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742A - 저소음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저소음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742A
KR20190136742A KR1020180062837A KR20180062837A KR20190136742A KR 20190136742 A KR20190136742 A KR 20190136742A KR 1020180062837 A KR1020180062837 A KR 1020180062837A KR 20180062837 A KR20180062837 A KR 20180062837A KR 20190136742 A KR20190136742 A KR 20190136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noise
take
bead chain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장심
허영만
Original Assignee
소장심
박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장심, 박태식 filed Critical 소장심
Priority to KR102018006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742A/ko
Publication of KR2019013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음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을 권취롤에 풀거나 감을시 롤구동유닛의 부품들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롤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권취롤에 일단이 결합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의 타단에 설치되는 웨이트바; 및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권취롤에 연결되는 롤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구동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접촉면에 소음방지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소음방지코팅층은 난연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저소음 블라인드{low-noise Blind}
본 발명은 저소음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을 권취롤에 풀거나 감을시 롤구동유닛의 부품들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창문에는 필요에 따라 햇빛이나 외부 시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롤 스크린 또는 롤 블라인드(이하 '블라인드'로 통칭한다)를 설치한다.
블라인드는 창문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햇빛이나 외부 시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장치로서, 창문 상단에 설치된 프레임에 장착된 권취롤을 회전시켜 스크린을 감거나 풀어 차양되는 영역을 조절한다. 차양되는 영역을 조절할 시, 권취롤에 결합된 구동휠과 맞물리는 구슬체인을 사용자가 잡아당겨 조절함에 따라, 구슬체인이 구동휠과 접촉되며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시에 충격이 발생하여 접촉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3893호에는 블라인드의 저소음 작동기구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작동기구는 볼체인의 유동을 제한하는 안내롤과 같은 별도의 부속품을 새로 제작해 조립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롤은 볼체인의 유동을 제한하여 불필요한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며, 구동휠과 볼체인이 맞물림에 따라 발생하는 주된 소음을 방지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38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속품을 조립할 필요없이 스크린을 권취롤에 풀거나 감을 시 롤구동유닛의 부품들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롤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권취롤에 일단이 결합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의 타단에 설치되는 웨이트바; 및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권취롤에 연결되는 롤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구동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접촉면에 소음방지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소음방지코팅층은 난연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음방지코팅층은 코팅제가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팅제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첨가물 10 내지 50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바인더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실리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첨가물은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복합계 난연제, 실리콘계 난연제, 난연수지, 무기계 난연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롤구동유닛은 상기 권취롤에 체결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이 형성된 구동휠, 상기 구동휠의 걸림편에 맞물림에 따라 상기 구동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슬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방지코팅층은 상기 구슬체인과 상기 구동휠의 상호 접촉면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슬체인의 표면 또는 상기 구동휠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구슬체인은 상기 구동휠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게 연장되고, 상기 구슬체인이 흔들림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슬체인과 대응되는 상기 웨이트바의 일측에 상기 구슬체인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슬체인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은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구동유닛이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된 소음이 상기 권취롤을 따라 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롤구동유닛이 설치된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 울림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울림방지부는 상기 권취롤의 내측면에 상기 중공부를 구획하게 설치되며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는 상기 웨이트바가 외력에 의해 흔들려 구조물과 충돌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웨이트바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충돌소음방지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돌소음방지코팅층은 난연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돌소음방지코팅층은 상기 웨이트바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는 권취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롤구동유닛에 소음방지코팅층이 형성되어 권취롤을 회전시킬 시 롤구동유닛의 부품들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바에 충격소음방지층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흔들림에 따라 웨이트바에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이 완화되고 충격으로 인해 소음이 방지된다.
아울러, 구슬체인고정부가 구비되어 바람에 의해 구슬체인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롤의 내부에 울림방지부가 구비되어 권취롤의 내부공간으로 소음이 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소음 블라인드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소음 블라인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1)는 프레임부(11), 권취롤(30), 스크린(35), 롤구동유닛(50), 웨이트바(37), 구슬체인(55)고정부(40)를 구비하고, 롤구동유닛(50)의 부품에 소음을 방지하도록 소음방지코팅층(70)이 형성된다.
또한, 소음이 권취롤(30)을 따라 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울림방지부(90)가 구비된다.
프레임부(11)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분(11)과, 제1,2플랜지부분(13)(15)을 구비한다.
베이스부분(11)은 창문에 인접된 구조물의 내부 천장면에 창문의 폭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어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이스부분(11)의 상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브라켓과, 브라켓에 관통되어 구조물의 천장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를 구비한다. 베이스부분(11)은 권취롤(30), 스크린(35), 롤구동유닛(5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틸과 같은 금속소재나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플랜지부분(13)(15)은 베이스부분(11)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2플랜지부분(13)(15)은 권취롤(3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권취롤(30)의 양단에 삽입되는 회전축(13a)이 일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플랜지부분(13)(15)은 권취롤(30)은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베이스부분(11)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롤(30)은 양단이 베이스부분(1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다. 권취롤(30)은 베이스부분(11)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린(35)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홈이 형성된다. 제1고정홈은 권취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린(35)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35)은 일단이 권취롤(30)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권취롤(30)의 회전에 의해 권취롤(3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린다. 스크린(35)은 창문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창문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창문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광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권취롤(30)에 감기는 스크린(35)의 길이를 조절하여 차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롤구동유닛(50)은 권취롤(30)을 회전시키도록 권취롤(30)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휠(51), 구슬체인(55), 구동하우징(57), 스프링(59)을 구비한다.
구동휠(51)은 권취롤(30)에 체결되는 것으로, 결합부분(52)과 스프로킷부분(54)으로 구분된다. 결합부분(52)은 권취롤(30)의 양단에 삽입되는 것으로, 결합부분(52)이 권취롤(30)과 결합됨에 따라 구동휠(51)은 권취롤(30)과 일체로 회전한다. 결합부분(52)은 상기한 제1,2플랜지부분(13)(15)의 회전축(13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13a)과 대응되는 일측면에 회전축(13a)홈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3a)홈의 내측면은 후술할 스프링(59)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다. 스프로킷부분(54)은 회전축(13a)홈이 형성된 결합부분(52)의 일측면에서 회전축(13a)홈을 중심으로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스프로킷부분(54)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53)이 형성되어 구슬체인(55)과 맞물린다.
구슬체인(55)은 구슬 엮어 이은 체인으로, 구동휠(51)의 스프로킷부분(54)의 둘레에 감겨 구동휠(5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슬체인(55)은 스프로킷부분(54)에 형성된 걸림편(53)에 의해 구동휠(51)과 맞물리되 구동휠(51)에 현수되어 구동휠(51)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구슬체인(55)의 하부측을 사용자가 당겨 내리면 구동휠(51)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하우징(57)은 구동휠(51)에 감긴 구슬체인(55)의 둘레를 감싸 구슬체인(55)이 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스프링(59)은 일정 크기의 직경을 유지하는 복원력을 갖는 것으로, 회전축(13a)에 일 단이 고정된다. 스프링(59)의 양단은 외부로 절곡된 절곡부분(59a)을 형성한다. 절곡부분(59a)은 상기한 회전축(13a)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구동휠(51)에 고정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59)은 회전축(13a)의 둘레를 조이고 있어 둘레를 회전할 수 없으나 구슬체인(55)에 의해 구동휠(51)이 회전되면 스프링(59)의 직경이 커지면서 회전축(13a)에서 공회전 된다. 스프링(59)은 웨이트바(37)의 하중에 의해 구동휠(5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웨이트바(37)는 자중에 의해 스크린(35)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스크린(35)의 타단에 고정된다. 웨이트바(37)는 스크린(35)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즉, 권취롤(30)과 나란하게 연장된원통형 부재로, 웨이트바(37)의 자중에 의해 스크린(35)에 장력이 인가되어 권취롤(30)로부터 풀린 스크린(35)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웨이트바(37)는 스크린(35)의 타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고정홈이 형성된다. 제2고정홈은 웨이트바(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린(35)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웨이트바(3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단면형상이 삼각, 오각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스트립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구슬체인(55)고정부(40)는 구슬체인(55)과 대응되는 웨이트바(37)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휠(51)에 현수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구슬체인(55)을 고정시킨다.
구슬체인(55)고정부(40)는 웨이트바(37)의 일측 단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분(41)과 고정부분(41)의 단부에서 웨이트바(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웨이트바(37)와 소정간격 이격된 연장부분(43)과, 연장부분(43)의 단부에서 웨이트바(37)의 외주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웨이트바(37)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분(45)으로 구분된다. 연장부분(43)과 웨이트바(37)가 이격된 간격은 구슬체인(55)의 구슬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구슬체인(55)고정부(40)는 소정의 탄성을 지닌 소재로 제작되어 접촉부분(45)을 벌려 구슬체인(55)을 연장부분(43)과 웨이트바(37)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슬체인(55)고정부(40)는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흔들리며 구조물 또는 웨이트바(37)에 부딪히거나 스크린(35)과 마찰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소음방지코팅층(70)은 롤구동유닛(50)이 권취롤(30)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슬체인(55), 구동휠(51), 구동하우징(57)의 상호간 접촉면에 형성된다.
소음방지코팅층(70)은 난연상의 탄성소재로, 코팅제가 구슬체인(55), 구동휠(51), 구동하우징(57)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코팅제는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 난연첨가물 1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난연첨가물이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난연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5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탄성이 약화되어 소음방지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바인더는 천연고무, 또는 에틸렌 아크릴 고무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같은 실리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난연첨가물은 인산 에스테를와 같은 인계 난연제, 멜라민등의 질소계 난연제, 인과 질소 복합화합물인 복합계 난연제, 실리콘계 난연제, 난연수지, 붕소아연등과 같은 무기계 난연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첨가물은 비할로겐계로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바인더는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적용되며, 난연첨가물은 팽창 흑연을 적용하고,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첨가물 30중량부가 포함된다.
이처럼 소음방지코팅층(70)은 난연상의 탄성소재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구슬체인(55)을 잡아당겨 구동휠(51)을 회전시킴에 따라 구슬체인(55)의 구슬과 구동휠(51)의 걸림편(53)이 서로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슬과 걸림편(53)이 서로 부딪힘에 따라 발생된 충격을 완화하여 구슬과 걸림편(53)의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아울러 구동하우징(57)의 내부에서 바람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구동체인이 흔들릴 시 구동하우징(57)과 구슬체인(55)이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음방지코팅층(70)은 난연성을 갖기 때문에 마찰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의 소음방지코팅층(70)은 구슬체인(55), 구동휠(51), 구동하우징(57) 중 하나에만 소음방지코팅층(70)이 형성되거나, 구슬체인(55)과 구동휠(51) 또는 구슬체인(55)과 구동하우징(57)에 소음방지코팅층(70)이 형성될 수 있다.
울림방지부(90)는 소리를 흡수할 수 있는 디스크형의 흡음부재로 결합부분(52)보다 먼저 권취롤(30)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흡음부재는 권취롤(30)의 내측면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롤구동유닛(50)이 권취롤(30)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된 소음이 권취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울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1)는 소음의 저감효과가 더욱더 증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1)는 권취롤(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롤구동유닛(50)에 소음방지코팅층(70)이 형성되어 권취롤(30)을 회전시킬 시 롤구동유닛(50)의 부품들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부품들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부품들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구슬체인(55)고정부(40)가 구비되어 바람에 의해 구슬체인(55)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구슬체인(55)이 구조물이나 웨이트바(37) 또는 스크린(35)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롤(30)의 내부에 울림방지부(90)가 구비되어 권취롤(30)의 내부공간으로 소음이 울리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저감효과가 더욱더 증대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블라인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블라인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2)는 웨이트바(37)가 외력에 의해 흔들려 구조물과 충돌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웨이트바(37)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충돌소음방지코팅층(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돌소음방지코팅층(80)은 난연성의 탄성소재로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의 소음방지코팅층과 동일한 코팅제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충돌소음방지코팅층(80)은 웨이트바(37)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분(81)이 형성된다, 돌출부분(81)은 웨이트바(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바람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구조물과의 충돌시 충돌면적을 줄여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충돌소음방지코팅층(80)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저소음 블라인드(2)는 웨이트바(37)에 충격소음방지층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흔들림에 따라 웨이트바(37)에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이 완화되고 충격으로 인해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저소음 블라인드 10 : 프레임
30 : 권취롤 35 : 스크린
50 : 롤구동유닛 70 : 소음방지코팅층

Claims (7)

  1. 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롤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권취롤에 일단이 결합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의 타단에 설치되는 웨이트바; 및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권취롤에 연결되는 롤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구동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접촉면에 소음방지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소음방지코팅층은 난연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코팅층은 코팅제가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팅제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첨가물 10 내지 50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바인더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실리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첨가물은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복합계 난연제, 실리콘계 난연제, 난연수지, 무기계 난연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구동유닛은 상기 권취롤에 체결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이 형성된 구동휠, 상기 구동휠의 걸림편에 맞물림에 따라 상기 구동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슬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방지코팅층은 상기 구슬체인과 상기 구동휠의 상호 접촉면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슬체인의 표면 또는 상기 구동휠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블라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체인은 상기 구동휠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게 연장되고,
    상기 구슬체인이 흔들림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슬체인과 대응되는 상기 웨이트바의 일측에 상기 구슬체인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슬체인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블라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은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구동유닛이 상기 권취롤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된 소음이 상기 권취롤을 따라 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롤구동유닛이 설치된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 울림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울림방지부는 상기 권취롤의 내측면에 상기 중공부를 구획하게 설치되며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블라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바가 외력에 의해 흔들려 구조물과 충돌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웨이트바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충돌소음방지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소음방지코팅층은 난연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블라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소음방지코팅층은 상기 웨이트바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블라인드.
KR1020180062837A 2018-05-31 2018-05-31 저소음 블라인드 KR20190136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37A KR20190136742A (ko) 2018-05-31 2018-05-31 저소음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37A KR20190136742A (ko) 2018-05-31 2018-05-31 저소음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42A true KR20190136742A (ko) 2019-12-10

Family

ID=6900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837A KR20190136742A (ko) 2018-05-31 2018-05-31 저소음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67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93B1 (ko) 2010-11-12 2013-10-01 송영환 블라인드의 저소음 작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93B1 (ko) 2010-11-12 2013-10-01 송영환 블라인드의 저소음 작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482B2 (en) Retrofit glass fragment catching system
US6761203B1 (en) Balanced window blind having a spring motor for concealed pull cords thereof
US62960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locking a building opening
US8360130B2 (en) Active tension device for a window covering
US20120211180A1 (en) Loop Cord Tension Device for Window Coverings
US8839840B2 (en) Roller shade assembly for stiff shade materials
AU2012231751B2 (en) Segmented wind lock configuration for overhead roll-up doo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20210222488A1 (en) Non-stay-cord venetian blind and winding device thereof
JP7042893B2 (ja) 遮蔽装置
US8807190B2 (en) End cap for roller blind cassette
JP2006029072A (ja) 採光を調整するためのブラインド
KR20130003604U (ko) 차양 조립체
KR20190136742A (ko) 저소음 블라인드
WO2016031761A1 (ja) 遮蔽装置
US20130240661A1 (en) Chain Guide for a Roller Blind or Roller Shade
ES2955766T3 (es) Guía lateral para un dispositivo de pantalla
US11746593B2 (en) Roller blind apparats
JP6585351B2 (ja) 日射遮蔽装置のモータ取付構造
KR101213635B1 (ko)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US9752382B2 (en) Assembly for insulating a door curtain
KR101863245B1 (ko)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JP2004003140A (ja) 巻き取り式シャッター装置の騒音抑制装置
JP6243185B2 (ja) 日射遮蔽装置
JP4146362B2 (ja) グリルシャッター装置
JP4146363B2 (ja) グリル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