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492A -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492A
KR20190136492A KR1020180062294A KR20180062294A KR20190136492A KR 20190136492 A KR20190136492 A KR 20190136492A KR 1020180062294 A KR1020180062294 A KR 1020180062294A KR 20180062294 A KR20180062294 A KR 20180062294A KR 20190136492 A KR20190136492 A KR 20190136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memory
target
state
memo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익
홍성관
박병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492A/ko
Priority to US16/223,878 priority patent/US20190369918A1/en
Priority to CN201811636543.7A priority patent/CN110554835A/zh
Publication of KR2019013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 G06F11/1044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with specific ECC/EDC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 G06F11/104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using arrangements adapted for a specific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fe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76Parity data used in redundant arrays of independent storages, e.g. in RAID systems
    • G06F11/108Parity data distribution in semiconductor storages, e.g. in SS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04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with main memory 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8Saving storage space o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Management of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66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for peripheral storage systems, e.g. disk cache
    • G06F12/0868Data transfer between cache memory and other subsystems, e.g. storage devices or hos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0Providing a specific technical effect
    • G06F2212/1016Performance impr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0Providing a specific technical effect
    • G06F2212/1041Resource optimization
    • G06F2212/1044Space efficiency impr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40Specific encoding of data in memory or cache
    • G06F2212/401Compress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46Caching storage objects of specific type in disk cache
    • G06F2212/466Metadata, contro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1Logical to physical mapping or translation of blocks or p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8Multiple device management, e.g. distributing data over multiple flash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엔진 내 복수의 슬롯들 중 제 1 상태인 타겟 슬롯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할당된 상기 타겟 슬롯에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가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된 경우, 압축엔진에 의하여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되고, 프로세서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타겟 슬롯에 대한 릴리즈 커맨드가 압축엔진에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릴리즈 커맨드에 따라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리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환경에 대한 패러다임(paradigm)이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는 메모리 시스템, 다시 말해 데이터 저장 장치를 사용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주 기억 장치 또는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된다.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는 기계적인 구동부가 없어서 안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또한 정보의 액세스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메모리 시스템의 일 예로 데이터 저장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모리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맵 데이터 로딩 동작에 대한 완료 처리를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엔진 내 복수의 슬롯들 중 제 1 상태인 타겟 슬롯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할당된 상기 타겟 슬롯에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가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된 경우, 압축엔진에 의하여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되고, 프로세서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타겟 슬롯에 대한 릴리즈 커맨드가 압축엔진에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릴리즈 커맨드에 따라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 있어서, 맵 데이터 및 상기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유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및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롯들 각각의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복수의 슬롯들 각각에서 소정의 크기로 상기 맵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엔진 및 상기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제공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압축엔진 내 상기 복수의 슬롯들 중 제 1 상태인 타겟 슬롯에 할당하고,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할당된 상기 타겟 슬롯에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며, 상기 압축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가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압축엔진에 의하여 생성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된 릴리즈 커맨드를 상기 압축엔진에 제공하고, 상기 릴리즈 커맨드에 따라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맵 데이터를 로딩하고, 그에 대한 완료를 분산하여 처리함으로써, 맵 데이터를 로딩하면서 발생되는 리드 동작의 레이턴시(latency)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블록들의 메모리 셀 어레이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맵 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일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호스트(Host)(102) 및 메모리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호스트(102)는, 전자 장치, 예컨대 휴대폰, MP3 플레이어,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들,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게임기, TV, 프로젝터 등과 같은 전자 장치들을 포함, 즉 유무선 전자 장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102)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 시스템(OS: operating system) 혹은 복수의 운영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한 메모리 시스템(110)과의 동작 수행을 위해 운영 시스템을 실행한다. 여기서, 호스트(102)는, 사용자 요청에 해당하는 복수의 커맨드들을 메모리 시스템(110)으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메모리 시스템(110)에서는 커맨드들에 해당하는 동작들, 즉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는 동작들을 수행한다. 운영 시스템은 호스트(102)의 기능 및 동작을 전반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 또는 메모리 시스템(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호스트(102) 간에 상호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메모리 시스템(110)은, 호스트(102)의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특히 호스트(102)에 의해서 액세스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시 말해, 메모리 시스템(110)은, 호스트(102)의 주 기억 장치 또는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시스템(110)은 호스트(102)와 연결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MMC, eMMC(embedded MMC))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 시스템(110)을 구현하는 저장 장치들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ROM(Read Only Memory), MROM(Mask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OM), FRAM(Ferromagnetic ROM), PRAM(Phase 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10)은 메모리 장치(150), 및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30) 및 메모리 장치(15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30) 및 메모리 장치(15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되어 SSD, PC 카드(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SD 카드(SD, miniSD, microSD, SDHC), 유니버설 플래시 기억 장치(UFS)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메모리 시스템(110)은,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컴퓨터, 스마트폰, 휴대용 게임기) 등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메모리 장치(15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라이트(write) 동작을 통해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리드(read) 동작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장치(15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memory block)들(152,154,156)을 포함하며, 각각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은, 복수의 페이지들(pages)을 포함하며, 또한 각각의 페이지들은, 복수의 워드라인(WL: Word Line)들이 연결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이 각각 포함된 복수의 플래인들(plane)을 포함하며, 특히 복수의 플래인들이 각각 포함된 복수의 메모리 다이(memory di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 장치(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일 예로 플래시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이때 플래시 메모리는 3차원(dimension) 입체 스택(stack) 구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장치(150)의 구조 및 메모리 장치(150)의 3차원 입체 스택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컨트롤러(130)는, 호스트(1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한다. 예컨대, 컨트롤러(130)는,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제공하고,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하며, 이를 위해 컨트롤러(130)는, 메모리 장치(150)의 리드, 라이트, 프로그램(program), 이레이즈(erase)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13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F) 유닛(132), 프로세서(Processor)(134), 에러 정정 코드(ECC: Error Correction Code) 유닛(138), 파워 관리 유닛(PMU: Power Management Unit)(140), 메모리 인터페이스(Memory I/F) 유닛(142), 및 메모리(Memory)(144)를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32)은, 호스트(102)의 커맨드(command) 및 데이터를 처리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ESDI(Enhanced Small Disk Interface),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호스트(102)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32)은, 호스트(102)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영역으로 호스트 인터페이스 계층(HIL: Host Interface Layer, 이하 'HIL'이라 칭하기로 함)이라 불리는 펌웨어(firmware)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아울러, ECC 유닛(138)은, 메모리 장치(15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에러 비트를 정정하며, ECC 인코더와 ECC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CC 인코더(ECC encoder)는 메모리 장치(150)에 프로그램될 데이터를 에러 정정 인코딩(error correction encoding)하여, 패리티(parity) 비트가 부가된 데이터를 생성하며, 패리티 비트가 부가된 데이터는,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ECC 디코더(ECC decoder)는,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할 경우,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한다. 여기서, ECC 유닛(138)은,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code), BCH(Bose, Chaudhri, Hocquenghem) 코드, 터보 코드(turbo code), 리드-솔로몬 코드(Reed-Solomon code), 컨벌루션 코드(convolution code), RSC(recursive systematic code), TCM(trellis-coded modulation), BCM(Block coded modulation) 등의 코디드 모듈레이션(coded modulation)을 사용하여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ECC 유닛(138)는 오류 정정을 위한 회로, 모듈, 시스템, 또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MU(140)는, 컨트롤러(130)의 파워, 즉 컨트롤러(13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파워를 제공 및 관리한다.
또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유닛(142)은, 컨트롤러(130)가 호스트(1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130)와 메모리 장치(150) 간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메모리/스토리지(storage) 인터페이스가 된다.
아울러, 메모리(144)는, 메모리 시스템(110) 및 컨트롤러(130)의 동작 메모리로서, 메모리 시스템(110) 및 컨트롤러(13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44)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144)는 컨트롤러(130)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컨트롤러(13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트롤러(130)로부터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외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4)는, 호스트(102)와 메모리 장치(150) 간 데이터 라이트 및 리드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데이터 라이트 및 리드 등의 동작 수행 시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러한 데이터 저장을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라이트 버퍼(buffer)/캐시(cache), 리드 버퍼/캐시, 데이터 버퍼/캐시, 맵(map) 버퍼/캐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4)는, 메모리 시스템(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호스트(102)로부터의 라이트 요청 또는 리드 요청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50)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 시스템(1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플래시 변환 계층(FTL: Flash Translation Layer, 이하 'FTL'이라 칭하기로 함)이라 불리는 펌웨어(firmware)를 구동한다. 또한, 프로세서(13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 등으로 구현된 프로세서(134)를 통해, 호스트(102)로부터 요청된 동작을 메모리 장치(150)에서 수행, 다시 말해 호스트(102)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해당하는 커맨드 동작을, 메모리 장치(150)와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에 대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 장치(150)에 대한 백그라운드 동작은, 가비지 컬렉션(GC: Garbage Collection) 동작, 웨어 레벨링(WL: Wear Leveling) 동작, 맵 플러시(map flush) 동작, 배드 블록 관리(bad block management) 동작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메모리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블록들의 메모리 셀 어레이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메모리 장치가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5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 예컨대 블록0(BLK(Block)0)(210), 블록1(BLK1)(220), 블록2(BLK2)(230), 및 블록N-1(BLKN-1)(240)을 포함하며, 각각의 블록들(210,220,230,240)은, 복수의 페이지들(Pages), 예컨대 2M개의 페이지들(2MPages)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이 각각 2M개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복수의 메모리들은, 각각 M개의 페이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페이지들은, 복수의 워드라인(WL: Word Line)들이 연결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을 하나의 메모리 셀에 저장 또는 표현할 수 있는 비트의 수에 따라, 하나의 메모리 셀에 1 비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단일 레벨 셀(SLC: Single Level Cell) 메모리, 하나의 메모리 셀에 2 비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멀티 레벨 셀(MLC: Multi Level Cell) 메모리 블록, 하나의 메모리 셀에 3 비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트리플 레벨 셀(TLC: Triple Level Cell) 메모리 블록, 하나의 메모리 셀에 4 비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쿼드러플 레벨 셀(QLC: Quadruple Level Cell) 메모리 블록, 또는 하나의 메모리 셀에 5 비트 또는 그 이상의 비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들에 의해 구현된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다중 레벨 셀(multiple level cell) 메모리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 장치(150)가, 플래시 메모리, 예컨대 NAND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상변환 메모리(PCRAM: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저항 메모리(RRAM(ReRAM):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강유전체 메모리(FRAM: Ferroelectrics Random Access Memory), 및 스핀 주입 자기 메모리(STT-RAM(STT-MRAM): Spin Transfer Torque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들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블록들(210,220,230,240)은, 프로그램 동작을 통해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리드 동작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호스트(102)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10)의 메모리 장치(150)에 포함된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에서 각 메모리 블록(330), 메모리 셀 어레이로 구현되어 비트라인들(BL0 to BLm-1)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셀 스트링들(34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열(column)의 셀 스트링(340)은,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선택 트랜지스터(DST)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선택 트랜지스터(SST)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들(DST, SST) 사이에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 또는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0 to MCn-1)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메모리 셀(MC0 to MCn-1)은, 셀 당 복수의 비트들의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MLC로 구성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340)은 대응하는 비트라인들(BL0 to BLm-1)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셀로 구성된 각 메모리 블록(330)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150)에 포함된 복수의 메모리 블록(152,154,156)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 노어 플래시 메모리(NOR-type Flash memory),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메모리 셀들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칩 내에 컨트롤러가 내장된 One-NAND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장치(150)의 전압 공급 회로(310)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각각의 워드라인들로 공급될 워드라인 전압들(예를 들면, 프로그램 전압, 리드 전압, 패스 전압 등)과, 메모리 셀들이 형성된 벌크(예를 들면, 웰 영역)로 공급될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전압 공급 회로(310)의 전압 발생 동작은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압 공급 회로(310)는, 다수의 리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가변 리드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 회로의 제어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블록들(또는 섹터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워드라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워드라인 전압을 선택된 워드라인 및 비선택된 워드라인들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 장치(150)의 리드/라이트(read/write) 회로(320)는, 제어 회로에 의해서 제어되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로서 또는 라이트 드라이버(write driv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증/정상 리드 동작의 경우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한 감지 증폭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동작의 경우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저장될 데이터에 따라 비트라인들을 구동하는 라이트 드라이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프로그램 동작 시 셀 어레이에 라이트될 데이터를 버퍼(미도시)로부터 수신하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비트라인들을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드/라이트 회로(320)는, 열(column)들(또는 비트라인들) 또는 열쌍(column pair)(또는 비트라인 쌍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페이지 버퍼들(PB)(322,324,3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 버퍼(page buffer)(322,324,326)에는 복수의 래치들(도시하지 않음)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 스택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3차원 구조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0 to BLKN-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메모리 장치(150)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각각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은, 3차원 구조(또는 수직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은 제1방향 내지 제3방향들, 예컨대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따라 신장된 구조물들을 포함하여, 3차원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장치(150)에 포함된 각 메모리 블록(330)은, 제2방향을 따라 신장된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방향 및 제3방향들을 따라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낸드 스트링(NS)은, 비트라인(BL),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라인(SSL), 적어도 하나의 접지 선택라인(G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 적어도 하나의 더미 워드라인(DWL), 그리고 공통 소스라인(CSL)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트랜지스터 구조들(TS)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장치(150)의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에서 각 메모리 블록(330)은, 복수의 비트라인들(BL), 복수의 스트링 선택라인들(SSL), 복수의 접지 선택라인들(G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 복수의 더미 워드라인들(DWL), 그리고 복수의 공통 소스라인(CSL)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메모리 블록(330)에서, 하나의 비트라인(BL)에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NS)이 연결되어, 하나의 낸드 스트링(NS)에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이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각 낸드 스트링(NS)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대응하는 비트라인(BL)과 연결될 수 있으며, 각 낸드 스트링(NS)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는, 공통 소스라인(CSL)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낸드 스트링(NS)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사이에 메모리 셀들(MC)이 제공, 즉 메모리 장치(150)의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152,154,156)에서 각 메모리 블록(330)에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130)의 구조를 나타낸다. 앞서, 컨트롤러(130)는 도 1에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만이 도 5에 도시된다.
메모리 시스템(110)은 컨트롤러(130)와 메모리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5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30)는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30)는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에 프로그램하거나 혹은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하도록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32), 프로세서(134), 메모리 인터페이스 유닛(142) 및 메모리(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축엔진(510, compression engine) 및 파서(530, pars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4)는 호스트(102)로부터 수신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102)로부터 리드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34)는 리드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리드하도록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4)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하여 메모리 시스템(110)은 맵 테이블(6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맵 테이블(60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맵 테이블(600)은 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맵 테이블(600)은 복수의 맵 세그먼트들(Seg. 1 내지 Seg.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맵 세그먼트들(Seg. 1 내지 Seg.n) 각각은 복수의 논리 주소들(LBA1 내지 LBAm) 및 복수의 물리 주소들(PBA1 내지 PBAm)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논리 주소들(LBA1 내지 LBAm) 각각은 복수의 물리 주소들(PBA1 내지 PBAm) 각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논리주소(LBA1)은 제 1 물리주소(PBA1)과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34)는 맵 테이블(600)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102)로부터 메모리 장치(150)에 라이트 요청이 컨트롤러(130)로 제공된 경우, 프로세서(134)는 라이트 요청에 대응하는 논리 주소와 대응될 수 있도록 라이트 데이터가 저장될 물리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며, 할당된 물리주소를 반영하도록 맵 테이블(60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4)는 호스트(102)의 요청(예를 들면, 플러쉬 커맨드)에 따라 맵 테이블(600)을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4)는 맵 테이블(600)을 메모리(144)에 저장할 수 있다. 호스트(102)로부터 리드 요청이 컨트롤러(130)로 제공된 경우,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44) 혹은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된 맵 테이블(600)에 기초하여 리드 요청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리드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다만, 메모리(144)는 프로세서(134)의 동작메모리이기 때문에, 프로세서(134)는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된 데이터보다 메모리(144)에 저장된 데이터를 빠르게 로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맵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된 맵 데이터보다 빠르게 로딩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144)에 많은 양의 맵 데이터를 표현하는 맵 테이블(600)을 저장하는 것이 프로세서(134)의 리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메모리(144)는 메모리 장치(150)보다 용량이 적기 때문에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나타낸 맵 테이블을 저장할 수 없다. 즉, 메모리(144)는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된 맵 테이블 중 일부의 맵 테이블만을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 압축엔진(510)은 메모리(144)에 많은 양의 맵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34)에 의하여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로딩된 맵 데이터를 리드하여 소정의 크기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엔진(510)은 맵 데이터를 맵 세그먼트 단위로 압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해당할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압축엔진(510)은 복수의 슬롯(slot)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슬롯들은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압축엔진(510)은 복수의 슬롯들 각각을 통하여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로딩된 맵 데이터 중 압축이 가능한 맵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나아가, 압축엔진(510)은 복수의 슬롯들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테이블(515)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4)는 상태 테이블(515)에 기초하여 복수의 슬롯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4)는 도 5에 도시된 상태 테이블(515)로부터 제 1 슬롯의 상태는 현재 압축이 진행되고 있는 'running'상태이며, 제 3 슬롯의 상태는 현재 별개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지 않는 'idle'상태이고, 제 4 슬롯의 상태는 현재 압축이 완료된 'complete'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압축엔진(510)이 8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설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압축 엔진(510)은 프로세서(134)에 의하여 맵 테이블(600)에 대한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동안 맵 데이터의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메타 정보)를 프로세서(13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맵 세그먼트(target map segment)내에 시퀀셜 데이터(sequential data)가 포함된 경우, 압축엔진(510)은 타겟 맵 세그먼트를 압축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4)는 압축엔진(510)으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 테이블(700)에 업데이트된 맵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메타 정보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메타 테이블(700)을 메모리(144)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테이블(7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맵 세그먼트 단위로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타 테이블(70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설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 테이블(700)은 복수의 맵 세그먼트들(seg.1 내지 seg.n) 각각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맵 세그먼트들 각각에 대한 메타 정보 즉,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 테이블(700)은 압축 가능 정보를 비트 '1'로, 압축 불가능 정보를 비트 '0'으로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34)는 메타 테이블(700)로부터 제 1 맵 세그먼트는 압축이 가능하며, 제 3 맵 세그먼트는 압축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타 테이블(700)은 프로세서(134)에 의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4)는 메타 테이블(700)을 메모리(144) 및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4)는 메타 테이블(700)에 기초하여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로딩된 맵 데이터를 압축엔진(510) 내 'idle'상태의 슬롯에 할당할 수 있다. 압축엔진(510)은 할당된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압축된 맵 데이터는 프로세서(134)에 의하여 메모리(144)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 파서(530)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맵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저장 위치(예를 들면, 물리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서(530)는 압축 맵 데이터를 압축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압축 맵 데이터에 대한 파싱이 필요한 경우, 파서(530)는 우선 압축 맵 데이터를 압축해제한 후에, 파싱하여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34)는 압축 해제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스트(102)로부터 수신된 리드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리드하도록 메모리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44)는 메모리 시스템(110) 및 컨트롤러(130)의 동작 메모리로써, 호스트(102)로부터 메모리 장치(150) 혹은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호스트(102)로 전송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메모리(144)는 맵 테이블(600) 및 메타 테이블(70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130)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특히, 도 8a는 'complete'으로 상태가 전환된 압축엔진(510) 내 슬롯을 처리하는 컨트롤러(130)의 동작을 나타낸다. 압축엔진(510) 내 복수의 슬롯들은 개별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수 있다.
프로세서(134)는 압축엔진(510) 내 복수의 슬롯들 각각에 압축 가능한 맵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엔진(510)은 복수의 슬롯들 각각에서 할당된 맵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이 수행되고 있는 슬롯의 상태는 'running', 압축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슬롯의 상태는 'idle', 압축이 완료된 슬롯의 상태는 'complet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4)는 'idle'상태의 타겟 슬롯(800)에 압축이 가능한 맵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압축엔진(510)은 맵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으며, 맵 데이터가 할당된 타겟 슬롯(800)의 상태를 'running' 으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압축엔진(510)은 상태 테이블(515)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 후, 맵 데이터가 압축 완료되면, 압축엔진(510)은 타겟 슬롯(800)의 상태를 'complete'으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압축엔진(510)은 상태 테이블(515a)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압축이 완료된 슬롯이 발생된 경우, 압축엔진(510)은 프로세서(134)에 인터럽트 신호(interrupt signal)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압축엔진(510)은 압축이 완료된 맵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34)에게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4)는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받으면, 압축엔진(510)에 타겟 슬롯(800)에 대한 릴리즈 커맨드(release CMD)를 제공할 수 있다. 릴리즈 커맨드를 제공받은 압축엔진(510)은 타겟 슬롯(800)의 상태를 다시 'idle'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타겟 슬롯(800)은 다시 맵 데이터를 할당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나아가, 압축엔진(510)은 상태 테이블(515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4)는 타겟 슬롯에서 압축된 맵 데이터를 메모리(144)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타겟 슬롯이 'complete'상태를 장시간 유지한다면, 슬롯의 개수에 제한을 갖고 있는 압축엔진(510)은 맵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압축할 수 없다. 즉, 압축엔진은(510)은 'complete'상태의 슬롯을 빠르게 'idle'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압축엔진(510)은 인터럽트 신호를 활용하여 복수의 슬롯들 각각이 'complete'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서(134)부터 메모리(144)까지 압축된 맵 데이터가 로딩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130)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특히, 도 8b는 도8a에서 설명된 압축엔진(510) 및 프로세서(134)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타겟 맵 데이터가 압축될 수 있는 데이터라고 가정한다.
먼저, 단계 S801에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으며, 메타 테이블(700)에 기초하여 타겟 맵 데이터의 압축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프로세서(134)는 압축엔진(510) 내 'idle'상태의 타겟 슬롯에 타겟 맵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압축엔진(510)은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엔진(510)은 타겟 맵 데이터가 할당된 타겟 슬롯의 상태를 'running'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타겟 맵 데이터에 대한 압축이 완료되면, 압축엔진(510)은 타겟 슬롯의 상태를 'complete'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809에서, 압축엔진(510)은 프로세서(134)에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11에서, 프로세서(134)는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타겟 슬롯에 대하여 릴리즈 커맨드를 압축엔진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13에서, 압축엔진(510)는 릴리즈 커맨드에 따라 타겟 슬롯의 상태를 다시 'idle'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13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10)의 동작 방법이 설명됨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8b가 참조될 수 있다.
도9a는 라이트 요청에 따른 맵 테이블(600) 및 메타 테이블(700)을 업데이트하는 컨트롤러(130)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901에서, 컨트롤러(130)는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라이트 요청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프로세서(134)는 라이트 요청에 대응하는 논리 주소와 대응될 수 있도록 라이트 데이터가 저장될 물리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4)는 라이트 요청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메모리(144)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맵 데이터를 반영하도록 맵 테이블(60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S907에서, 압축엔진(510)은 프로세서(134)로부터 제공받은 맵 데이터의 압축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타 정보를 프로세서(134)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909에서, 프로세서(134)는 메타 정보를 메모리(144)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공받은 메타 정보를 반영하여, 라이트 요청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와 대응되도록 메모리(144)에 저장된 메타 테이블(70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911에서, 프로세서(134)는 호스트(102)의 요청(예를 들면, 플러쉬 커맨드)에 따라 맵 데이터 및 메타 정보 그리고, 각각이 반영된 맵 테이블(600) 및 메타 테이블(700)을 메모리 장치(15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스트(102)로부터 제공된 리드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13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921에서, 컨트롤러(130)는 호스트(102)로부터 리드 요청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단계 S923에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44)에서 리드 요청에 대응하는 타겟 맵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즉, 타겟 맵 데이터가 메모리(144)에 캐싱(caching)되어 있는지 프로세서(134)는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134)가 타겟 맵 데이터를 검색할 수 없다면(단계 S925에서, 'No'), 즉, 타겟 맵 데이터가 메모리(144)에 캐싱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 S927에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 장치(150)로부터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29에서, 프로세서(134)는 메타 테이블(700)을 활용하여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4)는 타겟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타겟 맵 데이터가 압축 가능한 데이터라면(단계 S931에서, 'Yes'), 단계 S933에서, 프로세서(134)는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엔진(510) 내 복수의 슬롯들 중 'idle'상태를 가진 슬롯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35에서, 압축엔진(510)은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을 완료한 슬롯에 대한 처리는 도 8b에 설명된다.
그 후, 단계 S937에서, 프로세서(134)는 압축된 타겟 맵 데이터를 메모리(144)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에, 타겟 맵 데이터가 압축 가능한 데이터가 아니라면(단계 S931에서, 'No'), 단계 S937에서, 프로세서(134)는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엔진(510)에 제공하지 않고, 바로 메모리(144)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 S939에서, 프로세서(134)는 압축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그리고, 로딩된 압축 타겟 맵 데이터를 파서(53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941에서, 파서(530)는 압축 타겟 맵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 파서(530)는 압축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파서(530)는 압축해제된 타겟 맵 데이터를 프로세서(134)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서(134)는 리드 요청에 대응하는 리드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943에서, 프로세서(134)는 타겟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에서 리드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30)는 리드된 타겟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134)가 타겟 맵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면(단계 S925에서, 'Yes'), 즉, 타겟 맵 데이터가 메모리(144)에 캐싱되어 있다면, 단계 S939에서, 프로세서(134)는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그리고, 로딩된 타겟 맵 데이터를 파서(53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941에서, 파서(530)는 타겟 맵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파서(530)는 파싱된 타겟 맵 데이터를 프로세서(134)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서(134)는 리드 요청에 대응하는 리드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943에서, 프로세서(134)는 타겟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메모리 장치(150)에서 리드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30)는 리드된 타겟 데이터를 호스트(102)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9b에서 설명한 메모리 장치(150) 및 컨트롤러(130)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110)이 적용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전자 기기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적용된 메모리 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시스템(6100)은, 메모리 컨트롤러(6120), 메모리 장치(6130), 및 커넥터(61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모리 컨트롤러(612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메모리 장치(6130)와 연결되며, 메모리 장치(6130)를 액세스하도록 구현된다. 즉, 메모리 컨트롤러(612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컨트롤러(130)에 대응되며, 이러한 컨트롤러(13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613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메모리 장치(150)에 대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모리 컨트롤러(612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프로세싱 유닛(processing unit),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 메모리 인터페이스(memory interface), 에러 정정부(error correction unit)와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 컨트롤러(6120)는, 커넥터(6110)를 통해 외부 장치 호스트(102)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장치(6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 컨트롤러(6120) 및 메모리 장치(6130)는, 하나의 반도체 장치로 집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6200)은, 메모리 장치(6230) 및 메모리 컨트롤러(6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6200)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CF, SD, microSD, 등), USB 저장 장치 등과 같은 저장 매체가 될 수 있으며, 메모리 장치(623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메모리 장치(150)에 대응되고, 메모리 컨트롤러(622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컨트롤러(13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컨트롤러(622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6224)를 통해 호스트(6210)와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며, NVM 인터페이스(6225)를 통해 메모리 장치(6230)와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호스트 인터페이스(6224)는, PATA 버스, SATA 버스, SCSI, USB, PCIe, 낸드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호스트(62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6220)는, 무선 통신 기능, 모바일 통신 규격으로 WiFi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구현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유선/무선 전자 기기들, 특히 모바일 전자 기기 등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적용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SD(6300)는,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6340) 및 컨트롤러(6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러(632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컨트롤러(130)에 대응되며, 메모리 장치(634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메모리 장치(150)에 대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6320)는, 복수의 채널들(CH1 내지 CHi)을 통해 메모리 장치(63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컨트롤러(6320)는 프로세서(6321), 버퍼 메모리(6325), ECC 회로(6322), 호스트 인터페이스(632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 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6326)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트롤러(6320) 내부에 존재하지만, 컨트롤러(6320) 외부에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인터페이스(6324)는, 외부의 장치, 예컨대 호스트(6310)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6326)는,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연결된 메모리 장치(6340)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이 적용된 SSD(6300)는, 복수개가 적용되어 데이터 처리 시스템, 예컨대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RAID 시스템에는, 복수의 SSD(6300)들과, 복수의 SSD(6300)들을 제어하는 RAID 컨트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적용된 eMMC(embedded multimedia car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eMMC(6400)는, 적어도 하나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된 메모리 장치(6440), 및 컨트롤러(6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러(643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컨트롤러(130)에 대응되며, 메모리 장치(6440)는,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서의 메모리 장치(15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4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적용된 UFS(Universal Flash Storage)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각각의 UFS 시스템들(6500,6600,6700,6800)은, 호스트들(6510,6610,6710,6810), UFS 장치들(6520,6620,6720,6820), 및 UFS 카드들(6530,6630,6730,683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호스트(6510,6610,6710,6810)은, 유선/무선 전자 기기들, 특히 모바일 전자 기기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UFS 장치들(6520,6620,6720,6820)은, 임베디드 UFS(Embedded UFS) 장치들이 되고, 아울러 각각의 UFS 카드들(6530,6630,6730,6830)은, 외부 임베디드 UFS(External Embedded UFS) 장치 또는 리무벌 UFS 카드(Removable UFS Card)가 될 수 있다.
또한, 각 UFS 시스템들(6500,6600,6700,6800)에서, 각각의 호스트들(6510,6610,6710,6810), UFS 장치들(6520,6620,6720,6820), 및 UFS 카드들(6530,6630,6730,6830) 간은, 각각 UFS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의 장치들, 예컨대 유선/무선 전자 기기들, 특히 모바일 전자 기기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UFS 장치들(6520,6620,6720,6820)과 UFS 카드들(6530,6630,6730,6830)은,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UFS 시스템들(6500,6600,6700,6800)에서, UFS 장치들(6520,6620,6720,6820)은,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6200), SSD(6300), 또는 eMMC(6400)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UFS 카드들(6530,6630,6730,6830)은, 도 7에서 설명한 메모리 카드 시스템(6100)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각 UFS 시스템들(6500,6600,6700,6800)에서, 각각의 호스트들(6510,6610,6710,6810), UFS 장치들(6520,6620,6720,6820), 및 UFS 카드들(6530,6630,6730,6830) 간은, UFS(Universal Flash Storage) 인터페이스, 예컨대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에서의 MIPI M-PHY 및 MIPI UniPro(Unified Protocol)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UFS 장치들(6520,6620,6720,6820)과 UFS 카드들(6530,6630,6730,6830) 간은, UFS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양한 카드 프로토콜, 일 예로 UFDs, MMC, SD(secure digital), mini SD, Micro SD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적용된 사용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스템(69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930), 메모리 모듈(6920), 네트워크 모듈(6940), 스토리지 모듈(69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69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930)는 시스템-온-칩(SoC: System-on-Chip)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모듈(6920)은, 사용자 시스템(6900)의 메인 메모리, 동작 메모리, 버퍼 메모리, 또는 캐시 메모리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930) 및 메모리 모듈(6920)은, POP(Package on Package)를 기반으로 패키지화되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6940)은,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모듈(6940)은, 유선 통신을 지원할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DMA), CDMA-2000, TDMA(Time D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max, WLAN, UWB, 블루투스, WI-DI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유선/무선 전자 기기들, 특히 모바일 전자 기기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유선/무선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모듈(694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930)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스토리지 모듈(6950)은, 데이터를 저장,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9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 후, 스토리지 모듈(69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9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지 모듈(6650)은,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NAND flash, NOR flash, 3차원 구조의 NAND 플래시 등과 같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소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시스템(6900)의 메모리 카드, 외장형 드라이브 등과 같은 탈착식 저장 매체(removable drive)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스토리지 모듈(6950)은, 도 1에서 설명한 메모리 시스템(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아울러 도 12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SSD, eMMC, UFS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엔진 내 복수의 슬롯들 중 제 1 상태인 타겟 슬롯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할당된 상기 타겟 슬롯에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가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된 경우, 압축엔진에 의하여 인터럽트 신호가 생성되고, 프로세서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타겟 슬롯에 대한 릴리즈 커맨드가 압축엔진에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릴리즈 커맨드에 따라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는 동안에는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제 3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을 때,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는
    맵 세그먼트 단위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맵 데이터에 대한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타 정보가 상기 맵 데이터 각각과 대응되도록 기록된 메타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타겟 슬롯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맵 데이터에 대한 상기 메타 정보가 기록된 상기 메타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압축이 가능한 경우에만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타겟 슬롯에 할당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테이블은
    맵 세그먼트 단위로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타 정보로 구성된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타겟 맵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타겟 맵 데이터를 파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싱된 타겟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겟 유저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리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11. 메모리 시스템에 있어서,
    맵 데이터 및 상기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유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및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롯들 각각의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복수의 슬롯들 각각에서 소정의 크기로 상기 맵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엔진 및 상기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제공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압축엔진 내 상기 복수의 슬롯들 중 제 1 상태인 타겟 슬롯에 할당하고,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할당된 상기 타겟 슬롯에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며, 상기 압축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가 상기 제 2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압축엔진에 의하여 생성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된 릴리즈 커맨드를 상기 압축엔진에 제공하고, 상기 릴리즈 커맨드에 따라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메모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엔진은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로 압축하는 동안에는 상기 타겟 슬롯의 상태를 제 3 상태로 전환하는
    메모리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로딩하는
    메모리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엔진은
    맵 세그먼트 단위로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압축하는
    메모리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맵 데이터에 대한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타 정보가 상기 맵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도록 기록된 메타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겟 맵 데이터에 대한 상기 메타 정보가 기록된 상기 메타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맵 데이터가 압축이 가능한 경우에만 상기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타겟 슬롯에 할당하는
    메모리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테이블은
    맵 세그먼트 단위로 압축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메타 정보로 구성된
    메모리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축된 타겟 맵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맵 데이터를 파싱하는 파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로딩된 상기 압축된 타겟 맵 데이터를 파싱하는
    메모리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파싱된 타겟 맵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겟 유저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리드하여 출력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0180062294A 2018-05-31 2018-05-31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190136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94A KR20190136492A (ko) 2018-05-31 2018-05-31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US16/223,878 US20190369918A1 (en) 2018-05-31 2018-12-18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htod thereof
CN201811636543.7A CN110554835A (zh) 2018-05-31 2018-12-29 存储器系统及该存储器系统的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94A KR20190136492A (ko) 2018-05-31 2018-05-31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92A true KR20190136492A (ko) 2019-12-10

Family

ID=6869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94A KR20190136492A (ko) 2018-05-31 2018-05-31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369918A1 (ko)
KR (1) KR20190136492A (ko)
CN (1) CN1105548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5002B2 (en) 2020-09-08 2023-05-09 SK Hyni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toring map data in a memor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0233B1 (en) 2018-01-18 2021-05-18 Pure Storage, Inc Hardware-based system monitoring
US11675898B2 (en) 2019-11-22 2023-06-13 Pure Storage, Inc. Recovery dataset management for security threat monitoring
US20210382992A1 (en) * 2019-11-22 2021-12-09 Pure Storage, Inc. Remote Analysis of Potentially Corrupt Data Written to a Storage System
US11651075B2 (en) 2019-11-22 2023-05-16 Pure Storage, Inc. Extensible attack monitoring by a storage system
US11687418B2 (en) 2019-11-22 2023-06-27 Pure Storage, Inc. Automatic generation of recovery plans specific to individual storage elements
US11941116B2 (en) 2019-11-22 2024-03-26 Pure Storage, Inc. Ransomware-based data protection parameter modification
US11625481B2 (en) 2019-11-22 2023-04-11 Pure Storage, Inc. Selective throttling of operations potentially related to a security threat to a storage system
US11720714B2 (en) 2019-11-22 2023-08-08 Pure Storage, Inc. Inter-I/O relationship based detection of a security threat to a storage system
US11645162B2 (en) 2019-11-22 2023-05-09 Pure Storage, Inc. Recovery point determination for data restoration in a storage system
US11615185B2 (en) 2019-11-22 2023-03-28 Pure Storage, Inc. Multi-layer security threat detection for a storage system
US11500788B2 (en) 2019-11-22 2022-11-15 Pure Storage, Inc. Logical address based authorization of operations with respect to a storage system
US11520907B1 (en) * 2019-11-22 2022-12-06 Pure Storage, Inc. Storage system snapshot retention based on encrypted data
US11657155B2 (en) 2019-11-22 2023-05-23 Pure Storage, Inc Snapshot delta metric based determination of a possible ransomware attack against data maintained by a storage system
US11341236B2 (en) 2019-11-22 2022-05-24 Pure Storage, Inc. Traffic-based detection of a security threat to a storage system
US11755751B2 (en) 2019-11-22 2023-09-12 Pure Storage, Inc. Modify access restrictions in response to a possible attack against data stored by a storage system
US11720692B2 (en) 2019-11-22 2023-08-08 Pure Storage, Inc. Hardware token based management of recovery datasets for a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447295A (en) * 1993-12-30 1995-08-01 Connectix Corporation Virtual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ata compression
US6445825B2 (en) * 1997-01-23 2002-09-03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compressed data
US7941409B2 (en) * 2007-09-11 2011-05-10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ompression and integrity in a computer storage system
JP2012059024A (ja) * 2010-09-09 2012-03-22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起動制御方法、起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067881B2 (en) * 2016-06-15 2018-09-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Compression and caching for logical-to-physical storage address mapping tables
US10540198B2 (en) * 2017-07-01 2020-01-21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memory replay prevention using compressive encryp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5002B2 (en) 2020-09-08 2023-05-09 SK Hyni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toring map data in a memo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54835A (zh) 2019-12-10
US20190369918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6492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CN110858180B (zh) 数据处理系统及其操作方法
KR20190123502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517681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00019431A (ko) 컨트롤러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180079584A (ko)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KR20190115310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90113443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90143073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00013897A (ko)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의 동작방법
KR20200006379A (ko) 컨트롤러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00010933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190044798A (ko)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의 동작방법
KR20190113438A (ko)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00008273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90113436A (ko) 컨트롤러, 그것의 동작방법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20200019430A (ko) 컨트롤러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00064568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20412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86786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567314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00074647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00068944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190133331A (ko)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90082513A (ko) 컨트롤러 및 그것의 동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