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690A -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부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부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690A
KR20190134690A KR1020197031823A KR20197031823A KR20190134690A KR 20190134690 A KR20190134690 A KR 20190134690A KR 1020197031823 A KR1020197031823 A KR 1020197031823A KR 20197031823 A KR20197031823 A KR 20197031823A KR 20190134690 A KR20190134690 A KR 2019013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modul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핑 웬
샤오얀 롱
옌칭 라이
Original Assignee
파이온메덱 메디칼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93122.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98349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316711.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42909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94077.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96335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312309.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83754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311827.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83800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94076.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049296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312299.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83753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312301.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83752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93705.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049295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93569.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007258A/zh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온메덱 메디칼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이온메덱 메디칼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61B5/0215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provided with two or more sens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61B5/031Intracrani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1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75Special features of memory means, e.g. removable memory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87Special user input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8Shielding or protection of sensors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protection from mechanical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68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9Voice-controlled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d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모니터링 장치(2)와 모니터링 부지(1)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장치(2)는, 모니터링 부지(1)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인터페이스(21)와, 모니터링 부지(1)로부터 송신되는 채집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처리 신호를 취득하는 신호 처리 모듈과, 처리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모니터링 부지(1)와 모니터링 장치(2)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생체에 대하여 CT, MR 등의, 전자 회로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검사를 행할 때, 모니터링 장치(2)를 부지(1)로부터 분리하여 상기한 검사를 행할 수 있어,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부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본 개시는, 의료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부지(monitering bougie)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체(동물이나 인체) 내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에 대한 모니터링은, 임상 의학이나 동물학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종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 계측에서는, 고도의 센서 컴퍼넌트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두개(頭蓋) 내압(內壓), 두개 내 온도, 두개 내 산소 분압(分壓), 혈관 내압 등의 체내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계측하고, 계측한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신호 처리 기기(機器)에 보내지고, 이 신호 처리 기기에서 다시 처리, 표시 등이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멀티 파라미터 부지에는, 체내의 복수의 종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계측이 집약화되고, 데이터는 대응하는 모니터에 전송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생리학적 파라미터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많은 제한이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모니터링 부지는 모니터와 합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사용 상의 제한이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와 모니터에서의 데이터는 잘못하여 삭제되기 쉽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의 회로(예를 들면, A/D 컨버터, 신호 증폭기, 유선 또는 무선 등)는, MR, CT 모니터링과의 사이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므로, 모니터링 데이터의 손실(일부의 중요한 정보가 충분히 보호되고 있지 않음), 모니터링 데이터의 불균일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상을 근거로 하여, 본 개시는, 모니터링 부지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인터페이스와, 모니터링 부지로부터 송신되는 채집(採集)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처리 신호를 취득하는 신호 처리 모듈과, 처리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제로 조정 데이터, 환자 정보, 작동 모드, 경보 임계값, 경보 해제·지연 중 1개 또는 복수 개를 설정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유선으로 제1 단말 기기와 통신 가능한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으로 제1 단말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한쪽 또는 양쪽을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은, 모니터링 장치와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을 제어하는 작동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이 중단된 경우에 처리 신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처리 신호와 경보 임계값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하는 제1 경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보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에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에는 경보하지 않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2 경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보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에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에, 처리 신호와 경보 임계값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하거나, 또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어지는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부지에 급전(給電)하는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사이즈는, 길이가 7㎝ 이하, 폭이 5㎝ 이하, 두께가 2㎝ 이하이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또한 채집 신호 데이터, 처리 신호 파형(波形), 에러 정보, 전원의 전기량(電氣量), 경보 정보, 모니터링 부지의 사용 시간, 모니터링 부지의 ID, 환자 정보, 및 유선·무선 접속 상황 중 1개 또는 복수 개를 표시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핸드쉐이크(handshake)에 의해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음성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패널은 음성 버튼을 더 포함하고, 음성 버튼 및 음성 입력 모듈에 의해, 음성 메모를 기록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웨어러블이며, 고정 부속품(attachment)에 의해 모니터링 대상의 머리 또는 몸에 고정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모니터링 부지로부터 송신되는 채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수신 모듈, 상기 유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채집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한쪽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게이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은,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모듈과,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모듈에 전달하는 제1 선택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은,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온으로 하고, 또한 제2 검출 모듈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온(on) 또는 오프(off) 모듈과,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은,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하는 제2 선택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은,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오프로 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조정 모듈은, 상기 제1 검출 모듈, 상기 제2 검출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수신 모듈에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상기 채집 신호를 샘플링시키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고, 또한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수신 모듈에 제2 샘플링 주파수로 상기 채집 신호를 샘플링시키고,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가 상기 제2 샘플링 주파수보다 높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은,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오프로 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정기적으로 온으로 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채집 신호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로브와, 일단(一端)이 제1 와이어를 통해 모니터링 프로브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커넥터와, 모니터링 부지의 ID 및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지를 제공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는, 상기 채집 신호를 채집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 내, 또는 상기 커넥터 내, 또는 모니터링 프로브와 커넥터와의 사이에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의 직경이 800㎛ 이하이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압전형(壓電型) 또는 피에조(piezo) 저항형의 센서이며, 상기 센서의 회로는, 풀 브리지 접속 또는 하프 브리지 접속된 것이며, 상기 센서는 절대 압력 또는 상대(相對) 압력을 계측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MR과 CT에 영향을 받지 않는 메모리 칩이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제로 조정 데이터, 환자 정보, 매립 시간, 모니터링 부지 출하(出荷) 정보, 채집 신호 중 1개 또는 복수 개를 더 기억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에는, 전자 식별 태그가 설치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는, 표면에 창이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housin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창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창에는, 봉지층(封止層)이 설치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창이 개구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 개의 센서는, 동일한 창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창에 대향하는 위치의 각각에, 센서가 설치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일체로 집적화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하우징의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에 위치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창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위치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선단에 위치하는 창에 설치된 봉지층은, 유선형의 윤곽을 가진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창과 연통되는 중공(中空) 캐비티(cavity)가 형성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는, 상기 중공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제1 창이 개구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중공 캐비티 내에서의, 상기 제1 창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연결된 수직부와 수평부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 구조이며, 상기 수평부는 제1 창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부에 상기 센서가 배치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는 제2 창이 개구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는, 상기 제2 창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창에 걸어맞추어지는 판형 구조이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중공 캐비티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센서에 접속되는 와이어/광섬유가 삽통(揷通)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창을 완전하게는 덮고 있지 않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무공(無孔) 구조이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창에 걸린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부지의 일단에 근접하여,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에 접속되고, 무선으로 상기 채집 신호를 송신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처리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에 의해 취득된 채집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측면에 의하면, 제1 단말 기기와,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부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모니터링 부지로부터 송신되는 채집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처리 신호를 취득하고, 처리 신호를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처리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 신호를 해석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를 더 포함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제2 단말 기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타측면에 의하면, 드레나지 튜브(drainage tube)와,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부지와, 카테터(catheter)와, 드레나지 보틀(drainage bottle)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나지 튜브는, 측면에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관체(管體)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 내에는, 2개 이상의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 중 적어도 1개는 와이어 캐비티이며, 적어도 1개는 드레나지 캐비티이며,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와이어 캐비티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와 연통되고, 상기 모니터링 부지는,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와이어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 캐비티 내에 설치된 제2 와이어를 통해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카테터는, 상기 드레나지 튜브와 상기 드레나지 보틀을 연통시키는 드레나지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선단부는, 유선형의 윤곽을 가진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캐비티와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와는, 연통 또는 비연통이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외경(外徑)은 2.8㎜∼5.0㎜이며, 상기 와이어 캐비티의 내경(內徑)은 0.4㎜∼1.5㎜이며,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의 내경은 1.0㎜∼3.0㎜이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튜브 내에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 및 상기 와이어 캐비티와 비연통인 캐비티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말단은, 상기 관체의 선단부의 벽에서의 구멍을 통해 드레나지 튜브의 밖으로 나온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튜브에는, 상기 와이어 캐비티와 연통되고, 제2 와이어를 인출하기 위한 제3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선단부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부지와 모니터링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생체에 대하여 CT, MR 등의, 전자 회로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검사를 행할 때, 모니터링 장치를 모니터링 부지로부터 분리하여 상기한 검사를 행할 수 있어,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모니터링 부지에 제2 기억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종류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고, 모니터링 부지와 모니터링 장치와의 독립성을 도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부지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분리한 후, 다른 모니터링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모니터링 부지의 메모리 칩에 기록된 정보(모니터링 부지의 ID)를 식별함으로써, 모니터링 작동을 계속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드레나지 장치는, 와이어 캐비티와 드레나지 캐비티를 개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모니터링 부품 또는 모니터링 부품에 접속되는 와이어에 의한 드레나지 캐비티의 막힘에 기인하여 드레나지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부품과 조직(組織) 내의 환경과의 충분한 접촉을 확보하여, 조직 내의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드레나지 캐비티 내의 체액에 의한 모니터링 파라미터에 대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 및 측면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밝혀질 것이다.
명세서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도면은,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을 나타내고,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부지와 모니터링 장치와의 접속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부지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1a∼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창 설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창 설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4a∼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봉지층 설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5a∼도 1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1a∼도 2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선단 베이스의 구성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에 의한 드레나지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4a,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의 단면도(斷面圖)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실시예의 각종 측면이 나타나 있지만, 특기되어 있지 않은 한, 그 비례대로 도면을 도시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의 「예시적」이라고 하는 전용어(專用語)는, 「예, 실시예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설명을 위한 것인」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는 모두 다른 실시예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양호하다고 해석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를 더욱 되고 설명하기 위해,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체적인 세부를 많이 기재하였다. 본 발명은, 어떠한 구체적인 세부가 없어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가 이해해야 할것이다. 본 발명의 주지를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일부의 실시예에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 수단, 소자, 및 회로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記述)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부지(1)와 모니터링 장치(2)와의 접속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2)는, 모니터링 부지(1)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인터페이스(21)와, 모니터링 부지(1)로부터 송신되는 채집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처리 신호를 취득하는 신호 처리 모듈과, 처리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모니터링 부지(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채집 신호를 채집하기 위한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제1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모니터링 부지(1)의 제2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21)와 제2 인터페이스(122)와의 사이는, 플러그 인식, 클립 온식, 또는 나사결합식 등의 접속이라도 된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채집 신호에 대하여, 미약 신호의 필터링이나 노이즈 저감, 예비 증폭, 기억, A/D 변환, 후처리 증폭 등의 후의 일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필터, 증폭기, A/D 컨버터, 메모리, 대응하는 귀환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LC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등이라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부지(1)와 모니터링 장치(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으므로, 생체에 대하여 CT, MR 등의, 전자 회로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검사를 행할 때, 모니터링 장치(2)를 모니터링 부지(1)로부터 분리하여 상기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 부지(1)는 전원 오프이며,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부지(1)와 모니터링 장치(2)와의 접속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모니터링 부지(1) 및 모니터링 장치(2)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는, 모니터링 부지(1)의 후단(後端)이, 제1 와이어(13) 및 그 말단에서의 플러그(E)[제2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2)에서의 소켓(F)[제1 인터페이스(21)]에 접속되는 일례가 나타나 있다. 제1 와이어(13)는, 채집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며, 절연층 재료로 피복된 와이어라도 된다. E는, 삽탈(揷脫) 가능한 플러그 또는 다른 타입의 조인트 디바이스로서, 모니터링 장치(2)의 소켓(F)에 연결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부지(1)는, 그 일부가 체내에 매립되고, 플러그(E)가 있는 일단은 생체 표면에 노출되어, 플러그(E)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2)의 소켓(F)에 접속할 수 있다. 모니터링 부지(1)는, 체내 파라미터를 채집해 채집 신호를 취득하고, 제1 와이어(13), 플러그(E), 및 소켓(F)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2)에 전달하고, 모니터링 장치(2)는, 수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채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전원 모듈, 전원 스위치(G), 디스플레이(K), 및 경보 램프(H), (I) 및 (J)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K)는, 채집 신호에 따른 모니터링 파라미터의 수치(예를 들면, 환자의 두개 내의 생리학적 파라미터값)를 포함하는 것을 표시해도 되고, 전원의 전기량, 나머지의 사용 시간, 유선·무선 접속 상황, 부지의 매립 시간, 경보 상태, 경보 해제/캔슬 메시지, 테크니컬 경보 메시지, 처리 신호 파형 등을 표시해도 된다. 경보 램프(H), (I) 및 (J)는, 각각 전지의 전기량, 무선 접속 신호, 모니터링 파라미터의 수치에 관하여 경보해도 되고, 경보 램프 및 경보 내용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처리 신호와 경보 임계값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하는 제1 경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파라미터의 경보 임계값을 미리 설정하고, 모니터링 장치(2)에서의 신호 처리 모듈은,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 신호를 취득하고, 처리 신호를 경보 임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해도 된다. 경보는, 상기와 같은 경보 램프에 의해 행해져도 되고, 음성으로 행해져도 되고, 또는 양쪽의 조합에 의해 행해져도 되고, 경보의 형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써, 모니터링 중의 뜻밖의 상황을 의료자 등에 적시에 알려, 신속히 대응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보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유선 또는 무선 통신 접속을 포함함)이 확립되었을 경우에는 경보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제1 경보 모듈을 오프로 해도 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유선 또는 무선 통신 접속을 포함함)이 확립되었을 경우에, 처리 신호와 경보 임계값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하거나, 또는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어지는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하는 제2 경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모니터링 장치(2)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 기기는, 모니터, 호스트 컴퓨터 등의, 채집 신호를 동기시키거나 또는 다시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기라도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모듈은, 안정된 작동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며, 일회용, 교환 가능, 또는 반복 충전 가능(분리 가능, 분리 불가)한 전지라도 되고, 모니터링 부지(1) 및 모니터링 장치(2)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고, 대용량으로 소형의 특징을 가진다. 충전 전지는, 전원 어댑터, 모바일 전원에 의해 충전되거나, 또는 제1 단말 기기에 접속되었을 때 충전 되므로, 바람직하다. 모니터링 부지(1) 및 모니터링 장치(2)는, 모두, 저소비 전력, 고운전 속도, 소형의 특징을 가지고, 고집적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2)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유선으로 제1 단말 기기(3)와 통신 가능한 유선 통신 모듈(22)과, 무선으로 제1 단말 기기(3)와 통신 가능한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의 한쪽 또는 양쪽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기기(3)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핸드쉐이크에 의해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말 기기(3)는, 모니터, 호스트 컴퓨터, 중앙 감시국 등의, 처리 신호를 동기시키거나 또는 다시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기라도 된다.
유선 통신 모듈(22)는, 통신 케이블(데이터 케이블, 네트워크 케이블, 광섬유 등)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3)에 접속되고, 유선으로 상기 채집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상기 통신 케이블과 모니터링 장치(2) 및/또는 제1 단말 기기(3)는, 착탈 가능한 플러그,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USB, RS232, 또는 RS485 등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2)와 제1 단말 기기(3)는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즉, 유선 통신 모듈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데이터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등이라도 됨)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데이터에 대하여 압축, 프로토콜의 캡슐화 등의 처리를 행하고나서 유선 통신으로 송신해도 된다. 착탈 가능한 플러그는, 항공 플러그, Type C, USB, 또는 lighting 플러그 등으로부터 선용(選用)해도 된다.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WiFi, 또는 적외선 방사 모듈 중 1개 또는 복수 개이며, 무선으로 제1 단말 기기(3)로 통신해도 된다. 제1 단말 기기(3)는, 상기한 제1 무선 통신 모듈(23)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무선 통신 모듈(23)에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일정한 공간 범위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은, 제1 단말 기기와의 신호 수수(授受)를 정확하고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선 통신 모듈(22)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은, 모두, 기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모니터링 부지(1)로부터 송신되는 채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20)과, 상기 수신 모듈(20), 유선 통신 모듈(22),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23)에 접속되고, 수신 모듈(20)에 의해 수신된 채집 신호를 유선 통신 모듈(22)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의 한쪽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채집 신호를 제1 단말 기기(3)에 송신하는 게이트 모듈(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모듈(24)은, 유선 통신 모듈(22)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의 통신 접속 상황을 모니터링 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채집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의 한쪽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채집 신호를 제1 단말 기기(3)에 송신해도 된다. 게이트 모듈(24)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하이/로우 레벨로 제어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게이트 접속을 실현해도 되고, 다른 형태를 채용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관련 기술에서의 모니터링 장치는, 통상, 모니터링 부지와 체외 기기를 와이어로 접속하여, 대량의 데이터의 전송에 적합하다. 그러나, 와이어의 길이의 제한을 위해, 모니터링 대상의 활동 범위에 한계가 있어, 일부의 순종성이 낮은 모니터링 대상(의식 장해가 있는 환자나, 협력할 수 없는 시험 동물 등)의 경우에는, 계측용 와이어가 체내로부터 잘못하여 인출되거나, 관련 파라미터를 안정적이며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없게 되거나 하여 버린다.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는, 기능의 실현을 위해, 시스템의 완전성을 필요로 한다. 즉, 시스템은, 센서, 접속 케이블, 신호 처리, 및 표시(모니터)와의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완전한 시스템이 아니면 모니터링의 성능을 실현할 수 없다. 그러므로, 경우(환자의 이송중 등)에 따라서는, 객관적 조건에 의한 제한을 위해 체외 기기(모니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적시에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어, 임상 진단이나 동물 실험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심각한 경우에는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조차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모니터링 장치(2)에 의하면, 유선 또는 무선 접속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채집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유선 전송에서의 활동 공간이나 시스템 완전성의 요구 등의 문제를 극복했다. 상이한 적용 신에 따라 상이한 이용 신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대응하는 송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모니터링 장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2)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24)은,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모듈(241)과,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에 전달하는 제1 선택 모듈(2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출 모듈(241)은, 유선 통신 모듈(22)에 의해 제1 단말 기기(3)에 간단한 테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제1 단말 기기(3)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또는, 제1 단말 기기(3)는, 유선 통신 모듈(22)에 정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1 검출 모듈(241)은, 상기 신호가 유선 통신 모듈(22)에 의해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검출 모듈(241)은, 유선 통신 모듈(22)에 의해 제1 단말 기기(3)에 간단한 테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제1 단말 기기(3)로부터 피드백된 접속 성공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적인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한 「핸드쉐이크」에 의해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해도 된다. 상기한 검출 방식의 양쪽은, 모두, 기존의 하드웨어에 의한 통신 기술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제1 검출 모듈(241)은,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에, 검출 결과를 커맨드로서 제1 선택 모듈(242)에 송신하고, 제1 선택 모듈(242)는, 수신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채집 신호를 유선 통신 모듈(22)에 송신하여, 유선 통신에 의해 상기 채집 신호를 제1 단말 기기(3)에 송신해도 된다. 제1 검출 모듈(241)은, 제1 단말 기기(3)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상기 채집 신호를 전달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채집 신호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전달하거나, 또는 직접 기억해도 된다. 여기서, 제1 선택 모듈(242)는, 스위치로 실현되어도 된다.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일 때, 유선을 우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고속, 정확, 효율적으로 채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오프로 해도 된다.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일 때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오프로 함으로써, 시스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24)은,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모듈(23)을 온으로 하고, 또한 제2 검출 모듈(244)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온 또는 오프 모듈(243)과,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243)에 접속되고,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243)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모듈(23)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모듈(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출 모듈(241)은,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하면, 온 또는 오프 모듈(243)에 무선 통신 모듈(23)을 온으로 하는 온 커맨드를 송신해도 된다. 온 또는 오프 모듈(243)은, 상기 온 커맨드를 수신하면, 무선 통신 모듈(23)을 온으로 하기 위해, 온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 모듈(23)에 송신하고, 검출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2 검출 모듈(244)에 송신한다. 제2 검출 모듈(244)은, 상기 검출 커맨드에 따라 제1 무선 통신 모듈(23)과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한 각 모듈은, 모두,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태양(態樣)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온 또는 오프 모듈(23)은 스위치로 실현되고,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23)과 전원과의 접속/차단을 실현함으로써, 무선 통신 모듈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은, 기존 기술에서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WiFi, 또는 적외선 방사 모듈 중 1개 또는 복수 개라도 된다. 이들 모듈에는 대응하는 신호 발생기가 포함되어 있고, 제2 검출 모듈(244)은,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에서의 신호 발생기를 제어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3)에 무선 접속의 요구 신호를 발하고, 무선 통신의 확립을 요구해도 된다.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은, 상기 제2 검출 모듈(244)에, 예를 들면, 접속 성공인지의 여부, 신호 품질 등의 접속 상태에 관한 신호를 피드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것은 모두 기존의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24)은, 상기 제2 검출 모듈(244)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244)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에 전달하는 제2 선택 모듈(2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검출 모듈(244)은, 제1 무선 통신 모듈(23)과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2 선택 모듈(245)에 커맨드를 송신하고, 제2 선택 모듈(245)는,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면, 커맨드에 기초하여 채집 신호를 제1 무선 통신 모듈(23)에 송신해도 된다. 제2 검출 모듈(244)은, 하드웨어, 예를 들면, 스위치로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2)에 의하면, 게이트 모듈(24)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의 접속 상황을 검출하고, 적절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채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의료자가 일시적으로 피검대상을 이격시킬 필요가 생긴 경우나, 또는 스페이스적으로 불충분한 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2)로부터 제1 단말 기기(3)를 분리해내고,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접속을 확립할 수 있어, 감시 시스템의 스페이스 목표 제한이 없어진다. 통상의 경우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채집 신호를 전송하고, 대량 또한 고품질 데이터의 전송에 유리하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모듈(244)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오프로 한다. 이 경우에, 모니터링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243)은, 상기 제2 검출 모듈(244)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오프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정기적으로 온으로 함으로써, 제1 단말 기기(3)와의 접속 확립을 시행한다. 이와 동시에, 제1 검출 모듈(241)은, 유선 통신 모듈(22)과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상시 검출해도 되고, 검출의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해도 된다.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접속 중 어느 하나가 정상의 접속으로 회복하면, 상기 제1 단말 기기(3)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243)은,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고, 또한 제2 검출 모듈(244)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오프로 해도 된다. 통신이 정상으로 회복했을 때 접속을 적시에 확립하여 데이터를 송신 가능하도록, 1분마다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온으로 하여, 상기 제1 단말 기기(3)에 대한 접속을 시행하고, 접속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오프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타이머에 의해 온 또는 오프 모듈(243)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을 온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1분마다 온으로 하는 것을 예로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당업자는,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는, 접속을 적시에 확립 가능한 한, 사용자는, 개인의 기호 및/또는 실제의 적용 신에 따라 제1 무선 통신 모듈(23)의 온 또는 오프 주기(周期)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상기 제1 검출 모듈(241), 상기 제2 검출 모듈(244), 및 상기 수신 모듈(20)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수신 모듈(20)에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상기 채집 신호를 샘플링시키고, 상기 제1 검출 모듈(241)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고, 또한 제2 검출 모듈(244)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23)과 상기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수신 모듈(20)에 제2 샘플링 주파수로 상기 채집 신호를 샘플링시키는 조정 모듈(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는, 상기 제2 샘플링 주파수보다 높다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비교적 높고, 높은 샘플링 주파수로 채집 신호를 샘플링함으로써, 높은 데이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은 아니고,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비교적 낮고, 이 때는 낮은 샘플링 주파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품질과 전송 속도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단, 샘플링된 신호의 복원 시의 불균일을 회피하기 위해, 제2 샘플링 주파수는 너무 낮아서는 안된다[예를 들면, 나이퀴스트(nyquist) 샘플링 정리(定理)를 만족시켜야 한다].
조정 모듈(26)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정 모듈은, 제1 검출 모듈(241) 및 제2 검출 모듈(244)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의 샘플링 펄스를 수신 모듈(20)로 전환 설정하여, 수신 모듈의 샘플링 주파수를 변화시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입력된 채집 신호는, 낮은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되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23)에 의해 송신되는 것에 의해, 전송의 효율과 품질이 확보된다. 또한, 유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채집 신호는, 높은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되어 상기 유선 통신 모듈(22)에 의해 송신되는 것에 의해, 높은 데이터 품질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스 등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유선에 의해 고품질로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조건에 의한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무선에 의해 전송할 수 있어, 무선 전송에 의해 전송 효율과 데이터 품질을 양립시킨다. 무선 전송 방식 및 유선 전송 방식의 각각의 제한을 양호하게 해소하고 있다.
상기한 조정 모듈, 온 또는 오프 모듈 등의 각 모듈은, 모두, 예를 들면, 주문형 집적 회로,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회로, 논리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싱글 칩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제1 단말 기기(3)는, 상기 유선 통신 모듈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에 대응하는 유선 수신 모듈 및 무선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선 수신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에 대응하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라도 되고, 상기 무선 수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WiFi 신호 수신 모듈, 또는 적외선 수신 모듈 중 1개 또는 복수 개라도 된다. 제1 단말 기기는, 체외의 모니터 등이라도 되고, 채집 신호에 대한 새로운 처리 및 표시를 실현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에 처리 신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억 모듈은, 메모리 칩, 플래시 메모리, SD 카드, TF 카드 등이라도 되고, 데이터 카드를 인출하여,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판독/카피할 수 있다.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통신이 중단된 경우에, 모니터링 장치(2)는, 모니터링 파라미터 데이터를 제1 기억 모듈에 저장할 수 있고, 모니터링 장치(2)는, 제1 단말 기기(3)와의 접속이 복원된 것을 검출하면, 기억한 데이터를 제1 단말 기기(3)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2)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F는, 와이어 플러그(E)에 접속되는 소켓(제1 인터페이스)이며, 어느 정도의 견뢰성(堅牢性)을 구비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켓 및 와이어 플러그에 대하여 버클 등의 부설(付設) 장치에 의한 설계를 행하여, 잘못하여 인발(drawing)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 플러그와 이 소켓과의 접속을 보강하여 이루어진다. 이 소켓 설계는, 저저항, 고감도, 저간섭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하여, 센서에 의해 발생되고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로의 다양한 노이즈에 의한 간섭을 저감시키고, 모니터링의 감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L은, 절연 성능을 가지고, 모니터링 장치(2)를 봉지(封止; sealing)하는 하우징이라도 된다. M은, 전원 모듈(5)이며, 일회용, 교환 가능, 또는 반복 충전 가능한 전지라도 되고, 안정된 작동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고, 다른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여 이루어진다. N은, 데이터 처리 모듈(수신 모듈을 포함해도 됨)이며, 수신한 센서 채집 데이터에 대하여, 증폭, 필터링이나 노이즈 저감, A/D 변환, 및 샘플링 주파수 설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A/D 변환된 신호를, 필요에 따라 증폭, 해석 등의 처리를 행하여, 설정된 경보값의 범위와 비교하여, 바로 옆의 샘플링값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판단하고, 경보 판정하여, 경보 지령을 경보 시스템에 송신하고, 또한 그 값을 특정한 주파수로 샘플링하여 무선/유선 송신 모듈(무선/유선 통신 모듈)에 송신하여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O는, 제1 기억 모듈이며, 데이터 버퍼링을 행하고, 일정 시간 내에서의 모니터링값을 기억하여, 유선 접속과 무선 접속이 모두 중단되었을 때의 채집 신호의 버퍼링을 도모한다. P는, 무선/유선 송신 모듈(무선/유선 통신 모듈)이며, 처리(부호화, 압축 등)된 데이터를 제1 단말 기기(3)에 송신하고, 외부 기기(제1 단말 기기를 포함함)에 의한 지령을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 모듈의 설정 등을 행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원 관리 모듈(도시하지 않음)과 주변 회로를 포함하고, 전원(M)의 작동 전압, 전류, 및 나머지의 전기량을 감시하고, 전압, 전류, 전기량이 미리 설정된 값(통상은 정상 작동의 정격값보다 약간 큼)보다 낮아지면, 경보 지령을 경보 시스템에 송신해도 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간단하며 독립된 감시 시스템을 형성하여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모니터링, 데이터의 채집, 기록, 해석, 표시, 제시를 행할 수 있고, 음성 및/또는 광 경보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감시 시스템은, 모니터에 구속(拘束; restrain) 되지 않게 되어, 모니터링 장치는, 감시의 역할을 단독으로 행할 수 있고, 스페이스적으로 허용되지 않거나, 환자의 이송 등의 경우에, 모니터 없이 감시 및 경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제로 조정 데이터, 환자 정보, 작동 모드, 경보 임계값, 경보 해제/지연 등을 설정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패널은, 모니터링 장치(2)의 외면에 위치하는 물리적인 제어 패널이라도 되고, 디스플레이(K)에 의해 표시되는 터치 제어 패널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G)와 마찬가지로, 모니터링 장치(2)의 표면에 복수의 버튼이 설치되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링 장치와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해도 된다. 작동 모드 선택 스위치는, 온 포지션(유선 및 무선 모드를 동시에 유효하게 함), 유선 접속 포지션(즉, 무선 모드를 오프로 함), 오프 포지션(즉, 유선 및 무선 전송을 오프로 함)의 3개의 포지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관찰자는, 작동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해 모니터링 장치(2)와 제1 단말 기기(3)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모드 선택 스위치는, 가압될 때마다 상이한 포지션으로 전환되는 1개의 스위치라도 되고 복수의 서브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이한 서브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이한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전용처리 모듈을 모니터링 장치(2)에 집적화하여, 상기 처리 모듈은, 작동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을 식별함으로써 통신 방식을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관찰자에 의해 오프 포지션이 선택되면, 처리 모듈은, 처리 신호를 수신하여, 유선 통신 모듈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의 전기량이 낮거나, 또는 단말 기기가 없을 시에, 관찰자는 오프 포지션을 선택하여 소비 전력을 삭감시킬 수 있고, 이 때 채집 신호는 제1 기억 모듈에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관찰자에 의해 유선 접속 포지션이 선택되면, 처리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을 온으로 제어하고,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에, 유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2)는 경보 신호를 발해 관찰자에게 알려진다. 또한, 관찰자에 의해 온 포지션이 선택되면, 처리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 및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온으로 제어하고,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에, 유선 통신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 유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적인 경우에,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2)는 경보 신호를 발해 관찰자에게 알려진다. 또는,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 무선 통신은 자동적으로 오프가 되어, 일정 시간 후에 자동 기동하여 접속을 시행해도 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상기 프로세스는, 복수의 모듈(예를 들면, 온 또는 오프 모듈, 검출 모듈, 게이트 모듈, 및 경보 모듈 등)에 의해 각각 실현되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위치 버튼, 임계값 설정 버튼, 경보 해제/지연 스위치, 제로 조정 버튼, 메뉴 설정 버튼, 레코드뷰 버튼, 무선 접속 버튼, 디스플레이 점등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버튼은, 모니터링 장치(2)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것이며, 임계값 설정 버튼은, 경보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며, 경보 해제/지연 스위치는, 경보 신호의 표시를 해제/지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제로 조정 버튼은, 모니터링 부지(1)에 대한 제로 조정을 실현하는 것이며, 메뉴 설정 버튼은, 디스플레이(K)에서의 메뉴의 표시를 설정하는 것이며, 레코드뷰 버튼은, 기억되어 있는 이력 데이터를 조회함으로써, 무선 접속 버튼은, 무선 통신 모듈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것이며, 디스플레이 점등 버튼은, 디스플레이(K)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것이라도 된다. 상기한 버튼은, 푸시 버튼이라도 되고, 모니터링 장치(2)에 터치 스크린을 설치하여 터치 방식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또는 디스플레이(K)를 터치 스크린으로 하고, 디스플레이(K)에 의해 제어 패널을 표시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 또는 제1 단말 기기(3)에 음성 입력 모듈 및 음성 버튼을 설치하고, 음성 입력 모듈 및 음성 버튼에 의해 음성 메모를 기록하고, 기록된 상기 음성 메모를 이력 데이터/곡선으로 조회, 표시, 판독 등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니터링 장치(2)에서의 유선·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1 단말 기기(3)로부터 송신되는 지령을 수신하여, 내부의 파라미터 등을 설정하여 이루어진다. 모니터링 부지(1), 모니터링 장치(2), 제1 단말 기기(3)가 접속되면, 제1 단말 기기(3) 및/또는 모니터링 장치(2)는, 제로 조정, 모니터링 경보 임계값의 설정, 환자의 정보와 감시 레코드 등의 입력을 행한다. 모니터링 부지(1)의 메모리 칩, 모니터링 장치(2), 및 제1 단말 기기(3)는, 필요할 때의 호출을 도모하도록, 동시에 데이터 기록을 행한다. 모니터링 장치(2) 및 모니터링 부지(1)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제1 단말 기기(3)로부터 이격되어도, 독립적으로 감시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의 사이즈는, 길이가 7㎝ 이하, 폭이 5㎝ 이하, 두께가 2㎝ 이하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2)는, 소형화 전자 회로 기기이며, 피검대상의 체외에, 예를 들면, 체외의 랩 드레싱이나 의류 등의 위치에 휴대 가능하게 걸 수 있고, 모니터링 대상의 활동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 표시 모듈 등을 포함하고, 채집 신호를 처리하여, 관찰자에 의한 관찰을 위해 표시, 경보 기능을 제공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웨어러블이며, 고정 부속품(예를 들면, 붕대, 클립 등)에 의해 모니터링 대상의 머리 또는 몸에 고정되어도 된다. 활동 공간과 시스템 완전성으로의 요구 등의 문제를 극복하여, 다양한 모니터링 장면에 적합하다.
모니터링 장치(2)는, 제1 단말 기기(3)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피검대상의 체외에 휴대 가능하게 거는 것이 가능하므로, 의료자가 일시적으로 피검대상을 이격시킬 필요가 생긴 경우나, 또는 스페이스적으로 불충분한 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2)로부터 제1 단말 기기(3)를 분리해내고, 모니터링 장치(2)에 의해 생체내 파라미터를 계속하여 모니터링 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제1 단말 기기(3)와의 접속을 확립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감시 시스템의 스페이스 목표 제한이 없어진다.
모니터링 부지(1)는, 착탈 가능한 커넥터에 의해, 피검대상의 체외에 휴대 가능하게 가해지는 소형화 전자 회로[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된다. 전자 회로는, 채집 신호를 처리하여, 관찰자에 의한 관찰을 위해 표시, 경보 기능을 제공한다. MR, CT 등의, 전자 회로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검출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2) 내의 전자 회로가 검출 결과에 영향이 없도록, 상기 모니터링 장치(2)를 분리해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또한 Wi-Fi, 3G/4G 등의 무선 방식에 의해, 모니터링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 또는 중앙 감시국에 전달하여, 특정한 컴퓨터, 휴대 전화기의 클라이언트에 송신해도 된다. 관찰자는, 스페이스 목표 제약을 받지 않고,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액세스하여, 감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 또는 제1 단말 기기(3)(감시 호스트, 중앙 감시국 등)로부터 경보 신호가 발해지면, 경보 신호는, 특정한 방식(쇼트 메시지, 클라이언트 통지 등)으로 특정한 클라이언트에 동시에 송신되고, 스페이스 목표 제약을 받지 않고 관찰자에게 경보한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2)로부터의 처리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 신호를 해석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제1 단말 기기(3)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처리 신호를 플롯하여, 모니터링 상황(모니터링 파형)을 실시간으로 표시해도 되고, 상이한 원리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파형을 해석하고, 예를 들면, 두개 내압에 대하여 경향 해석, P1/P2/P3 파형 해석을 행하여, 트랜드를 예측해도 된다.
감시 호스트는, 상기한 제1 단말 기기(3)의 일례라도 되고, 모니터링 장치와 비교하면, 사이즈가 크고 기능이 더 갖추어져 있고, 모니터링 대상(환자)의 베드 사이드 모니터링에 적합하다. 단, 제1 단말 기기(3)는, 예를 들면, 동시에 복수의 모니터링 대상을 감시하는 중앙 감시국, 원격 조정 단말기 등의, 처리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 표시할 수 있는 감시 기기이면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 기기(3)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3)로부터 송신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서버에는, 제2 단말 기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다.
서버는, 로컬 서버라도 클라우드 서버라도 되고, 제1 단말 기기(3)로부터 이더넷(ethernet), WiFi, 또는 3G/4G 등을 통해 업로드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하고, 경우에 따라 암호화할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제2 단말 기기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데이터 조회에 대응할 수 있어, 모니터링 대상에 관한 경보 데이터나 리마인더 정보에 대한 하방향 배신(配信; distribution)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단말 기기의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쇼트 메시지, 제시 메시지 등에 의한 경보를 부여한다.
제2 단말 기기는, 퍼스널 PC, 휴대 전화기, Pad 등의 임의의 단말 기기라도 되고, 제2 단말 기기에는, Windows, iOS, MacOS, Android 등의 멀티 플랫폼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가 실장(實裝)되어도 된다. 제2 단말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 통신에 의해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감시자(예를 들면, 의사)는, 제2 단말 기기의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어카운트(account) 및 패스워드로 서버에 로그인하여, 대응하는 모니터링 부지에 관련되어진 리얼 타임(real time)의 모니터링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조회하여, 모니터링 장치 및 감시 호스트에 관련 설정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채집 신호를 취득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여,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재차 해석 및 표시를 행하고, 해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해석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단말 기기로 조회할 수 있다. 이로써,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모니터링 데이터의 원격 수신 및 처리를 실현하여, 리얼 타임 또한 효과적으로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한다.
본 개시는, 모니터링 부지(1)를 더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부지(1)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모니터링 부지(1)는, 채집 신호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로브(11)와, 일단(121)이 제1 와이어(13)를 통해 모니터링 프로브(11)에 접속되고, 타단이 모니터링 장치(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122)를 가지는 커넥터(12)와, 모니터링 부지의 ID 및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는, 상기 채집 신호를 채집하기 위한 센서(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프로브(11)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목적으로 하는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예를 들면, 두개 내압 센서, 온도 센서 등의 상이한 기술에 의한 센서를 1개 또는 복수 개 포함해도 된다. 센서는, 센서 외부의 보호 장치를 통해 체내 환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되고, 이 격리는, 목적으로 하는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채집에 큰 영향을 주지 않거나, 또는 이에 의한 영향을 후의 처리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격리 및/또는 후의 처리가 행해진 센서는, 고안정성과 고감도를 가지고, 목적으로 하는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12)는, 센서 외부의 외부 보호 장치(하우징)(111)를 통해 체내 환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된다. 하우징(111)은, 금속 또는 고분자 재료의 센서 보호 장치이며, 센서가 놓여지는 베이스라도 되고, 센서가 보다 직접 데이터를 수집 가능하도록 창이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센서(112)에는, 회로 소자를 체내 환경으로부터 격리하는 역할을 행하고, 또한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채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봉지층(1112)이 덮혀 있어도 된다.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는, 상기 센서와, 센서 외부의 보호 장치로 구성되고, 생체 내로의 매립이 가능하며, 제1 와이어(13)의 일부 및 커넥터(12)는,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되도록 생체 표면에 노출되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압전형 또는 피에조 저항형의 센서라도 되고, 상기 센서의 회로는, 풀 브리지 접속 또는 하프 브리지 접속된 것이라도 되고, 상기 센서는, 절대 압력 또는 상대 압력을 계측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의 직경이 800㎛ 이하, 예를 들면, 600㎛이라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122)는, 플러그 인식, 클립 온식, 또는 나사결합식 등의 임의의 태양이라도 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2)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122)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21)를 구비한다. 플러그 인식의 접속을 예로 하면, 상기 제2 인터페이스(122)가 메일(male) 인터페이스이며, 제1 인터페이스(21)가 휘메일(female) 인터페이스라도 되고, 또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122)가 휘메일 인터페이스이며, 제1 인터페이스(21)가 메일 인터페이스라도 된다. 상기 제2 인터페이스(122) 및 제1 인터페이스(21)은, 항공 플러그, Type C, USB, 또는 lighting 플러그 등이라도 된다. 상기 제2 인터페이스(122)와 제1 인터페이스(21)은, 기존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을 채용하여 통신하여, 채집 신호를 전송하여 이루어진다. 커넥터(12)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12)로부터의 모니터링 장치(2)의 분리를 도모한다.
모니터링 프로브(11), 커넥터(12), 및 제1 와이어(13)는, 패키지화되어 상기 모니터링 부지(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부지(1)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MR, CT 등의, 전자 회로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검출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2) 내의 전자 회로가 검출 결과에 영향이 없도록, 또한 모니터링 장치(2)의 전자파 간섭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손상이 없도록 상기 모니터링 장치(2)를 분리해낼 수 있다. 모니터링 프로브(11)는, 모니터링 프로브(11)의 삽탈에 의한 복잡한 조작, 및/또는, 매립을 위한 2차 수술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2차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자의 체내에 놓여진다.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FPGA 등의 기술에 의해 실현되는 메모리 칩이라도 되고, 모니터링 부지의 ID 및 미리 설정된 임계값 등을 기억하기 위해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또한 제로 조정 데이터, 모니터링 경보 임계값, 환자 정보, 매립 시간, 모니터링 부지 출하 정보, 채집 신호(예를 들면, 두개 내 생리학적 파라미터) 등을 기억해도 된다. 여기서, 제로 조정 데이터는, 모니터링 장치(2)의 교환 시에도 모니터링 부지(1)에 의해 사용 가능하며, 모니터링 부지(1)는, 재차 제로 조정하지 않고, 복수의 상이한 모니터링 장치(2)에 적용할 수 있다. 의료자는, 사용자 정보 또는 그 외의 정보 등의 환자 정보를 부지에 추가하여, 사용 이력 등의 환자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부지(1)에 제2 기억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종류의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고, 모니터링 부지(1)와 모니터링 장치(2)와의 독립성을 도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부지(1)는, 모니터링 장치(2)로부터 분리한 후, 다른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는, 모니터링 부지(1)의 메모리 칩에 기록된 정보(모니터링 부지의 ID)를 식별함으로써, 모니터링 작동을 계속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억 모듈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면, 경보 임계값이라도됨)이 기억되어도 되고, 사용 전에 경보 임계값을 재차 설정할 필요는 없다. 임계값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2)에 의해 새로운 임계값을 설정하고, 새롭게 설정한 임계값을 제2 기억 모듈에 저장하여 이루어진다.
모니터링 부지(1)는, 정보(예를 들면, 채집 신호, 환자 정보 등)를 독립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2)/단말 기기의 파괴, 분실, 교환, 또는 인위적 오조작에 의해 없어지지 않도록 하고, 모니터링 데이터를 더욱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MR, CT 등의, 전자 회로에 영향을 주는 검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메모리 칩이라도 되고, 또한 데이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유전체 메모리 등은, 간섭에 강하여, 정보의 저장이 외계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이로써, MR 및 CT의 검출 결과에 대한 영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 내, 또는 상기 커넥터(12) 내, 또는 모니터링 프로브(11)와 커넥터(12)와의 사이에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의 보호 장치 내에, 상기 제2 기억 모듈을 배치 가능한 캐비티를 설치하고,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모니터링 프로브(11)에서의 각 센서에 접속되고, 센서에 의해 취득된 채집 신호를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커넥터(12) 내에 상기 제2 기억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와이어를 통해 모니터링 프로브에서의 각 센서에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1)에는, 전자 식별 태그가 설치되어, 모니터링 부지(1)는, 유니크(unique)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전자 식별 태그는, 자기(磁氣) 스트라이프, 2차원 코드 등이라도 되고, 다른 단말 기기는, 전자 식별 태그를 통하여,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출하 정보, 센서 시리얼 번호, 제조일, 메이커, 배치 번호 등의 모니터링 부지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전자 식별 태그를 통해 모니터링 부지의 대응하는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식별 태그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모니터/모니터링 장치(2)에 의해 업로드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환자 상태 정보, 매립 시간 등을 조회한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검지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모니터링 프로브(11)는, 표면에 창(1111)이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111)과, 상기 창(1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1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센서(112)를 지지 및 보호할 수 있고,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재료는, 인체에 무해로 체내 환경에 배치할 수 있어,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체내의 액체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료는, 계측 목적에 따라 대응하는 특성을 가지도록 요구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뇌의 온도를 계측하는 경우에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11)은, 상기한 특성을 만족시키는 금속, 세라믹, 고분자 폴리머 등의 재료로 제조되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하우징(111)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1)은, 혈관 등의 조직의 내부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통형(도 8a에 나타냄)이라도 된다. 하우징(111)은, 필요에 따른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편평한 구조로 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하우징(111)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11)은, 삽탈 중에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표면이 예리한 각이 없는 매끈한 구조라도 된다.
하우징(111)의 표면에는 창(1111)이 개구되고, 상기 센서(112)는, 체내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창(1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센서(112)와 창(1111)은, 1 대 1 대응해도 된다[예를 들면, 복수 개의 센서의 각각은, 각각 1개의 창(1111)에 대응한다]. 또는, 복수 개의 센서(112)가 1개의 창(1111)에 대응해도 된다. 또는, 1개의 센서(112)가 복수 개의 창(1111)에 대응해도 된다. 창(1111)의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라도 되고, 센서(112)가 체내 파라미터를 정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면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창(1111)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센서(112)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처리 기기에 전송되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서(112)는, 하우징(111) 내의 창(1111)에 설치되어도 되고(도 8a에 나타냄), 직접 하우징(11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센서(112)는, 체적을 소형화할 수 있고, 그 재료 및 계측 방법이 인체에 무해이며, 계측 범위 및 정밀도가 실제의 요구를 만족시킨다. 센서(112)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등의 기술 원리로 두개 내압을 검지하는 센서,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이 지수함수적(指數函數的)으로 감소하고, 마이너스의 온도 계수(係數)를 가지는 서미스터(thermistor) 현상 및 재료를 의미함] 또는 열전대류(熱電對類)(Thermocouple, 온도 신호를 열기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등으로 두개 내 온도를 검지하는 센서, 전기 화학법/형광법으로 두개 내 pH값, 산소/O2 함유량 분압), 이산화탄소/CO2 함유량 분압), 글루코스/Glu 함유량, 락트산/HL함유량, 헤모시데린 함유량 등의 파라미터를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해도 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의 신호는, 와이어/광섬유를 센서에 접속하여 출력하여 이루어진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센서(2)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센서는, 서로 분리되어도 되고, 일체로 집적화되어도 되고, 또는 일부의 센서가 서로 분리되고, 일부의 센서가 일체로 집적화되어도 된다. 일체로 집적화되면은, 복수의 상이한 센싱 모듈의 각각이 동일한 회로 기판에 집적화되는 것을 의미해도 되고, 복수의 센싱 기능이 1개의 회로에 집적화되는 것 등을 의미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창(1111)에는, 봉지층(1112)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MEMS 등의 집적 회로 기술에 의한 센서, 또는 회로에 의한 센서는, 외부의 조직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워, 봉지(seal)에 의해 격리할 필요가 있다. 창(1111)에 설치되어 있는 봉지층(1112)은, 창(1111) 상에 덮혀도 되고, 센서(112)의 표면에 덮혀도 되고,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다. 또한, 센서(112)의 밖을 직접 봉지층(1112)으로 피복하여 창(1111)에 배치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봉지층(1112)는, 센서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격리하여, 센서의 구성, 재료, 및 통로 전류 등의 체내 환경에 대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어, 체내 환경에 의한 센서(112) 및 회로에 대한 직접 압박, 액체 누출에 의한 회로 단락(短絡)이나 칩 파괴 등의 문제점도 회피할 수 있다. 봉지층(1112)의 재료는, 생체 적합성을 가져도 된다. 생체 적합성이란, 재료가, 몸의 특정 위치에서 적절한 반응을 일으키는, 즉 체내 환경에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센서(112)의 계측 요구에 따라 봉지층(1112)의 재료가 상이한 특성을 가지도록 요구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에 대해서는, 봉지층(1112)에 일정한 두께 제한이 있고, 탄성을 가지도록 요구함으로써, 외부 압력을 센서의 센싱 구조에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온도 센서에 대해서는, 봉지층(1112)에 일정한 열안정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도록 요구함으로써, 외부 열량을 온도 센서에 쾌속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화학 센서에 대해서는, 봉지층(1112)에 O2, CO2, HL, Glu 등의 특정한 분자에 대한 양호한 투과성을 가지도록 요구함으로써, 그 농도(함유량)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이상과 같이 압력, 온도, 화학 분자 검출 등을 예로서 봉지층(12)에 필요한 재료 특성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는, 사용자는, 실제의 적용 신에 따라 봉지층(1112)의 재료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는, 생체 내(예를 들면, 두개 내)에 매립 가능하므로,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검지할 수 있다. 이것은, 임상에서 환자의 생리적 특징 데이터 및 그 변화 경향을 적시(適時) 또한 정확하게 취득하여, 환자의 병태(病態) 변화를 관찰하여 수술의 타이밍을 판단하는 것 등에 유용하게 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센서(112)는, 동일한 창(1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센서(I), (II), 및 (III)는, 서로 분리하여 설치되어도 되고, 센서끼리의 간격은 같아도 상이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센서(112)는,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상호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검지 효과를 향상시켜, 교환이 용이하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112)는, 일체로 집적화되어 있다. 도 8a, 도 8b에 나타낸 것은, 센서(I), (II), 및 (III)가 일체로 집적화되어 있는 일례이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두개 내압을 검지하는 센서나, 두개 내 온도를 검지하는 센서 등의 복수 개의 센서를 함께 집적화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센서를 1개의 창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태양은, 검지의 각도를 확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센서(112)가 일체로 집적화됨으로써, 칩의 가공 공정 및 검지기의 조립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현 형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센서(2)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112) 중 일부가 함께 집적화되고, 다른 일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설치 태양이라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I) 및 (II)가 일체로 집적화되고, 센서(III)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도 되고, 또 다른 방식으로 조합시켜도 된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적용 신에 따라 센서의 성능 등과 합하여 설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112)가 동일한 창(1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에 있어서, 봉지층(1112)는, 창 전체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는, 도 8b,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층(1112)는, 복수의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센서, 또는 일체로 집적화되는 센서를 덮어도 되어, 봉지가 용이하게 된다. 봉지층(1112)는,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센서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일체 구조라도 되고, 대응하는 상이한 센서의 요구를 각각 만족시키는 상이한 부분을 맞붙인 것이라도 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각 센서(112)는, 대응하는 창(1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센서(112)가 1개만 있는 경우에는, 1개의 창(1111)만을 개구시키고, 센서(112)를 창(1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센서(112)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112)에 대응하는 창(1111)을 설치하여, 센서(112)를, 각 센서(112)에 대응하는 창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1)의 표면에는, 1개의 창(1111)이 개구되어도 된다. 도 8a, 도 8b,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은 1개의 창이 개구되어 있는 예이다.
다른 가능한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1)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창(1111)이 개구되어도 된다. 도 11a∼도 11c,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창 설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원통형의 하우징(111)을 예로 하면, 도 11a∼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1)의 측면에 복수 개의 창(1111)이 개구되어도 되고, 복수 개의 창(1111)은, 상기 하우징(111)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어도 되고, 즉 회전하지 않고 완전한 창이 모두 동시에 보인다. 도 11a∼도 11c는, 동일한 측면에 설치한 상이한 예를 나타내고, 도 11a는, 원통 단면도이며, 도 11b는 창이 있는 측면으로부터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 11a∼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창(a), (b), 및 (c)는, 동일한 측면에 순차로 배열되고, 3개의 창의 중심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의 측면에서의 동일한 모선(母線)에 위치해도 되고,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모선, 즉 서로 어긋난 개소(箇所)에 위치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센서(112)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나누어져, 대응하는 창(1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센서(112)는, 일체로 집적화되어도 되고, 각 센서(112)의 위치를 창(1111)의 위치에 대응 찌르면 되고, 상기 복수 개의 창(1111)의 아래쪽에 캐비티를 설치하여 상기 일체로 집적화된 센서를 수용시키고, 상기 캐비티는, 캐비티에 배치된 센서가 대응하는 창(1111)을 통해 체내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창과 연통된다.
상기 복수 개의 창(1111)은, 복수의 다른 쪽 면에 위치해도 되고, 즉 회전하지 않으면 완전한 복수 개의 창은 동시에 보이지 않는다. 도 12a 및 도 12b는, 창의 상이한 설치 방식을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에 있어서, 복수 개의 창(1111)은, 복수의 다른 쪽 면에 위치한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창(51)이 하우징(111)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4 창(52)이 하우징(111)의 지면(紙面)에 면하는 방향의 측면에 위치하고, 도 12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51)의 일부만 보인다. 또한, 제3 창(51) 및 제4 창(52)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의 중심이 원통의 동일한 원주 상에 위치해도 되고, 서로 어긋난 개소, 예를 들면, 원통의 양단에 위치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창(1111)을 다른 쪽 면에 설치함으로써, 창 내의 센서(112)끼리가 서로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모니터링의 범위 및 각도를 확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른 쪽 면의 창(1111) 내에 같은 센서(112)가 설치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창(1111)은, 상기 하우징(111)의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해도 되고,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창은,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도 되고, 대향하여 배치되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창(1111)이 대향하는 측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됨으로써, 간섭을 회피하면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체적을 작게 하여, 재료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창(1111)이 복수의 다른 쪽 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복수 개의 센서(112)는, 일체로 집적화되어도 되고, 각 센서(112)의 위치를 창(1111)의 위치에 대응시키면 되고, 상기 복수 개의 창(1111)의 아래쪽(원통의 내부)에 캐비티를 설치하여 상기 일체로 집적화된 센서를 수용시키고, 상기 캐비티는, 캐비티에 배치된 센서(112)가 대응하는 창(1111)을 통해 체내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창과 연통된다. 또한, 각 센서(112)는, 대응하는 창(1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도 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창(1111)은 상기 하우징(111)의 선단에 위치하여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d)는, 하우징(111)의 선단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창(1111)은, 모두 상기 하우징(111)의 측면에 위치해도 되고, 모두 상기 하우징(111)의 선단에 위치해도 되고, 또는 일부가 하우징(111)의 선단에 위치하고, 일부가 하우징(111)의 측면에 위치해도 된다. 당업자는, 실제의 요구에 따라 창의 위치를 설치하면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창(1111)을 하우징(111)의 선단에 설치함으로써, 창(1111) 내에 배치되는 센서(112)는, 검지 각도를 180°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어, 검지 효과가 향상된다.
모니터링 프로브(11)의 하우징에서의 상이한 위치에 창(1111)을 개구함으로써, 실제의 적용에서의 상이한 계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라미터를 동시에 검지할 수 있고, 또한 계측끼리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상대적으로 독립한다. 1개의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만을 매립하면, 총합적인 검지를 실현할 수 있고, 검지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환자의 병태 변화의 총합적인 판단, 수술의 타이밍의 판단 등을 행한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상이한 개소에 위치하는 창(1111)에는, 상이한 봉지층(111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a∼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봉지층 설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4a∼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측면의 창(1111)에 설치된 봉지층은, 상기 창(1111) 내에 위치하여, 센서(112) 상에 덮혀도 되고, 창(1111) 상에 덮혀도 된다. 하우징 측면에 복수 개의 창(1111)이 있는 경우에는,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각 창(1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봉지층(1112)이 설치되어 있다. 선단에 위치하는 창(1111)에 설치된 봉지층은, 유선형의 윤곽을 가지거나, 또는 원활하게 추이(推移)하는 표면을 가져도 된다. 상이한 위치에 따라 봉지층(1112)의 형태를 설치함으로써, 모니터링 프로브(11)의 형상을 더욱 신체 조직으로의 출입에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a∼도 1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상기 창과 연통되는 중공 캐비티(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공 캐비티(4)에는, 센서(112)에 의해 검출된 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대응하는 배선이 설치되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서(112)는, 중공 캐비티(4)에 설치되어도 되고(도 15a∼도 15d에 나타냄), 직접 하우징(111)의 외측면 또는 창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센서(112)는, 상기 베이스(6)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6)는, 센서(112)에 대하여 배치, 지지, 보호의 역할을 완수하여,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재료는, 인체에 무해하며 체내 환경에 배치할 수 있어,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체내의 액체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6)는, 상기한 특성을 만족시키는 금속, 세라믹, 고분자 폴리머 등의 재료로 제조되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6)로 하우징(111)은, 일체로 성형되어도 되고, 별개로 성형되어 조립되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5a∼도 1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의 측면에 제1 창(53)이 개구되고, 상기 베이스(6)는, 상기 중공 캐비티 내에서의, 상기 제1 창(53)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제1 창(53)은, 1개 또는 복수 개라도 되고, 상기 베이스(3)은, 상기 제1 창(53)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제1 창(53)이 1개만 개구되는 경우, 상기 제1 창(53)의 개구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베이스(6)를 설치하여, 베이스(6)의 길이를, 창의 길이 또는 센서의 크기에 따라 설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제1 창(53)이 복수(예를 들면, 3개) 개구되는 경우에는, 제1 창(53)에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베이스(6)를 각각 설치해도 되고, 1개의 베이스(6)만을 설치해도 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창(53)은, 하우징의 같은 쪽에 위치해도 되고, 다른 쪽에 위치해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창(53)의 수 및 창끼리의 상대적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6)의 위치는, 제1 창(53)의 위치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6)는, 무공 구조라도 되고(예를 들면, 도 15a∼도 15d에 나타냄), 베이스(6)에는 상기 중공 캐비티(4)와 연통되는 관통공(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냄)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센서(112)에 접속되고, 센서(112)에 의해 검출된 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광섬유가 삽통되어도 되고, 배선을 설치하기 쉽게 한다. 상기 관통공은, 또한 중공 캐비티(4)의 내외 압력을 밸런스시켜, 압력 등의 파라미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관통공의 위치는, 센서의 위치에 대응해도 되고, 예를 들면, 센서의 하방이라도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6)는, 서로 연결된 수직부(61)와 수평부(62)로 이루어지는 L자형 구조이며, 상기 수평부는, 제1 창(5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부에 상기 센서(112)가 배치되어도 된다. L자형 구조는, 모니터링 프로브(11)의 전체 중량을 더욱 가볍게 하여, 주위의 조직으로의 압박을 저감시키고, 또한 재료 등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L자형 구조는, 수평부(62)에 상기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와이어/광섬유의 관통공으로의 삽통, 및 관통공과 중공 캐비티(4)와의 연통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6)의 수평부(62)는, 무공 구조라도 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6)의 수평부(62)에는 상기 중공 캐비티(4)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상기 관통공은 센서(112)의 아래쪽에 위치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베이스(6)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상기 센서(112)에 접속되고, 센서(112)에 의해 검출된 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광섬유가 삽통되어도 된다. 상기 관통공은, 또한 중공 캐비티의 내외 압력을 밸런스시켜, 압력 등의 파라미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이한 검지 필요에 따라 하우징(111)에서의 상이한 위치에 창을 개구시켜도 되고, 창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6)의 위치를 유연하게 설정함으로써, 센서(112)에 대한 지지 및 보호를 더욱 양호하게 도모하여, 검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7∼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7∼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1)의 선단에 제2 창(14)이 개구되어도 된다. 도 17∼도 20에 파선부(破線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창(14)에 봉지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봉지층은, 조직으로의 모니터링 프로브(11)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선형의 윤곽을 가져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112)는, 상기 제2 창(14)에 걸려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베이스를 생략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8∼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창(14)에 베이스(6)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112)는 상기 베이스(6)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21a∼도 2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프로브(11)의 선단의 베이스의 구성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1a∼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6)는, 상기 제2 창(14)에 걸어맞추어지는 판형 구조라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8 및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6)는, 제2 창(14)을 완전히 덮도록 그 형상 및 크기를 제2 창(14)에 매칭시킨 것이라도 된다. 상기 베이스(6)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도 되고, 도 19 및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의 위치와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6)는, 상기 제2 창(14)을 완전하게는 가리지 않아도 된다. 도 20 및 도 21b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예를 들면, 제2 창(14)이 원형인 경우에, 베이스는 반원형, 부채꼴 등의 일부 빠진 원형이라도 되고, 빠진 부분은, 관통공에 유사한 역할을 해도 된다. 상기한 관통공과 제2 창(14)에서의 덮혀 있지 않은 부분에는, 상기 센서(2)에 접속되고, 센서(112)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광섬유가 삽통되어도 된다. 상기 관통공과 제2 창(14)에서의 덮혀 있지 않은 부분은, 또한 중공 캐비티의 내외 압력을 밸런스시킬 수 있다.
하우징(111)의 선단에 창을 개구함으로써, 검지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를 제2 창(14)의 근방에 설치하고, 제2 창(14)을 덮기 위한 봉지층을 대략 반원 구형(球狀; ball shape)(도 17∼도 20에 나타냄)으로 설계함으로써, 검지 각도를 180°이상으로 확대하여, 검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현 형태에 있어서, 이 모니터링 부지(1)는, 상기 모니터링 부지의 일단에 근접하여,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에 접속되고, 무선으로 상기 채집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WiFi, 또는 적외선 방사 모듈 중 1개 또는 복수 개이며, 무선으로 기기와 통신해도 된다. 상기 기기는, 상기한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모듈에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일정한 공간 범위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은, 기기와의 신호 수수를 정확하고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1)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에 의해 취득된 채집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그 처리된 샘플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처리 모듈은, 샘플링 신호에 대하여 임의의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이들의 처리는, 종래의 기술 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 모듈(15)는, 채집 신호에 대하여, 미약 신호의 필터링이나 노이즈 저감, 예비 증폭, 기억, A/D 변환, 후처리 증폭,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라는 비교 등의 후의 일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호 처리 모듈(15)는, 필터, 증폭기, A/D 컨버터, 메모리, 비교기, 대응하는 귀환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부지의 일단에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니터링 부지는, 체내에 매립된 후, 케이블을 통해 모니터 또는 모니터링 장치에 접속하지 않고, 무선으로 채집 신호를 모니터 또는 다른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피검대상 및 의료자의 활동 범위가 제한되지 않게 되어, 피검대상은 모니터링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드레나지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드레나지 장치는, 드레나지 튜브(7)(도 27에 나타낸 파선 블록 내의 부분)와,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 부지(11)(도시하지 않음)와, 카테터(8)와, 드레나지 보틀(9)을 포함한다. 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나지 튜브(7)은, 주로, 측면에 제1 관통공(72) 및 제2 관통공(73)이 형성되어 있는 관체(71)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71) 내에는, 2개 이상의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 중 적어도 1개는 와이어 캐비티(74)이며, 적어도 1개는 드레나지 캐비티(75)이며, 상기 제1 관통공(72)은 상기 와이어 캐비티(74)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관통공(73)은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75)와 연통된다.
모니터링 프로브(11)(도시하지 않음)은, 상기 드레나지 튜브(7)의 와이어 캐비티(74)(도시하지 않음)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 캐비티(74) 내에 설치된 제2 와이어(741)(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되고, 상기 카테터(8)는, 상기 드레나지 튜브(7)와 드레나지 보틀(9)을 연통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관체(71)는, 예를 들면, 실리카겔 등과 같은 생체 적합성을 가지는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되어도 된다. 뇌척수액의 역행성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체(71)의 재료로서 항균 재료를 선택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71)의 선단부는, 매끈한 유선형의 윤곽을 가지고, 최선단(最先端)은 폐쇄된 구조이며, 예리한 각이 없어, 출입 중에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한다. 예를 들면, 혈관 등의 조직 내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둥근 둔단(鈍端)이라도 되고, 필요에 따른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편평한 구조 등이라도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에 의한 드레나지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72) 및/또는 제2 관통공(73)은, 상기 관체(71)의 선단부의 측면에 위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단부 내에는 모니터링 프로브(11)가 설치된다. 이 모니터링 프로브(11)는,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 캐비티(74)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관통공(72)은 상기 와이어 캐비티(74)로 연통되고,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에서의 센서는, 상기 제1 관통공(72)에 대향하고, 상기 제1 관통공(72)을 통해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선단부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를 조직 내에 완전히 매립하는데 충분한 길이라도 된다.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11)는, 와이어 캐비티(74) 내에서의 제2 와이어(741)를 통해 드레나지 튜브 밖의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관체(71)에는, 상기 와이어 캐비티(74)와 연통되는 제3 관통공(76)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관통공(76)은, 제2 와이어(741)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3 관통공(76)은, 드레나지 튜브의 말단에 위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와이어(741)는, 상기 와이어 캐비티(74)를 따라 드레나지 튜브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말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 관통공(76)으로부터 인출되어 드레나지 튜브 밖의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된다.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길이는, 20㎝∼100㎝라도 된다.
상기 제1 관통공(72)는, 1개라도 복수 개라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큰 관통공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프로브(11)에서의 모든 창을 드레나지 튜브 밖과 연통시켜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도록 해도 되고, 복수의 제1 관통공(72)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프로브에서의 창에 각각 대응시켜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관통공(73)은, 드레나지 구멍으로서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75)와 연통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선단부, 드레나지 캐비티(75)의 근방에 드레나지 구멍 영역을 포함하고, 드레나지 구멍 영역에 1개 또는 복수 개의 드레나지 구멍이 포함되고, 예를 들면, 상기 드레나지 구멍 영역에 제2 관통공(73)이 2∼12개 분포되어도 된다. 상기 제2 관통공(73)은, 액체를 적시에 드레나지하는 역할을 완수하면 되고, 그 배열 방식 및 개수는 드레나지 튜브 및/또는 드레나지 캐비티의 형상,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드레나지 구멍 영역에는 현상물(現像物)이 설치되어도 되고, 상기 현상물은, 드레나지 구멍 영역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도 되고, 밴드형으로 드레나지 튜브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현상물은, 드레나지 튜브가 정확하게 삽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현상 검출 기기에 의해 드레나지 튜브가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72) 및 상기 제2 관통공(73)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이라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관통공(72) 및 제2 관통공(73)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불규칙한 형상이라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캐비티(74)와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75)는, 연통 또는 비연통이다. 도 24a,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캐비티(74)는,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벽에 가까운 내측에 설치되고, 와이어 캐비티(74)와 드레나지 캐비티(75)는, 완전히 분리되어 비연통이라도 되고, 제2 와이어(741)는, 상기 와이어 캐비티(74) 내에 매립되어도 되고, 와이어 캐비티(7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활동 가능해도 된다. 또는,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캐비티(74)와 드레나지 캐비티(75)는 연통되어도 되고,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와이어 캐비티(74)는, 예를 들면, 2분의 1의 원 또는 4분의 3의 원과 같이 폐쇄되지 않아도 되고, 제2 와이어(741)는, 드레나지 중에 드레나지 캐비티(75)의 막힘을 일으키지 않도록, 와이어 캐비티(74) 내에 스냅 인식으로 매립된다. 또한, 효과적인 드레나지를 확보하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 캐비티(74)는, 복수라도 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캐비티(74) 및 드레나지 캐비티(75)의 설치에 의하면, 모니터링 부품 또는 모니터링 부품에 접속되는 와이어에 의한 드레나지 캐비티의 막힘에 기인하여 드레나지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모니터링 부품과 조직 내의 환경과의 충분한 접촉을 확보하여, 조직 내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캐비티(74) 및 드레나지 캐비티(75)의 단면(斷面) 형상은, 원형, 타원형 등이라도 되고, 불규칙한 형상이라도 되고, 본 개시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드레나지 튜브, 와이어 캐비티(74), 및 드레나지 캐비티(75)가 모두 원형인 경우를 예로 하면,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외경은 2.8㎜∼5.0㎜이며, 상기 와이어 캐비티(74)의 내경은 0.4㎜∼1.5㎜이며,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75)의 내경은 1.0㎜∼3.0㎜라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뇌실천자(腦室穿刺)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레나지 튜브 내에 지지 부재(91)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튜브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91)는, 조직의 감염을 회피하도록, 상기 드레나지 캐비티(75) 및 상기 와이어 캐비티(74)와 연통되지 않는 캐비티(92)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지지 부재(91)는, 금속의 지지 부재라도 된다. 지지 부재(91)의 선단은,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선단부에 도달해도 되고, 지지 부재(91)의 말단은,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벽에 미리 만들어진 구멍을 통해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밖으로 나가도 되고, 예를 들면, 상기 관체(71)의 말단벽에서의 구멍을 통해 드레나지 튜브의 밖으로 나가도 된다. 이와 같이, 천자가 적절한 위치까지 행해진 후에 상기 지지 부재(91)를 인출함으로써, 지지 부재(91)의 존재에 의한 주위 조직으로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캐비티(92)는, 감염을 회피하도록 다른 캐비티와 연통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선단부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의료자는, 눈금에 기초하여 삽입 위치를 직감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삽입 위치가 보다 정확하게 되어, 모니터링 데이터의 수집 및 드레나지 위치의 조정 등에 유리하다.
전용와이어 캐비티(74)는, 모니터링 프로브(11)에 접속되는 제2 와이어(741)를 드레나지 튜브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설치되고,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함으로써 생체 내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을 실현한다. 또한, 드레나지 튜브는, 그 중에서의 드레나지 캐비티(75)에 의해 생체 내의 출혈/삼출액(渗出液)을 드레나지 보틀(9)에 드레나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에 의한 드레나지 캐비티의 막힘을 회피할 수 있어, 드레나지 효과 및 모니터링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튜브에 Y자형 부재(93)가 설치되고,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Y자형 부재(93)는,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말단에 설치되어도 된다. Y자형 부재(93)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741)는, 상기 드레나지 튜브의 벽에 형성된 제3 관통공(76)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제2 와이어(741)는 인출되어 모니터링 장치(2)에 접속되고, 상기 드레나지 튜브는, Y자형 부재를 인출하여 접속 조인트를 통해 카테터(8)에 접속하여, 상기 접속 조인트는, 루어(lure) 커넥터 등이라도 된다. 상기 Y자형 부재(93)는, 제2 와이어(741) 및 드레나지 튜브 관체(7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행하고, 모니터링되는 생체의 제어 불가능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제2 와이어(741)가 드레나지 튜브로부터 인출되어 모니터링 효과에 영향이 없도록 하고, 생물에 대한 2차 매립을 가능한 한 회피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8)에는, 드레나지를 제어(또는 정지)하기 위한 제1 3방향 밸브(94)가 설치된다. 상기 제1 3방향 밸브(94)는, 복수 설치되어도 되고, 그 중의 1개가 파괴되었을 때 드레나지를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을 회피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8)는, 상기 드레나지 보틀(9)의 선단으로부터 들어가, 썩백(suck back) 현상을 회피한다. 상기 드레나지 보틀(9)의 선단에는, 통기부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드레나지 보틀(9)의 선단에는, 가스를 투과시키는 소수성(疎水性) 필터막이 설치되고, 드레나지 중에 대기압과 연통될 수 있어, 썩백 현상을 회피한다. 상기 드레나지 보틀(9)는,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재료로 제작되고, PVC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이며, 상기 드레나지 보틀(9)에는, 또한 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레나지 보틀(9)을 통해 드레나지의 속도를 관찰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보틀(9)의 하단(下端)에는 제2 3방향 밸브(9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나지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3방향 밸브(95)가 오프로 되면, 의료자는, 상기 드레나지 보틀(9)에서의 눈금을 관찰함으로써, 일정한 기간에 환자로부터 배출한 삼출액/출혈의 체적을 판독하고, 환자의 삼출액/출혈의 성상(性狀)을 관찰할 수 있어, 병태의 평가 및 추정에 유리하다. 또는, 모니터링 장치(2)에 의해 높거나 또는 낮은 조직 내압값이 판독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 상기 드레나지 보틀(9)에서의 삼출액/출혈의 드레나지 속도를 관찰하고, 지지 홀더(97)에서의 제2 3방향 밸브 또는 드레나지 보틀(9)의 높이에 의한 유속(流速; flow rate)에 의해 드레나지 속도를 조정하여, 조직 내압값을 정상 범위 내의 값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삼출액/출혈이 많은 경우에는, 갑작스런 급격한 드레나지 또는 과잉의 드레나지를 회피하기 위해, 상기 드레나지 보틀(9)에서의 삼출액/출혈을, 관로(管路) 위의 2개의 3방향 밸브의 협동에 의해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잉의 드레나지를 회피하기 위해, 제1 3방향 밸브(94)를 밸브를 폐쇄하고, 제2 3방향 밸브(95)를 밸브를 개방하여 삼출액/출혈을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레나지 보틀(9)는, 상기 제2 3방향 밸브(95)를 통해 드레나지 백(96)에 접속되고, 드레나지 보틀(9)로부터 배출된 출혈/삼출액을 드레나지 백(96)에 드레나지할 수 있다. 배치된 드레나지 백(96)은, 분리되기 쉽고, 수집된 출혈/삼출액이 제거된 후, 재장착되어 사용된다. 또는, 드레나지 백(96)의 말단에 연결부를 설치하여, 연결부로부터 출혈/삼출액을 배출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드레나지 보틀(9)는, 지지 홀더(97)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홀더(97)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의료자는, 관찰된 드레나지 상황과 생리학적 모니터링 상황에 기초하여, 지지 홀더(97)에서의 드레나지 보틀(9)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드레나지의 유속 또는 압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상기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망라적이지 않고, 또한 피로(披露)된 각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의 범위 및 정신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각각의 실시예의 원리, 실제의 적용 상 또는 시장(市場) 상의 기술적 개선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또는 당업계의 다른 기술자에 본 명세서에서 피로된 각각의 실시예를 이해시키기 위해 선택한 것이다.
1: 모니터링 부지
11: 모니터링 프로브
111: 하우징
1111: 창
1112: 봉지층
112: 센서
12: 커넥터
122: 제2 인터페이스
13: 제1 와이어
2: 모니터링 장치
21: 제1 인터페이스
20: 수신 모듈
22: 유선 통신 모듈
23: 제1 무선 통신 모듈
24: 게이트 모듈
241: 제1 검출 모듈
242: 제1 선택 모듈
243: 온 또는 오프 모듈
244: 제2 검출 모듈
245: 제2 선택 모듈
26: 조정 모듈
3: 제1 단말 기기
4: 중공 캐비티
51: 제3 창
52: 제4 창
53: 제1 창
14: 제2 창
6: 베이스
61: 수직부
62: 수평부
7: 드레나지 튜브
71: 관체
72: 제1 관통공
73: 제2 관통공
74: 와이어 캐비티
741: 와이어
75: 드레나지 캐비티
76: 제3 관통공
8: 카테터
9: 드레나지 보틀
91: 지지 부재
92: 캐비티
93: Y자형 부재
94: 제1 3방향 밸브
95: 제2 3방향 밸브
96: 드레나지 백
97: 지지 홀더

Claims (58)

  1. 모니터링 부지(monitering bougie)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모니터링 부지로부터 송신되는 채집(採集)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처리 신호를 취득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처리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
    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제로 조정 데이터, 환자 정보, 작동 모드, 경보 임계값, 경보 해제·지연 중 1개 또는 복수 개를 설정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유선으로 제1 단말 기기와 통신 가능한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으로 제1 단말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제1 무선 통신 모듈;
    중 한쪽 또는 양쪽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방식을 제어하는 작동 모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이 중단된 경우에 처리 신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처리 신호와 상기 경보 임계값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하는 제1 경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보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제1 단말 기기 사이에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에는 경보하지 않고,
    상기 제1 단말 기기(機器)는, 제2 경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경보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에 통신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에, 상기 처리 신호와 상기 경보 임계값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하거나, 또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주어지는 경보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하는, 모니터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부지에 급전(給電)하는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사이즈는, 길이가 7㎝ 이하, 폭이 5㎝ 이하, 두께가 2㎝ 이하인, 모니터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또한 채집 신호 데이터, 처리 신호 파형(波形), 에러 정보, 전원의 전기량(電氣量), 경보 정보, 모니터링 부지의 사용 시간, 모니터링 부지의 ID, 환자 정보, 및 유선·무선 접속 상황 중 1개 또는 복수 개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핸드쉐이크(handshake)에 의해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모니터링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음성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패널은 음성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음성 버튼 및 상기 음성 입력 모듈에 의해, 음성 메모를 기록하는, 모니터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웨어러블이며, 고정 부속품(attachment)에 의해 모니터링 대상의 머리 또는 몸에 고정되는, 모니터링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모니터링 부지로부터 송신되는 채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상기 유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채집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의 한쪽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게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은,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 검출 모듈; 및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모듈에 전달하는 제1 선택 모듈;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은,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온(on)으로 하고, 또한 제2 검출 모듈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온 또는 오프 모듈; 및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2 검출 모듈;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모듈은,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채집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하는 제2 선택 모듈을 구비하는, 모니터링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은,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오프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1 검출 모듈, 상기 제2 검출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모듈은,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수신 모듈에 제1 샘플링 주파수로 상기 채집 신호를 샘플링시키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유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유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고, 또한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수신 모듈에 제2 샘플링 주파수로 상기 채집 신호를 샘플링시키고,
    상기 제1 샘플링 주파수가 상기 제2 샘플링 주파수보다 높은, 모니터링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온 또는 오프 모듈은, 상기 제2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 접속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오프로 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정기적으로 온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21.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22. 채집 신호를 취득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로브;
    일단(一端)이 제1 와이어를 통해 모니터링 프로브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니터링 장치의 제1 인터페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커넥터; 및
    모니터링 부지의 ID 및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모듈;
    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는, 상기 채집 신호를 채집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모니터링 부지.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 내, 또는 상기 커넥터 내, 또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있는, 모니터링 부지.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의 직경이 800㎛ 이하인, 모니터링 부지.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압전형(壓電型) 또는 피에조(piezo) 저항형의 센서이며, 상기 센서의 회로는, 풀 브리지 접속 또는 하프 브리지 접속된 것이며, 상기 센서는 절대 압력 또는 상대 압력을 계측하는, 모니터링 부지.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MR과 CT에 영향을 받지 않는 메모리 칩인, 모니터링 부지.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모듈은, 제로 조정 데이터, 환자 정보, 매립 시간, 모니터링 부지 출하(出荷) 정보, 채집 신호 중 1개 또는 복수 개를 더 기억하는, 모니터링 부지.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에는, 전자 식별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는, 표면에 창이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housing)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창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부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창에는, 봉지층(封止層)이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창이 개구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33. 제32항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 개의 센서는, 동일한 창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부지.
  34. 제3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창에 대향하는 위치의 각각에, 센서가 설치되는, 모니터링 부지.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36.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일체로 집적화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하우징의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에 위치하는, 모니터링 부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모니터링 부지.
  39. 제38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창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위치하는, 모니터링 부지.
  41. 제40항에 있어서,
    선단에 위치하는 창에 설치된 봉지층은, 유선형의 윤곽을 가지는, 모니터링 부지.
  4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창과 연통되는 중공(中空) 캐비티(cavity)가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는,
    상기 중공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지.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제1 창이 개구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중공 캐비티 내에서의, 상기 제1 창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부지.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연결된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L자형 구조이며, 상기 수평부는 제1 창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부에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모니터링 부지.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는 제2 창이 개구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는,
    상기 제2 창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지.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창에 걸어맞추어지는 판형 구조인, 모니터링 부지.
  49. 제43항 내지 제45항, 제47항, 및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중공 캐비티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모니터링 부지.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센서에 접속되는 와이어/광섬유가 삽통(揷通)되는, 모니터링 부지.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창을 완전하게는 덮고 있지 않은, 모니터링 부지.
  52. 제43항 내지 제45항, 제47항, 및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무공(無孔) 구조인, 모니터링 부지.
  53.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창에 걸리는, 모니터링 부지.
  5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부지의 일단에 근접하여,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에 접속되고, 무선으로 상기 채집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지.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모니터링 프로브에 의해 취득된 채집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부지.
  56. 제1 단말 기기;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니터링 장치; 및
    제2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니터링 부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부지로부터 송신되는 채집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처리 신호를 취득하고, 처리 신호를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의 처리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 신호를 해석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제2 단말 기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7031823A 2017-03-28 2018-03-27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부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34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94077.0 2017-03-28
CN201720312309.3 2017-03-28
CN201710193122.0A CN106983497A (zh) 2017-03-28 2017-03-28 监测系统
CN201720316711.9U CN207429097U (zh) 2017-03-28 2017-03-28 监测装置及系统
CN201710194077.0A CN106963357A (zh) 2017-03-28 2017-03-28 监测装置
CN201720312299.3 2017-03-28
CN201710194076.6 2017-03-28
CN201720312309.3U CN207837540U (zh) 2017-03-28 2017-03-28 监测探条
CN201720316711.9 2017-03-28
CN201720311827.3U CN207838002U (zh) 2017-03-28 2017-03-28 引流管及引流装置
CN201720311827.3 2017-03-28
CN201710194076.6A CN107049296A (zh) 2017-03-28 2017-03-28 监测装置
CN201720312299.3U CN207837539U (zh) 2017-03-28 2017-03-28 探测装置
CN201720312301.7U CN207837526U (zh) 2017-03-28 2017-03-28 探测装置
CN201720312301.7 2017-03-28
CN201710193705.3A CN107049295A (zh) 2017-03-28 2017-03-28 监测探条及监测装置
CN201710193122.0 2017-03-28
CN201710193569.8 2017-03-28
CN201710193569.8A CN107007258A (zh) 2017-03-28 2017-03-28 监测系统
CN201710193705.3 2017-03-28
PCT/CN2018/080705 WO2018177292A1 (zh) 2017-03-28 2018-03-27 监测装置、监测探条及监测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690A true KR20190134690A (ko) 2019-12-04

Family

ID=6367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823A KR20190134690A (ko) 2017-03-28 2018-03-27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부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29787A1 (ko)
EP (1) EP3603498A4 (ko)
JP (1) JP2020515371A (ko)
KR (1) KR20190134690A (ko)
MX (1) MX2019011751A (ko)
RU (1) RU2753720C2 (ko)
WO (1) WO201817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3180B2 (ja) * 2019-01-22 2022-08-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ビデオプロセッサ、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および内視鏡
CN111686313A (zh) * 2019-03-12 2020-09-22 杨淑惠 体液引流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722394A (zh) * 2019-03-21 2020-09-29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内窥镜主板、内窥镜及检测方法
CN111772605A (zh) * 2020-08-05 2020-10-16 上海端雅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式多接口监护仪配套传感器探头
CN113144394A (zh) * 2021-05-18 2021-07-23 江苏爱思普医疗科技有限公司 颅内参数检测装置
WO2023235670A1 (en) * 2022-05-31 2023-12-07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Pressure sensing guidewire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5944286B (zh) * 2023-03-09 2023-06-09 深圳湃诺瓦医疗科技有限公司 人工智能辅助的颅内监护系统及探条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402U (ja) * 1992-03-23 1993-10-19 日本電気三栄株式会社 医用テレメータにおける有線・無線両用送信機
DK172266B1 (da) * 1996-02-14 1998-02-16 Pressalit A S Toiletafdækning
US6609023B1 (en) * 2002-09-20 2003-08-19 Angel Medical Systems, Inc. System for the detection of cardiac events
JP4196801B2 (ja) * 2003-10-01 2008-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CN1867291A (zh) * 2003-11-20 2006-11-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健康数据采集系统
JP4714025B2 (ja) * 2006-01-06 2011-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ンサノード、基地局、センサネット及びセンシングデータの送信方法
JP5188286B2 (ja) * 2008-06-24 2013-04-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ンサノード及び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1543403B (zh) * 2009-05-08 2011-07-06 深圳市安特高科实业有限公司 医用压力传感装置及系统
JP2012100796A (ja) * 2010-11-09 2012-05-3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
US8842001B2 (en) * 2010-11-19 2014-09-23 Spacelabs Healthcare,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 of primary alarm notification on patient monitoring systems
CA2827260C (en) * 2011-02-16 2018-05-22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Implantable shunt system and associated pressure sensors
JP2013123493A (ja) * 2011-12-13 2013-06-24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聴診器、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613958B (zh) * 2012-02-13 2013-11-13 无锡市健维仪器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无线遥测监护系统
AU2013239345A1 (en) * 2012-03-28 2015-11-12 Alistair BOYCE Endotracheal tube introducer
US9636017B2 (en) * 2013-03-13 2017-05-02 DePuy Synthes Products, Inc. Telemetric docking station
US10244954B2 (en) * 2013-10-28 2019-04-02 Arkis Biosciences Inc. Implantable bio-pressure transponder
JP6375621B2 (ja) * 2013-12-25 2018-08-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6300548B2 (ja) * 2014-02-03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60803A3 (en) * 2014-06-11 2024-01-17 Nihon Kohden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increase in intracranial pressure
CN104905781A (zh) * 2015-02-13 2015-09-16 林昌军 颅内生理参数采集装置和应用
CN105640485A (zh) * 2016-03-29 2016-06-08 广州医科大学附属第医院 一种气道环境监测装置
CN106264515B (zh) * 2016-07-23 2023-09-19 北京市神经外科研究所 一种颅内压探头
CN106983497A (zh) * 2017-03-28 2017-07-28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有限公司 监测系统
CN107049295A (zh) * 2017-03-28 2017-08-18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有限公司 监测探条及监测装置
CN107007258A (zh) * 2017-03-28 2017-08-04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有限公司 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9134301A (ru) 2021-04-28
WO2018177292A1 (zh) 2018-10-04
EP3603498A4 (en) 2021-03-31
RU2753720C2 (ru) 2021-08-20
RU2019134301A3 (ko) 2021-04-28
MX2019011751A (es) 2020-01-23
US20200029787A1 (en) 2020-01-30
EP3603498A1 (en) 2020-02-05
JP2020515371A (ja)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4690A (ko)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부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A2997037C (en) Kit for determining an analyte concentration
US201703329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ypoglycaemia condition
US20090131761A1 (en) Device providing spot-check of vital signs using an in-the-ear probe
US11633139B2 (en) Self-contained EEG recording system
JP2011139942A (ja) 補助表示装置を備えた検出システム
CN105030212A (zh) 一种新型智能体温监控方法及系统
CN105433528A (zh) 智能手环
EP3189774A1 (en) Medical sensor as well as using method therefor and operating device thereof
Anand et al. IoT based smart electrolytic bottle monitoring
CN207429097U (zh) 监测装置及系统
CN207838002U (zh) 引流管及引流装置
CN107049295A (zh) 监测探条及监测装置
US10133340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CN107007258A (zh) 监测系统
CN106983497A (zh) 监测系统
CN207545074U (zh) 监测系统
US20130317381A1 (en) Wireless detection system of physiological signals and method thereof
CN208002787U (zh) 监测装置
CN211560081U (zh) 一种有创血压传感器套件及其测量装置
CN107049296A (zh) 监测装置
CN207590667U (zh) 监测系统
CN206239828U (zh) 一种智能输液提醒器及系统
CN207545082U (zh) 监测探条及监测装置
Hemanth IoT Based Smart Electrolytic Bottle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