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026A -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026A
KR20190137026A KR1020190117061A KR20190117061A KR20190137026A KR 20190137026 A KR20190137026 A KR 20190137026A KR 1020190117061 A KR1020190117061 A KR 1020190117061A KR 20190117061 A KR20190117061 A KR 20190117061A KR 20190137026 A KR20190137026 A KR 20190137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upling
pattern
pack
pi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016B1 (ko
Inventor
박찬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11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01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를 개시한다. 개시된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는, 복수의 접속핀을 구비하는 핀패턴부재와, 핀패턴부재의 접속핀이 서로 다른 면으로 노출되도록 핀패턴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핀패턴 결합팩과, 중앙부에 핀패턴 결합팩이 결합되는 팩결합부가 형성되고, 팩결합부와 연통하는 터미널 접속홀부가 대응하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양 측면에서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핀을 내부에 양 방향으로 배치하여 접속핀의 수량이 증가되고, 양쪽에서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할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에서 별도의 분기라인을 생성하여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TWO-WAY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가 접속되는 접속핀을 내부에 양 방향으로 배치하여 접속핀의 수량을 증가시켜 많은 회로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에서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에 분기라인 생성을 위한 별도의 조인트 커넥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또한, 조인트 커넥터는 동일한 기능의 여러 회로를 한 커넥터에 연결하여 차체에 고정하거나 메인 와이어 하네스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 하네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메인 와이어 하네스에서 분기라인이 생성될 경우 분기라인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인트 커넥터를 추가하여 이에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조인트 커넥터는 와이어 하네스와 접속되는 접속핀의 수량이 적어 많은 회로를 적용할 수 없으며, 회로의 접속수를 증가면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인트 커넥터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고정위치에 따라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075호(등록일:2002년01월30일)에는 "자동차용 커넥터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핀을 내부에 양 방향으로 배치하여 접속핀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양쪽에서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할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에서 별도의 분기라인이 발생하여도 분기라인 생성을 위한 별도의 조인트 커넥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는, 복수의 접속핀을 구비하는 핀패턴부재와, 상기 핀패턴부재의 상기 접속핀이 서로 다른 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핀패턴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핀패턴 결합팩와, 중앙부에 상기 핀패턴 결합팩이 결합되는 팩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팩결합부와 연통하는 터미널 접속홀부가 대응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핀패턴 결합팩은, 상기 핀패턴부재가 결합되도록 패턴결합부가 상기 터미널 접속홀부와 연통하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대응하는 양면에 상기 터미널 접속홀부와 연통하는 핀접속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핀패턴 결합팩은, 결합되는 상기 핀패턴부재의 패턴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표시부가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턴결합부는, 상기 핀패턴부재가 어느 일면으로만 노출하도록 하는 제1결합홈부와, 상기 핀접속홀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1결합홈부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핀패턴부재는, 상기 접속핀이 상기 핀패턴 결합팩의 어느 일면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패턴 결합팩에 결합되는 제1패턴부재와, 상기 접속핀이 상기 핀패턴 결합팩에서 서로 다른 면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패턴 결합팩에 결합되는 제2패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터미널 접속홀부에 삽입되는 와이어링 터미널과 상기 접속핀을 연결하는 탭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핀을 내부에 양 방향으로 배치하여 접속핀의 수량이 증가되고, 양쪽에서 와이어 하네스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에서 별도의 분기라인이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패턴부재와 핀패턴 결합팩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패턴부재와 핀패턴 결합팩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100)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접속을 위한 접속핀(111)을 구비하는 핀패턴부재(110)와, 접속핀(11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하도록 핀패턴부재(110)가 결합되는 핀패턴 결합팩(120)과, 접속핀(111)과 와이어링 터미널(11)이 접속되도록 핀패턴 결합팩(120)이 결합되는 커넥터 본체(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100)는, 와이어 하네스(10)를 커넥터 본체(130)의 양 측면에서 접속할 수 있으므로, 많은 수의 와이어 하네스(10)의 와이어링 터미널(11)을 접속할 수 있으며, 와이어 하네스(10)에 별도의 분기라인(10a)을 생성하더라도 커넥터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다.
핀패턴부재(110)는 접속핀(111)이 핀패턴 결합팩(120)의 어느 일면으로 노출하도록 "ㅡ"자 형으로 형성되는 제1패턴부재(113)와, 접속핀(111)이 핀패턴 결합팩(120)에서 서로 다른 면으로 노출하도록 "ㄷ"자 형으로 형성되는 제2패턴부재(115)를 구비한다.
이때, 제1패턴부재(113)는 핀패턴 결합팩(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판(113a)을 구비하며, 제1고정판(113a)에서 접속핀(111)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2패턴부재(115)는 핀패턴 결합팩(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판(115a)을 구비하며, 제2고정판(115a)에서 접속핀(111)이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패턴부재(113) 및 제2패턴부재(115)는 접속을 위한 와이어링 터미널(11)의 수량에 따라 접속핀(111)의 수량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핀패턴 결합팩(120)은 핀패턴부재(110)의 접속핀(111)이 서로 다른 면으로 노출되도록 핀패턴부재(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핀패턴 결합팩(120)은 제1패턴부재(113)가 2개 결합되고, 제1패턴부재(113)의 하측으로 제2패턴부재(115)가 1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핀패턴 결합팩(120)은 핀패턴부재(110)가 결합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패턴결합부(121)와, 제2패턴부재(115)의 접속핀(111)을 노출시키기 위한 핀접속홀부(123)를 구비한다.
패턴결합부(121)는 제1패턴부재(113)가 결합되도록 핀패턴 결합팩(120)의 대응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홈부(121a)와, 제2패턴부재(115)가 결합되도록 핀패턴 결합팩(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121b)를 포함한다. 이때, 핀패턴 결합팩(120)은 제1결합홈부(121a) 및 제2결합홈부(121b)에 배치되는 제1패턴부재(113) 및 제2패턴부재(115)의 패턴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면에 패턴표시부(125)가 형성된다.
제1결합홈부(121a)는 제1패턴부재(113)의 접속핀(111)이 핀패턴 결합팩(120)의 어느 일면으로만 노출하도록 핀패턴 결합팩(120)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제2결합홈부(121b)는 핀접속홀부(123)와 연통하도록 핀패턴 결합팩(120)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며, 제1결합홈부(121a)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핀패턴 결합팩(120)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제1패턴부재(113)와 제2패턴부재(115)가 결합된 후, 커넥터 본체(130)에 조립된다.
커넥터 본체(130)는 핀패턴 결합팩(1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팩결합부(131)와, 팩결합부(131)와 연통하도록 팩결합부(131)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터미널 접속홀부(133)를 구비한다. 또한, 커넥터 본체(130)는 와이어링 터미널(11)과 핀패턴부재(110)의 접속핀(111)을 연결하도록 터미널 접속홀부(133)에 삽입되는 탭단자(135)를 더 구비한다.
팩결합부(131)는 커넥터 본체(130)의 중앙부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며, 대응하는 내부 양측면으로 터미널 접속홀부(133)가 각각 연통 형성된다.
탭단자(135)는 터미널 접속홀부(133)로 삽입되어 핀패턴부재(110)의 접속핀(111)에 접속되며, 터미널 접속홀부(133)로 삽입되는 와이어링 터미널(11)과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핀패턴 결합팩(120)에 제1결합홈부(121a) 및 제2결합홈부(121b)에 제1패턴부재(113) 및 제2패턴부재(115)를 각각 삽입하여 결합하고, 핀패턴 결합팩(120)을 커넥터 본체(130)의 팩결합부(131)에 결합한다. 이때, 핀패턴 결합팩(120)의 상면이 커넥터 본체(130)의 상면으로 노출하므로, 사용자가 패턴표시부(125)를 통해 제1패턴부재(113) 및 제2패턴부재(115)의 회로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30)의 터미널 접속홀부(133)로 탭단자(135)를 삽입하여 제1패턴부재(113) 및 제2패턴부재(115)의 접속핀(111)과 접속한다. 그러면 터미널 접속홀부(133)에 접속되는 와이어링 터미널(11)이 탭단자(135)를 통해 접속핀(11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100)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와이어링 터미널(11)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핀(111)이 커넥터 본체(130)의 양 측면으로 배치되므로, 접속핀(111)의 수량이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와이어링 터미널(11)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100)는 커넥터 본체(130)의 양측면세 와이어링 터미널(11)을 각각 접속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하네스(10)에서 별도의 분기라인(10a)이 발생하여도 분기라인 접속을 위한 조인트 커넥터를 더 준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 본체(130)의 양측에서 분기라인(10a)이 결합되어 커넥터 본체(130)를 지지하므로, 커넥터 본체(130)를 차체에 고정하지 않고 와이어 하네스(10)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즉, 분기라인(10a)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10 : 와이어 하네스
10a : 분기라인 11 : 와이어링 터미널
110 : 핀패턴부재 111 : 접속핀
113 : 제1패턴부재 115 : 제2패턴부재
120 : 핀패턴 결합팩 121 : 패턴결합부
123 : 핀접속홀부 125 : 패턴표시부
130 : 커넥터 본체 131 : 팩결합부
133 : 터미널 접속홀부 135 : 탭단자

Claims (5)

  1. 복수의 접속핀을 구비하는 핀패턴부재; 상기 핀패턴부재의 상기 접속핀이 서로 다른 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핀패턴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핀패턴 결합팩; 및 중앙부에 상기 핀패턴 결합팩이 결합되는 팩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팩결합부와 연통하는 터미널 접속홀부가 대응하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양 측면에서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며,
    핀패턴부재는, 상기 접속핀이 상기 핀패턴 결합팩의 어느 일면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패턴 결합팩에 결합되는 제1패턴부재; 및 상기 접속핀이 상기 핀패턴 결합팩에서 서로 다른 면으로 노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패턴 결합팩에 결합되는 제2패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패턴 결합팩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부재와 상기 제2패턴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커넥터 본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패턴 결합팩은, 상기 핀패턴부재가 결합되도록 패턴결합부가 상기 터미널 접속홀부와 연통하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대응하는 양면에 상기 터미널 접속홀부와 연통하는 핀접속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패턴 결합팩은, 결합되는 상기 핀패턴부재의 패턴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표시부가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결합부는, 상기 핀패턴부재가 어느 일면으로만 노출하도록 하는 제1결합홈부; 및
    상기 핀접속홀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1결합홈부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결합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터미널 접속홀부에 삽입되는 와이어링 터미널과 상기 접속핀을 연결하는 탭단자가 상기 터미널 접촉홀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190117061A 2019-09-23 2019-09-23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061A KR102077016B1 (ko) 2019-09-23 2019-09-23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061A KR102077016B1 (ko) 2019-09-23 2019-09-23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032A Division KR102033550B1 (ko) 2018-05-31 2018-05-31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026A true KR20190137026A (ko) 2019-12-10
KR102077016B1 KR102077016B1 (ko) 2020-02-13

Family

ID=6900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061A KR102077016B1 (ko) 2019-09-23 2019-09-23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0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513A (ja) * 2001-05-22 2002-11-29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機構付き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9176688A (ja) * 2008-01-28 2009-08-0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通信線用の分岐コネクタ
JP2017010578A (ja) * 2016-08-30 2017-01-12 株式会社バンダイ 携帯端末装置、端末プログラム、拡張現実感システム、および衣類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513A (ja) * 2001-05-22 2002-11-29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機構付き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9176688A (ja) * 2008-01-28 2009-08-0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通信線用の分岐コネクタ
JP2017010578A (ja) * 2016-08-30 2017-01-12 株式会社バンダイ 携帯端末装置、端末プログラム、拡張現実感システム、および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016B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259B2 (en) Electrical connector part having a resistance coding
US10699866B2 (en) Modular fuse holder and arrangement and connection thereof
US5403193A (en) Small junction box for connecting a wire harness
US20120268864A1 (en)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openings to access removable electronic devices some of which have electrical connections using no circuit board trace
KR20180005634A (ko) 차량용 커넥터
JP2013246941A (ja) 電源装置
US10017063B2 (en) Electrical distributor arrangement
CN106785744A (zh) 一种模块化印制板式矩形混装插头连接器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KR20180005633A (ko) 차량용 커넥터
KR101479078B1 (ko) 커넥터
KR102077016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5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9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8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7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4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US9411018B2 (en) Voltage monitoring device
KR102033550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CN105529662B (zh) 接线盒组件结构
KR102313404B1 (ko) 조인트 커넥터
WO2011040499A1 (ja) 機能内蔵コネクタ
CN212542898U (zh) 进电汇流排、印刷线路板总成及车用中央电器盒
KR20220039121A (ko) 차량용 블록형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