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213A -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 - Google Patents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213A
KR20190135213A KR1020180060391A KR20180060391A KR20190135213A KR 20190135213 A KR20190135213 A KR 20190135213A KR 1020180060391 A KR1020180060391 A KR 1020180060391A KR 20180060391 A KR20180060391 A KR 20180060391A KR 20190135213 A KR20190135213 A KR 2019013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ressing
machine
ji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나리
Original Assignee
최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나리 filed Critical 최나리
Priority to KR102018006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213A/ko
Publication of KR2019013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4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working-spindles
    • B23C1/045Opposed - spindl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23Q1/76Steadies; Rests
    • B23Q1/763Rotating steadies or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4Rotary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공작물의 면을 가공하기 위한 지그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가공기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지그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회전이 가능하며 공작물이 놓여지는 테이블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공작물의 양측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1가압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에 놓여진 공작물의 상측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가공기 지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Zig for milling machine and mill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공작물의 면을 가공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6개의 면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와 관련된다.
육면체 형상의 공작물의 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거나 공작물의 면에 홈을 가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밀링 장치와 같은 가공기가 사용된다.
밀링 장치와 같은 가공기는 커터를 회전시켜 공작물을 절삭하는 공작기계이다. 이러한 밀링 장치는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하고, 회전하는 커터의 종류에 따라 공작물의 면을 가공하거나 공작물에 홈을 형성하는 가공을 한다.
최근 들어 공작물의 가공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공작물의 양측에서 커터가 공작물을 동시에 가공하는 밀링 장치가 증가되었다. 이러한 밀링 장치는 공작물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커터가 결합되는 주축대가 배치되며 주축대가 공작물을 향하여 직선 이동을 함으로써 공작물의 양측을 한번에 가공하게 된다.
이러한 밀링 장치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2972호가 있다. 선행기술에는 공작물 양측에서 커터를 이용하여 공작물의 2개의 면을 동시에 가공하는 밀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 공작물은 지그에 의해 고정된다.
하지만 선행기술의 밀링 장치에 사용되는 지그는 공작물을 상부에서 눌러주는 역할을 할 뿐이어서 공작물의 다른 면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공작물의 위치를 바꾸어줄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2972호 (2011.11.07)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공작물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공작물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지 않아도 공작물의 면 전체를 가공할 수 있고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게 하는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가공기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지그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회전이 가능하며 공작물이 놓여지는 테이블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공작물의 양측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1가압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에 놓여진 공작물의 상측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가공기 지그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공작물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직선운동이 가능한 제1구동기에 연결되어 공작물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 및 상기 제1가압부재와 협동하여 공작물을 가압하고 회전운동이 가능한 제2구동기에 연결되어 가압된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압부재 및 상기 제2가압부재가 공작물과 접촉하는 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배치되고 일측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에 놓여진 공작물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고정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공작물의 면을 가공하는 가공기로서, 공작물의 위치를 변환시키면서 고정하고 직선 이동이 가능한 상술된 가공기 지그, 상기 가공기 지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공기 지그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테이블부에 놓여진 공작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유닛 및 상기 정렬유닛과 일렬로 이어서 배치되는 한편 상기 가공기 지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공기 지그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정렬유닛에서 정렬이 완료되고 상기 가공기 지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의 공작물의 양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을 포함하는 면가공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와 면가공기에 따르면, 육면체 형상의 공작물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공작물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지 않아도 공작물의 면 전체를 가공할 수 있고 신속한 가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의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가공기 지그에 채용된 제1가압부를 개략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가공기 지그에 채용된 제2가압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공기 지그의 작동을 타나내는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10)는, 가공기에 설치되어 공작물(40)을 고정시키는 지그로서, 베이스부(1), 테이블부(2), 제1가압부(3) 및 제2가압부(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10)의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기초가 되는 구성이다. 이 베이스부(1) 위에 테이블부(2)가 설치되고 테이블부(2) 위에 공작물(40)이 놓여진다. 테이블부(2)에는 구동기(23)가 구비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가압부(3)는 베이스부(1)에 설치되고 테이블부(2)에 놓여진 공작물(40)의 양측을 가압하여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제1가압부(3)는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테이블부(2)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2가압부(4)는 제1가압부(3) 상측에 설치되고 테이블에 놓여진 공작물(40)의 상측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가공기 지그(10)는 테이블부(2)의 회전에 의해 공작물(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한편 제1가압부(3)가 공작물(4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공작물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지 않아도 육면체 형상을 가진 공작물의 모든 면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작물의 위치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베이스부(1)는 가공기 지그(10)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베이스부(1)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이블부(2), 제1가압부(3), 제2가압부(4)가 차례로 설치된다. 베이스부(1)는 구동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보았을 때 베이스부(1)는 x축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면가공기(100)의 정렬유닛(20)이나 가공유닛(30)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공작물(40)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테이블부(2)는 공작물(40)이 놓여지는 부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테이블부(2)는 작업대(21)와 받침부재(22)를 포함하고 구동기(23)가 구비된다. 작업대(21)는 베이스부(1) 위에 배치되고 작업대(21) 위에 4개의 받침부재(22)가 놓여지게 되며 받침부재(22)의 위에 공작물(40)이 놓여진다. 작업대(21)는 구동기(23)에 연결되어 베이스부(1)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가공 대상 면을 전환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에 채용된 제1가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가압부(3)는 공작물(40)을 가압 및 회전시켜 가공하기 위한 면을 전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가압부(3)는 케이싱(31), 가이드부재(32), 이동부재(33) 및 가압부재(34)를 포함한다.
케이싱(31)은 베이스부(1) 위의 테이블부(2)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설치된다. 케이싱(31)에는 가이드부재(32), 이동부재(33), 가압부재(34)와 이동부재(33)와 가압부재(34)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동기 및 변속기 등의 각종 구성들이 설치된다. 또한 2개의 케이싱(31)의 상측에는 회전축(313)과 수용부재(314)가 각각 구비된다.
제1케이싱(311)과 제2케이싱(31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32)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32)에 이동부재(33)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이동부재(33)에는 승하강구동기(37)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하강구동기는 서보모터이다.
이 서보모터는 각 케이싱(311, 312)의 측면에 장착되고 각종 기어들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베벨 기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볼스크류(371)를 구동시킨다. 이 볼스크류(371)의 끝단에 이동부재(33)가 결합되어 이동부재(3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부재 및 공작물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확보할 수 있다.
이동부재(33)에는 가이드블록(36)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블록(36)이 가이드부재(32)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설명에서 승하강구동기는 서보모터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승하강운동이 가능한 다른 구동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하강구동기(37)는 2개가 구비되어 양측의 이동부재(33)에 각각 연결된다.
각 이동부재(33)에는 가압부재(34)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가압부재(34)는 이동부재(33)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테이블부(2)에 놓여진 공작물(40)을 가압하고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압부재(34)는, 직선운동이 가능한 가압구동기(38)에 연결되어 공작물(40)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341)와, 제1가압부재(341)와 협동하여 공작물(40)을 가압하고 회전운동이 가능한 회전구동기(39)에 연결되어 가압된 공작물(40)을 회전시키는 제2가압부재(342)를 포함한다.
이동부재(33)는 홀이 형성된 평판(331)의 홀에 통공이 형성되는 연결체(332)가 결합되고 연결체(332)의 통공에 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체(333)가 결합되며 가이드체의 통공에 가압부재(34)가 결합된다. 한편 연결체(332)의 일측에는 연결체(332)의 일부를 감싸도록 하우징(334)이 결합된다. 연결체(332)와 하우징(334)은 지지체(335)를 개재하여 결합됨으로써 서로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지지체(335)에 승하강구동기(37)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볼스크류(371)의 끝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제1케이싱(31) 측의 이동부재(33)에는 제1가압부재(341)가 결합된다. 제1가압부재(341)는 이동부재(33)의 가이드체(333)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가압부재(341)는 키(미도시)와 키홈(미도시) 방식에 의해 가이드체(333)에 결합되고 가이드체(333)는 연결체(3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체(333)와 연결체(332) 사이에는 베어링부재 등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체는 연결체에 대하여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만(예를 들어 90°)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거나 가이드체 외주와 연결체 내주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키(미도시)와 키홈(미도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압부재는 가이드체에 형성된 홀을 따라 직선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운동이 가능해 진다.
제1가압부재(341)의 직선 운동을 위하여 제1가압부재(341)에는 가압구동기(38)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구동기(38)는 볼스크류 방식의 모터이다.
가압구동기(38)는 이동부재(33)의 하우징(334)에 장착되고 가압구동기(38)의 구동축에 볼스크류(381)가 결합되며 이 볼스크류가 제1가압부재(34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가압부재(341)는 볼스크류(381)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체(33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공작물(40)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가압구동기(38)는 볼스크류 방식의 모터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직선운동이 가능한 다른 구동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2케이싱(312) 측의 이동부재(33)에는 제2가압부재(342)가 결합된다. 제2가압부재(342)는 이동부재(33)의 홀을 따라 직선 운동이 가능할 필요는 없으며 제1가압부재(341)가 공작물(40)을 가압할 때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족하다. 다만, 제2가압부재(342)는 이동부재(33)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제2가압부재(342)에는 회전구동기(39)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구동기(39)는 서버모터로서 베벨 기어를 개재하여 제2가압부재(342)를 회전시킨다. 또한 최적의 토크를 얻기 위해 각종 기어 및 감속기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제2가압부재(342)는 제1가압부재(341)와 마찬가지로 가이드체(333), 연결체(332)가 개재되어 이동부재(3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유압실린더(382)로 구성된 가압구동기를 사용하여 제2가압부재(342)를 가압할 수도 있으며 이는 공작물(40)을 더욱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제2가압부재(342)의 직선 운동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가압부재(341)의 직선 운동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회전구동기(39)는 서보모터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회전운동이 가능한 다른 구동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제1가압부(3)는 가압구동기(38)를 작동시켜 테이블부(2) 위에 놓여진 공작물(40)을 제1가압부재(341)로 가압함으로써 공작물(40)이 제1가압부재(341)와 제2가압부재(342) 사이에 가압된 상태로 한 후 승하강구동기(37)를 작동시켜 공작물(40)을 상승시키고 회전구동기(39)를 작동시켜 공작물(40)을 회전시킬 수 있고 다시 승하강구동기(37)를 작동시켜 공작물(40)을 하강시키고 테이블부(2)에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작물(40)의 작업 대상 면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1가압부재(341) 및 제2가압부재(342)가 공작물(40)과 접촉하는 단부에는 엠보싱 형상과 같은 돌기(343)가 형성되어 공작물(4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기 지그에 채용된 제2가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가압부(4)는 공작물(40)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수평부재(41)와 고정구동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부재(41)는 테이블부(2)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배치되고 일측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고정구동기(42)는 수평부재(41)에 설치되고 테이블에 놓여진 공작물(40)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평부재(41)는 프레임 형태의 몸체(4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홀(412)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걸고리(413)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여기에서 홀(412)은 케이싱(31)에 형성된 회전축(313)과 결합되어 수평부재(41)가 회전축(31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수평부재(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홀(412)과 회전축(313) 사이에는 부싱, 베어링 등이 개재될 수 있다.
회전축(313)은 일측 케이싱의 상측에 결합된다. 회전축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이 빈 공간으로 승하강구동기(37)에 연결되는 볼스크류(371)가 케이싱 상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걸고리(413)는 수용부재(314)에 걸리게 된다. 수용부재(314)는 돌출부분과 함몰부분이 번갈아 형성되는 단차진 형태를 가지며 함몰된 부분에 걸고리(413)가 걸리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걸고리는 2개로 이루어지고 수용부재 상하의 함몰된 부분에 걸리게 된다.
수용부재(314)는 다른측 케이싱의 상측에 결합된다. 수용부재(314)의 내부 역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이 빈 공간으로 승하강구동기(37)에 연결되는 볼스크류(371)가 케이싱 상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수평부재(41)는 걸고리(413)가 수용부재(314)에 걸려 위치가 고정되거나 걸고리(413)가 수용부재(314)에서 이탈하면서 회전축(3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수평부재(41)의 회전을 위하여 걸고리(413)에는 틸팅구동기(43)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틸팅구동기는 유압실린더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린더 몸체가 걸고리(413)에 결합되는 한편 실린더 로드의 끝단이 수용부재(314)에 결합됨으로써 실린더 로드가 전진하면 걸고리(413)는 수용부재(314)에서 이탈하면서 회전축(313)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실린더 로드가 후진하면 걸고리(413)는 수용부재(314)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부재(41)를 공작물(40)로부터 멀리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완료된 후 공작물(4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틸팅구동기(43)는 유압실린더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틸팅운동이 가능한 다른 구동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평부재(41)의 몸체(411)에는 격자 형태로 리브(414)가 형성된다. 리브(414)는 몸체(411)의 강성을 보강해 주는 동시에 고정구동기(42)의 설치 위치를 구획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구동기(42)는 십자가 형태로 5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고정구동기(42)의 배치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의 공작물(40)을 용이하게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면 가공기 지그를 포함하는 육면 가공기와 이 육면 가공기에서 지그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은 도 1의 가공기 지그가 채용된 면가공기 및 가공기 지그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면가공기(100)는, 공작물(40)의 면을 가공하는 가공기로서, 중앙에 가공기 지그(10)가 위치하고 지그의 양 측면에 차례대로 정렬유닛(20)과 가공유닛(30)이 배치된다.
가공기 지그(10)는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공작물(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정렬유닛(20)은 가공기 지그(10)의 이동에 따라 가공기 지그(10)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테이블부(2)에 놓여진 공작물(40)의 위치를 정렬한다.
가공유닛(30)은 정렬유닛(20)과 일렬로 이어서 배치되는 한편 가공기 지그(10)의 이동에 따라 가공기 지그(10)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정렬유닛(20)에서 정렬이 완료되고 상기 가공기 지그(1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의 공작물(40)의 양 측면을 가공한다.
먼저 가공기 지그(10)가 이동하여 정렬유닛(20) 사이에 위치하면 정렬유닛(20)은 공작물(40)의 양 측면을 밀어 위치를 정렬한다(도 6a 참조). 다음으로 제2가압부(4)가 작동하여 위치가 정렬된 공작물(40) 상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6b 참조) 가공기 지그(10)가 전진하여 가공유닛(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공유닛(30)이 공작물(40)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공작물(40)의 측면을 가공한다(도 6c 참조). 이러한 과정에 의해 공작물(40)의 2개 면이 가공된다. 도면에서 가공이 되지 않은 공작물의 면은 빗금으로 표시하고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면은 빗금 없이 표시하였다.
이후 가공기 지그(10)가 후진하여 다시 정렬유닛(20) 사이에 위치하면 제1가압부(3)가 작동하여 공작물(40)을 들어올린 후 회전시키고(도 6d 참조) 정렬유닛(20)으로 다시 공작물(40)의 정렬을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가압부(4)가 작동하여 위치가 정렬된 공작물(40) 상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공기 지그(10)가 전진하여 가공유닛(30) 사이로 이동하고 다시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공작물(40)의 다른 2개 면이 가공된다.
이후 가공기 지그(10)가 후진하여 다시 정렬유닛(20) 사이에 위치하면 테이블이 회전하여 제1가압부(3)가 가압하였던 면이 정렬유닛(20)과 마주보게 된다(도 7 참조). 이 상태에서 정렬유닛(20)으로 공작물(40)을 정렬한 후 제2가압부(4)가 작동하여 위치가 정렬된 공작물(40) 상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공기 지그(10)가 전진하여 가공유닛(30) 사이로 이동하고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공작물(40)의 또 다른 2개 면이 가공되어 6면 전체의 가공이 완료된다.
다시 가공기 지그(10)가 후진하여 배출위치로 이동하고 제2가압부(4)를 회전시켜 이동시킨 후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40)을 꺼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베이스부
2 : 테이블부
21 : 작업대 22 : 받침부재 23 : 구동기
3 : 제1가압부
31 : 케이싱 311 : 제1케이싱 312 : 제2케이싱 313 : 회전축
314 : 수용부재
32 : 가이드부재
33 : 이동부재 331 : 평판 332 : 연결체 333 : 가이드체
334 : 하우징 335 : 지지체
34 : 가압부재 341 : 제1가압부재 342 : 제2가압부재 343 : 돌기
36 : 가이드블록
37 : 승하강구동기 371 : 볼스크류
38 : 가압구동기 381 : 볼스크류 382 : 유압 실린더
39 : 회전구동기
4 : 제2가압부
41 : 수평부재 411 : 몸체 412 : 홀 413 : 걸고리 414 : 리브
42 : 가압구동기 43 : 틸팅구동기
10 : 가공기 지그 20 : 정렬유닛 30 : 가공유닛 40 : 공작물
100 : 면가공기

Claims (6)

  1. 가공기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지그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회전이 가능하며 공작물이 놓여지는 테이블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공작물의 양측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가압부 및
    상기 제1가압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에 놓여진 공작물의 상측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가압부
    를 포함하는 가공기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공작물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가공기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직선운동이 가능한 제1구동기에 연결되어 공작물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 및
    상기 제1가압부재와 협동하여 공작물을 가압하고 회전운동이 가능한 제2구동기에 연결되어 가압된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제2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가공기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 및 상기 제2가압부재가 공작물과 접촉하는 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가공기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배치되고 일측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에 놓여진 공작물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고정구동기
    를 포함하는 가공기 지그.
  6. 공작물의 면을 가공하는 가공기로서,
    공작물의 위치를 변환시키면서 고정하고 직선 이동이 가능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공기 지그,
    상기 가공기 지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공기 지그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테이블부에 놓여진 공작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유닛 및
    상기 정렬유닛과 일렬로 이어서 배치되는 한편 상기 가공기 지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공기 지그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정렬유닛에서 정렬이 완료되고 상기 가공기 지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의 공작물의 양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
    을 포함하는 면가공기.
KR1020180060391A 2018-05-28 2018-05-28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 KR20190135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91A KR20190135213A (ko) 2018-05-28 2018-05-28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91A KR20190135213A (ko) 2018-05-28 2018-05-28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213A true KR20190135213A (ko) 2019-12-06

Family

ID=6883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391A KR20190135213A (ko) 2018-05-28 2018-05-28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2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7622A (zh) * 2020-08-11 2020-12-15 烟台南山学院 一种机床加工用具有双向导向结构的夹具
JP2021186910A (ja) * 2020-05-27 2021-12-13 岩田工機株式会社 両頭フライス加工機、及び部材の製造方法
KR20220013097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중일테크 공작기계용 널링공구 및 이를 이용한 널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72B1 (ko) 2011-04-28 2011-11-11 (주)알루코 양두 밀링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72B1 (ko) 2011-04-28 2011-11-11 (주)알루코 양두 밀링 가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6910A (ja) * 2020-05-27 2021-12-13 岩田工機株式会社 両頭フライス加工機、及び部材の製造方法
KR20220013097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중일테크 공작기계용 널링공구 및 이를 이용한 널링 방법
CN112077622A (zh) * 2020-08-11 2020-12-15 烟台南山学院 一种机床加工用具有双向导向结构的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8662B2 (ja) 六面連続自動加工機および該加工機を用いた加工方法
JP5987043B2 (ja) ワークの複数箇所を押圧するワーク固定装置
JP6138544B2 (ja) デフケースの加工機
KR20190135213A (ko) 가공기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가공기
TW201424924A (zh) 機床
TWI505886B (zh) 金屬件加工方法
TW201424920A (zh) 機床
KR101209826B1 (ko) 정밀부품 면삭가공을 위한 밀링머신용 지그
WO2019211887A1 (ja) デフケースの加工機
CN105710730A (zh) 一种用于工件加工的机床
KR101668819B1 (ko) 다면 가공 장치
TWI505887B (zh) 金屬件加工方法
CN108161524A (zh) 一种高效cnc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JPH0585300B2 (ko)
TWI505907B (zh) 金屬件加工方法
CN111687654A (zh) 一种立式加工中心的异型工件角度调整装置
KR100925038B1 (ko) 테이블 및 프레임이 동시 이송되는 가공기
KR100905079B1 (ko) 씨엔씨 선반용 인덱스 척
CN214723172U (zh) 一种数控机床的打磨装置
JP4106535B2 (ja) 内面加工装置
JP6071864B2 (ja) 金属加工方法
JP3513107B2 (ja) 加工装置
CN206425904U (zh) 一种卧式加工中心和立式加工中心组合的复合加工中心
KR20060038964A (ko) 노-리프트(No lifter)와 노-백레쉬(No-backlash)인 고정도인덱스의 제작 방법
CN219986893U (zh) 一种钣金件加工用夹持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