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949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949A
KR20190134949A KR1020180059516A KR20180059516A KR20190134949A KR 20190134949 A KR20190134949 A KR 20190134949A KR 1020180059516 A KR1020180059516 A KR 1020180059516A KR 20180059516 A KR20180059516 A KR 20180059516A KR 20190134949 A KR20190134949 A KR 2019013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dhesive member
crack
transparent adhesiv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6356B1 (ko
Inventor
장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35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595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6356B1/ko
Priority to US16/287,684 priority patent/US11194183B2/en
Priority to CN201910418178.0A priority patent/CN110531884B/zh
Publication of KR2019013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949A/ko
Priority to US17/453,235 priority patent/US1159269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1Cells with varying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 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적층 부재, 상기 제1 적층 부재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적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 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균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형에 따른 응력이 감소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윈도우는 스마트폰 등 휴대 전자 기기에서 많이 적용된다. 몇몇 휴대 전자 기기는 터치 입력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터치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윈도우, 터치 패널, 표시 패널은 접착제를 통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터치 패널, 표시 패널 등과 같은 부재들은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형태가 유연하게 변형되는 폴더블(Foldable) 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연성을 가지는 부재들을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제의 경우 변형에 따라 반발력이 작용하여 변형되지 않은 초기 형태로 되돌아 오려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부재들과의 계면에서 접착력이 감소하게 되고, 들뜸현상이나 표시 장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균열부가 형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윈도우 또는 패널의 폴딩영역이나 벤딩영역에서 변형에 의해 전달되는 응력이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윈도우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 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적층 부재, 상기 제1 적층 부재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적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 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균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상기 매트릭스 상에 정의되는 임의의 영역인 제1 매트릭스 영역 및 상기 균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매트릭스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매트릭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매트릭스 영역과 상기 제2 매트릭스 영역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착성 수지의 결합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균열부 및 상기 균열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균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균열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적층 부재 및 상기 제2 적층 부재가 적층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서브 접착 부재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접착 부재의 일 측부인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서브 접착 부재의 상기 제1 측부와 대향하는 방향의 일 측부인 제2 측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계면에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의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접착 부재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에 형성된 상기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상기 제1 적층 부재와 접촉하는 일 단부가 상기 제2 적층 부재와 접촉하는 타 단부보다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상기 제1 적층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계면에서 경사각을 가지고 기울어지며,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상기 계면과 이루는 상기 경사각은 45도 내지 8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적층 부재의 상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서브 접착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4 서브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 접착 부재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지 않고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 접착 부재와 상기 빈 공간이 접하는 측면인 제3 측부 및 상기 제4 서브 접착 부재와 상기 빈 공간이 접하는 측면인 제4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부는 상기 제4 측부보다 상기 빈 공간이 형성된 영역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라인을 포함하는 폴딩영역 및 상기 폴딩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폴딩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 상기 터치 부재의 일 면에 배치되며,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 상기 터치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의 타면에 배치된 표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 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균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폴딩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균열부가 형성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균열부 및 상기 제1 균열부보다 형성된 상기 균열부의 밀도가 더 큰 제2 균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폴딩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균열부 및 상기 균열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균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균열부는 상기 폴딩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공극이 형성된 광 투명 접착부를 준비하는 단계,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이에 상기 광 투명 접착부를 배치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를 압착하여 표시 장치는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극이 형성된 광 투명 접착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접착성 수지에 산용해성 입자를 분산시켜 수지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을 산처리하여 상기 산용해성 입자를 용해시키고 상기 공극이 형성된 수지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공극이 형성된 수지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광 투명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를 압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광 투명 접착부의 두께는 감소하되, 상기 광 투명 접착부의 감소하는 두께는 상기 광 투명 접착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극의 분율에 반비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적층 부재들을 결합하는 광 투명 접착 부재 상에 균열부를 형성하여, 표시 장치가 폴딩되거나 벤딩될 때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가 변형되어 광 투명 접착 부재의 계면 접착력이 떨어져서 발생할 수 있는 들뜸 현상이나 기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의 폴딩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조절하여,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적층 부재 간 접촉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가 폴딩(Folding) 또는 벤딩(Bendign)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 장치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정의된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가 휘어진 폴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언폴딩상태에서의 균열유닛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상태에서의 균열유닛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유닛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표시 장치가 폴딩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적층 부재와 이들을 부착시키는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적층 부재는 부재 및/또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표시 부재, 터치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가 폴딩(Folding) 또는 벤딩(Bendign)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적층 부재 및 이웃하는 적층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적층 부재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투명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 부재는 표시 부재, 터치 부재,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및 커버 부재 등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적층 부재의 예로서,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가 두께 방향으로 순차 적층되고, 표시 부재(10)와 터치 부재(30) 사이에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가, 터치 부재(30)와 윈도우 부재(50) 사이에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부재(10)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정보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부재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의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 부재(10)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되어 있다.
표시 부재(10)는 표시부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각 픽셀은 발광부와 발광부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는 표시 배선, 표시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봉지막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봉지막은 발광부를 밀봉하여, 외부에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막은 무기막의 단일 또는 다층막이나, 무기막과 유기막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부는 정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는 표시부의 주변, 예컨대 일측에 배치된다. 구동부는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부일 수 있다. 구동부는 표시부와는 달리 픽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부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구동부는 표시부의 적어도 일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구동부는 픽셀의 표시 배선과 연결된 구동 배선과 그 구동 배선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배선 패드에는 구동칩이나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외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부재(10)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기판의 일면 상에는 상기 표시부의 회로부와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경우, 표시 부재(10)는 외력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되어 폴딩(Folding) 또는 벤딩(Bending)될 수 있다.
표시 부재(10)는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은 플렉서블한 기판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벤딩 영역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막은 폴리이미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등과 같은 유기물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호막은 보호 필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부재(10)의 상부에는 터치 부재(30)가 배치된다. 터치 부재(30)는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입력 지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부재(30)가 예시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부재(30)는 표시 부재(10)의 표시부와 중첩하고, 구동부와 일부 중첩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터치 기재 및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표시 부재(10)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터치 부재(30)의 예시적으로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경우를 도시한다.
터치 부재(30)는 유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치 부재(30)는 플라스틱 기재를 포함하여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부재(10)와 함께 폴딩 또는 벤딩될 수도 있다.
터치 부재(30)의 감지부는 터치 전극 및/또는 터치 배선을 포함하여,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 및/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터치 부재(30)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표시 장치(100)가 표시 부재(1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제공할 때, 표시되는 정보가 입력되는 일련의 작동기기가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 부재(30)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터치 부재(30)가 표시 부재(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표시 부재(10) 및 터치 부재(30)가 하나의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2는 터치 부재(30)와 표시 부재(10)는 별도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부재(30)의 상부에는 윈도우 부재(50)가 배치된다. 윈도우 부재(50)는 표시 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부재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부재(50)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부재(10)로부터 제공되는 일련의 정보 또는 이미지들이 윈도우 부재(5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는 사용자가 표시 부재(10)에 표시되는 정보를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부재(50)는 터치 부재(30) 및/또는 표시 부재(10)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 부재(50)는 상술한 터치 부재(30) 및 표시 부재(10)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는 터치 부재(30)와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는 터치 부재(30)보다 커서 그 측면이 터치 부재(30)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부재(50)는 표시 부재(10)의 표시부뿐만 아니라, 구동부와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는 표시 부재(10)보다 커서 그 측면이 표시 부재(10)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부재(50)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윈도우 부재(5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50)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경우, 폴딩 또는 벤딩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부재(50)가 유리를 포함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유리가 박막 또는 필름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경우, 윈도우 부재(50)는 플라스틱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윈도우 부재(50)에 적용 가능한 플라스틱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윈도우(50)는 상기 열거된 플라스틱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플라스틱의 상하면에 배치된 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또는 유무기 복합층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층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같은 유기 물질에 실리콘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탄탈륨 옥사이드, 나이오븀 옥사이드, 글래스 비드 등의 무기 물질이 분산된 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층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몰리브덴, 탄탈륨, 구리, 인듐, 주석, 텅스텐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윈도우 부재(50)는 하부에 블랙 매트릭스(BM,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가 표시 부재(10) 및 터치 부재(30)의 측부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표시 부재(10) 및 터치 부재(30)의 상면을 모두 덮을 수도 있다. 이때, 표시 부재(10)의 구동부 또는 터치 부재(30)의 터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영역과 윈도우 부재(50)와 중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가 시인될 경우, 표시 부재(10)의 구동부 또는 터치 부재(30)의 터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영역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릴 필요가 있다. 이에 윈도우 부재(50)는 하부에 블랙 매트릭스(BM)를 더 포함하여, 적층 부재의 일부 영역을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매트릭스(BM)는 표시 부재(10)의 구동부 또는 터치 부재(30)의 터치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된 영역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부재(10)와 터치 부재(30) 사이에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가 배치된다. 표시 부재(10)와 터치 부재(30)은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터치 부재(30)와 윈도우 부재(50) 사이에는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배치된다. 터치 부재(30)와 윈도우 부재(50)는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부재(30)가 생략되거나 표시 부재(1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함께 생략되고, 표시 부재(10)가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를 통해 윈도우 부재(50)와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각각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또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 구조, 물성 등이 동일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구조, 물성을 가질 수 있고,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의 구조 및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반드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구조, 물성 및 물질 등이 동일할 필요는 없음을 의미한다.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 중 적어도 하나는 균열부를 포함함으로써, 벤딩이나 폴딩시 표시 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터치 부재(30)의 일면에는 제1 광투명 접착 부재(20)가 배치되고, 터치 부재(30)의 타면에는 제2 광투명 접착 부재(40)가 배치되는 경우, 제1 광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투명 접착 부재(40)는 전반적으로 터치 부재(30)와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측면은 터치 부재(30)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부위에서 터치 부재(30)의 측면은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의 측면 및 제2 광투명 접착 부재(4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부재(30) 일면의 테두리 부위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에 의해 덮이지 않고, 터치 부재(30) 타면의 테두리 부위는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의해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20, 40)가 터치 부재(30)의 측면에까지 완전히 형성되지 않으면 접착 물질의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패널 하부 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접지 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지지 기능 및/또는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기능층은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층, 필름으로 필름층, 박막층, 코팅층, 패널,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기능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적층된 복수의 박막이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능층은 예를 들어, 지지 기재,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충격 흡수층, 디지타이저 등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가 패널 하부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 장치(100)의 폴딩 또는 벤딩시 패널 하부 시트도 상부의 표시 부재(10)에 일체화되어 함께 폴딩 또는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의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 등은 가요성 재료인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한 부재들을 포함하여 폴딩 또는 벤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특정 영역에 폴딩라인(FL) 또는 벤딩라인(BL), 폴딩영역(FA) 또는 벤딩영역(BA), 비폴딩영역(NFA) 또는 비벤딩영역(NBA)으로 정의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라인(FL)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100)의 일 측 영역이 타측 영역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 접힐 수 있다. 그리고, 벤딩라인(BL)을 기준으로 일 측 영역의 측부가 타측 영역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를 가지고 상부 또는 하부로 휘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폴딩 라인(FL) 및/또는 벤딩 라인(BL) 없이 표시 장치(1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폴딩되거나 벤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는 표시 장치(100) 상에 정의되는 폴딩라인(Folding Line, FL) 또는 벤딩라인(Bending Line, BL)을 포함하여, 폴딩라인(FL) 또는 벤딩라인(BL)은 기준으로 표시 장치(100)가 굽어지거나 휘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폴딩라인(FL) 또는 벤딩라인(FL)을 기준으로 굽어지거나 휘어짐에 따라 곡률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폴딩영역(FA) 또는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0) 상에서 폴딩영역(FA) 또는 벤딩영역(BA)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폴딩영역(NFA) 또는 비벤딩영역(NBA)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0)가 폴딩 또는 벤딩될 때, 표시 장치(100)가 폴딩 또는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표시 장치(100)상의 비폴딩영역(NFA) 또는 비벤딩영역(NBA)에서 표시 장치(100)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첩 영역에서 폴딩 또는 벤딩된 기판의 일 면은 표시 장치(100)의 비폴딩영역(NFA) 또는 비벤딩영역(NBA)의 일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폴딩(Unfolding) 상태' 또는 '언벤딩(Unbending) 상태' 는 플렉서블한 부재가 굽어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이 형성되지 않고 비교적 평탄한 상태를 의미하고, '폴딩(Folding) 상태' 또는 '벤딩(Bending) 상태'는 상기 플렉서블한 부재가 변형되어 적어도 일부가 굽어지거나 휘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한 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여 표시 장치(100)의 일부가 접힌 상태를 '폴딩상태(FS)',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접힌 부분이 펴진 상태를 '언폴딩상태(UFS)'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플렉서블한 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여 표시 장치(100)의 일부가 굽어진 상태를 '벤딩상태(BS)',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굽힌 부분이 펴진 상태를 '언벤딩상태(UBS)'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0)가 외력의 작용 없이 휘어지거나 곡률이 형성되며 변형되는 경우에도, 폴딩상태 또는 벤딩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폴딩라인(FL) 또는 벤딩라인(BL)을 기준으로 폴딩되거나 벤딩되는 경우, 복수의 적층 부재들, 예를 들어,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와 이들을 결합하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폴딩 또는 벤딩에 의한 응력(stress)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거나 제거하지 못할 경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적층 부재들과의 계면에서 접착력이 감소하여 결합이 분리될 수도 있고, 적층 부재들 간에 들뜸 현상이나 기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밀도나 점도와 같은 물성을 조절하여 변형율을 증가시킬 경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압착시 적층 부재의 측부로 흘러 넘치게 됨으로써 이물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100) 내에서 적층 부재들 간에 발생하는 들뜸 현상, 기포 또는 이물의 형성은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서 시인되어 표시 장치(100)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폴딩 또는 벤딩에 의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 또는 제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착성 수지의 매트릭스 내에 균열부(C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 내지 도 7이 참조된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표시 장치(100)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짐으로써 폴딩(Folding) 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Bending) 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언폴딩상태의 표시 장치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정의된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가 휘어진 폴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한 부재들을 포함하여 특정 영역으로 정의된 폴딩라인(FL)과, 폴딩라인(FL)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100)가 휘어질 수 있는 폴딩영역(FA)과 그렇지 않는 비폴딩영역(NF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라인(FL), 폴딩영역(FA) 및 비폴딩영역(NFA)은 표시 장치(100)가 폴딩상태(FS) 또는 언폴딩상태(UFS)가 될 때, 적층 부재들과 접착 부재들의 구조적, 형태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정의되는 영역이다. 다만, 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정의된 영역이며,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언폴딩상태(UFS)에 있을 경우,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윈도우 부재(50),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비교적 평탄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언폴딩상태(UFS)에서,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지는 부재들은 폴딩에 의한 응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와의 계면에서 접착력이 감소되지 않고, 비교적 강한 세기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폴딩상태(FS)가 되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변형에 따라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FA)에 응력이 전달될 수 있다. 폴딩영역(FA)은 폴딩되는 영역의 기준인 폴딩라인(FL)과 인접한 영역이며, 비폴딩영역(NFA)에 비해 폴딩되는 범위가 비교적 넓기 때문에, 더 큰 응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전달되는 응력은 언폴딩상태(UFS)로 되돌아가려는 반발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와의 계면에서 접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폴딩영역(F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비폴딩영역(NFA)의 측부에서 적층 부재들과의 계면 접착력이 감소되어 탈착될 수도 있다.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포함되는 균열부(CA)는 균열부(CA)를 이루는 각각의 균열유닛(C)이 언폴딩상태(UFS)에 비해 폴딩상태(FS)에서 구조나 형태가 변하여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전달되는 응력이 감소하여, 계면 접착력이 유지될 수 있다.
균열유닛(C)은 접착성 수지가 형성하는 매트릭스에서 일부 결합이 끊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균열유닛(C)은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의 결합이 연속되지 않은 균열 또는 주름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균열부(CA)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서 균열유닛(C)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유닛(C)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전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균열부(CA)는 균열유닛(C)이 형성된 전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형성될 때, 공극(V)이 압착되며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비연속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매트릭스'란, 수지와 같은 고분자가 형성하는 기재(substrate) 또는 층(layer)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접착성 수지(R)가 일부 경화된 후, 피접착 부재들과 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성 수지가 형성하는 매트릭스는 접착성 수지(R)가 일부 경화되어 형성하는 기재, 또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또는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포함되는 기재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가 완전 경화되어 형성되는 기재나, 경화되지 않고 유동성을 가진 상태에서 형성하는 기재 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균열유닛(C)과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폴딩상태(FS)의 균열유닛(C')은 언폴딩상태(UFS)에 비해 폴딩상태(FS)에서 굴곡이 비교적 평탄화될 수 있다. 또한, 균열유닛(C)의 일축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와 상기 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의 변화에 따라 전달되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언폴딩상태에서의 균열유닛의 형태를, 도 7은 폴딩상태에서의 균열유닛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균열유닛(C)은 직선이 아닌 굴곡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균열유닛(C)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6 및 도 7은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균열유닛(C)의 구조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균열유닛(C)은 일 측 단부와 반대편 타 단부 사이의 수평직선(L)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 단부와 상기 타 단부 사이의 수평직선 거리(l)와 이에 수직하여 골국의 최고점과 최저점 간의 길이인 높이(d)가 정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가 폴딩되면, 균열유닛(C')의 높이(d)로 정의된 방향과 평행하게 외력이 가해지고, 수평직선(L)으로 정의된 방향과 평행하게 응력이 전달될 수 있다. 즉, 균열유닛(C')의 수직한 방향으로 응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균열유닛(C')은 언폴딩상태(UFS)의 균열유닛(C)에 비해 굴곡의 곡률이 비교적 감소할 수 있다. 수평직선 거리(l')는 길어지고(l'>l), 높이(d')는 작아질 수 있다(d>d').
한편, 도 6의 I-I'선과 II-II'선은 균열유닛(C)을 포함하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정의된 임의의 영역이다. I-I'선은 균열유닛(C)을 통과하지만, II-II'선은 통과되지 않는다. 도 7의 Ⅲ-Ⅲ'선과 Ⅳ-Ⅳ'선은 각각 도 6의 I-I'선과 II-II'선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상기 기준선들에 전달되는 응력은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접착성 수지(R)의 매트릭스 상에서, 도 6의 I 및 도 7의 Ⅲ 을 포함하는 제1 매트릭스 영역과 도 6의 I' 및 도 7의 Ⅲ'을 포함하는 제2 매트릭스 영역을 임의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 6의 II 및 도 7의 Ⅳ 을 포함하는 제3 매트릭스 영역과 도 6의 II' 및 도 7의 Ⅳ'을 포함하는 제4 매트릭스 영역을 임의로 정의한다.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는 탄성을 가짐으로써 변형시 원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반발력이 작용한다. 도 6의 II-II'선과 도 7의 Ⅳ-Ⅳ'선은 접착성 수지의 제3 매트릭스 영역 및 제4 매트릭스 영역의 경계로,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영역이다. 표시 장치(100)가 폴딩상태(FS)가 되면, 제3 매트릭스 영역과 제4 매트릭스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매트릭스 결합에 의해 언폴딩상태(UFS)로 되돌아 가려는 반발력이 작용한다.
반면에, 균열유닛(C)을 통과하는 도 6의 I-I'선과 도 7의 Ⅲ-Ⅲ'선은 제1 매트릭스 영역과 제2 매트릭스 영역의 경계면이 된다. 균열유닛(C)은 미세한 크기의 빈 공간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경계에서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는 화학적 결합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가 폴딩상태(FS)가 되어 균열유닛(C)의 구조 또는 형태가 바뀌어도, 매트릭스 결합에 의해 언폴딩상태(UFS)로 되돌아 가려는 반발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균열부(CA)를 포함할 경우, 표시 장치(100)가 폴딩되면 균열유닛(C)의 구조 또는 형태가 바뀌어도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에서 반발력이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응력이 전달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응력을 분산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와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와의 계면에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표시 장치(100) 내의 들뜸현상이나 기포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균열유닛(C)은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의 결합이 끊어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제조시, 접착성 수지(R) 내에 공극(V)을 형성하고 이를 압착하여 균열유닛(C)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2가 참조된다.
도 8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공극(V)이 형성된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준비하고, 적층 부재들, 예를 들어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의 사이에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배치한 뒤, 이를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준비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접착성 수지(R)에 산용해성 입자(P)를 혼합하여, 산용해성 입자(P)가 분산된 접착성 수지(R) 혼합물을 준비한다. 접착성 수지(R)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포함되어 적층 부재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력을 가지는 수지일 수 있다.
산용해성 입자(P)는 접착성 수지(R) 내에 분산되어 후술할 바와 같이 공극(V)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산용해성 입자(P)는 산처리에 의해 용해되어 공극(V)을 형성할 수 있는 입자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탄산칼슘(CaCO3), 탄산마그네슘(MgCO3)등일 수 있다. 산용해성 입자(P)의 크기 또는 형태는 형성하고자 하는 균열유닛(C)의 크기나 균열부(CA)의 비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산용해성 입자(P)의 직경은 수십 나노미터(nm) 내지 수 마이크로미터(μ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용해성 입자(P)의 형태는 구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산용해성 입자(P)의 종류에 따라 구형, 육각형, 육면체 등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구형의 입자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한편, 접착성 수지(R)는 고분자 사슬을 포함하여 소수성인 반면, 산용해성 입자(P)는 친수성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산용해성 입자(P)와 접착성 수지(R)를 교반시키면 산용해성 입자(P)가 침전되거나 뭉침으로써 불균일하게 분산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 상에서 균열부(CA)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산용해성 입자(P)가 접착성 수지(R) 내에서 잘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표면을 소수성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산용해성 입자(P)의 표면을 소수성 처리하는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로, 에탄올 및 스테아르산(Strearic acid)과 산용해성 입자(P)를 혼합하여 표면을 소수성 처리할 수 있다. 산용해성 입자(P)의 표면 처리는 접착성 수지(R)와 교반시키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용해성 입자(P)를 분산시킨 수지 혼합물을 산처리하여 산용해성 입자(P)를 용해시키고 공극(V)을 형성된 수지 혼합물을 준비한다. 수지 혼합물을 산처리하면, 산에 잘 용해되는 산용해성 입자(P)가 제거되고, 그 자리에 공극(V)이 형성된다. 공극(V)이 형성된 자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균열부(CA)의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의 결합이 끊어진 영역이 된다. 여기서, 산처리 용액의 경우, 산용해성 입자(P)를 용해시킬 수 있을 정도의 산도를 가지면서, 접착성 수지(R)에 변형을 주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염산(HCl), 묽은 황산(H2SO4), 인산(H2PO5), 아세트산(CH3COOH) 등의 산성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V)이 형성된 수지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형성한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접착성 수지(R)의 종류, 형성된 공극(V)의 밀도, 분산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극(V)이 형성된 접착성 수지(R) 혼합물을 22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극이 형성된 수지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수지가 일부 경화되며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는 산용해성 입자(P)에 의해 형성된 공극(V)을 포함하며 광 투명 접착부(20', 40')의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접착성 수지는 매트릭스 결합을 형성하여 적층 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접착력을 가지게 되고,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공극(V)이 형성된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이용하여 적층 부재들과 압착한다. 적층 부재들, 예를 들어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표시 부재(10)와 터치 부재(30) 사이, 터치 부재(30)와 윈도우 부재(50) 사이에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배치한다. 이후,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을 수행하여 적층된 부재들을 압착하고,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표시 장치(100)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광 투명 접착부(20', 40')에 형성된 공극(V)이 압착되며 균열유닛(C)을 형성할 수 있다. 광 투명 접착부(20', 40') 내에서 공극(V)이 차지하는 공간은 라미네이션 방향으로 압축되며 공극(V)의 상 하부 영역의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촉된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는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형성하는 것처럼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매트릭스 결합을 형성하지 않는다. 즉, 공극(V)이 형성된 영역은 화학적 결합이 끊어진 상태로 물리적 접촉만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공극(V)이 압착되며 형성되는 균열유닛(C)은 표시 장치(100)가 폴딩상태(FS)에 있더라도 반발력에 의한 응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다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광 투명 접착부(20', 40')의 두께(H)는 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또는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두께(H')보다 클 수 있다(H>H'). 광 투명 접착부(20', 40')에 형성되어 있던 공극(V)이 압착되어 상 하부 접착성 수지의 매트릭스가 접촉하기 때문에, 공극(V)이 차지하던 공간만큼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광 투명 접착부(20', 40')에 포함되는 공극(V)의 함량, 즉 접착성 수지(R)와 산용해성 입자(P)의 혼합 비율에 따라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 투명 접착부(20', 40') 내에서 공극(V)이 형성된 영역이 50%인 경우, 광 투명 접착부(20', 40')의 두께(H)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두께(H')의 두배가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투명 접착부(20', 40')에 포함되는 공극(V)의 함량은 광 투명 접착부(20', 40') 두께(H) 대비 10 내지 50%에 해당하는 만큼 공극(V)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변화(H->H')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 형성되는 균열부(CA)의 밀도와 관계가 있다. 즉, 산용해성 입자(P)를 많이 분산시켜 공극(V)이 많이 형성될수록, 두께 변화가 커지고 균열부(CA)의 밀도가 커지게 된다. 즉, 광 투명 접착부(20', 40')의 감소하는 두께(H->H')는 광 투명 접착부(20', 40')에 형성되는 공극(V)의 분율에 반비례할 수 있다. 균열부(CA)의 밀도가 큰 것은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전달되는 응력을 많이 분산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산용해성 입자(P)와 접착성 수지(R)의 비율을 조절하여 형성되는 균열부(CA)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두께, 변형율을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 상에 균열부(CA)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유닛(C)은 공극(V)이 최대로 압착되어 굴곡을 가진 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균열유닛(C)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유닛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의 균열유닛(C)은 광 투명 접착부(20', 40')에 포함되는 공극(V)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층 부재들과 광 투명 접착부(20', 40')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광 투명 접착부(20', 40')의 접착성 수지(R)의 매트릭스가 완전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의 경우, 접착성 수지(R)의 매트릭스가 접촉되지 못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4의 균열유닛(C)은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의 상면 및 하면이 일 지점에서 접촉하는 것을, 도 15의 균열유닛(C)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접촉한 것을 도시한다.
균열유닛(C) 내에 공극(V)이 일부 형성되는 경우,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균열유닛(C)의 구조나 형태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균열유닛(C)을 기준으로 상부 매트릭스 영역과 하부 매트릭스 영역 간에 화학적 결합이 형성되지 않고, 물리적인 접촉도 적기 때문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에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공극(V)이 너무 많이 남을 경우, 표시 장치(100)가 폴딩과 언폴딩을 반복할 때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일부 영역에서 두께가 변하여 균일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균열유닛(C) 내의 공극(V)은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도 13 내지 도 15의 균열유닛(C)은 모두 I-I' 구간에서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의 결합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의 결합에 의한 반발력이 작용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균열유닛(C)은 압착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접착성 수지(R) 매트릭스가 결합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여 표시 장치(100)의 폴딩시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균열유닛(C)은 산용해성 입자(P)가 산처리에 의해 용해되어 형성되는 공극(V)이 압착되어 형성되는 영역이므로, 사용자가 외부에서 시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세한 크기를 가진다. 또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가 적층 부재들과 접촉하는 계면에서 균열유닛(C)이 형성되더라도,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접착성 수지(R)의 접착력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즉, 균열유닛(C)에 의해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서 시인되거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계면 접착력이 감소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가 폴딩상태(FS)가 되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서 폴딩영역(FA)과 중첩된 영역에 전달되는 응력은 비폴딩영역(NFA)과 중첩된 영역과 다를 수 있다. 폴딩영역(FA)은 폴딩라인(FL)과 인접한 영역이므로, 비폴딩영역(NFA)에 비해 더 많은 변형이 일어나는 영역이다. 따라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에서 균열부(CA)가 형성되는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폴딩에 의해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즉,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FA)에 따라 균열부(CA)의 형성여부 또는 형성된 균열부(CA)의 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6 내지 도 27에서는 표시 부재(10),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 및 터치 부재(30)가 적층된 영역만 도시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40)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여 동일한 구조와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물질, 구조, 물성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균열유닛(C)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이 형성된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유닛(C)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언폴딩상태일 때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표시 장치가 폴딩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는 균열부(CA)를 포함하며, 균열부(CA)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 상에서 불균일한 밀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즉, 균열부(CA)가 형성된 영역 중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균열유닛(C)이 높은 밀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_1)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 상에 배치되는 균열부(CA)의 밀도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_1)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는 폴딩라인(FL), 폴딩라인(FL)을 기준으로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FA)으로 정의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 상에도 폴딩영역(FA) 및 비폴딩영역(NFA)과 중첩되는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라인(FL)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100_1)가 폴딩되면, 폴딩영역(FA)은 폴딩에 의해 많은 응력이 전달되고, 비폴딩영역(NFA)은 비교적 적은 응력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균열부(CA)는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더 많은 균열유닛(C)이 형성될수록 더 많은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접착 부재(20_1)에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는 균열유닛(C)이 비교적 적게 배치되는 영역인 제1 균열부(LCA)와 균열유닛(C)이 비교적 조밀하게 배치되는 영역인 제2 균열부(HCA)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균열부(LCA)는 형성되는 균열유닛(C)의 밀도가 제2 균열부(HCA)보다 작다. 또한, 제2 균열부(HCA)의 적어도 일부는 폴딩영역(FA)과 중첩될 수 있다. 비폴딩영역(NFA)보다 많은 응력이 전달되는 폴딩영역(FA)과 균열유닛(C)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제2 균열부(HCA)가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균열부(LCA)와 제2 균열부(HC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의 제조시 접착성 수지(R)와 산용해성 입자(P)의 혼합 비율, 교반시간 및 속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접착성 수지(R) 상에 분산되는 산용해성 입자(P)의 분산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 상에 균열부(CA)가 형성되는 영역의 조밀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균열부(LCA)와 제2 균열부(HCA)의 계면에서의 균열부(CA) 밀도분포는 밀도의 고저 차이가 선명할 수 있고, 선형 또는 곡선의 완만한 형태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는 비폴딩영역(NSA)과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균열유닛(C)이 형성되지 않는 비균열부(NCA)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0_1)가 폴딩될 때, 전달되는 응력이 적은 비폴딩영역(NFA)에는 균열부(CA)를 형성하지 않고, 폴딩영역(FA)에만 균열부(CA)를 형성함으로써, 전달되는 응력을 집중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균열부(CA)가 형성되지 않는 비균열부(NCA)를 포함하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의 표시 장치(100_1)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가 균열부(CA)와 비균열부(NSA)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6에서 도시한 표시 장치(100_1)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는 균열부(CA) 및 비균열부(NSA)를 포함하며, 균열부(CA)의 적어도 일부는 폴딩영역(FA)과 중첩할 수 있다. 폴딩영역(FA)은 표시 장치(100_1)의 폴딩시 전달되는 응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으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의 균열부(CA)가 폴딩영역(FA)과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균열부(CA)와 비균열부(NCA)의 계면은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SA)의 계면과 정렬될 수 있다. 즉,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의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균열부(CA)가 배치되고, 비폴딩영역(NFA)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비균열부(NCA)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_1)가 폴딩될 때 응력이 전달되는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균열부(CA)를 배치함으로써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9를 참조하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1)의 균열부(CA)는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균열부(CA)의 측부는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FA)의 계면에서 돌출될 수도 있다. 즉, 여기서,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은 균열부(CA) 내에 포함되고, 균열부(CA)의 적어도 일부는 비폴딩영역(NFA)과 중첩될 수 있다.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은 표시 장치(100_1)의 폴딩시 전달되는 응력이 최대가 되는 영역이지만, 이와 인접한 비폴딩영역(NFA)에도 응력이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균열부(CA)는 폴딩영역(FA)과 중첩된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비폴딩영역(NFA)과 일부 중첩될 수도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_2)의 다른 실시예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 상에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에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0_2)의 폴딩시 변형이 최대가 되는 영역, 예를 들어 폴딩라인(FL)과 중첩되는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에 전달되는 응력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인접한 영역에 균열부(CA)를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100_2)가 폴딩될 때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_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_2)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가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는 표시 부재(10)와 터치 부재(30)가 적층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는 각각 균열부(CA)와 비균열부(NC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균열유닛(C)이 고밀도로 형성되는 제1 균열부(HCA)와 비교적 저밀도로 형성되는 제2 균열부(LC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가 각각 균열부(CA)와 비균열부(NCA)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는 표시 부재(10) 및 터치 부재(30)의 외측 측부가 아닌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_2) 상에 폴딩영역(FA) 또는 비폴딩영역(NFA)으로 정의되는 영역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표시 장치(100_2)의 외측 측부가 아닌 영역에 폴딩영역(FA)이 위치할 경우,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는 폴딩영역(FA)과 중첩된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는 폴딩라인(FL) 또는 폴딩영역(FA)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일 측부들인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는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FA)의 계면에서 정렬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형성되는 빈 공간이 폴딩영역(FA)에만 중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와 인접한 영역에 각각 균열부(C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_2)의 폴딩영역(FA)에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가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전달되는 응력의 총량이 감소할 수 있다. 폴딩영역(FA)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빈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빈 공간과 접촉하는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의 인접한 영역에 균열부(CA)가 배치됨으로써,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_2)가 폴딩될 때, 폴딩영역(FA)으로 정의된 영역, 특히 폴딩라인(FL)에서 표시 패널(10) 및 터치 패널(30)의 변형이 최대가 된다. 도 20과 같이, 폴딩라인(FL)을 포함하는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될 경우, 폴딩에 의해 적층 부재들 간에 접촉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적층 부재들이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를 통해 결합하지 않고 직접 접촉될 경우, 접촉에 따른 손상이나 불량, 오작동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 특히 폴딩라인(FL)이 형성된 영역에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적층 부재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1 내지 도 24가 참조된다.
도 21 내지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서브 접착 부재(21)의 제1 측부(21_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의 제2 측부(22_1)는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FA)의 계면에서 폴딩영역(FA)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의 표시 장치(100_2)와 달리,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는 폴딩영역(FA)과 일부 중첩되며, 상기 중첩된 영역에도 균열부(CA)가 배치될 수 있다. 폴딩영역(FA)과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의 일부가 중첩될 경우, 표시 장치(100_2)가 폴딩라인(FL)에서 최대로 휘어지더라도 일부 중첩된 영역이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적층 부재들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접착 부재(21)의 제1 측부(21_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의 제2 측부(22_1)는 서로 평행하여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는 터치 부재(30)와 접촉하는 제1 단부(21_1', 22_1')가 표시 부재(10)와 접촉하는 제2 단부(21_1'', 22_1'')보다 폴딩영역(FA)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단부(21_1'', 22_1'')가 제1 단부(21_1', 22_1')에 비해 폴딩영역(FA) 방향으로 더 돌출된 반대의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2에서는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가 터치 부재(30)와 접촉하는 영역인 제1 단부(21_1', 22_1')가 표시 부재(10)와 접촉하는 영역인 제2 단부(21_1'', 22_1'')보다 더 돌출된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부(21_1', 22_1')가 제2 단부(21_1'', 22_1'')보다 폴딩영역(FA)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가 이격되어 형성하는 빈 공간은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단부(21_1', 22_1')와 터치 부재(30)와 직교하는 면과 제2 단부(21_1'', 22_1'')와 표시 부재(10)가 직교하는 면이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빈 공간은 계단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폴딩영역(FA)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단부(21_1', 22_1')가 제2 단부(21_1'', 22_1'')와 직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는 서로 대향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가 터치 부재(30)와 이루는 경사각(Θ)은 45도 내지 8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측부(21_1)가 이루는 경사각과 제2 측부(22_1)가 이루는 경사각은 다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0_2)의 폴딩되는 정도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도 22 및 도 23의 표시 장치(100_2)들은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빈 공간의 상면의 길이가 하면의 길이보다 짧은 구조를 가진다. 즉, 제1 단부(21_1', 22_1')의 간격이 제2 단부(21_1'', 22_1'')의 간격보다 짧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0_2)의 상부에서 하부로 외력이 작용되어 폴딩영역(FA)보다 비폴딩영역(NFA)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휘어지는 경우, 표시 부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부재(30)가 더 많이 변형된다. 즉, 표시 부재(10) 보다 터치 부재(30)에 전달되는 응력이 더 커지게 되고,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의 제1 단부(21_1', 22_1')에 균열부(CA)가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표시장치(100_2)의 하부에서 상부로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폴딩영역(FA)보다 비폴딩영역(NFA)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휘어지는 경우, 제1 서브 접착 부재(21)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22)의 제2 단부(21_1'', 22_1'')에 균열부(CA)가 더 많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표시 장치(100_2)가 폴딩되는 방향에 따라 제1 단부(21_1', 22_1') 또는 제2 단부(21_1'', 22_1'')의 돌출 여부를 조절하여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적층 부재들이 직접 접촉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따른 표시 장치(100_2)는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의 일부 영역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는 평행한 구조는 아니지만, 제1 단부(21_1', 22_1') 및 제2 단부(21_1'', 22_1'') 간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부(21_1) 및 제2 측부(22_1)의 일부 영역이 볼록하게 돌출될 경우, 표시 장치(100_2)의 폴딩영역(FA)과 일부 중첩된 영역이 차지하는 부피에 의해 적층 부재들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부(21_1', 22_1') 및 제2 단부(21_1'', 22_1'')는 볼록하게 돌출된 영역보다 상호간의 간격은 더 길며 후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표시 장치(100_2)의 폴딩영역(FA)과 중첩된 영역에서 표시 부재(10) 및 터치 부재(30)와 접촉하는 계면에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2)가 배치되지 않아 전달되는 응력은 감소된다. 그리고,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에 의해 표시 장치(100_2)의 폴딩시 적층 부재들 간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적층 부재들간의 접촉 문제는, 적층 부재들, 예를 들어, 표시 부재(10), 터치 부재(30) 및 윈도우 부재(50)에 보호층(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방지할 수도 있다. 보호층은 플렉서블한 기재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벤딩 영역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_3)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3)가 적어도 한 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영역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3)는 제3 서브 접착 부재(23)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접착 부재(23)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24)는 표시 부재(10) 및 터치 부재(30)가 적층된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3 서브 접착 부재(23)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24)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균열부(CA)를 포함할 수 있다. 균열부(CA)는 표시 장치(100_3)의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이나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균열부(CA)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5는 표시 부재(10)와 접착하는 부재는 제4 서브 접착 부재(24)이고, 제4 서브 접착 부재(24) 상에 적층되어 터치 부재(30)와 접착하는 부재는 제3 서브 접착 부재(23)인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3)를 두층 이상 적층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서브 접착 부재의 적층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두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서브 접착 부재(23)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24)는 표시 장치(100_3)의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각각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한층 이상이 적층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3)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00_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 내지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_3)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20_3)가 제3 서브 접착 부재(23)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24)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제3 서브 접착 부재(23)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 장치(100_3)의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지 않고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서브 접착 부재(23)는 제3-1 서브 접착 부재(23_1) 및 제3-2 서브 접착 부재(23_2)를 포함하고, 제4 서브 접착 부재(24)는 제4-1 서브 접착 부재(24_1) 및 제4_2 서브 접착 부재(24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서브 접착 부재(23_1) 및 제3-2 서브 접착 부재(23_2)가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1 서브 접착 부재(24_1) 및 제4-2 서브 접착 부재(24_2)도 동일하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3-1 서브 접착 부재(23_1) 및 제3-2 서브 접착 부재(23_2), 제4-1 서브 접착 부재(24_1) 및 제4-2 서브 접착 부재(24_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빈 공간은, 표시 장치(100_3)의 폴딩영역(FA)과 비폴딩영역(NFA)의 계면에서 정렬될 수 있다. 이는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도 27을 참조하면, 제3-1 서브 접착 부재(23_1) 및 제 3-2 접착 접착 부재(23_2)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일 측부들은 제4-1 서브 접착 부재(24_1) 및 제4-2 서브 접착 부재(24_2)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일 측부들보다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의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4-1 서브 접착 부재(24_1) 및 제4-2 서브 접착 부재(24_2)의 일 측부들이 돌출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2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표시 장치(100_3)의 폴딩시, 표시 부재(10)보다 상부에 적층되는 터치 부재(30)는 더 많이 변형될 수 있어 전달되는 응력이 더 클 수 있다. 이에, 제3-1 서브 접착 부재(23_1) 및 제3-2 서브 접착 부재(23_2)의 일 측부들을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의 방향으로 돌출시켜 더 많은 균열부(CA)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00_3)의 폴딩시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면서 표시 부재(10) 및 터치 부재(30)가 직접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1 서브 접착 부재(23_1) 및 제3-2 서브 접착 부재(23_2)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일 측부들이 평행하지 않고 경사각(Θ')을 가지고 기울어질 수도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3-1 서브 접착 부재(23_1) 및 제3-2 서브 접착 부재(23_2)는 터치 부재(30와) 접촉하는 영역과 경사각(Θ')을 이루면서 폴딩영역(FA)과 중첩되는 영역의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이는 도 2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부재
20: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30: 터치 부재
40: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50: 윈도우 부재
100: 표시 장치

Claims (20)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적층 부재;
    상기 제1 적층 부재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적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 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균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는,
    상기 매트릭스 상에 정의되는 임의의 영역인 제1 매트릭스 영역; 및
    상기 균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매트릭스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매트릭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매트릭스 영역과 상기 제2 매트릭스 영역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착성 수지의 결합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균열부; 및
    상기 균열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균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균열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형성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적층 부재 및 상기 제2 적층 부재가 적층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서브 접착 부재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접착 부재의 일 측부인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서브 접착 부재의 상기 제1 측부와 대향하는 방향의 일 측부인 제2 측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계면에서 정렬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의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접착 부재 및 제2 서브 접착 부재에 형성된 상기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상기 제1 적층 부재와 접촉하는 일 단부가 상기 제2 적층 부재와 접촉하는 타 단부보다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상기 제1 적층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계면에서 경사각을 가지고 기울어지며,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상기 계면과 이루는 상기 경사각은 45도 내지 80도의 범위를 가지는, 표시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적층 부재의 상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서브 접착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4 서브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브 접착 부재 및 제4 서브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지 않고 빈 공간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브 접착 부재와 상기 빈 공간이 접하는 측면인 제3 측부 및 상기 제4 서브 접착 부재와 상기 빈 공간이 접하는 측면인 제4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부는 상기 제4 측부보다 상기 빈 공간이 형성된 영역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표시 장치.
  15. 폴딩라인을 포함하는 폴딩영역 및 상기 폴딩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폴딩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
    상기 터치 부재의 일 면에 배치되며,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
    상기 터치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의 타면에 배치된 표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성 수지 매트릭스 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균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폴딩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균열부가 형성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균열부; 및
    상기 제1 균열부보다 형성된 상기 균열부의 밀도가 더 큰 제2 균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균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폴딩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명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광 투명 접착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균열부; 및
    상기 균열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비균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균열부는 상기 폴딩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형성되는, 표시 장치.
  18. 공극이 형성된 광 투명 접착부를 준비하는 단계;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사이에 상기 광 투명 접착부를 배치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를 압착하여 표시 장치는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형성된 광 투명 접착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접착성 수지에 산용해성 입자를 분산시켜 수지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을 산처리하여 상기 산용해성 입자를 용해시키고 상기 공극이 형성된 수지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공극이 형성된 수지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광 투명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압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광 투명 접착부의 두께는 감소하되,
    상기 광 투명 접착부의 감소하는 두께는 상기 광 투명 접착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극의 분율에 반비례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80059516A 2018-05-25 2018-05-2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86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16A KR102686356B1 (ko) 2018-05-2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6/287,684 US11194183B2 (en) 2018-05-25 2019-02-27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910418178.0A CN110531884B (zh) 2018-05-25 2019-05-20 显示设备及制造显示设备的方法
US17/453,235 US11592696B2 (en) 2018-05-25 2021-11-0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16A KR102686356B1 (ko) 2018-05-2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949A true KR20190134949A (ko) 2019-12-05
KR102686356B1 KR102686356B1 (ko) 2024-07-18

Family

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4600B2 (en) 2021-01-28 2023-05-09 Uti Inc. Flexible cover window
US12037278B2 (en) 2020-11-04 2024-07-1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olding apparatus and window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37278B2 (en) 2020-11-04 2024-07-1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olding apparatus and window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644600B2 (en) 2021-01-28 2023-05-09 Uti Inc. Flexible cover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4183B2 (en) 2021-12-07
CN110531884A (zh) 2019-12-03
CN110531884B (zh) 2024-05-14
US20220057670A1 (en) 2022-02-24
US20190361286A1 (en) 2019-11-28
US11592696B2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1884B (zh) 显示设备及制造显示设备的方法
CN110706590B (zh) 显示装置
CN111445792B (zh) 显示装置
TWI814787B (zh) 顯示裝置
US2018026757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11758663B2 (en) Display device
US1166287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touch printed circuit board
EP3812876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folding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047591A1 (zh) 可折弯盖板、可折弯显示模组及可折弯终端设备
EP3923341A1 (en) Guide film, method of fabricating the guide film,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device
US2023020998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8635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148951A (ja) 投影型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投影型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
JP2010197929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719688B (zh) 液晶顯示面板
CN112397667A (zh) 显示装置
US20160293570A1 (en) Electronic connection structure for coupling pins of chip with wiring circuit and panel using same
KR102535371B1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기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01904A1 (en) Heat dissipation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071460A1 (en) Display device
US20220063233A1 (en) Display device
CN114578980A (zh) 电子装置
KR20210055854A (ko) 표시 장치
CN117956863A (zh) 显示设备
CN117412624A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