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843A - 포획용 총기 - Google Patents

포획용 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843A
KR20190135843A KR1020180061341A KR20180061341A KR20190135843A KR 20190135843 A KR20190135843 A KR 20190135843A KR 1020180061341 A KR1020180061341 A KR 1020180061341A KR 20180061341 A KR20180061341 A KR 20180061341A KR 20190135843 A KR20190135843 A KR 2019013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head
bullet
gun
targe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우
최성준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스콥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콥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콥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843A/ko
Publication of KR2019013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F41H13/0031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for remote electrical discharge by means of a wireless projec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06Ballistically deployed systems for restraining persons or animals, e.g. ballistically deployed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F41H13/0025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for remote electrical discharge via conducting wires, e.g. via wire-tethered electrodes shot at a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범인의 신체에 상해를 주지 않고 전기충격으로 제압하여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포획용 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획용 총기는 화약으로 폭발되어 포획대상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지 않을 정도의 무게와 속도로 발사되는 탄환을 포함하며, 탄환은 본체탄두와 보조탄두를 포함하는 탄두, 탄두를 발사시키는 탄피를 포함하고, 탄두는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고 보조탄환이 개방된다.

Description

포획용 총기{GUN FOR CAPTURE}
본 발명은 포획용 총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경찰관이 범인을 제압하는 무기류는 총기류, 수갑, 최루가스, 테이저건 등이 있다. 총기류는 범인을 제압하는 가장 확실한 도구이기는 하지만 범인이 다칠 수 있고 때로는 사망에 이를 수 도 있다. 수갑은 가장 많이 쓰는 범인을 제압하는 장비이긴 하지만 근접해서 범인을 제압한 후 사용 해야 함으로 제압 시까지 사상의 위험성이 따르고 체류가스 또한 근거리 제압이 필요하고 제압의 효능에서 확실성이 보장 되지 않는다. 테이저건은 근거리에서 전기 충격으로 범인을 확실하게 제압 할 수 있는 무기류이긴 하지만 거리가 아주 가까워야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범인 제압용 무기류들은 경찰관들이 범인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범인의 상해 정도를 고려하여 적극적인 사용을 자제하게 만들어서 경찰관들의 피해가 발생될 수 도 있다. 특히 빠르게 도주하는 범인을 제압하는 과정에서는 총기를 사용 할 수밖에 없는데 이런 경우 죄의 경중에 따라 총기사용 여부를 고민하게 되고 총기사용 결과를 고려하게 되어서 범인을 제압하는데 많은 애로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테이저건은 연속 발사가 최대 2번까지만 가능하고 그 이상의 발사를 위해서는 카트리지를 갈아 끼워 주어야 하는 시간이 소요되 연속 발사에 제한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범인의 신체에 상해를 주지 않고 전기충격으로 제압하여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포획용 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획용 총기는 화약으로 폭발되어 포획대상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지 않을 정도의 무게와 속도로 발사되는 탄환을 포함하며, 탄환은 본체탄두와 보조탄두를 포함하는 탄두, 탄두를 발사시키는 탄피를 포함하고, 탄두는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고 보조탄환이 개방된다.
탄환이 탄두와 탄피로 구분됨에 따라 기존 총과 동일하게 탄창에 탄환을 저장하여 연속 발사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전기충격으로 2차 제압의 여부를 무선제어를 통해 전기충격에 인한 치명적인 상해의 위험을 최소화시켜, 테이저건 대비 물리적 제압이 1차적으로 가해지고 2차 전기충격에 의한 제압은 제어되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인 포획용 탄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탄두가 활강하여 타겟을 포획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탄환과 결합된 와이어 두 줄과 금속돌기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총열의 강선이 탄환의 날개가 고정되어 날아갈 수 있도록 강선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인 포획용 탄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탄두가 활강하여 타겟을 포획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탄환과 결합된 와이어 두 줄과 금속돌기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총열의 강선이 탄환의 날개가 고정되어 날아갈 수 있도록 강선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획용 총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범인 포획 및 전기충격으로 제압하는 총에 관한 것으로 화약 총기류에 하나의 본체탄두에 두 개의 보조 탄두를 전기 충격이 가능한 두 개의 와이어로 연결해서 하나의 본체탄두를 발사시키고 발사 후 보조탄환이 분리되면서 목표물을 감싸고 그 와이어에 설치된 갈고리형태의 금속 돌기가 옷 또는 피부에 박힘으로써 포획 및 전기충격 제압이 가능한 총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탄환에 두 줄의 와이어가 결합된 두 개의 보조 탄두가 개방되어 목표물을 포획하고, 목표물 포획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근거리는 목표물에 도달하기 전 총구에서 탄환이 빠져나간 이후 보조탄환이 개방되며, 원거리는 목표물 도달까지 거리의 70~80% 전에 보조탄환이 개방된다. 두 개의 보조탄환은 두 줄씩 연결된 전도성 와이어로 결합되어 있으며, 와이어에는 엇갈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금속 돌기가 있어 범인의 옷 또는 피부에 접착 된다. 두 개의 보조탄환은 서로 길이가 다른 전도성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 보조 탄환끼리의 충돌을 방지해 포획이 불가능하게 되는 기능 상실의 확률이 최소화 되며, 보조 또는 본체 탄환에는 배터리가 포함되어 전도성 와이어로 전기가 흐르게 하여 전기충격으로 완전한 제압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조탄환의 또는 본체 탄환의 배터리에 적절한 센서를 적용해 조작자가 총에 있는 버튼으로 전기충격 on/off를 무선제어 가능하도록 하여, 목표물이 전기충격에 의해 입을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인 포획 총은 근거리 및 원거리를 도주하는 범인을 포획하고 포획 시 다시 전기 충격으로도 2차적 제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범인제압 총기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범인을 제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해, 범인 포획 총의 탄창에 여러 개의 탄환을 장착해 연속 발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범인 포획의 가능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편리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인 포획 총은 탄환의 무게와 속도를 정밀히 구성하여 인체에 상해를 입히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발사되는 화약폭발 탄환을 만들되 그 탄환은 탄두를 발사시키는 탄피와 하나의 탄두에 본체탄두와 보조탄두로 구성된다. 발사되었을 시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고 보조탄환이 개방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사정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방식에서 발사되었을 시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지만 발사된 시점으로부터 0.x초 후 본체탄두 내부의 보조 화약(5) 폭발로 인해 보조탄두가 활강 방향과 직각으로 발사되게 한다.
사정거리를 총기에 결합된 센서가 계산하는 방식에서 발사되었을 시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지만 목표물 포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발사 전 총기에 결합된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부터 계산된 설정 값을 통해 본체탄두 내부의 보조 화약(5) 폭발이 목표물과의 거리 70~80%에서 발생되어 보조탄두가 활강 방향과 직각으로 발사되게 한다.
사정거리를 탄두가 계산하는 방식에서 발사되었을 시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지만, 탄두의 센서가 목표물과의 거리를 감지해 목표물 도달 70~80% 전에 본체탄두 내부의 보조 화약(5) 폭발이 발생되어 보조탄두가 활강 방향과 직각으로 발사되게 한다.
사정거리를 계산하지 않는 방식에서 발사되었을 시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어 목표물에 도달할 경우 본체탄두 내부의 보조 화약(5) 폭발로 인해 보조탄두가 활강방향과 직각으로 발사되게 한다.
한편, 일반 화약총과 같은 원리로 발사체의 공이로 탄환의 뇌관을 쳐서 탄환을 발사 시키는 총을 구성하되, 탄환이 총열을 지나가는 방식을 양쪽에 날개(15)가 달린 탄환이 총열의 강선홈(14)을 따라 본체를 똑바로 유지하면서 발사되어 직진 활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탄환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체 탄환(1)은 양쪽에 날개(15)가 장착되어 타겟으로 발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보조 탄두가 좌우로 발사되게 하며, 상하로 발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조탄두 발사부터 타겟 도달까지의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사정거리를 총기에 결합된 센서가 계산하는 방식에서
1. 총기로 타겟을 조준 시 총기에 장착된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타겟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측정된 거리로 적정거리 보조탄환 발사 시점을 계산하여, 본체 탄환이 타겟에 도달하기 전에 보조탄두의 보조 화약폭발을 유도하는 장치를 조작한다.
2. 총기의 방아쇠를 당겨 총기의 공이(not shown)가 본체탄환의 뇌관(3)을 가격하여 탄피(2)의 화약(4)이 폭발하게 된다.
3. 본체 탄환의 날개(15)는 총열(16)의 강선홈(14)을 따라 직진(회전하지 않는) 활강을 시작한다.
4. 본체 탄환이 타겟에 도달하기 전 1항 에서 조작한 보조탄두의 보조 화약폭발 유도장치가 동작되어 보조 화약(5)이 폭발하며. 보조탄두가 활강 방향과 직각으로 발사되게 한다.
5. 본체 탄환이 타겟에 도달하면, 활강 방향과 지각으로 발사된 보조탄두(8)가 연결된 금속 와이어(11,12)가 타겟의 몸체를 감싸 포획하게 된다.
사정거리 고정형 방식에서
1. 총기의 방아쇠를 당겨 총기의 공이(not shown)가 본체탄환의 뇌관(3)을 가격하여 1차 탄피(2)의 화약이 폭발하게 된다.
2. 탄피의 화약이 폭발하면서 본체탄환과 연결된 공이(9)가 1차 화약폭발의 힘으로 본체탄환 내부의 보조 화약(5) 방향으로 발사된다.
3. 보조화약(5)의 폭발이 총기의 총열(16)에서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이(9)의 표면에는 지연제가 존재한다.
4. 본체 탄환의 날개(15)는 총열(16)의 강선홈(14)을 따라 직진(회전하지 않는) 활강을 총열을 지나 본체 탄환의 날개로 인해 직진(회전하지 않는) 활강을 시작하며, 보조 화약(5) 폭발이 발생되어 보조탄두가 활강 방향과 직각으로 발사되게 한다.
5. 본체 탄환이 타겟에 도달하면, 활강 방향과 지각으로 발사된 보조탄두(8)가 연결된 금속 와이어(11,12)가 타겟의 몸체를 감싸 포획하게 된다.
한편, 두 개의 보조탄두는 본체 탄두와 두 줄의 전도성의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로 연결된 보조탄두가 활강해 목표물에 감기는 물리적 기능 수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가벼운 무게를 갖고 쉽게 끊어지지 않는 튼튼한 재질로 하며, 목표물을 감쌀 때 보조탄환끼리 충돌해서 포획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쪽의 길이는 길게 한쪽은 짧게 길이를 갖도록 한다.
보조탄두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두 줄의 와이어로 연결되어야 하고 그 와이어는 그림과 같이 돌출된 뾰족하고 갈고리 형태의 전도체 금속돌기가 있어서 옷을 입었을 경우는 옷에 박혀 와이어가 목표물을 감쌀 때 와이어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와이어가 한 개 일 때보다는 목표물과 접촉가능 면적이 넓어 목표물 한다. 와이어 두 줄이 금속돌기 때문에 엉키지 않도록, 도 3의 와이어1(11)과 와이어2(12)의 돌출된 금속돌기(13)처럼 엇갈리는 간격으로 금속돌기가 위치하도록 한다.
보조탄두(8) 또는 본체탄환(1)의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해서 두 개의 와이어(11,12)에 설치된 전도체 금속돌기가 목표물의 피부에 닿거나 파고 들었을 시 전기 충격을 가하는 기능이 있어 2차 제압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목표물과 충돌 시 본체탄환(1)이 충격의 반동으로 튕겨져 나가는 일이 없도록 보조탄두(8)의 무게보다 가볍도록 디자인하며, 필요시 본체탄환(1)의 nose(7)에 hooks를 위치시켜 목표물에 잘 engage하도록 보완한다.
보조탄두(8) 또는 본체탄환(1)의 내부에 적절한 센서(not shown)가 위치해, 총 몸체에 있는 무선제어기(not shown)로 전기충격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조작자가 전기충격의 여부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주하는 범인을 제압, 포획하는 또는 수갑 또는 테이저건으로 제압하기 힘든 원거리의 범인을 제압, 포획 하는 총기로 기존 경찰들이 범인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범인의 상해 정도를 고려하여 적극적인 사용을 자제하게 만들어서 경찰관들의 피해가 발생될 수 도 있고 특히 빠르게 도주하는 범인을 제압하는 과정에서는 총기를 사용 할 수밖에 없는데 이런 경우 죄의 경중에 따라 총기사용 여부를 고민하게 되고 총기사용 결과를 고려하게 되어서 범인을 제압하는 것을 주저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고, 흉기를 들고 저항하는 범인을 테이저건 사정거리 밖에서 제압할 수 있어서 살상용 실탄발사 사전에 사용 할 수 있는 살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총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인 포획 및 전기충격으로 제압하는 총기는, 기본적으로 탄환과 다수의 탄환을 장전할 수 있는 총으로 구성된다. 탄환에는 두 줄의 전도성 와이어가 결합된 두개의 보조 탄두가 개방되어 목표물을 포획하는데 있어서 목표물 도달까지 거리에 따라 70 ~ 80 % 전에 보조탄환이 개방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보조탄환이 좌우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 탄환의 양쪽에 날개가 장착되어 총열의 강선홈을 따라 본체를 똑바로 유지하면서 발사되어 탄환의 회전을 방지해 직진활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두 줄의 전도성 와이어는 두 개의 보조탄두가 목표물을 감싸며 포획할 시 서로 부딪히는 확률을 최소화 하기 위해 좌우 금속 와이어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와이어에는 엇갈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금속 돌기가 있어 범인의 옷 또는 피부에 접착 된다. 보조 또는 본체 탄환에는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어, 연결된 금속 와이어로 전기가 흐르게 하여 전기충격으로 2차적인 제압이 가능하도록 하고, 센서를 적용해 전기충격 on/off를 무선제어 가능하게 하는데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도주하는 범인을 제압, 포획하는 또는 수갑 또는 테이저건으로 제압하기 힘든 원거리의 범인을 제압, 포획 하는 총기로 기존 경찰들이 범인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범인의 상해 정도를 고려하여 적극적인 사용을 자제하게 만들어서 경찰관들의 피해가 발생될 수 도 있고 특히 빠르게 도주하는 범인을 제압하는 과정에서는 총기를 사용 할 수밖에 없는데 이런 경우 죄의 경중에 따라 총기사용 여부를 고민하게 되고 총기사용 결과를 고려하게 되어서 범인을 제압하는 것을 주저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고 흉기를 들고 저항하는 범인을 테이저건 사정거리 밖에서 제압할 수 있어서 살상용 실탄발사 사전에 사용 할 수 있는 살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총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탄환이 탄두와 탄피로 구분됨에 따라 기존 총과 동일하게 탄창에 탄환을 저장하여 연속 발사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전기충격으로 2차 제압의 여부를 무선제어를 통해 전기충격에 인한 치명적인 상해의 위험을 최소화시켜, 테이저건 대비 물리적 제압이 1차적으로 가해지고 2차 전기충격에 의한 제압은 제어되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탄환 2: 탄피
3: 뇌관 4: 화약
5: 보조화약 6: 후크 전선
7: 노즈 8: 보조탄두
9: 공이 10: 컵
11: 제1 와이어 12: 제2 와이어
13: 금속돌기 14: 강선홈
15: 날개

Claims (1)

  1. 화약으로 폭발되어 포획대상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지 않을 정도의 무게와 속도로 발사되는 탄환
    을 포함하며,
    상기 탄환은
    본체탄두와 보조탄두를 포함하는 탄두,
    상기 탄두를 발사시키는 탄피를 포함하고,
    상기 탄두는 하나의 탄두로 동시 발사되고 상기 보조탄환이 개방되는 포획용 총기.
KR1020180061341A 2018-05-29 2018-05-29 포획용 총기 KR20190135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41A KR20190135843A (ko) 2018-05-29 2018-05-29 포획용 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41A KR20190135843A (ko) 2018-05-29 2018-05-29 포획용 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843A true KR20190135843A (ko) 2019-12-09

Family

ID=6883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341A KR20190135843A (ko) 2018-05-29 2018-05-29 포획용 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8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325B1 (en) Duplex weapon system
US7694619B2 (en) Low lethality firearm and relative method for shooting a low lethality bullet
KR920004613B1 (ko) 휴대용 총기의 산탄
US8484876B2 (en) Firearms for launching electrified projectiles
CN109477707B (zh) 缠结抛射体及用于其用途的系统
US20140331884A1 (en) 40mm door-breaching grenade
RU22372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ламывания двери, защит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пособ минимизации отлета назад хвостового оперения
DK3234496T3 (en) BLAST HEAD FOR GENERATING AN EXPLOSION IN AN EXTENSION OF A TARGET SURFACE
WO2009025575A1 (fr) Arme de poing à électrochocs à cartouches multiples, fonctionnant par contact et à distance, et cartouche standard pour cette arme
US20170122713A1 (en) Apparatus and System to Counter Drones Using Semi-Guided Fragmentation Rounds
US2939449A (en) Launching device and rocket propelled missile therefor
US8544203B2 (en) Laser aimed small arms ammunition
US3128670A (en) Flashless non-recoil gun and round
US9671204B2 (en) Rifle grenade using bullet trap
US3897729A (en) Cartridge for firearms
US7481145B1 (en) Cruise munitions detonator projectile
KR20190135843A (ko) 포획용 총기
US4091736A (en) Incapacitating anti-personnel smallarms projectile
US20180045478A1 (en) Single 40 mm projectile launcher
RU2459175C1 (ru) Патрон
JP2003515088A (ja) 小火器
US20170205214A1 (en) Dual-mode Projectile
RU2537367C2 (ru) Выпрыгивающий боеприпас с управляемой дистанцией подрыва и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его
CN211205062U (zh) 一种军警制式枪械专用追捕弹
CN212058482U (zh) 绳索远程抓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