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909A -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909A
KR20190133909A KR1020180058881A KR20180058881A KR20190133909A KR 20190133909 A KR20190133909 A KR 20190133909A KR 1020180058881 A KR1020180058881 A KR 1020180058881A KR 20180058881 A KR20180058881 A KR 20180058881A KR 20190133909 A KR20190133909 A KR 2019013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information
augmente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395B1 (ko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3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 및 증강현실 플레이어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과, 웹 서버 및 DB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GPS 모듈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전송받은 상기 위치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승인 정보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승인 단계; 상기 승인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DB에 기 저장된 증강 컨텐츠 샘플을 수신한 후 상기 증강 켄텐츠 편집도구를 매개로 편집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하여 매칭 정보를 생성해 상기 DB에 저장하는 매칭 단계;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위치 정보의 지점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증강현실 플레이어를 매개로 카메라 촬영 영상에 증강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편집 및 생성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on lo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편집 및 생성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편화, 모바일 통신기술의 발전, 모바일 소셜네트워킹의 대중화로 '모바일 증강현실'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파고들고 있다. 증강현실은 한때 커다란 헤드셋을 착용해야 경험할 수 있는 먼 나라 이야기였지만, 현대의 스마트폰에는 높은 화소의 디스플레이, 위치정보 시스템, 센서, 고품질 카메라 등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기반이 잘 갖춰져 있어, 모바일 증강현실이 확산될 기반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현실 세계의 정보를 바탕으로 컴퓨터로 처리된 가상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결합시켜 보여주는 기술로서, 가상 세계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는 달리 현실 세계 기반에서 가상의 정보를 덧붙여 제공하기 때문에 일상 속에서 가상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유럽, 북미, 일본, 한국 등에서 모바일 환경을 활용한 증강현실 게임, 안내 시스템 등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0-1407670호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단말과 서버 및 그 통신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보이는 실제환경에 동적인 가상객체들을 포함하는 가상환경을 증강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제공된 동적인 가상객체에서 소정의 가상객체를 선택받는 단계와, 선택된 가상객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할 대상을 선택받는 단계와, 선택된 대상에게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선택된 가상객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증강현실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기술을 접목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재감과 재미를 주고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토록 하여 증강현실 서비스의 범위를 일부 확장하기는 하였으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증강현실 제공 서비스는 서비스 업체에서 미리 정해놓은 조건에 따라 정해진 컨텐츠를 수동적으로 제공받을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이 있어, 사용자 관점에서는 여전히 폐쇄적인 서비스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술 개발 수준에 비해 대중화 속도가 느린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증강현실 기술분야에서,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증강현실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07670호 (2014.06.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026919호 (2018.03.14.)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편집 및 생성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와 사용자가 직접 편집 및 생성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매칭된 정보를 타인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 활용 범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 및 증강현실 플레이어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과, 웹 서버 및 DB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GPS 모듈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전송받은 상기 위치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승인 정보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승인 단계; 상기 승인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DB에 기 저장된 증강 컨텐츠 샘플을 수신한 후 상기 증강 켄텐츠 편집도구를 매개로 편집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하여 매칭 정보를 생성해 상기 DB에 저장하는 매칭 단계;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위치 정보의 지점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증강현실 플레이어를 매개로 카메라 촬영 영상에 증강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칭 단계와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에 수락 및 거절 선택이 가능한 수신 알림을 전송하는 특정 타인 공유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는, 상기 수신 알림을 전송받은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락 선택을 받은 경우 상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매칭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증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순서가 설정된 복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는, 상기 순서가 설정된 복수의 위치 정보에 각각 매칭되도록 복수의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는, 첫 번째 매칭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는, 직전 매칭 정보의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표시가 완료된 이후 차순 매칭 정보의 위치 정보에 관한 위치 안내 알림을 수락 및 거절 선택이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락 선택을 받은 경우 차순 매칭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동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DB에 증강 컨텐츠 샘플로서 저장하는 불특정 타인 공유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승인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의 반경 범위를 일정 단위로 입력받아 상기 위치 정보에 반영하는 위치 범위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증강 컨텐츠 샘플은, 증강 이미지와 증강 텍스트 및 사운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는, 상기 증강 이미지의 화면 상 위치, 색깔, 크기, 질감과, 상기 증강 텍스트의 문구, 글자 모양 및, 상기 사운드의 종류, 크기, 재생 구간, 재생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방위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는,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방위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변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위 정보에 의해 상기 증강 이미지의 3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DB는 저작권이 있는 컨텐츠를 수록한 저작권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불특정 타인 공유 단계는,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텍스트 및 사운드 중 하나 이상의 요소와 상기 저작권 DB 내 컨텐츠 간 유사판단을 통해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저작권 침해 판단 단계; 저작권 침해 판단 시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공유 반려 메시지를 전송하는 공유 반려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은,
1)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편집 및 생성된 증강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2)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와 사용자가 직접 편집 및 생성한 증강현실 컨텐츠가 매칭된 정보를 특정 타인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 활용 범위를 증대시키며,
3) 사용자의 동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컨텐츠를 불특정 타인이 활용할 수 있는 증강 컨텐츠 샘플로 DB에 저장함으로써 개인이 편집한 컨텐츠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활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4) 사용자가 편집 및 생성한 사용자 컨텐츠의 저작권 저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저작권 침해 분쟁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의 기본적인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의 구현을 위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전송 단계와 승인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의 기본적인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의 구현을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10)과, 웹 서버(Web server)(20) 및 DB(Database)(30)를 포함한다.
상기 웹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현되며, 웹 서버(20)에서 관리자에 의해 저장 및 관리되는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웹 서버(20)로 전송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DB(30)가 상기 웹 서버(20)와 연동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상기 웹 서버(20)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입력받은 회원 정보를 상기 DB(30)의 회원 정보 DB(31)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21)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컨텐츠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는 승인 관리부(22) 및 상기 위치 정보와 사용자 컨텐츠를 연계 매칭시키고 이를 저장하는 매칭 관리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인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노트북 컴퓨터, PDA, PMP,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 HMD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위치정보 수집, 즉 측위를 위한 GPS 모듈(10A)과, 현실 세계 영상 수집을 위해 카메라 모듈(10B)을 구비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이며, 본 발명의 구성 단계인 위치 정보 전송 단계(S100)와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S300) 및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S700)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위치 정보 관리 도구(11),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12) 및 증강현실 플레이어(13)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또는 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와 연결된 상태여야할 것이다.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도구(11)는 상기 GPS 모듈(10A)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특정 지점을 지정하여 해당 GPS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고,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12) 및 증강현실 플레이어(13)는 컨텐츠 파일의 형태와 지원 플랫폼이 서로 호환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쉽게 편집 및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디자인된 UI 및 UX가 적용되어야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웹 서버(20) 및 DB(30)와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GPS 모듈(10A) 및 카메라 모듈(10B),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소프트웨어 간 유기적인 연동 관계가 구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기본적으로 위치 정보 전송 단계(S100), 승인 단계(S200),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S300), 매칭 단계(S400),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S700)를 포함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웹 서버(20) 및 DB(30) 간 연동 관계를 통해 구현된다. 아래에서 도 5 내지 7을 참고하여 각 단계의 알고리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전송 단계 및 승인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위치 정보 전송 단계(S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위치 정보 관리 도구(11)를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내장된 상기 GPS 모듈(10A)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해 상기 웹 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도구(11)는 기본적으로 GPS 모듈(10A)과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에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도 상의 특정 지점을 클릭, 터치 등의 방식으로 선택받아 해당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웹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승인 단계(S200)는,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단계(S10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웹 서버(20)의 상기 승인 관리부(22)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승인 정보를 생성해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회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합성이라 함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도구(11)에 표시된 지도 상 지점인 상기 위치 정보가 특정될 수 있는 적합한 GPS 좌표를 갖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작용에 있어서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정확하게 수집되어 유효한 데이터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 정보의 적합성이 승인되어 상기 승인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회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위치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저장한다.
또한, 해당 위치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의 고유 번호(전화 번호 등)나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서 기 전송되어 상기 DB(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아이디 등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회원 정보를 회원 정보 DB(31) 내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을 인증하고, 전송받은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하는 등의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상기 승인 단계(S200)는 위치 범위 설정 단계(S2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위치 정보의 지역적 범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가 적용되는 지역적 범위가 사용자로부터 지도 상에서 클릭, 터치 등의 방식으로 입력받은 특정 지점으로부터 몇 미터 반경까지 적용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아 상기 위치 정보에 반영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반경 범위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단위로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바, 상기 일정 단위는 예를 들어 50m, 100m, 200m, 500m, 1000m 등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직접 편집한 사용자 컨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증강 표시하고자 할 때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일정 범위로 확장 또는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 사용자의 활용 의도를 보다 다각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S300)는, 사용자가 스스로 본인 또는 타인이 활용할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 및 제작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승인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상기 웹 서버(20)를 통해 상기 DB(30)에 기 저장된 증강 컨텐츠 샘플을 수신한 후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12)를 이용해 편집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해 이를 상기 웹 서버(20)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B(30)에는 복수의 증강 컨텐츠 샘플을 저장한 별도의 폴더인 증강 컨텐츠 샘플 DB(32)가 마련된 바, 사용자는 무선통신망 등을 매개로 상기 증강 컨텐츠 샘플 DB(32)에 저장된 복수의 증강 컨텐츠 샘플을 확인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다운로드받은 후, 이를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12)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증강 컨텐츠 샘플을 사용자 취향에 맞추어 임의로 편집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증강 컨텐츠 샘플은 증강 이미지와 증강 텍스트 및 사운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포맷이고,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12)는 상기 증강 이미지의 화면 상 위치, 색깔, 크기, 질감과, 상기 증강 텍스트의 문구, 글자 모양 및, 상기 사운드의 종류, 크기, 재생 구간, 재생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편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 때, 상기 증강 컨텐츠 샘플의 편집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라 함은 화면 상 아이콘의 클릭/터치, 드래그 또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기계식 버튼 등의 조작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움직임에 의한 변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물리적인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방위 센서가 기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12)는,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방위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변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제어신호로 하여 상기 증강 이미지, 예를 들어 증강 대상 객체의 3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편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인 방식으로 편집 조작 과정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더욱 흥미를 강화시킬 수 있다.
매칭 단계(S400)는, 상기 웹 서버(20)의 상기 매칭 관리부(23)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하여 매칭 정보를 생성해 상기 DB(30)의 매칭 정보 DB(33)의 위치 정보 DB(33a) 및 사용자 컨텐츠 DB(33b)에 각각 연동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매칭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기반으로 증강현실 플레이어(13)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된다. 상기 매칭 정보는 상술한 회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S700)는, 상기 GPS 모듈(10A)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상기 위치 정보의 지점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증강현실 플레이어(13)를 매개로 카메라 촬영 영상에 증강하여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매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상기 과정을 총괄하며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저장 용량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GPS 모듈(10A)이 활성화되어 상기 웹 서버(20)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상기 위치 정보의 지점에 진입한 것을 상기 웹 서버(20)가 확인하면 상기 매칭 정보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무선 통신 수단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상기 증강현실 플레이어(13)에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증강해 표시토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인이 직접 지정한 위치에서 본인이 직접 편집한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에서 증강 표시되도록 할 수 있어 종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동적으로 컨텐츠를 제공받던 시스템의 한계에서 벗어나, 증강현실 기술을 보다 흥미롭게 일상 생활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에 기반한 정보 제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상의 소통과 온라인 상의 소통을 연계함으로써 더욱 흥미로운 소통을 시도할 수 있는 바, 예로써 특정 위치에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활용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의 이벤트를 실현하는 등 다각적 관점에서의 부가 기능을 위해 복수의 단계가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매칭 단계(S400) 다음 단계로서 특정 타인 공유 단계(S500)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 타인 공유 단계(S500)는, 상기 웹 서버(2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10)의 고유 번호나 특정 타인의 아이디 등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10)에 수락 및 거절 선택이 가능한 수신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이 때 상기 수신 알림은 특정 타인으로의 공유를 요청한 원 사용자의 이름, 아이디, 전화번호, 원 사용자가 요청한 알림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예시로서 'ooo로부터 편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수락하시겠습니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타인은 사용자가 설계한 매칭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권한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S700)는, 상기 수신 알림을 전송받은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락 선택을 받은 경우 상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10)에 상기 매칭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증강하여 표시토록 해야할 것이다.
또한, 더욱 흥미로운 서비스 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 정보를 복수 개 형성하고 각 매칭 정보별 위치 정보,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수신 알림을 각기 달리 구성함으로써 스토리를 갖도록 순차적으로 형성한 복수의 사용자 컨텐츠를 기 기정된 특정 지점들에 개별적으로 도달함으로써 제공받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단계(S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순서가 설정된 복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S300)는, 상기 순서가 설정된 복수의 위치 정보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S700)는, 첫 번째 매칭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해당 매칭 정보의 위치 정보를 활성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오프라인 공간인 위치 정보와 스토리를 가진 사용자 컨텐츠의 연결 관계를 매칭 정보를 설계한 사용자의 의도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매칭 정보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의 특정 지점 진입 여부에 따라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즉 후순위 매칭 정보의 위치 정보 내 지점에 사용자 단말(10)이 진입하여도 해당 매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차순에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컨텐츠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만이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위치에 따라 사용자 컨텐츠 표시 순서가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S700)는, 직전 매칭 정보의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표시가 완료된 이후 차순 매칭 정보의 위치 정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안내 알림을 수락 및 거절 선택이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락 선택을 받은 경우 차순 매칭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각 매칭 정보별로 개별적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락 선택을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위치 안내 알림은 차순 매칭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정보는 기본적으로 위치의 명칭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매칭 정보를 설계한 원 사용자와 수신받는 사용자(타인) 간에서 이해되는 문구 등을 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안내 알림은, '다음 편지를 받기 위해서 정자역으로 가세요.' 또는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우리가 처음 같이 식사했던 식당으로 가주세요.' 등의 방식으로 노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편집 및 생성한 사용자 컨텐츠를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 상기 증강 컨텐츠 샘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특정 타인 공유 단계(S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특정 타인 공유 단계(S600)는, 상기 웹 서버(2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을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동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DB(30)에 증강 컨텐츠 샘플로서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동의 정보는 상기 웹 서버(2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되는 동의 및 부동의 선택 가능한 팝업창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불특정 타인 공유 단계(S600)가 포함됨으로써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회원들이 타 회원이 저작한 다수의 컨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증강 컨텐츠 샘플을 다운로드받은 불특정 타인 사용자들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지불토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증강 컨텐츠 샘플로 등록된 사용자 컨텐츠의 저작자는 웹 서버(20)를 통해 집계되는 불특정 타인 다운로드 횟수를 기반으로 시스템 관리자 등으로부터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서로 순서가 바뀌어 실행될 수 있고, 이렇게 순서가 바뀌어 실행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
10A: GPS 모듈
10B: 카메라 모듈
11: 위치 정보 관리 도구
12: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
13: 증강현실 플레이어
20: 웹 서버
21: 회원 관리부
22: 승인 관리부
23: 매칭 관리부
30: DB
31: 회원 정보 DB
32: 증강 컨텐츠 샘플 DB
33: 매칭 정보 DB
33a: 위치 정보 DB
33b: 사용자 컨텐츠 DB
S100: 위치 정보 전송 단계
S200: 승인 단계
S210: 위치 범위 설정 단계
S300: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
S400: 매칭 단계
S500: 특정 타인 공유 단계
S600: 불특정 타인 공유 단계
S610: 저작권 침해 판단 단계
S620: 공유 반려 단계
S700: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

Claims (9)

  1.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 및 증강현실 플레이어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과, 웹 서버 및 DB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GPS 모듈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전송받은 상기 위치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승인 정보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승인 단계;
    상기 승인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DB에 기 저장된 증강 컨텐츠 샘플을 수신한 후 상기 증강 켄텐츠 편집도구를 매개로 편집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하여 매칭 정보를 생성해 상기 DB에 저장하는 매칭 단계;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위치 정보의 지점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증강현실 플레이어를 매개로 카메라 촬영 영상에 증강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와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웹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에 수락 및 거절 선택이 가능한 수신 알림을 전송하는 특정 타인 공유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는,
    상기 수신 알림을 전송받은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락 선택을 받은 경우 상기 특정 타인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매칭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증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순서가 설정된 복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컨텐츠 생성 단계는,
    상기 순서가 설정된 복수의 위치 정보에 각각 매칭되도록 복수의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는,
    첫 번째 매칭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단계는,
    직전 매칭 정보의 상기 사용자 컨텐츠 증강 표시가 완료된 이후 차순 매칭 정보의 위치 정보에 관한 위치 안내 알림을 수락 및 거절 선택이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락 선택을 받은 경우 차순 매칭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동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DB에 증강 컨텐츠 샘플로서 저장하는 불특정 타인 공유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지점의 반경 범위를 일정 단위로 입력받아 상기 위치 정보에 반영하는 위치 범위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컨텐츠 샘플은,
    증강 이미지와 증강 텍스트 및 사운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는,
    상기 증강 이미지의 화면 상 위치, 색깔, 크기, 질감과, 상기 증강 텍스트의 문구, 글자 모양 및, 상기 사운드의 종류, 크기, 재생 구간, 재생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방위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증강 컨텐츠 편집 도구는,
    상기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및 방위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변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위 정보에 의해 상기 증강 이미지의 3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80058881A 2018-05-24 2018-05-24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7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81A KR102079395B1 (ko) 2018-05-24 2018-05-24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81A KR102079395B1 (ko) 2018-05-24 2018-05-24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09A true KR20190133909A (ko) 2019-12-04
KR102079395B1 KR102079395B1 (ko) 2020-02-19

Family

ID=6900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881A KR102079395B1 (ko) 2018-05-24 2018-05-24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3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53A1 (ko) 2018-11-08 2020-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1163174A (zh) * 2019-12-31 2020-05-15 歌尔股份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网络连接装置和可读存储介质
WO2022014957A1 (ko) * 2020-07-14 2022-01-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실 공간을 반영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플랫폼 및 구동 방법
WO2022114820A1 (ko) * 2020-11-26 2022-06-02 (주) 애니펜 사용자 간의 경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077089A (ko)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인터포 증강 물체 좌표 보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25A (ko) * 2009-10-08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1086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와 시스템
KR101407670B1 (ko) 2011-09-15 2014-06-16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단말과 서버 및 그 통신방법
KR20180026919A (ko) 2016-09-05 2018-03-14 (주)알비케이이엠디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25A (ko) * 2009-10-08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407670B1 (ko) 2011-09-15 2014-06-16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단말과 서버 및 그 통신방법
KR20140071086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와 시스템
KR20180026919A (ko) 2016-09-05 2018-03-14 (주)알비케이이엠디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53A1 (ko) 2018-11-08 2020-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1163174A (zh) * 2019-12-31 2020-05-15 歌尔股份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网络连接装置和可读存储介质
WO2022014957A1 (ko) * 2020-07-14 2022-01-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실 공간을 반영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플랫폼 및 구동 방법
WO2022114820A1 (ko) * 2020-11-26 2022-06-02 (주) 애니펜 사용자 간의 경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077089A (ko)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인터포 증강 물체 좌표 보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395B1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395B1 (ko)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JP6606563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用のロイヤルティアカウント及びプライベートラベルアカウント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2216959B (zh) 用于操纵全景的技术
CN110442813B (zh) 一种基于ar的旅游纪念信息处理系统及方法
US9928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hysically moving a portable unit to view composite webpages of different websites
US11301681B2 (en) Securing virtual objects tracked in a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between multiple devices
CN113225572A (zh) 直播间的页面元素展示方法、装置及系统
KR20190018243A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1478A (ko) 위치를 기반으로 대화방의 가입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25175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53827A1 (en) Transmitting data based on retrieval locations
KR102194008B1 (ko) 상품 이미지 인식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US20210200425A1 (en) Combined map icon with action indicator
CN116431138B (zh) 组件模板的建立方法和装置、表单建立方法和装置
EP3139337A1 (en) Virtual padlock providing system
KR20200085026A (ko) 메신저 기반 계좌 거래 이력과 관련된 사용자 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19020849A (ja) サーバ装置、電子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11597468B (zh) 社交内容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165019B2 (en) Shared experience information construction system
KR102248080B1 (ko) 실시간 영상을 통한 원격접속 융합현실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190015313A (ko) 전자 메일 시스템으로의 위치 통합
CN115708372A (zh) 车辆位置分享方法、系统、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10157740A (ko) 가상현실 공간에서의 공간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1539794A (zh) 凭证信息的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915482B2 (en) Terminal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remote lo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