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234A -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234A
KR20190134234A KR1020180059637A KR20180059637A KR20190134234A KR 20190134234 A KR20190134234 A KR 20190134234A KR 1020180059637 A KR1020180059637 A KR 1020180059637A KR 20180059637 A KR20180059637 A KR 20180059637A KR 20190134234 A KR20190134234 A KR 2019013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module
fire extinguishing
pouch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991B1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파이어킴 주식회사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어킴 주식회사, 김병열 filed Critical 파이어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9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05Dispensers provided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recharge or pouch located within the dispenser

Abstract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소화 모듈은, 내부에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리필형 파우치; 상기 리필형 파우치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리필형 파우치 내부의 소화물질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삽입공간의 외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열부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REPEAL TYPE FIRE EXTINGUISIHE MODULE AND FIRE EXTINGISUHE DEVICE}
아래의 실시예는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건축물은 물론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화재 시 이를 알리기 위한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화재감지기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센서에 의하여 인식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해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화재 발생 경보를 발하고, 화재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옥 내외의 소화설비인 스프링쿨러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화재 감지기는 소화설비를 검색하고 화재를 진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속한 화재진화가 어려워 화재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화설비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유류화재나 전기화재에 의한 화재 시, 오히려 화재를 확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되는 장치들이 많아지며, 전기 콘센
트, 스위치박스, 전등기구, 전자제품 들에서 단락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며, 화재에 대응하여 소화물질을 자동 방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화하고, 화재발생 시, 가스나 전기를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소화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소화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화재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물질을 방출 가능한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화재발생 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조기에 사용자 단말 또는 소방관서에 화재상황을 송신하여 화재 발생을 알리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소화 모듈은, 내부에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리필형 파우치; 상기 리필형 파우치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리필형 파우치 내부의 소화물질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삽입공간의 외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열부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한 쌍의 발열체 사이의 수용공간의 외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리필형 파우치는 상기 리필형 파우치의 외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두리가 열 접착되는 한 쌍의 포장재;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소화물질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형성되는 확인창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창은 상기 리필형 파우치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소화물질의 확인이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물질은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여 상기 파우치 외부로 배출되고,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은 상기 발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는,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는 소화물질이 내부에 수용되는 리필형 파우치; 상기 리필형 파우치가 삽입되고, 화재 상황 시 상기 리필형 파우치에 열을 가하여 상기 소화물질을 상기 리필형 파우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소화 모듈; 및 상기 소화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소화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소화 모듈의 작동상태를 외부 서버에 연동시키는 메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는,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화재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는, 화재발생 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는, 조기에 사용자 단말 또는 소방관서에 화재상황을 송신하여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소화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소화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소화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소화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형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1)는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물질(113)을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소화를 진화할 수 있다. 소화 장치(1)는 소화물질(113)을 포함하는 리필형 파우치(110)의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소화 장치(1)는 소화 모듈(10) 및 메인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모듈(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 모듈(10)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모듈(20)은 설치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연결된 소화 모듈(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모듈(20)은 소화 모듈(10)의 작동상태를 외부 서버에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모듈(20)은 소화 모듈(10)의 작동상태를 통해 확인되는 화재 상황을 소방관서나 관리용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모듈(20)은 화재 발생 상황을 조기에 감지하여 소화 모듈(10)을 통해 화재를 조기 진압하고, 화재발생상황을 외부에 전달함으로 추가적인 화재 발생 상황의 2차 진압을 수행할 수 있다.
소화 모듈(10)은 메인 모듈(20)의 제어를 통해, 소화물질(113)을 외부로 배출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소화 모듈(10)은 리필형 파우치(110), 하우징(120), 배출구(140), 발열부(130), 제어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필형 파우치(110)는 내부에 소화물질(113)을 수용할 수 있다. 소화물질(113)은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제1물질 및 온도 상승에 따라 팽창하는 제2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물질은 예를 들어, 드라이 케미칼 분말일 수 있다. 제2물질은 열이 가해지면 파우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열이 가해지면 기화하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물질은 프루오르화 케톤액 노백 1230일 수 있다.
리필형 파우치(110)는 포장재(111) 및 확인창(112)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111)는 리필형 파우치(110)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포장재(111)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소화물질(11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두리가 열 접착될 수 있다. 포장재(111)는 다층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재(111)는 외층 및 소화물질(113)에 접촉하는 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층은 내층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소화물질(113)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층은 PP(polypropylene), OPP(oriendted 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층에는 파열 안내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열 안내선은 외층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는 점선 형태의 미세한 홈일 수 있다. 파열 안내선은 포장재(111) 내부의 소화물질(113)이 팽창하는 경우, 포장재(111)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파열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내층은 외부로부터 수용공간 내의 소화물질(113)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층은 소화물질(113)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층은 소화물질(113)이 팽창하는 경우 포장재(111)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창(112)은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소화물질(113)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포장재(111)에 형성될 수 있다. 확인창(112)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화물질(113)은 일반적으로 액상으로 구비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기화하여 파우치의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확인창(112)은 리필형 파우치(110) 내부에 소화물질(113)의 잔량을 확인함으로써, 리필형 파우치(110)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확인창(112)은 다른 부위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확인창(112)의 일면에는 확인창(112)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소화 모듈(1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리필형 파우치(110)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에는 소화 모듈(1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발열부(130)는 삽입 공간(121)의 내부에 배치되고, 파우치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발열부(130)는 삽입 공간(121)의 내부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는 예를 들어, 판형 히터일 수 있다. 삽입 공간(121)에 리필형 파우치(110)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리필형 파우치(110)의 일면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발열체가 접촉될 수 있다. 리필형 파우치(110)와 접촉하지 않는 발열체 부위에는, 하우징(1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발열체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작동에 의해 발열함으로써, 삽입 공간(121)에 삽입된 리필형 파우치(11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발열부(130)는, 예를 들어, 소화물질(113)이 반응하는 온도까지 리필형 파우치(110)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배출구(140)는 리필형 파우치(110) 내부의 소화물질(113)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121)의 외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출구(140)는 삽입 공간(121) 및 하우징(120)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소화물질(113)은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여 포장재(111)를 뜯고 파우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재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소화물질(113)은 발열부(130)에 의해 가열되어 배출구(140)를 통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배출구(140)는,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한 쌍의 발열체 사이의 수용공간 외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리필형 파우치(110)로부터 배출되는 소화물질(113)은 배출구(140)를 통해 집중되어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리필형 파우치(110)가 삽입 공간(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필형 파우치(110)에 형성된 확인창(112)은 배출구(140)를 통해 하우징(12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리필형 파우치(110)가 삽입 공간(121)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배출구(140)를 통해 확인창(112)을 확인함으로써, 리필형 파우치(110) 내부의 소화물질(113)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발열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인 모듈(20)로부터 화재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발열체에 전기를 인가하여 발열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발열부(130)의 온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발열체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어부(150)는 발열체가 과도하게 발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화 모듈(10)이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소화 모듈(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소화 모듈(10)의 상태에 따라 발광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예를 들어, 소화 모듈(10)에 리필형 파우치(1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초록색 LED를 점등시키고, 리필형 파우치(110)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리필형 파우치(11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빨간색 LED를 점등시키는 방식으로 소화 모듈(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소화 모듈(10)의 일면에는 소화 모듈(1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양면 테이프, 접착필름 및 브라켓등의 다양한 부재일 수 있다. 고정부를 통해 소화 모듈(10)은 화재 진압이 필요한 공간의 벽, 배관등에 부착될 수 있다.
소화 모듈(10)에는 메인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메인 모듈(20) 및 소화 모듈(10)을 USB로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화 장치(1)는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모듈(20)은 감지부(210), 제어모듈(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온도, 습도, 연기,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모듈(220)은 감지부(210)에서 감지되는 감지량에 대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설정 감지량을 설정하고, 감지불르 통해 설정 감지량 이상의 감지량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모듈(220)은 화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커넥터를 통해 소화 모듈(10)의 화재 발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제어모듈(220)로부터 감지된 화재발생신호를 외부서버로 송신하여, 추가적인 화재 진압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소화 모듈(10)은 메인 모듈(2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제어부(150)의 작동을 통해 발열부(130)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발열부(130)에 대한 전기 인가를 통해 리필형 파우치(110)가 가열되게 되면, 리필형 파우치(110) 내부의 소화물질(113)이 팽창되어 파우치 외부로 배출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 장치(1)는, 소화 장치(1)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복수의 소화 모듈(10)을 설치하고, 각각의 소화 모듈(10)을 메인 모듈(20)을 통해 중앙 제어함으로써, 화재의 조기진압을 수행하고, 추가적인 화재진압요청을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화재의 진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소화 장치
10: 소화 모듈
20: 메인 모듈

Claims (5)

  1. 내부에 소화물질을 수용하는 리필형 파우치;
    상기 리필형 파우치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리필형 파우치 내부의 소화물질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삽입공간의 외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우치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열부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리필형 소화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한 쌍의 발열체 사이의 수용공간의 외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리필형 소화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형 파우치는,
    상기 리필형 파우치의 외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두리가 열 접착되는 한 쌍의 포장재;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소화물질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포장재에 형성되는 확인창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창은 상기 리필형 파우치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소화물질의 확인이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리필형 소화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질은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여 상기 파우치 외부로 배출되고,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은 상기 발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리필형 소화 모듈.
  5.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는 소화물질이 내부에 수용되는 리필형 파우치;
    상기 리필형 파우치가 삽입되고, 화재 상황 시 상기 리필형 파우치에 열을 가하여 상기 소화물질을 상기 리필형 파우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소화 모듈; 및
    상기 소화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소화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소화 모듈의 작동상태를 외부 서버에 연동시키는 메인 모듈을 포함하는, 소화 장치.
KR1020180059637A 2018-05-25 2018-05-25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KR102157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37A KR102157991B1 (ko) 2018-05-25 2018-05-25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37A KR102157991B1 (ko) 2018-05-25 2018-05-25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34A true KR20190134234A (ko) 2019-12-04
KR102157991B1 KR102157991B1 (ko) 2020-09-21

Family

ID=6900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37A KR102157991B1 (ko) 2018-05-25 2018-05-25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9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457A (ko) * 2016-05-24 2017-12-04 김병열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1857775B1 (ko) * 2016-11-29 2018-05-15 김병열 소화캡슐, 소화캡슐을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457A (ko) * 2016-05-24 2017-12-04 김병열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1857775B1 (ko) * 2016-11-29 2018-05-15 김병열 소화캡슐, 소화캡슐을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991B1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07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US84960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bject against fire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ES2633781T3 (es) Módulo de activación de incendios para un sistema de extinción de incendios automático
US20240100378A1 (en)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US20170372578A1 (en)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Environment Monitoring and Fire Protection for Rack-Mounted Equipment
KR10192674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KR101926131B1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KR20190134235A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센싱이 가능한 소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KR101857775B1 (ko) 소화캡슐, 소화캡슐을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1898040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45476B1 (ko)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2157991B1 (ko) 리필형 소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KR101328605B1 (ko) 방사선 및 방사능 측정 시스템
JP6396750B2 (ja)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KR101284634B1 (ko)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KR102136262B1 (ko) 자동 확산형 소화장치
US11789000B2 (en) Aspirat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4259681A (zh) 灭火胶囊及包括其的灭火装置
WO2017212231A1 (en) Fuse box temperature monitor
GB2559368A (en) Apparatus for use within a fire protection system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20230012772A (ko) 소화 장치
EP3654307A1 (en) Interconnected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KR20170003735U (ko) 비분해식 감지 거리 조절 수단을 구비한 불꽃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