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264A -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264A
KR20190135264A KR1020180060525A KR20180060525A KR20190135264A KR 20190135264 A KR20190135264 A KR 20190135264A KR 1020180060525 A KR1020180060525 A KR 1020180060525A KR 20180060525 A KR20180060525 A KR 20180060525A KR 20190135264 A KR20190135264 A KR 2019013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vehicle charging
rotation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148B1 (ko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6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1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위에 설치되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는 충전기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에 충전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내연기관을 갖는 일반 차량과 달리, 전기차는 연료, 즉 전기를 충전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충전시간 동안 전기차를 주차하는 주차 영역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주차장에 전기 충전기를 구비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주차 공간이 별도로 구획되어 있다. 하지만, 주차장에 다수의 전기차들이 충전을 위해 대기하는 경우에, 충전을 위해서는 주차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전기차 전용 주차 공간에 일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기차 충전이 불가한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주차 공간이 구획된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에서 전기차에 충전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차 충전 장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위에 설치되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는 충전기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는 회전 구동부 및 구동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회전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회전력을 상기 충전기 본체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충전기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폐루프(closed loop)의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은 주차 공간들 및 전기차 충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상기 주차 공간들로 둘러 싸인다.
또한,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바닥부 및 충전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바닥부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주차 공간들과 대향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공간들은 다수의 행들 및 다수의 열들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공간들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회전 구동부 및 구동축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회전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회전력을 상기 충전기 본체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장치의 충전기 본체는 그 주변에 구비된 주차 공간들에 주차된 전기차들과 대향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주변의 주차 공간에 전기차를 주차하더라도, 전기차 충전 장치가 해당 전기차에 대향되도록 전기차 충전 장치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차를 충전하는 동안에 전기차 충전 장치의 전면에 표시되는 각 종 정보들의 확인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장치 주변에 전기차를 주차하여 충전 차례를 대기한 이후에, 충전장치를 회전시켜 전기차를 바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전용 주차공간에 일반 차량이 주차되어 전기차 충전이 불가한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의 평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장치(200, 이하 '충전장치')는 주차 공간들이 구비된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장치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 장치(200)는 지면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충전 장치(200)는 지면에 수직하는 회전축(8)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 충전 장치(2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 장치(200)는 바닥부(10), 회전 구동부(20), 지지부(40), 구동축(30), 충전기 본체(10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바닥부(10)은 지면 위에 설치되거나, 바닥부(10)은 지면 위에 고정된 다른 구조물 위에 설치된다. 바닥부(10)은 충전기 본체(100)를 지면 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이 실시예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바닥부(10)은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바닥부(10)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0)은 다각형의 판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회전 구동부(2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구동부(20)는 바닥부(10) 위에 설치될 수 있고, 회전 구동부(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충전기 본체(100)를 바닥부(10)에 연결하여 충전기 본체(100)를 바닥부(10)에 지지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0)는 중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축(30)은 회전 구동부(20)의 모터 및 충전기 본체(100)에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구동부(20)로부터 회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력은 구동축(30)에 의해 충전기 본체(100)에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축(30)은 중공형의 형상을 갖는 지지부(4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축(30)의 길이 방향은 바닥부(10)에 수직인 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30)이 회전 구동부(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방향(DR) 또는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구동축(30)과 결합된 충전기 본체(100)는 바닥부(10)에 수직하는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DR) 또는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같이, 충전기 본체(100)가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DR) 또는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 본체(100)가 다수의 주차 공간들로 둘러 싸이는 경우에, 충전기 본체(100)가 회전되어 충전기 본체(100)는 상기 다수의 주차 공간들 중 어떤 주차 공간과도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기 본체(100)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주차 공간들 중 충전기 본체(100)와 대향하는 어떤 하나의 주차 공간에 주차된 전기차를 충전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기 본체(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충전 케이블(5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충전기 본체(100)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전기차에 충전되는 전기 용량, 충전 금액, 예상 충전 시간 및 충전 케이블(50) 연결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충전 케이블(50)은 충전기 본체(100)에 연결된다. 충전 케이블(50)은 충전 단자들을 구비하고, 충전 케이블(50)의 충전 단자들이 전기차의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차에 대한 전기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회전 구동부(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부(60)는 제1 제어버튼(61) 및 제2 제어버튼(62)을 포함하고, 제1 제어버튼(61) 및 제2 제어버튼(62)은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제1 제어버튼(61)을 누르는 경우에 회전 구동부(20)의 모터가 일 회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충전기 본체(100)가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2 제어버튼(62)을 누르는 경우에 회전 구동부(20)의 모터가 역 회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충전기 본체(100)가 회전 방향(DR)의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 제어버튼들(61, 62)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제어버튼(61) 또는 제2 제어버튼(62)을 조작하여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이 충전기 본체(100)의 주변에 주차된 전기차와 대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차를 충전하는 동안에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10)를 응시할 수 있으므로, 전기차의 충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충전기 본체(100)의 주변에 구비된 주차 공간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차를 주차하더라도, 충전기 본체(100)는 제어부(60)를 이용하여 충전기 본체(100)를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차의 충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장치(201, 이하 '충전장치')는 주차 공간들이 구비된 주차장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전력을 충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 장치(201)는 지면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충전 장치(201)는 지면에 수직하는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 도 2에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201)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 장치(201)는 바닥부(10-1), 회전 이동부(70), 지지부(40), 충전기 본체(100), 제어부(70) 및 손잡이들(80,81)을 포함한다.
바닥부(10-1)은 지면 위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0-1)은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바닥부(10-1)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0-1)은 다각형의 판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바닥부(10-1) 위에는 충전기 본체(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5)는 바닥부(10-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가이드부(15)는 바닥부(10-1)의 둘레를 따라 폐루프(close loop)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5)는 바닥부(10-1)의 외부로 노출된 상부면에 바닥부(10-1)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정의된 가이드 홈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이동부(70)에 구비된 바퀴들(미도시)이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회전 이동부(70)의 구조 및 동작에 따르면, 충전기 본체(100)는 바닥부(10-1)의 둘레를 따라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5)는 바닥부(10-1)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가이드 홈이나, 본 발명이 가이드부(15)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5)는 바닥부(10-1) 위에 설치된 레일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5)는 바닥부(10-1) 위에 설치된 체인 일 수 있다. 가이드부(15)가 체인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회전 이동부(70)에 구비된 걸림쇠가 체인에 체결되어 체인의 구동에 따라 충전기 본체(100)가 회전 방향(DR)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이동부(70)는 가이드부(15)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닥부(10-1) 위에 설치되고, 회전 이동부(70)는 지지부(40)에 의해 충전기 본체(100)와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이동부(70)는 가이드부(15)를 정의하는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바퀴(미도시) 및 바퀴와 결합되어 바퀴 측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 이동부(70)는 가이드부(15)를 따라 이동되어 회전 이동부(70)에 연결된 충전기 본체(100)가 가이드부(15)를 따라 바닥부(10-1) 위에서 회전방향(DR)을 따라 회전된다.
제어부(70)는 회전 이동부(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부(70)는 제1 제어버튼(71) 및 제2 제어버튼(72)을 포함하고, 제1 제어버튼(71) 및 제2 제어버튼(72)은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제1 제어버튼(71)을 누르는 경우에 회전 이동부(70)의 모터가 동작하여 충전기 본체(100)가 회전 방향(DR)으로 회전되고, 사용자가 제2 제어버튼(72)을 누르는 경우에 회전 이동부(70)의 동작이 중지되어 충전기 본체(100)의 회전이 중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제어버튼(71) 및 제2 제어버튼(72)을 조작하여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이 충전기 본체(100)의 주변에 주차된 전기차와 대향되도록 충전기 본체(1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전 이동부(7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충전기 본체(100)에 고정된 손잡이들(80,81)을 파지하고, 사용자가 충전기 본체(100)에 힘을 가하여 충전기 본체(1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충전기 본체(100)가 작동하여 전기차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에, 충전기 본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이동부(70)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제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전 이동부(70)의 구조가 생략되고, 충전기 본체(100)의 하부에 가이드부(15)에 수용되는 바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의 평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500)은 제1 내지 제8 주차 공간들(A1 내지 A8)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8 주차 공간들(A1 내지 A8)은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4 주차 공간들(A1 내지 A4)이 순차적으로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행의 주차 공간을 구성하고, 제5 내지 제8 주차 공간들(A5 내지 A8)이 순차적으로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제2 행의 주차 공간을 구성한다. 또한, 제1 및 제5 주차공간들(A1, A5)이 제1열을 구성하고, 제2 및 제6 주차공간들(A2, A6)이 제2열을 구성하고, 제3 및 제7 주차공간들(A3, A7)이 제3열을 구성하고, 제4 및 제8 주차공간들(A4, A8)이 제4열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차 충전 장치(200)는 상기 제1 행 및 상기 제2 행 사이에 위치하고, 전기차 충전 장치(200)는 상기 제2 열 및 상기 제3 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 장치(200)는 제1 내지 제8 주차공간들(A1 내지 A8)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장치(200)는 바닥부(10) 및 바닥부(10) 위에 설치된 충전기 본체(100)를 포함하고, 충전기 본체(100)는 충전 케이블(50)을 포함한다. 또한, 충전기 본체(100)는 바닥부(10) 위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주차공간(A2)에 제1 전기차(160)가 주차되고, 제6 주차공간(A6)에 제2 전기차(165)가 주차된다. 이 경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이 제2 전기차(165)에 대향하도록 충전기 본체(100)을 회전시킨다. 그 이후에, 충전 케이블(50)을 제2 전기차(165)의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전기차(165)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이 때, 제2 전기차(165)에 대한 충전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0)를 응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각 종 정보, 예를 들어 남은 충전 시간, 충전 비용 및 충전 케이블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충전기 본체(100)에 설치된 특정 모듈, 예를 들면 신용카드 처리 모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2 전기차(165)에 대한 충전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제2 주차 공간(A2)에 주차된 제1 전기차(160)에 대한 충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회전 구동부(20)를 구동하여 충전기 본체(100)를 회전축(도 1의 8)에 대해 회전 방향(DR)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제어버튼(도 1의 61)을 누르는 동안에 회전 구동부(20)가 구동되어 충전기 본체(100)가 제1 전기차(160)와 대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그 이후에, 충전 케이블(50)을 제1 전기차(160)의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전기차(16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이 때, 제1 전기차(160)에 대한 충전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충전기 본체(100)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응시하여 각 종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 및 제6 주차 공간들(A2, A6)뿐만 아니라, 나머지 주차 공간들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해서도 충전기 본체(100)를 해당 전기차에 대향되도록 충전기 본체(1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해당 전기차에 대한 충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501)은 전기차 충전 장치(200)가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501)은 제1 내지 제8 주차 공간들(A1 내지 A8)을 갖되,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8 주차 공간들(A1 내지 A8)은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들(200)에 대해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들(200)의 각각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8 주차 공간들(A1 내지 A8) 중 전기차가 어느 주차 공간에 주차되더라도,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들(200)의 각각을 해당 전기차에 대향하도록 회전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들(200) 중 해당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를 충전하려는 전기차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킨 후에, 전기차에 대한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바닥부 20: 회전 구동부
40: 지지부 50: 충전 케이블
60: 제어부 70: 회전 이동부
15: 가이드부 100: 충전기 본체
110: 디스플레이부 200: 전기차 충전장치
500: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Claims (10)

  1.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위에 설치되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는 충전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회전력을 상기 충전기 본체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충전기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폐루프(closed loop)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6.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에 있어서,
    주차 공간들; 및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 공간들로 둘러 싸이는 전기차 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구비하는 충전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주차 공간들과 대향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공간들은 다수의 행들 및 다수의 열들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공간들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와 상기 충전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상기 회전력을 상기 충전기 본체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KR1020180060525A 2018-05-28 2018-05-28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KR102089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25A KR102089148B1 (ko) 2018-05-28 2018-05-28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25A KR102089148B1 (ko) 2018-05-28 2018-05-28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264A true KR20190135264A (ko) 2019-12-06
KR102089148B1 KR102089148B1 (ko) 2020-03-13

Family

ID=6883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25A KR102089148B1 (ko) 2018-05-28 2018-05-28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1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439B1 (ko) * 2020-06-03 2021-01-08 주식회사 에버온 전기차 충전장치
KR102279220B1 (ko) * 2021-03-26 2021-07-19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충돌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EP3868597A1 (en) 2020-02-18 2021-08-25 BLUE NETWORKS Co., Ltd.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vehicle charging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660B1 (ko) * 2020-04-23 2022-07-29 주식회사에스에이치이 전기자동차용 이동형 충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727A (ja) * 1998-09-09 2000-03-3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JP2012196093A (ja) * 2011-03-17 2012-10-11 Toyota Motor Corp 充電システム
JP2012244707A (ja) * 2011-05-17 2012-12-10 Toyota Motor Corp 充電システム
KR20150130856A (ko) * 2014-05-14 2015-11-24 재단법인 전북자동차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727A (ja) * 1998-09-09 2000-03-3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JP2012196093A (ja) * 2011-03-17 2012-10-11 Toyota Motor Corp 充電システム
JP2012244707A (ja) * 2011-05-17 2012-12-10 Toyota Motor Corp 充電システム
KR20150130856A (ko) * 2014-05-14 2015-11-24 재단법인 전북자동차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8597A1 (en) 2020-02-18 2021-08-25 BLUE NETWORKS Co., Ltd.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vehicle charging station
KR20210105118A (ko) 2020-02-18 2021-08-26 (주)블루네트웍스 전기자동차 충전 주차장 운영 시스템
US11403907B2 (en) 2020-02-18 2022-08-02 Blue Networks Co., Ltd.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vehicle charging station
KR102200439B1 (ko) * 2020-06-03 2021-01-08 주식회사 에버온 전기차 충전장치
KR102279220B1 (ko) * 2021-03-26 2021-07-19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충돌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148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148B1 (ko) 전기차 충전장치 및 이를 갖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KR102181154B1 (ko)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72306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P2905399A1 (en) Movable parking facility
CN106787105A (zh) 无人机车载充电装置及车辆
DE102016209192A1 (de) Elektrofahrzeuge Ladestation
US20220258624A1 (en) System For Use In Docking And Charging Micro-Mobility Electric Vehicles
JP2019165544A (ja) 外部補給装置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CN108909475A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
CN105745117B (zh) 包括送受电单元的车辆
CN112644310B (zh) 电动汽车充电控制方法、电子设备、充电桩充电控制方法及充电桩
CN206217655U (zh) 一种汽车充电机器人
DE102020134352A1 (de) Antriebseinheit für muskelkraftbetriebenes fahrzeug und muskelkraftbetriebnes fahrzeug
CN102145649B (zh) 用于车辆的联轴驱动系统
US10549653B2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KR102426660B1 (ko) 전기자동차용 이동형 충전시스템
CN209320730U (zh) 车辆充电用车载充电装置
US9751420B2 (en) Charging device
US11299236B2 (en) Method for automatic retraction of pedals
CN110409884B (zh) 一种收费停车场用的停车位
WO2009157728A2 (ko) 복수의 얼터네이터와 배터리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KR20210126217A (ko) 전기자동차용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이동체
WO2022040926A1 (zh) 无人车
CN112227796B (zh) 车辆驱动装置的控制装置
US20230056270A1 (en) Mobil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