩 안테나
KR102669379B1 (ko) 칩 안테나
KR102530829B1 (ko) 칩 안테나
KR20210043145A (ko) 칩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