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444A - Using it with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 Google Patents

Using it with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444A
KR20190134444A KR1020180117629A KR20180117629A KR20190134444A KR 20190134444 A KR20190134444 A KR 20190134444A KR 1020180117629 A KR1020180117629 A KR 1020180117629A KR 20180117629 A KR20180117629 A KR 20180117629A KR 20190134444 A KR20190134444 A KR 2019013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concrete
injection device
neutraliz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2213B1 (en
Inventor
정현석
김재엽
조훈희
박우열
안성훈
Original Assignee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filed Critical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ublication of KR2019013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2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ceramics; glass; bricks
    • G01N33/383Concrete,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and a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By perforating the concrete structure and measuring the color change state of reagent such as supplied water or phenolphthalein for each area with regard to a perforated par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easure the early frost damage and a carbonation state of concrete for each depth. The measurement method includes a drilling step, a reaming step, a solution feeding step, and a measurement and recording step.

Description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USING IT WITH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Concrete Freezing and Neutraliz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It {USING IT WITH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생된 콘크리트의 경화초기 시기에 수분의 동결로 인한 초기동해 발생여부 및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산성비 등의 원인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체에 발생되는 중성화의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화학적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성 및 수명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concrete initial freezing and neutralization depth, and a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whether or not an initial freezing occurs due to freezing of moisture at the initial stage of curing of cured concrete, and causes such as carbon dioxide or acid rain in the air.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hemical state of the concrete by measuring the depth of neutralization generated in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us the concrete initial freezing and neutralization depth measuring device capable of predicting the durability and life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건전한 콘크리트 구조체는 시멘트를 물에 개어 굳히는 과정을 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주요 성분 중 하나로 수산화칼슘을 함유하고 있어서 pH 12 내지 pH 13의 강알칼리성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추운 날씨일 경우에는 양생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함유된 수분이 동결 하거나 동결 및 융해를 반복하게 됨으로써, 콘크리트의 내부에 갈라짐이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의 표층이 벗겨져 떨어짐으로써 점차 열화(劣化)가 발생되어 콘크리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a healthy concrete structure is produced by the process of cement solidified by opening the water, containing calcium hydroxide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exhibits a strong alkaline state of pH 12 to pH 13. However, in cold weather,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ured concrete freezes or freezes and thaws repeatedly, causing cracks in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or peeling off of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ausing the concrete to gradually deteriorate. The problem is that the strength is lowered.

또한,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시멘트는 물과 수화반응을 통해 생성된 수산화칼슘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산성비와 화학반응하여 서서히 탄산칼슘으로 변성됨으로써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을 상실하여 중성화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ement constituting the concrete is neutralized by losing the alkalinity of the concrete by the calcium hydroxide produced through the hydration reaction with water and chemically reacted with carbon dioxide or acid rain in the air gradually converted to calcium carbonat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pH가 11이상일 경우에는 철근의 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형성되어 철근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중성화로 인해 pH가 11보다 낮아질 경우에는 철근에 녹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한 녹으로 인해 철근의 체적이 팽창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pH inside the concrete is 11 or more, a passivation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bar to prevent the reinforcing steel from rusting, but when the pH is lower than 11 due to neutralization, the reinforcing steel is rusted. The volume of will expand.

상세하게, 도 1에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과정에 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In detail, Figu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neutralization process of a typical concrete structure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는 이산화탄소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서서히 침투하여 일정 깊이에 배근된 철근(2)에 이르렀을 때 발생하며, 이때 이산화탄소가 철근(2)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및 속도가 중성화 여부에 대단히 중요한 변수가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neutralization of a general concrete structure occurs when carbon dioxide slowly penetrates from the surfa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1 to the reinforcing bar 2 which is reinforced at a predetermined depth, wherein the carbon dioxide is reinforced The time and speed up to (2)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for neutralization.

이러한 콘크리트 중성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근콘크리트의 주재료 가운데 하나인 시멘트는 강알칼리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1) 내부에 존재하는 철근(2)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체(1)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거나 산성비를 자주 맞게 되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 내의 철근(2)이 부식 환경에 놓일 수가 있다. 또한, 근래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일산화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주요 콘크리트 건물들의 중성화가 촉진되고 있다. The concrete neutraliz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Cement, one of the main materials of reinforced concrete, has strong alkalinity. Therefore, corrosion does not occur in the reinforcing bar 2 existing inside the concrete structure 1 in a general environment. However, if the concrete structure 1 is in constant contact with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or is frequently subjected to acid rain, the reinforcing steel bars 2 in the concrete structure 1 may be placed in a corrosive environment.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ities, the neutralization of major concrete buildings is being promoted as the emissions of monoxide and carbon dioxide increase.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초기동해 및 중성화 여부 판단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수명 및 내구성과 관련되어 매우 중요하다.The determination of the initial freezing and neutraliza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life and dur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종래의 특허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36347호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균열 측정 장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스마트기기의 케이스 상측에는 화상 촬영 수단이 수용된 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는 콘크리트의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에 구비된 화상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지시약에 따른 색 변화 구역을 촬영함으로써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오차를 줄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측정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된 균열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표면 균열을 스마트하게 측정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6347, which is a conventional patent technology, discloses a device for concrete neutralization and crack measurement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guide in which the image capturing means is form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of the smart device. The guide is inserted into a perforation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oncrete, and a method of measuring the neutralization depth by photographing the color change zone according to the indicator using the image pickup means provided in the guid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neutraliza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reduce the error and accurate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smartly measure the surface cracks of the concrete using the crack imaging devic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또 다른 종래의 특허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564102호에는 지시약에 의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측정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른 중성화 측정방법은,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인디고 카민(indigo carmine), 티몰프탈레인(thymolphthalein), 트로페올린 오(tropaeolin O) 및 페놀프탈레인과 티몰프탈레인의 혼합 지시약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콘크리트의 단면에 도포하고, 각각의 지시약의 색상 변화에 따른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지시약의 pH를 세로축에, 각각의 지시약에 따라 측정된 중성화 깊이를 가로축에 도시하여 중성화 깊이별 pH분포곡선을 작성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각각의 지시약에 의하여 측정된 중성화 깊이에 해당하는 pH를 중성화 깊이별 pH분포곡선으로부터 추정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0564102, which is another conventional patent technology, discloses a method for measuring neutralization of concrete by using an indicator. Neutralization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is document, at least two or more of a phenolphthalein, indigo carmine, thymolphthalein, tropaeolin O and a mixed indicator of phenolphthalein and thymolphthalein To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measuring the neutralization depth according to the color change of each indicator, and the neutralization depth by plotting the pH of each indicator on the vertical axis, the neutralization depth measured according to each indicator on the horizontal axis The step of preparing the respective pH distribution curves is sequentially performed, and the pH corresponding to the neutralization depth measured by each indicator is estimated from the pH distribution curve for each neutralization depth.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깊이에 따라 차등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초기동해 및 중성화 변환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및 중성화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측정 과정에서 오차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initial freezing and neutralization conversion state that occurs differentially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state of the concrete is too complicated and a lot of errors occur in the measurement proces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콘크리트의 깊이에 따른 초기동해 및 중성화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Therefore, while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ret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of the new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the initial freeze and the neutralization stat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concrete and the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6347호(2017.05.10. 등록).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36347 (registered May 10, 201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64102호(2006.03.20. 등록).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64102 (registered March 20, 2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드릴링(Drilling) 및 리밍(Reaming)을 실시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 형성된 천공 영역에 물이나 페놀프탈레인과 같은 시약을 주입하고 기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천공 영역의 상태를 구역별로 측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깊이에 따른 초기동해 및 중성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after drilling and reaming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water in the perforated area form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njecting reagents such as or phenolphthalein and measuring the state of perforation area by zone according to preset time interval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according to the depth of concrete It relates to a measuring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여 일정 깊이만큼 천공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단계, 상기 드릴링 단계를 거쳐서 형성된 천공 영역의 외경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한 리밍 단계, 상기 드릴링 단계와 리밍 단계를 통하여 정리된 천공 영역에 용액을 분사하는 용액 공급단계 및 상기 천공 영역에 삽입되어 천공 영역의 외경에 스며든 용액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측정 및 기록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measuring concrete initial dynamics and neutralization dep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lling step for forming a predetermined area by drilling a predetermined depth by designa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drilling step is formed through the drilling step. A reaming step for smoothly proces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area, a solution supply step of spraying a solution to the perforated area arranged through the drilling and the reaming step, and a solution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area and permeat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area Measured at time intervals, and includes a measuring and recording step of storing the measured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공된 천공 영역 내에 지속적으로 용액을 투입할 수 있는 용액 공급장치, 상기 천공 영역 내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주입 장치 및 상기 주입 장치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분석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initial freeze and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lution supply device that can continuously put the solution in the perforated perforated area of the concret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area An injection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state of the punctured area and a recording medium for separately sto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jection device.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may be named a first component as a second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공된 부분을 대상으로 하여 천공 영역 내부에 물 또는 페놀프탈레인과 같은 시약을 주입하여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깊이에 따른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he initial freezing and neutralization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by measuring the state of the perforated region by injecting a reagent such as water or phenolphthalein into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advantage is that the condition can be measured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주입 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공 영역 내의 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태측정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작업자가 측정눈금의 수치를 확인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can directly check the state within the perforated area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state measurement reli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greatly improved, and the operator measures the scale of the measurement sca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mediately confirm th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탄성부재와 감지부재가 설치된 주입 장치는 상기 천공 영역에 삽입되는 주입 장치의 파손 발생률이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입 장치를 천공 영역에 삽입 및 인출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감지부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깊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s the incidence of breakage of the injection device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but also by inserting and withdrawing the injection device into the drilling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nsing member can easily grasp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센서가 설치된 주입 장치에 따르면, 상기 주입 장치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천공 영역에 단계적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jection device equipped with a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ject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area step by step at a certain time interval, the advantage that can be more precisely grasp the neutralization posi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have.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과정에 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관 중 지정된 일 부분을 드릴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드릴링 부분을 리밍(Reaming)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드릴링 및 리밍 작업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공 영역에 물 또는 페놀프탈레인과 같은 시약을 공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공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주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초기동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neutralization process of a general concrete struct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drilling a designated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reaming the drilling por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upply of reagents such as water or phenolphthalein to the perforated reg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drilling and reaming operations are completed.
5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punctured region is inserted into the punctured reg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perforated reg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perforated reg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neutralize the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7.
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crete structure is initially frozen using the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7.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관 중 지정된 일 부분을 드릴링 및 리밍(Reaming)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2 and 3 is a view showing the drilling and reaming (reaming) of a designated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콘크리트 구조체(100)를 건설한 후, 양생된 콘크리트의 경화초기 시기에 수분의 동결로 인한 초기동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특히, 콘크리트 표면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가 접촉하고 수 차례 산성비를 맞게 되면, 콘크리트의 중성화(탄산화)로 인해 철근 표면을 감싸고 있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면서 철근의 부식이 시작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중성화가 발생하는지 여부, 만약 중성화가 발생하였다면 콘크리트의 중성화 깊이가 어느정도 진행되었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작업일 것이다.In general,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the worker should check whether the initial freeze caused by the freezing of moisture at the initial stage of curing of the cured concrete. In particular, when the concrete surface is in contact with carbonic acid gas in the air and encounters acid rain several times, the corrosion of the steel is started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passivation film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steel due to the neutralization (carbonation) of the concrete, thereby reducing the life of the concrete. . Therefore, it will be a very important task for the worker to quickly grasp whether the neutralization occurs in the concrete structure 100, and if the neutralization occurs, how much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has progressed.

이와 같이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외벽 중 특정 부분을 정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드릴링 작업은 작업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드릴(10)과 같은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As such, in order to measure the initial freezing and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as shown in FIG. 2, the operator determines a specific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and performs drilling on the corresponding part. The drill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fabric mill, such as the drill 10 commonly used in the workshop.

상기 드릴링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에는 천공 영역(50)이 발생하게 된다. 다만, 드릴링 작업 직후에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콘크리트 분진, 먼지, 이물질 등이 많이 쌓여있는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천공 영역(50)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과정인 리밍 작업을 실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리밍 작업은 작업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리머(20)와 같은 클리닝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dril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perforated region 50 is generated in the concrete structure 100. However, immediately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a lot of concrete dust, dust, foreign matters, etc. are accumulated in the perforation region 50. Therefore, the worker performs a reaming process, which is a process of cleaning the perforation region 50 cleanly. As shown in FIG. 3, the reaming operation may use a cleaning device such as the reamer 20 commonly used in the workplace.

이하에서는, 상기 천공 영역(50)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초기동해를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measuring the initial dynamic damag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through the perforation region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상기 드릴링 및 리밍 작업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공 영역에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천공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주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upplying water to the perforated reg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completed drilling and reaming operation, Figure 5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reg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the perforated region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device for measur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천공 영역(50)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용액 공급장치(30)가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용액 공급장치(30)에는 물이 저장되며, 해당 물이 상기 천공 영역(50)으로 분사된다. 4 and 5, a solution supply device 30 in which water is stored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region 50. In other words, water is stored in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and the water is sprayed into the perforation region 50.

상기 용액 공급장치(30)는 몸체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 부분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천공 영역(50) 내에 삽입되는 주입부(31) 및 상기 주입부(31)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천공 영역(50)에 물을 배출하는 분사부(32)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분사부(32)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천공 영역(50)에 물이 공급된다. 다른 예로, 상기 분사부(32)가 따로 마련되지 않고, 상기 주입부(31) 전체가 분사부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주입부(31)에 전체적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예도 가능할 것이다.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portion and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puncturing area 50 and an end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ion 31. It is installed in the injection portion 32 to discharge the water in the perforation region (50). For exampl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injection part 32,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punching area 50 through the holes. As another example, the injection part 32 is not provided separately, and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entirely formed in the injection part 31 so that the entire injection part 31 serves as the injection part.

상기 용액(물) 공급장치(30)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동일한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천공 영역(50)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주사기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동일한 양의 물이 상기 천공 영역(50)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액 공급장치(30)에는 별도의 압력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압력장치는 펌프(35)일 수 있다. 즉, 상기 펌프(35)에서 지속적으로 제공된 물이 유입 노즐(36)을 따라 상기 용액 공급장치(30)로 이동하여 상기 천공 영역(50)에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천공 영역(50)에는 24시간 내내 물이 공급될 수 있다.The solution (water) supply device 30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supply the same amount of water to the perforated region 50, and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yringe to easily supply water to the perforated region 50. . In addition, a separate pressure devic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so that the same amount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erforation region 50. For example, the pressure device may be a pump 35. That is, the water continuously provided from the pump 35 may move to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along the inflow nozzle 36 and water may be injected into the puncturing region 50. Accordingly,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perforation region 50 all the time.

이와 같이 상기 천공 영역(50) 내부에 24시간 동안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천공 영역(50)의 외경에는 물이 스며들게 된다.As such, whe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region 50 for 24 hours, water permeates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region 50.

이러한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천공 영역(50)에는 많은 물이 고여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고여 있는 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별도의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천공 영역(50)에 고여 있는 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물이 제거된 천공 영역(50)에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주입 장치(200)가 삽입된다.When this process is completed, a lot of water accumulates in the perforation region 50. Therefore, the operator performs a task of removing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perforation region 50. In this case, the worker may perform a task of removing water accumulated in the perforation region 50 by using a separate suction device. In this way, the injection device 200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drilling area 50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from which water is remov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 장치(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케이스(215)와, 상기 케이스(215)가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는 방향을 축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 구동부(205)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injection device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case 215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case 215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A rotation drive unit 205 is configured to allow 360 degree rotation.

일반적으로 상기 케이스(215)는 투명재질의 아크릴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general, the case 215 is preferably made of acrylic of a transparent material, but does not exclude that the case 215 is composed of other materials within the range that can achieve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상기 케이스(215)의 내부에는 카메라(211), 조명기기(212) 및 눈금부(213)가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211)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각 카메라(21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사이의 간격이 약 20mm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카메라의 간격이 20mm이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side the case 215, a camera 211, a lighting device 212, and a scale 213 are configured. The cameras 211 are configured in plural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camera 211 is cons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s is preferably about 20 mm,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s may be 20 mm or less within the range that can achieve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211) 사이에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내부를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하여 발광 가능한 조명기기(212)가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명기기(212)는 LED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발광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An illuminating device 212 capable of emitting light is configur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meras 211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area 50 as an image. In general, the lighting device 212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LED device, but may be configured as another light emitting device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상기 케이스(215)의 외경에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구성된 눈금부(213)가 표시됨으로써, 카메라(21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눈금부(213)를 매칭하여 촬영된 영상이 어느 정도의 깊이에 대한 영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case 215 is displayed on the scale portion 213 configur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211 and the image captured by matching the scale portion 213 to a certain depth You can check whether it is a video.

위와 같이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된 주입 장치(200)는 상기 케이스(215)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205)에 의해 360도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 구동부(205)는 1분에 1/4바퀴, 즉 1분당 90도의 각도씩 회전하여, 4분 당 1바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천공 영역(50) 내부의 모습이 촬영된다. 상기 회전 구동부(205)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상기 회전 구동부(205)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상기 회전 구동부(205)의 측면에는 ‘ㄱ’자 형상의 손잡이부(206)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device 200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is rotated 360 degrees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205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ase 215. At this time, the rotation drive unit 205 is rotated by a quarter of a minute, that is, an angle of 90 degrees per minute, so that the image of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region 50 is photographed as the wheel is rotated every four minut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r 205 and to accurately grasp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driver 205, a handle part 206 having a '-' shape is added to the side of the rotation driver 205. It may be installed as.

또한, 상기 주입 장치(200)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내부 외경에 스며든 물의 마름상태를 측정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총 6시간 동안 촬영하게 된다. 상기 천공 영역(50) 내부가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별도로 구성된 기록매체(60)로 전송되어 저장되며, 별도의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영상데이터가 분석된다.In addition, the injection device 200 measures the dry state of the water permeated into the inner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region 50, and finally to shoot for a total of 6 hour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inside the perforation region 50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a separately configured recording medium 60, and the image data is analyzed by a separate analysis program.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기록매체(60)는 노트북 컴퓨터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록매체(6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록매체(6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일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기록매체(60)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초기동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cording medium 60 may be a notebook computer. However, the type of the recording medium 60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60 may be a smartphone, a PDA, a tablet, or the like. The worker may check the initial freeze stat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through the recording medium 60.

상기 천공 영역(50) 내부의 외경에 스며든 물의 마름상태가 측정된 영상데이터를 기초로, 작업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초기동해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주입 장치(200)의 케이스(215)에 구성된 눈금부(213)를 통하여 초기동해 깊이를 영상을 통해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Based on the measured image data of the dry state of the water permeat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region 50, the operator can measure the initial freeze stat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the case of the injection device 200 ( Through the scale portion 213 configured in 215, the initial freezing depth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image.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위에서 설명한 용액 공급장치(30) 및 주입 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중성화 깊이도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may also be determined using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and the injection device 2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구체적으로, 상기 용액 공급장치(30)에는 페놀프탈레인 시약이 저장된다. 즉, 상기 천공 영역(50)에 상기 용액 공급장치(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용액 공급장치(30) 내의 페놀프탈레인이 상기 천공 영역(50)으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페놀프탈레인 용액은 1% 중량부 농도로 구성되며, 천공 영역(50)의 깊이에 따른 페놀프탈레인의 변색 여부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중성화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용액 공급장치(30)로부터 분사되는 페놀프탈레인이 천공 영역(50)의 외경에 스며들게 되고, 작업자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페놀프탈레인의 변색 여부를 측정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페놀프탈레인의 변색 여부는 기록매체(60)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henolphthalein reagent is stored in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That is, the phenolphthalein in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is injected into the hole area 50 while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is inserted into the hole area 50. At this time, the phenolphthalein solution is composed of 1% by weight of concentr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through the discoloration of phenolphthalein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In detail, the phenolphthalein injected from the solution supply device 30 penetrates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and the worker measures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by measuring the discoloration of the phenolphthalei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is case, whether the phenolphthalein is discolored can be directly confirmed by the recording medium 60.

위와 같이, 주입 장치(200)에 의해 측정된 영상데이터를 통하여 작업자는 육안으로도 손쉽게 콘크리트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분석프로그램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중성화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can easily measure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even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image data measured by the injection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neutralization depth more accurately through a separate analysis program.

이하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주입 장치의 다른 예들을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ther examples of the inj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will be described further.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perforated reg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입 장치(300)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천공 영역(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실린더 몸체(320)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단부에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끝단과 맞닿을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3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전단 부분에 고무 재질의 탄성부재(310)가 설치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j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cylinder body 320 to be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An elastic member 31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cylinder body 320 to absorb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end of the cylinder body 320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That is, an elastic member 310 of rubber material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320.

그리고,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외면에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중성화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감지부재(321)가 부착된다. 상기 감지부재(321)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내면 외경과 직접 맞닿아서 상기 천공 영역(50)의 중성화 상태를 깊이별로 판단할 수 있는 시트지 계열의 재품일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상기 천공 영역(50)과 직접 맞닿아 있지 않더라도 상기 천공 영역(50)의 중성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근접 센서 계열의 제품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천공 영역(50)의 중성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재료라면, 상기 감지부재(32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a sensing member 321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320 to check the neutralization state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The sensing member 321 may be a sheet-based product that can directly contact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uncturing region 50 to determine the neutralization state of the puncturing region 50 for each depth. It may be a product of the proximity sensor series that can grasp the neutralization state of the perforated region 50 even if i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50. That is, as long as the material can grasp the neutralization state of the perforated region 50, the type of the sensing member 321 is not limited.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외면에는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33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330)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구성으로써,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작되는 구성이다. 즉, 작업자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깊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스토퍼(3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삽입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320 is provided with a stopper 330 that can adjust the moving distance of the cylinder body 320. The stopper 330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perforation region 50,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body 320. That is, the operator may limi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cylinder body 32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30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depth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또한,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후단 부분에는 상기 스토퍼(330)가 상기 실린더 몸체(320) 바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4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 제한부(340)는 상기 실린더 몸체(320)와 일체로 제작되되 상기 스토퍼(330)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제작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320 is provided with a movement limiting portion 340 for preventing the stopper 330 from falling out of the cylinder body 320. The movement limiting unit 340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cylinder body 320 but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topper 330.

이와 같이 구성된 주입 장치(300)에 따르면, 감지부재(321)에서 측정된 정보가 기록매체(60)로 전달되고, 상기 기록매체(60)를 통하여 작업자는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작업자는 상기 기록매체(60)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별도의 분석프로그램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중성화 깊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injection device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mber 321 is transmitted to the recording medium 60, the operator through the recording medium 60 to measure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n addition, the operator may more accurately measure the neutralization depth through a separate analysis program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recording medium 60.

다른 예로,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입 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천공 영역의 상태를 측정하는 주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중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As another example, FIGS. 7 and 8 illustrate an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7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device for measuring a state of the perforated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whether the concrete structure is neutralized using the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7. It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입 장치(400)는 상기 천공 영역(50) 내에 삽입되고 외면이 톱니 형상으로 제작되는 톱니형 몸체(430)로 구성된다.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후단에는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일부분을 감싸는 본체(4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420)에는 상기 톱니형 몸체(430)가 상기 천공 영역(50)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공간인 안착 영역(42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je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sawtooth body 430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the outer surface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The rear end of the sawtooth body 430 is provided with a body 420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awtooth body 430. In addition, a seating area 421 is formed in the main body 420, which is a space provided so that the serrated body 430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drilling area 50.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전단 부분에는 상기 천공 영역(5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31, 43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는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공 영역(50)의 중성화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431) 및 상기 제1 센서(431)에서 감지된 정보가 맞는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센서(431)의 후단에 상기 제1 센서(431)와 나란히 설치되는 제2 센서(43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톱니형 몸체(430)가 상기 안착 영역(421)으로부터 빠져 나와서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센서(431)에서 먼저 상기 천공 영역(50)의 중성화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제1 센서(431)에서 검지가 완료된 부분에 대해 상기 제2 센서(432)에서 추가로 중성화 상태를 검지한다. Sensors 431 and 432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errated body 430 to detect the state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Specifically, the senso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awtooth body 430 is the first sensor 431 for detecting whether the puncturing area 50 is neutralized and whether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431 is correct The second sensor 432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ensor 431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ensor 431 so as to check whether or not. That is, when the sawtooth body 430 exits from the seating area 421 and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the first sensor 431 first detects the neutralization state of the drilling area 50. In addition, the neutralization state is further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432 with respect to the portion where the detection is completed in the first sensor 431.

즉, 중성화 1회 검사 시 상기 톱니형 몸체(430)는 상기 제1 센서(431)의 길이만큼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어 중성화 검사가 수행되고, 이러한 과정이 수 차례 반복되어 순차적으로 검사 데이터가 기록매체(6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천공 영역(50)을 더욱 세분화하여 중성화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431)의 후단에 상기 제1 센서(43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2 센서(432)가 설치됨으로써 더욱 정확한 중성화 데이터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성화 1회 검사 시 상기 제1 센서(431)에서는 천공 영역(50) 중 제1 부분에 대한 중성화 데이터 결과값이 산출된다. 이후, 중성화 2회 검사 시 상기 톱니형 몸체(430)가 상기 제1 센서(431)의 길이만큼 상기 천공 영역(50) 내로 더욱 깊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431)는 상기 천공 영역(50) 중 제2 부분에 대한 중성화 데이터 결과값이 산출되고, 상기 제2 센서(432)는 상기 제1 부분에 대한 중성화 데이터 결과값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hat is, when the neutralization test is performed once, the serrated body 430 is inserted into the puncturing area 50 by the length of the first sensor 431, and the neutralization test is performed. As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cording medium 60, the puncturing area 50 may be further subdivided to perform a neutralization test.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ensor 432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sensor 431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ensor 431, more accurate neutralization data resul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in the first test of neutralization, the first sensor 431 calculates a neutralization data result value for the first portion of the puncturing area 50. Subsequently, the serrated body 430 is inserted deeper into the puncturing area 50 by the length of the first sensor 431 during the neutralization double inspection. In addition, the first sensor 431 calculates the neutralization data result value for the second part of the puncturing area 50, and the second sensor 432 checks whether the neutralization data result value for the first part is correct. Check whether or not.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중성화 깊이 검사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neutralization depth test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can be made more accurately.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센서(431)의 단부에는 탄성 재질의 고무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센서(431)가 상기 천공 영역(50)에 직접적으로 맞닿으면 센서의 파손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제1 센서(431)의 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rubber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sensor 431. That is, when the first sensor 43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erforation region 50,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sensor. Thus, an elastic member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sensor 431.

또한, 상기 톱니형 몸체(430)는 상기 주입 장치(400)와 별도의 구성인 기어부(450)와 맞물린다. 즉, 상기 기어부(450)는 상기 톱니형 몸체(430)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기록매체(6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기어부(450)는 버팀대(451)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toothed body 430 is engaged with the gear unit 450 which i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injection device 400. That is, the gear unit 450 is configur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toothed body 430, and calculates a movement amount of the toothed body 430 and transmit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toothed body 430 to the recording medium 60. The gear part 450 is supported by the prop 451 not to move.

또한, 상기 기어부(450)의 회전 축에는, 상기 기어부(45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록매체(60)와 통신하는 회전량 검지부재(455)가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량 검지부재(455)에서 산출된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톱니형 몸체(430)가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of the gear unit 450, the communication with the recording medium 60 to detect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gear unit 450 to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of the toothed body 430 The whole quantity detecting member 455 is provided. That is, the length of the sawtooth body 430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amount of rotation calculated by the amount of rotation detecting member 455. And,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can be measured based on such data.

도 7에 도시된 주입 장치(400)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한 내용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The overall process of measuring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using the injection device 400 shown in FIG. 7 is shown in FIG. 8.

먼저, 작업자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드릴링 및 리밍 작업을 실시하여 천공 영역(50)을 형성하고(S10), 상기 천공 영역(50)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분사한다(S20). 그 다음, 작업자는 콘크리트 중성화 측정기인 주입 장치(400)를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한다(S30). 이때, 상기 주입 장치(400)의 삽입 길이는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의 기 설정된 길이만큼만 삽입한다. 상기 주입 장치(400)의 삽입 방식은 상기 기어부(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톱니형 몸체(430)가 상기 본체(420)의 안착 영역(421)으로부터 빠져 나와서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센서(431)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n operator performs drilling and reaming operations on the concrete structure 100 to form a perforated region 50 (S10), and injects a phenolphthalein solution to the perforated region 50 (S20). Next, the worker inserts the injection device 400 which is a concrete neutralization measuring device into the drilling area 50 (S30). At this time, the insertion length of the injection device 400 is inserted on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s the operator wants. The insertion method of the injection device 400 is the toothed body 430 is released from the seating area 421 of the main body 42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portion 450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Proceed in such a way. In addition, the preset length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first sensor 431 installed in the front end of the sawtooth body 430.

상기 S30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주입 장치(400)의 톱니형 몸체(430)의 이동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길이와 일치하는지를 검토한다(S40).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이동 거리와 상기 기 설정된 길이의 일치 여부는 상기 기어부(450)의 회전 축에 설치되는 회전량 검지부재(45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양 수치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기록매체(60)에서는 작업자에게 이상 신호를 알린다(S41). 예를 들어, 상기 기록매체(60)에서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이상 신호를 알릴 수도 있고, 알람 신호를 통해 청각적으로 이상 신호를 알릴 수도 있다. 이러한 이상 신호가 송출되면, 상기 톱니형 몸체(430)는 다시 상기 안착 영역(421) 내의 원 위치로 복귀된다(S70).When the step S30 is finished, it is examined whether the moving distance of the toothed body 430 of the injection device 400 coincides with the preset length (S40). Whether the moving distance of the sawtooth body 430 matches the preset length may be checked through a rotation amount detecting member 455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gear unit 450. If the values do not match, the recording medium 60 notifies the operator of the abnormal signal (S41).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60 may visually signal an abnormal signal through a display or may visually notify an abnormal signal through an alarm signal. When the abnormal signal is sent, the serrated body 43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seating area 421 again (S70).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이동 거리와 상기 기 설정된 길이가 일치한다면, 상기 제1 센서(431)에서 측정된 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부분의 중성화 여부를 판단한다(S50). 판단 결과는 상기 기록매체(60)로 전송되어 작업자가 그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toothed body 430 and the preset length mat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neutralized by analyz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431 (S50).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recording medium 6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result.

그 다음, 상기 제1 센서(431)의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가 상기 천공 영역(50)과 접촉하는지를 판단한다(S60). 만약, 접촉하지 않는다면 아직 천공 영역(50) 내의 중성화 검사 작업이 종료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다시 상기 S30 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S30이하의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부터는, 중성화 검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제2 센서(432)에서는 기존에 상기 제1 센서(431)에서 검사한 중성화 여부에 대한 결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작업이 추가로 수행된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lastic memb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sensor 431 is in contact with the perforation region 50 (S60). If it is not in contact, it means that the neutralization test work in the drilling area 50 has not been completed yet. Therefor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 again and the steps below S30 are sequentially performed. From this time, in proceeding the neutralization test, the second sensor 432 of the sawtooth body 430 is to confirm the result of the neutralization whether the first sensor 431 has been inspected once again Additionally.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상기 제1 센서(431)의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가 상기 천공 영역(50)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톱니형 몸체(430)는 다시 상기 안착 영역(421) 내의 원 위치로 복귀된다(S70). 그리고, 기록매체(6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천공 영역(50)의 중성화 판단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의 중성화 깊이를 파악할 수 있다.Through such a process, when the elastic memb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sensor 4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erforation region 50, the serrated body 430 agai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seating region 421. Return to (S70). In addition,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eutralization determination data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sequentially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60.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주입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초기동해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crete structure is initially frozen using the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7.

도 9는 도 8의 내용에서 페놀프탈레인 용액 대신에 물이 투입된다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부분인 측정 방식에 있어서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8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FIG. 9 is different in that only water is added in place of the phenolphthalein solution in the contents of FIG. 8, and the same method is used for the remaining measurement method. Therefore, only different parts from FIG. 8 will be described below.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초기동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드릴링 및 리밍 작업이 완료된 천공 영역(50)에 물을 분사한다(620). 이에 따라, 상기 천공 영역(50)에는 많은 물이 고여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고여 있는 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621).Referring to FIG. 9, the worker injects water into the drilling area 50 where drilling and reaming are completed in order to measure the initial freezing stat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620). 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water accumulates in the perforation region 50. Therefore, the worker performs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perforation region 50 (621).

이와 같이 물이 제거된 천공 영역(50)에는 주입 장치(400)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 장치(400)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50)의 깊이에 따른 초기동해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injection device 40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region 50 from which the water is removed, and the injection device 400 can determine whether the initial freeze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체를 천공하고, 천공된 부분을 대상으로 하여 내부에 주입된 물 또는 페놀프탈레인과 같은 시약의 색상변화 상태를 일정 구역별로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각 깊이에 따른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according to each depth by measuring the color change state of the reagent such as water or phenolphthalein to be injected into the perforated concrete structure, the target portion perforated The advantage is that the state can be measured precis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can be done.

30: 용액 공급장치 50: 천공 영역
60: 기록매체 100: 콘크리트 구조체
200, 300, 400: 주입 장치 211: 카메라
212: 조명기기 213: 눈금부
215: 케이스 310: 탄성부재
320: 실린더 몸체 321: 감지부재
330: 스토퍼 420: 본체
430: 톱니형 몸체 431: 제1 센서
432: 제2 센서 450: 기어부
30: solution supply 50: puncture zone
60: recording medium 100: concrete structure
200, 300, 400: injection device 211: camera
212: luminaire 213: graduation
215: case 310: elastic member
320: cylinder body 321: sensing member
330: stopper 420: main body
430: serrated body 431: first sensor
432: second sensor 450: gear portion

Claims (11)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외벽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여 일정 깊이만큼 천공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단계;
상기 드릴링 단계를 거쳐서 형성된 천공 영역(50)의 외경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한 리밍 단계;
상기 드릴링 단계와 리밍 단계를 통하여 정리된 천공 영역(50)에 용액을 분사하는 용액 공급단계; 및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어 천공 영역(50)의 외경에 스며든 용액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측정 및 기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
Drilling step for forming a perforated area by a predetermined depth by designa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A reaming step for smoothly machin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region 50 formed through the drilling step;
A solution supply step of spraying a solution on the drilled region 50 through the drilling and reaming steps; And
Measured and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region 5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measure the solution permeat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region 50, the concrete initial freez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suring and recording step of storing the measured data How to measure the neutralization dept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공급단계는,
상기 드릴링 단계와 상기 리밍 단계를 통하여 천공된 상기 천공 영역(50)에 24시간 동안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물 공급단계가 진행되어 상기 천공 영역(50)의 외경에 물이 스며든 이후에, 상기 천공 영역 내부에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olution supply step,
Supplying water for 24 hours to the drilling area 50 drilled through the drilling step and the reaming step; And
And after the water supply step is carried out so that water penetrates the outer diameter of the perforated region, removing water into the perforated reg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기록 단계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는 주입 장치(200)가 상기 천공 영역의 외경에 스며든 물기를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측정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초기동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measuring and recording step,
The initial stage of the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to determine the initial freeze of the concrete structure by measuring the water soak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ing are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ast Sea and neutralization depth measurement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공급단계는 상기 드릴링 단계와 상기 리밍 단계를 통하여 천공된 상기 천공 영역(50)에 페놀프탈레인을 분사하는 단계이고,
상기 측정 및 기록 단계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는 주입 장치(200)가 상기 천공 영역(50)의 외경에 스며든 페놀프탈레인에 의한 중성화 여부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깊이에 따른 중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olution supply step is a step of spraying phenolphthalein to the perforated region 50 drilled through the drilling step and the reaming step,
In the measuring and recording step, the concrete structure 100 is measured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ther the injection device 200 inserted into the puncturing area 50 is neutralized by phenolphthalein penetrat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uncturing area 50. Steps to determine whether to neutraliz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concret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measuring method.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기록 단계는,
복수개의 카메라(211)가 설치된 주입 장치(200)가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주입 장치(2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211)에 의해 상기 천공 영역(50) 내부의 모습이 촬영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211)로 촬영된 정보가 기록매체(6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The measuring and recording step,
Inserting an injection device (2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meras (211) into the drilling area (50);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drilling area 50 by the camera 211 while the injection device 200 is rotated;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concret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1) to the recording medium (6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기록단계는,
외면에 페놀프탈레인과 반응하는 감지부재(321)가 부착된 주입 장치(300)가 상기 천공 영역(50)에 삽입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감지부재(321) 중 페놀프탈레인과 반응한 부분에 대한 정보가 기록매체(6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asuring and recording step,
Inserting an injection device (300) having a sensing member (321) reacting with phenolphthalei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in the puncturing area (50);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concret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reaction of the phenolphthalein of the sensing member 321 to the recording medium (6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기록단계는,
상기 천공 영역(50)에 주입 장치(400)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주입 장치(400)의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길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주입 장치(400)의 이동 거리와 상기 기 설정된 길이가 일치한다면, 상기 천공 영역(50) 중 상기 주입 장치(400)를 통해 측정된 부분의 중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장치(400)를 통해 상기 천공 영역(50) 전체를 측정할 때까지,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3 단계가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asuring and recording step,
A first step of inserting the injection device 400 into the drilling area 50 by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a moving distance of the injection device 400 matches a preset length; And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jection device 400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the same, including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rtion of the puncture region 50 measured by the injection device 400, the neutralizat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initial freezing and neutralization of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ep through the third step is repeated until the entire puncture region (50) is measured through the injection device (400).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천공된 천공 영역(50) 내에 지속적으로 용액을 투입할 수 있는 용액 공급장치(30);
상기 천공 영역(5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 영역(50)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주입 장치(200, 300, 400); 및
상기 주입 장치(200, 300, 400)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분석하기 위한 기록매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
As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initial freeze and the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A solution supply device 30 capable of continuously injecting a solution into the perforated perforation region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0;
An injection device (200, 300, 400)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region (50) to measure the state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And
Concrete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recording medium 60 for separately stor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injection device (200, 300, 40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장치(2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명 재질로 구성된 케이스(215); 및
상기 케이스(215)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15)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부(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injection device 200,
A case 215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ase (215) and the concret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rotation drive unit (205) capable of rotating the case (215) 360 degree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장치(300)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감지부재(321)가 부착되는 실린더 몸체(320);
상기 실린더 몸체(320)가 상기 천공 영역(50)의 말단 부분에 접촉할 때에 상기 실린더 몸체(320)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실린더 몸체(320)의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10); 및
상기 실린더 몸체(32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몸체(320)가 상기 천공 영역(50) 내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injection device 300,
A cylinder body 320 having one or more sensing members 321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thereof;
An elastic member 310 installed at an end of the cylinder body 320 to mitigate the impact the cylinder body 320 receives when the cylinder body 320 contacts the distal portion of the perforation region 50; And
I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ylinder body 320, the concrete initial freeze and neutralization depth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330 for limiting the depth of the cylinder body 320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area (50)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영역(50) 내에 삽입되고 단부에 상기 천공 영역(5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31, 432)가 설치되는 톱니형 몸체(430);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톱니형 몸체(430)가 상기 천공 영역(5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본체(420); 및
상기 톱니형 몸체(430)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톱니형 몸체(430)의 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기록매체(60)에 전달하는 기어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초기동해 및 중성화 깊이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sawtooth body 430 inserted into the puncturing area 50 and provided with sensors 431 and 432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puncturing area 50 at an end thereof;
The main body 420 is install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rrated body 430 and provides a seating area of the serrated body 430 so that the serrated body 430 is movable along the puncturing area 50. ); And
The initial dynamic damage and neutralization depth of the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ar portion 450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sawtooth body 430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sawtooth body 430 and transmits it to the recording medium 60. Measuring device.
KR1020180117629A 2018-05-24 2018-10-02 Using it with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KR1020622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93 2018-05-24
KR20180058793 2018-05-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787A Division KR102103789B1 (en) 2019-12-24 2019-12-24 Smart measuring method using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444A true KR20190134444A (en) 2019-12-04
KR102062213B1 KR102062213B1 (en) 2020-02-11

Family

ID=6900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629A KR102062213B1 (en) 2018-05-24 2018-10-02 Using it with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2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823B1 (en) 2021-08-31 2022-03-07 주식회사 씨이비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ime of cement concrete carbon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2308B2 (en) * 1996-08-27 2002-11-0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Concrete neutralization depth measuring method,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instrument
KR100564102B1 (en) 2002-02-21 2006-03-24 이재용 measuring method of neutralization in concrete by indicators
KR101578756B1 (en) * 2015-08-11 2015-12-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measuring depth of carbonation using smart phone
KR101658785B1 (en) * 2015-12-16 2016-09-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detecting carbonation of concrete structure ,system for detecting carbonation of concrete structure using drone or robot,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709955B1 (en) * 2016-11-29 2017-03-08 주식회사 케이에스디 Test device and method for carbonation of concrete
KR101736347B1 (en) 2015-11-27 2017-05-16 웰트웨이브 주식회사 Measuring apparatus of concrete neutralization and concrete crack using smart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2308B2 (en) * 1996-08-27 2002-11-0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Concrete neutralization depth measuring method,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instrument
KR100564102B1 (en) 2002-02-21 2006-03-24 이재용 measuring method of neutralization in concrete by indicators
KR101578756B1 (en) * 2015-08-11 2015-12-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measuring depth of carbonation using smart phone
KR101736347B1 (en) 2015-11-27 2017-05-16 웰트웨이브 주식회사 Measuring apparatus of concrete neutralization and concrete crack using smart device
KR101658785B1 (en) * 2015-12-16 2016-09-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detecting carbonation of concrete structure ,system for detecting carbonation of concrete structure using drone or robot,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709955B1 (en) * 2016-11-29 2017-03-08 주식회사 케이에스디 Test device and method for carbonation of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213B1 (en)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789B1 (en) Smart measuring method using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KR101747192B1 (en) Module for measuring carbonation depth of concrete structure
JP2021503078A5 (en)
KR101004294B1 (en) Edge sensor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defect
KR102221833B1 (en) Carbonation Depth Measuring Device for Safety Diagnosis of Concrete Structures
EP3236409A1 (en) System for predicting residual lifespan of fire-damaged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KR102062213B1 (en) Using it with concrete early frost damage and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KR101736347B1 (en) Measuring apparatus of concrete neutralization and concrete crack using smart device
CN104535421B (en) Detect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performance of cross-linked polymer gel
KR101721975B1 (en) 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for Safety Diagnosi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1913408B1 (en) Blocking apparatus of leakage of storage tank of harmful chemical and Method of the same
KR102057733B1 (en) Carbonation measuring device of concrete structure
JP2008203275A (en) Inspection method of concrete, and measurement tool used for it
US9470630B2 (en) Reflective sensor for detection of material degradation
WO2007075341A3 (en) Luminescent dissolved oxygen sensor with visual verification
CN211205661U (en) Accurate detection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percolating water
JP6488659B2 (en) Concrete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CN111537439B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nd evaluating defects of pressure-bearing equipment
JP7165396B2 (en) Measurement scale used for concrete neutralization test and method for measuring neutralization depth
CN113390808A (en) Water quality analyzer and water quality analyzing method
JP6734590B2 (en) Deterioration degree inspection method and deterioration degree inspection system for existing soft material
KR101824621B1 (en) Structure carbonation check apparatus
CN207703675U (en) A kind of injection type mortar strength detector
KR1023708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ime of cement concrete carbonation
KR10193886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arbonation depth of concret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