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795A -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 Google Patents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795A
KR20190135795A KR1020180061238A KR20180061238A KR20190135795A KR 20190135795 A KR20190135795 A KR 20190135795A KR 1020180061238 A KR1020180061238 A KR 1020180061238A KR 20180061238 A KR20180061238 A KR 20180061238A KR 20190135795 A KR20190135795 A KR 20190135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vc
pipe
pressing cover
piping
pip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김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태 filed Critical 김광태
Priority to KR102018006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795A/ko
Publication of KR2019013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7/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7/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7/04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J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천정벽면 등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CPVC 배관을 벽면에 간접적으로 고정하여 지진 발생시 건축물과 CPVC 배관이 함께 유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CPVC 배관이 독립적으로 유동함에 따른 CPVC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Anti-shake brace of earthquake-proof for CPVC piping}
본 발명은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천정벽면 등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CPVC 배관을 벽면에 간접적으로 고정하여 지진 발생시 건축물과 CPVC 배관이 함께 유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CPVC 배관이 독립적으로 유동함에 따른 CPVC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벽면 등지에는 화재발생 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해 스프링클러 및 용수의 공급을 위한 배관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는 상기 배관들은 금속재 배관을 주로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CPVC 배관(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배관)들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CPVC 배관은, PVC보다 염소 함량을 10%가량 높인 CPVC를 압출 성형한 것으로, 금속재 배관에 대비하여 우수한 내식성을 겸비하면서 열과 압력에도 강하고 특히 무게가 가벼워 시공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당분야에서는 건축물의 벽면과 배관 사이에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마련하여, 상기 건축물 내에 배치된 CPVC 배관을 건축물의 천정벽면 등지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암부와 상기 지지암부에 고정되며, 배면의 외경면을 압박하여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통해 배관은 건축물의 벽면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통해 배관을 건축물의 벽면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면, 지진 발생시 건축물이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CPVC 배관은 독립적으로 유동하지 아니하고 건축물과 함께 흔들리게 되므로, 건축물 내에 배치된 CPVC 배관이 손상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건축물 내에 설치된 CPVC 배관은 금속재 배관과 달리, 항목점 이상의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면 파열이나 균열이 야기될 수 있는 한계성을 갖는다.
즉, 종래의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배관의 하중으로 인해 클램프가 이루고 있는 아치형태 또는 타원형태가 쉽게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하여 배관의 파손이나 크랙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CPVC 배관을 금속재로 이루어진 클램프를 통해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압박과정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CPVC 배관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고, 특히 지진 발생시 CPVC 배관의 유동에 의해 CPVC 배관이 물리적으로 손상되거나 금속재로 제작된 금속재 클램프의 변형이 야기되어, CPVC 배관의 압박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재 클램프는 재질 특성상 CPVC 배관 사이의 안정적인 마찰상태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관계로, 금속재 클램프들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된 CPVC 배관이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여 요하는 CPVC 배관의 안정적인 고정이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KR 10-0900729 A KR 10-1830918 B1 KR 10-1429422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으로 인한 건축물의 상하 종방향의 거동을 흡수하여 배관의 상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배관의 보호 및 누수를 방지하는 것으로, 건축물 내에 배치된 CPVC 배관을 사방향으로 안정되게 버팀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CPVC 배관을 보호하고, 또 시공을 요하는 CPVC 배관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C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CPVC 배관의 외경면을 분할되게 압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 및
상기 베이스와 배관 압박커버를 상하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암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배관 압박커버는, 승강공이 형성된 플렌지편 사이에 아치형의 그립부가 일체로 형성된 CPVC(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재질의 성형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암부는 베이스의 양편에 상단부를 고정하여 베이스의 양편에 직립되게 고정되고, 배관 압박커버의 양편에 형성된 플렌지편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PVC 재질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는 사출, 또는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암은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전산볼트로 이루어진 지지암에는 상부 배관 압박커버의 플렌지편을 하향 압착하는 상부 지지너트와, 하부 배관 압박커버의 플렌지편을 상향 압착하는 하부 지지너트가 각각 체결된다.
또한, 상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의 내경면과, 상기 배관 압박커버에 의해 분할되게 감싸진 CPVC 배관의 외경면 사이에는 신충성 재질의 마찰패드가 배치되거나, 상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의 내경면과, 상기 배관 압박커버에 의해 분할되게 감싸진 CPVC 배관의 외경면 사이에는 CPVC 접착제로 이루어진 CPVC 접착층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CPVC 배관을 분할되게 감싸는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가 지지암에 의해 양편이 각각 버팀되어, 배관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되고, 또 상기 배관 압박커버의 압착에 의해 CPVC 배관이 전후방향으로 버팀되므로, 본 발명은 CPVC 배관을 사방향으로 안정되게 버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배관 압박커버를 금속재로 제작하지 아니하고, CPVC 배관과 동일한 CPVC 재질로 제작된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CPVC 배관과 배관 압박커버 사이의 탄성을 통해 지진 발생시 CPVC 배관의 물리적인 손상이 예방되고, 또 CPVC 배관의 흔들림에 의해 배관 압박커버가 물리적으로 소성 변형되어 CPVC 배관의 버팀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암을 전산볼트로 구성하여,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는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과 압착상태가 설정되므로, 다양한 높이로 설치되는 CPVC 배관에 공용된 설치가 가능하고, 또 상기 전산볼트로 이루어진 지지암은 배관 압박커버의 양편을 각각 지지하므로 CPVC 배관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순차적인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순차적인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CPVC 배관 흔들림 방지 버팀대(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정벽면 등 건축물의 벽면(W)에 고정되어 건축물 내에 시공된 CPVC 배관(P)을 고정하여서, 지진 발생시 CPVC 배관(P)이 독립적으로 흔들려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기구물이다.
상기 CPVC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정벽면 등의 벽면(W)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10)와; CPVC 배관(P)의 외경면을 분할되게 압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 및 상기 베이스(10)와 배관 압박커버(30A, 30B)를 상하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암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베이스(10)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11)이 형성된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베이스(10)는 건축물의 벽면에 밀착되게 고정된 다음, 벽면(W)과 고정 베이스(10)의 설치공(11) 사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B)에 의해 벽면(W)에 안정되게 밀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암부(20)는 고정 베이스(10)의 양편에 상단부를 고정하여 고정 베이스(10)의 양편에 직립되게 설치된 한 쌍의 지지암(20A, 20B)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베이스(10)의 좌우 양편에는 지지암(20)의 상단을 고정하는 암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암(20A, 20B))은 고정 베이스(10)의 좌우 양편에 형성된 암 고정부(12)에 상단부를 고정하여 고정 베이스(10)의 좌우 양편에 하향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설치공(11)은 지지암(20A, 20B)이 직립되게 고정되는 암 고정부(12) 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시공과정에 설치공(11), 및 설치공(11)에 삽입된 앵커볼트(B)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고정 베이스(10) 상에, 암 고정부(12)를 양편 내측에 형성하고, 설치공(11)을 양편 외측에 형성하면, 암 고정부(12)에 직립되게 고정된 지지암(20A, 20B)과의 간섭없이 안정되게 시야와 작업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설치공(11)에 삽입된 앵커볼트(B)를 통해 고정 베이스(10)를 벽면(W)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암 고정부(12)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형로 구성되어 외경에 나사산(21)이 형성된 지지암(20A, 20B)의 상단부를 체결을 통해 고정할 수도 있고, 중공부쉬로 이루어져 지지암의 상단부를 중공부쉬 내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베이스(10)에 너트형의 암 고정부(12)를 형성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산볼트로 이루어진 지지암(20A, 20B)의 상단부가 체결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 고정부(12)를 통해 고정 베이스(10)에 직립되게 조립된 지지암(20)의 상단부는 용접을 통해 고정 베이스(10)의 양편에 보다 안정된 고정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암(20A, 20B)들에는 상부 배관 압박커버(30A)와 하부 배관 압박커버(30B)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가 상하 대칭되게 배치되어, 배관 압박커버(30A, 30B)들에 의해 CPVC 배관(P)은 외경면이 분할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어서, 좌우 및 전후를 포함하는 사방향으로 버팀되도록 한다.
상기 배관 압박커버(30A, 30B)는, 승강공(31a)이 형성된 플렌지편(31) 사이에 만곡지게 절곡된 아치형의 그립부(32)가 일체로 형성된 성형품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관 압박커버(30A, 30B)들은 고정 베이스(10)의 양편에 하향 직립되게 설치된 지지암(20A, 20B)을 승강공(31a)이 형성된 플렌지편(30)에 관통하여 좌우 이격된 지지암(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들은 좌우 이격된 지지암(20A, 20B) 사이에 상하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하 대칭하는 아치형의 그립부(32)를 통해 배관 압박커버(30A, 30B) 사이에 배치된 CPVC 배관(P)의 외경면을 분할되게 감싸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암(20A, 20B)을 외경에 나사산(21)이 형성된 전산볼트로 구성하고, 상기 전산볼트로 이루어진 지지암(20A, 20B)에는 상부 지지너트(22)와 하부 지지너트(23)를 각각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지지너트(22)와 하부 지지너트(23)의 체결에 의해 지지암(20A, 20B) 사이에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 배관 압박커버(30A, 30B)들의 고정 높이의 설정과, 배관 압박커버 사이에 배치된 CPVC 배관(P)의 압박 고정이 이룩된다.
즉, 상기 CPVC 배관(P)은 좌우 이격된 지지암(20A, 20B)에 플렌지편을 밀착한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들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버팀되고, 배관 압박커버(30A, 30B)에 의한 압박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버팀되어서,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 사이에 압착하여 고정된 CPVC 배관(P)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을 포함하는 4방향 버팀상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CPVC 배관(P)을 압착하여 4방향으로 버팀하는 배관 압박커버(30A, 30B)를 금속재로 제작하지 아니하고, 압박 고정을 요하는 CPVC 배관(P)과 동일한 CPVC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30A, 30b)는, CPVC 재질의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CPVC 재질의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CPVC 재질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의 전후 폭(l)은, CPVC 배관(P)의 직경(L)의 1/2 이상을 갖는 광폭으로 구성하여, CPVC 재질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와, 상기 배관 압박커버(30A, 30B)에 의해 분할 압박하여 고정된 CPVC 배관의 접촉 고정 면적이 증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배관 압박커버(30A, 30B)를 CPVC 재질로 구성하면, CPVC 배관(P)과 배관 압박커버(30A, 30B) 사이에 향상된 밀착성이 확보되고, 또 CPVC 배관(P)과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30A, 30B)의 자체 탄성에 의해 배관 압박커버(30A, 30B) 및 CPVC 배관(P)의 물리적인 변형이나 파손이 탄력적으로 해소된다.
즉, 상기 CPVC 재질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는 금속재로 제작된 배관 압박커버와 달리 외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거나 과도한 강도에 의해 CPVC 배관(P)의 물리적 손상을 야기하지 아니하며, 특히 자체 탄력에 의해 CPVC 배관(P)을 긴밀하게 압박 고정하여서 CPVC 배관(P)의 탄력적인 사방향 버팀상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와 같이 상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30A, 30B)의 내경면과, 상기 CPVC 클램프(30A, 30b)에 의해 분할되게 감싸진 CPVC 배관의 외경면 사이에는 CPVC 접착제로 이루어진 CPVC 접착층(34)을 형성하여,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 배관 압박커버(30A, 30B)와 CPVC 배관(P)은 CPVC 접착제를 통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5b와 같이 상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30A, 30B)의 내경면과 상기 배관 압박커버(30A, 30B)에 의해 분할되게 감싸진 CPVC 배관(P)의 외경면 사이에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신축성 재질의 탄성 마찰패드(34)를 배치하여서, CPVC 배관(P)의 탄력적인 결속상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마찰패드(34)는 하부 배관 압박커버(30A)의 아치형 그립부 내경면에 배치되는 하부 탄성 마찰패드와, 상부 배관 압박커버(30B)의 그립부 내경면에 배치되는 상부 탄성 마찰패드로 분리 구성되어, CPVC 배관의 외경면을 분할되게 감싸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배관 압박커버(30A, 30B)의 내경면과 상기 CPVC 재질의 배관 압박커버(30A, 30B)에 의해 분할되게 감싸진 CPVC 배관(P)의 외경면을 CPVC 접착층(33)을 통해 접착하여 고정하거나, 탄성 마찰패드(34)를 통해 탄성 압착하여 고정하면, 배관 압박커버(30A, 30B)들과 CPVC 배관(P) 사이의 보다 긴밀한 밀착상태가 확보되고, 결과적으로 지진 발생시 배관 압박커버(30A, 30B)들에 의해 클램핑된 CPVC 배관(P)이 전후방향으로 CPVC 배관(P)이 유동하는 현상이 보다 안정되게 방지될 수 있다.
1. CPVC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10. 고정 베이스 11. 설치공
12. 암고정부
20. 지지암부
20A, 20B. 지지암 21. 나사산
22. 상부 지지 너트 23. 하부 지지 너트
24. 풀림 방지너트
30A, 30B. CPVC 배관 압박커버 31. 플렌지편
31a. 승강공 32. 아치형 그립부
33. CPVC 접착층 34. 탄성 마찰패드
B. 앵커볼트 CP. CPVC 배관
W. 벽면

Claims (6)

  1.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CPVC 배관의 외경면을 분할되게 압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배관 압박커버; 및
    상기 베이스와 배관 압박커버를 상하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암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 배관 압박커버는, 승강공이 형성된 플렌지편 사이에 아치형의 그립부가 일체로 형성된 CPVC(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재질의 성형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부는 베이스의 양편에 상단부를 고정하여 베이스의 양편에 직립되게 고정되며, 배관 압박커버의 양편에 형성된 플렌지편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VC 재질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는 사출, 또는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암은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전산볼트로 이루어진 지지암에는 상부 배관 압박커버의 플렌지편을 하향 압착하는 상부 지지너트와, 하부 배관 압박커버의 플렌지편을 상향 압착하는 하부 지지너트가 각각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의 내경면과, 상기 배관 압박커버에 의해 분할되게 감싸진 CPVC 배관의 외경면 사이에는 신충성 재질의 마찰패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VC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 압박커버의 내경면과, 상기 배관 압박커버에 의해 분할되게 감싸진 CPVC 배관의 외경면 사이에는 CPVC 접착제로 이루어진 CPVC 접착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20180061238A 2018-05-29 2018-05-29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20190135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238A KR20190135795A (ko) 2018-05-29 2018-05-29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238A KR20190135795A (ko) 2018-05-29 2018-05-29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795A true KR20190135795A (ko) 2019-12-09

Family

ID=6883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238A KR20190135795A (ko) 2018-05-29 2018-05-29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7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8018A (zh) * 2020-05-18 2020-11-13 浙江甬泰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数据汇总功能的抗震支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29B1 (ko) 2007-06-25 2009-06-02 강성선 천장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429422B1 (ko) 2014-02-18 2014-08-1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장치
KR101830918B1 (ko) 2017-01-17 2018-02-21 (주)융도엔지니어링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접속배관의 서포트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29B1 (ko) 2007-06-25 2009-06-02 강성선 천장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429422B1 (ko) 2014-02-18 2014-08-1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축배관 고정장치
KR101830918B1 (ko) 2017-01-17 2018-02-21 (주)융도엔지니어링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접속배관의 서포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8018A (zh) * 2020-05-18 2020-11-13 浙江甬泰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数据汇总功能的抗震支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US10935164B2 (en) Device for supporting horizontal pipe in four directions
KR20100066099A (ko) 내진패킹을 구비한 배관고정장치
KR20230113252A (ko)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20190135795A (ko) Cpvc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1918746B1 (ko)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KR101862069B1 (ko) 방진 및 내진용 설비 거치대의 구조.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KR102098825B1 (ko) 내진용 횡방향 및 종방향 버팀대
KR101957822B1 (ko) 내진성능을 가지는 아파트 벽체구조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KR102153214B1 (ko) 내진용 소방 배관 연결구
KR20180113692A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KR20200000026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20200122125A (ko) 물탱크용 내진 고정브래킷 어셈블리
JP6021248B2 (ja) ハンガー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天井の下地構造
KR102063981B1 (ko) 배관용 행거장치
JP2018186440A (ja) アンテナ設置用の支持金具
KR200491645Y1 (ko) 분할 완충구가 구비된 배관용 방진행거
JP2017203281A (ja) クリップ補強金具
CN210014090U (zh) 一种抗震支架结构连接件
JP6454898B1 (ja) 複数の配管吊下支持具を具備する配管の吊下支持構造
JP6561418B2 (ja) 複数の配管吊下支持具を具備する配管の吊下支持構造
CN214662892U (zh) 一种带有防脱夹具的抗震支架
KR102017860B1 (ko) 소방용 배관의 흔들림 방지 연결 지지대용 체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