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425A -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425A
KR20110038425A KR1020090095711A KR20090095711A KR20110038425A KR 20110038425 A KR20110038425 A KR 20110038425A KR 1020090095711 A KR1020090095711 A KR 1020090095711A KR 20090095711 A KR20090095711 A KR 20090095711A KR 20110038425 A KR20110038425 A KR 20110038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content
user device
content
location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8425A/ko
Publication of KR2011003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객체로부터 획득되는 실사에 정합시킬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하고, 실사와 부가용 컨텐츠를 관련시키는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이들 부가용 컨텐츠와 기준 위치 정보를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하는 공유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증강현실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Figure P1020090095711
증강현실, 컨텐츠, 위치 기반, 방향, 사물인식, 제작도구, 정합

Description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Content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Real-world Location for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증강현실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낙서는 인간의 표현욕구를 충족하는 수단이며, 인류가 문자를 발명하기 이전부터 낙서문화는 존재하였다. 벽화 등 고대의 낙서는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만, 현대에 와서는 낙서가 윤리적이나 법적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음성적인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낙서에 대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면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방향으로 양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최근 많이 보급된 사용자 디바이스에 증강현실 기술과 위치기반 서비스를 접목하여 사용자들에게 실제 세계에서 낙서하는 것과 유사한 대리만족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기술은 가상현실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실세계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배제하고 오직 미리 구축해 놓은 가상공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증강현실 기술은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가 특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되고, 실제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실세계 관찰대상에 대해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있는 시설물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켜서 해당 시설물을 촬영하면 이때 위치와 방향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위치와 방향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면,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서비스들은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자가 사전에 생산한 컨텐츠를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제공받는 구조이다. 그리고 동일한 장소에서는 항상 동일한 컨텐츠가 조회되기 때문에, 컨텐츠의 최신성이 떨어지고 단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증강현실 서비스의 식상함을 가져와 사용자의 이탈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저작욕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증강현실 컨텐츠의 다양성을 도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객체로부터 획득되는 실사에 정합시킬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실사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관련시키는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이들 부가용 컨텐츠와 기준 위치 정보를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하는 공유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1사용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공유 서버로 정합시킬 실사와 관련된 기준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하는 기준 위치 정보에 관련된 부가용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 서버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의 요청을 받은 경우 그 요청과 함께 전송받은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제1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때의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제1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전송받은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로부터 획득한 실사와 상기 전송받은 부가용 컨텐츠를 정합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로부터 획득한 실사에 정합할 부가용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제작도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용 컨텐츠는, 낙서, 정보, 홍보, 광고,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용 컨텐츠에는 패스워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용 컨텐츠가 광고인 경우, 상기 실사에 정합되는 부가용 컨텐츠의 위치에는 새로운 부가용 컨텐츠가 생성될 수 없다.
상기 목적은, 또한, 객체로부터 획득되는 실사에 정합시킬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사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관련시키는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서로 관련시켜서 공유서버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컨텐츠 공유 방법은, 제2사용자 디바이스가 객체로부터 실사를 획득하는 단계; 제2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획득한 실사에 대한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2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한 기준 위치 정보를 상기 공유 서버로 전송하면서 상기 전송하는 기준 위치 정보와 관련된 부가용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공유 서버는 제2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기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2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부가용 컨텐츠를 전송받아서, 상기 획득한 실사에 정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의 상기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제1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로부터 획득한 실사에 정합할 부가용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제작도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제1사용자 디바이스가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패스워드도 같이 저장할 수 있다.
본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저작욕구를 만족시키고, 증강현실 컨텐츠의 다양성을 도모하여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컨텐츠에 광고를 포함시키고, 광고영역은 사용자에 의한 편집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의 노출로 인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컨텐츠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제작도구들을 지원하고, 매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를 편집하고 해당 편집영역에 대해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인과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하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원 명세서에서, '객체'(subject)는 카메라가 캡쳐하고자 하는 실제 사물이고, '실사' 또는 '현실 세계 이미지'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의미하고, '부가용 컨텐츠'는 실사와 혼합할 데이터를 의미하며, '증강현실', '혼합현실', '증강현실 이미지', '증강현실 컨텐츠' 또는 '혼합현실 이미지'는 실사와 부가용 컨텐츠가 혼합 또는 정합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부가용 컨텐츠'와 '증강현실 컨텐츠'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없이 그들 모두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는 '컨텐츠'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서비스'는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부가용 컨텐츠를 공유서버로부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 받은 서비스', '부가용 컨텐츠를 실사에 정합시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기준 위치 정보'는 '위치, 방향, 및/또는 거리'를 의미하며, '위치' 또는 '위치와 방향' 또는 '위치와 방향과 거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한편, '위치' 또는 '위치와 방향' 또는 '위치와 방향과 거리'들 간에 특별히 구별할 실익이 없는 경우에는 이들을 모두 '기준 위치 정보'로서 포괄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용 컨텐츠는 특정 실사와 관련되어 생성되며, 기준 위치 정보는 실사와 부가용 컨텐츠 간의 관련성을 일의적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특정 부가용 컨텐츠에 대한 기준 위치 정보는, 특정 부가용 컨텐츠를 정합할 객체의 실사를 캡쳐할 때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 사용자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객체가 위치하는 방향, 및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증강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10a..10n)와, 사용자 디바이스(10a..10n)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지원하는 공유 서버(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a..10n)와 공유 서버(50)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거쳐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는, '증강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는 '증강현실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 및/또는 조작버튼(미 도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는, 측위부(11), 방향측정부(13), 거리인식부(15), 이미지캡쳐부(17), 저장부(19), 제어부(21), 표시부(25), 통신부(27), 정합부(29), 제작도구부(31), 및 명도 조절부(33)를 포함한다.
측위부(11)는, 사용자 디바이스(10a..10n)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작동하 며, 측위부(11)로는 GPS, WPS, 또는 CellI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측위부(11)에서 파악된 사용자 디바이스(10a..10n)의 위치는 기준 위치 정보의 일부가 된다.
방향측정부(13)는,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를 기준으로 객체가 위치하는곳의 방향을 측정한다. 즉, 방향 측정부는, 측위부(11)에 의해 파악되는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를 기준으로 객체를 바라 보았을 때 객체가 존재하는 방향을 측정한다. 방향측정부(13)에 의해 측정된 방향도, 위치와 마찬가지로, 기준 위치 정보의 일부가 된다.
방향측정부(13)로는 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센서인 디지털 콤퍼스(Digital Compass), 또는 중력센서(Gravity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거리인식부(15)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캡쳐하고자 하는 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여기서, 거리는 객체까지의 실제 거리 또는 소정의 축척 비율을 적용한 상대적 거리일 수 있으며, 거리 역시 기준 위치 정보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측위부(11), 방향측정부(13), 및 거리인식부(15)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 방향, 및 거리를 인식하는 것을 도 2에 모식화하여 도시하였다.
이미지캡쳐부(17)는 객체에 대한 실사를 획득하며, 예를 들면 카메라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표시부(25)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거나, 이미지캡쳐부(17)에서 캡쳐된 실사를 표시하거나 또는 실사와 부가용 컨테츠가 혼합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5)는 또한 제작도구부(31)에 의 해 제공되는 제작도구를 표시할 수 있다.
제작도구부(31)는 사용자가 실사를 대상으로 새로운 부가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작도구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연필, 페인트, 스프레이, 브러시, 스탬프, 글꼴, 지우개, 모형자 등이 포함되며, 제작도구의 종류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얼마든지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작도구는 사고 팔 수도 있으며, 이러한 매매 과정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정합부(29)는, 실사에 공유 서버(50)로부터 제공받은 부가용 컨텐츠를 정합시키며, 이때, 정합부(29)는 표시부(25)에 표시ㅅ되는 부가용 컨텐츠를 실사에 부합되는 크기로 조절하는 한편, 부가용 컨텐츠가 실사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부가용 컨텐츠로는, 낙서, 정보, 홍보, 광고, 및/또는 이벤트 등의 컨텐츠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낙서는, 도 4와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특별한 목적을 가지지 않고 작성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단어, 문장,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정보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제적 또는 실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작성한 데이터를 의미하고, 홍보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업 또는 사업을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벤트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를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보물찾기, 유령찾기, 산타찾기처럼 특정 아이콘을 부가용 컨텐츠로 작성하여, 사용자(즉, 사용자 디바이스)가 특정 위치에 와서 이미지를 캡쳐하 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특정 아이콘이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벤트는,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된 위치로 직접 가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광고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실세계에서는 "Mart", "Coffee"로 되어 있던 부분을 "SAMSUNG"으로 변경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광고 부분은 광고주와 공유 서버(50) 운영자 간의 계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고 부분에는 광고가 아닌 다른 부가용 컨텐츠를 정합시킬 수 없다. 이로써, 본 발명은, 광고를 이용하여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저장부(19)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부가용 컨텐츠와 그 컨텐츠와 관련된 기준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9)에 저장된 부가용 컨텐츠와 기준 위치 정보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공유 서버(5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9)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내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 디바이스가 무선이나 유선 등으로 접속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축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27)는 사용자 디바이스(10a..10n)가 이동통신망에 접속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공유 서버(50)와의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부(27)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0a..10n)에서 제작된 부가용 컨텐츠와 기준 위치 정보가 공유 서버(50)로 제공된다.
명도조절부(33)는, 컨텐츠의 사실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자가 증강현실 컨텐츠를 조회하는 시간과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 입력되는 빛의 세기를 측정 하여 증강현실 컨텐츠의 색상 및 밝기를 자동 조절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제어부(21)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하며, 다음과 같은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를 제공하는 동작 모드(이하, '부가용 컨텐츠 생성 모드'라고 함)
-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이하, '송수신 모드'라고 함)
- '다운로드 받은 부가용 컨텐츠를 실사에 정합시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모드(이하, '증강현실 컨텐츠 표시 모드'라고 함)
이하에서는, 이들 동작 모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부가용 컨텐츠 생성 모드
제어부(21)는, 부가용 컨텐츠 생성 모드에서, 부가용 컨텐츠 및 이와 관련된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는, 부가용 컨텐츠 생성 모드에서, 제작도구부(31)를 동작시켜 제작도구들을 표시부(25)를 통해서 표시하고, 측위부(11), 방향측정부(13), 거리인식부(15)를 동작시켜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에 의해 제작이 완료된 부가용 컨텐츠와 함께 기준 위치 정보를 서로 관련시 켜서 저장부(19)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21)는 송수신 모드에서 공유 서버(50)로 부가용 컨텐츠 및 이와 관련된 기준 위치 정보를 통신부(27)를 통해서 전송한다.
b. 송수신 모드
송수신 모드는 송신 모드(또는 '업로드 모드')와 수신 모드(또는 '다운로드 모드')로 이루어진다.
송신 모드에서, 제어부(21)는, 각종 정보를 공유 서버(5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는 통신부(27)를 통해서, 부가용 컨테츠와 기준 위치 정보를 공유 서버(50)로 전송한다.
수신 모드에서, 제어부(21)는, 공유 서버(5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는, 이미지 캡쳐부(17)를 통해서 캡쳐된 실사에 정합시킬 부가용 컨텐츠를 공유 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
c. 증강현실 컨텐츠 표시 모드
증강현실 컨텐츠 표시 모드에서, 제어부(21)는, 공유 서버(50)로부터 제공받은 부가용 컨텐츠를 실사와 정합시켜서, 표시부(25)를 통해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는, 증강현실 컨텐츠 표시 모드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마치 실사처럼 캡쳐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는 표시부(25)에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될 때, 화면 또는 조작 버 튼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실사로서 저장하라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안내하고, 그러한 화면을 통해서 명령을 입력받으면, 표시부(25)에 표시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실사처럼 저장부(19)에 저장할 수 있다.
이제, 공유 서버(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공유 서버(50)는 i) 부가용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며,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부터 요청(이하, '부가용 컨텐츠 전송 요청'이라고 함)이 있으면 부가용 컨텐츠를 전송한다. 공유 서버(50)는 부가용 컨텐츠를 기준 위치 정보와 관련시켜서 저장 및 관리하며,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부터 기준 위치 정보와 함께 부가용 컨텐츠 전송 요청이 오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기준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 전송한다.
이상의 기능들을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서버(50)는, 로그인승인부(51), 로그인 데이터베이스(57),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9), 통신부(55), 및 제어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승인부(51)는,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를 통해 공유 서버(50)에 접속하고자 할 때, 미리 설정된 ID와 패스워드로 공유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를 승인한다. 로그인승인부(51)는 로그인 데이터베이스(57)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의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로그인 데이터베이스(57)는 사용자의 ID, 패스워드, 사용자 디바이 스(10a..10n)의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와, 사용자가 공유 서버(50)에 접속한 기록에 대한 접속 정보와, 사용자 부가용 컨텐츠를 업로드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부가용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9)는, 부가용 컨텐츠들, 및 이들 부가용 컨텐츠 각각에 기준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즉, 관련시켜)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부가용 컨텐츠들 및 이들 부가용 컨텐츠 각각에 기준 위치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를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4에는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부가용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9)는,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에서는, 하나의 위치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이 매칭되고,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부가용 컨텐츠가 하나씩 매칭되어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부가용 컨텐츠가 하나씩 매칭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2개 이상의 부가용 컨텐츠가 매칭될 수 있다.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부가용 컨텐츠에는 패스워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처럼 패스워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아서, 이들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부가용 컨텐츠를 실사에 정합시켜서 표시한다.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패스워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패스워드를 비교하는 과정은, 공유 서버(50)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서버(50)에서 패스워드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사용자 디바이스는, 부가용 컨텐츠 전송 요청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기준 위치 정보도 공유 서버(50)로 전송하며, 공유서버(50)는 전송받은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부가용 컨텐츠에 설정된 패스워드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패스워드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검색된 부가용 컨텐츠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패스워드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사용자 디바이스는 기준 위치 정보를 공유 서버(50)로 전송하며, 공유서버(50)는 전송 받은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부가용 컨텐츠에 설정된 패스워드와 검색된 부가용 컨텐츠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사용자 디바이스는 공유서버(50)로부터 전송받은 패스워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부가용 컨텐츠를 실사에 정합한다.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부가용 컨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용 컨텐츠 자체가 광고이거나 또는 광고가 부가용 컨텐츠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광고는 사용자가 삭제, 수정, 및 추가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즉, 공유 서버(50)는 광고가 포함된 부가용 컨텐츠를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편집을 한 경우, 그 편집이 광고를 편집하거나 또는 광고가 있는 위치와 중복되는 곳에 대하여 작성된 경우라면, 그러한 편집을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에 포함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는, 예를 들면, 공유 서버(50)로 직접 입력되는 부가용 컨텐츠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서 제작된 사용자 부가용 컨텐츠와, 광고를 위해 제작된 광고 증강현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5)는 공유 서버(50)를 인터넷망에 통신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인터넷망은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공유 서버(50)와 각 사용자 디바이스(10a..10n)가 접속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제어부(53)는, 각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부터 부가용 컨텐츠와 기준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이들을 서로 매칭시켜 부가용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9)의 룩업 테이블에 포함시킨다. 또한, 제어부(53)는,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부터 부가용 컨텐츠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부터 받은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에서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용 컨텐츠 룩업 테이블에는, 하나의 위치 에 여러 개의 증강현실 컨텐츠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53)는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부가용 컨텐츠를 선택하여 각 사용자 디바이스(10a..10n)로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가 부가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부(21)는, 사용자가 문자, 이미지, 동영상, 소리 등을 입력할 영역을 선택하면 해당 영역이 컨텐츠 생성 유효지역인지를 파악하여 컨텐츠의 입력가능여부를 알려준 다.
도 15는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증강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객체에 대한 실사를 캡쳐하고(S1510), 객체와 관련된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획득)하여 공유서버(50)로 전송하며(S1530), 공유서버(50)는 전송받은 기준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부가용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만약 존재하면(Y) 검색한 부가용 컨텐츠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570). 사용자 디바이스는 공유 서버(5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용 컨텐츠를 S1510에서 캡쳐한 실사와 정합하여 표시한다(S1610).
이상 설명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a..10n)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측위부(11), 방향측정부(13), 거리인식부(15), 이미지캡쳐부(17), 저장부(19), 제어부(21), 표시부(25), 통신부(27), 정합부(29), 제작도구부(31), 및 명도 조절부(33)들이 별도의 블록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들 끼리는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작도구부(31), 정합부(29), 명도 조절부(33)등이 가지는 각각의 기능은 제어부(21)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 각각 별도의 기능 블록으로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구별된 것으로서, 반드시 개별적인 기능블록으로 구현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가 그러한 기능들을 가진다는 것을 용이하게 설명하 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공유 서버(50)가 가지는 구성요소들 역시, 실제 구현시에 개별적인 기능블록으로 구현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호간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고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모식화한 도면,
도 3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작도구들이 표시된 상태의 화면도,
도 4는 낙서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현실세계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작도구부를 사용하여 낙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작한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정보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도,
도 7은 홍보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이벤트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도,
도 12는 낙서 증강현실 컨텐츠를 배경으로 찍은 사진이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도,
도 13은 광고 증강현실 컨텐츠가 표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화면도와, 현실세계의 이미지를 표시한 도면,
도 14는 증강현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10a..10n : 사용자 디바이스 11 : 측위부
13 : 방향측정부 15 : 거리인식부
31 : 제작도구부
33 : 명도조절부 50 : 공유 서버
59 : 부가용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객체로부터 획득되는 실사에 정합시킬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실사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관련시키는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이들 부가용 컨텐츠와 기준 위치 정보를 서로 관련시켜서 저장하는 공유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1사용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공유 서버로, 정합시킬 실사와 관련된 기준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하는 기준 위치 정보에 관련된 부가용 컨텐츠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 서버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받은 경우 그 요청과 함께 전송받은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제1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때의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의 상기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전송받은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로부터 획득한 실사와 상기 전송받은 부가용 컨텐츠를 정합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로부터 획득한 실사에 정합할 부가용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제 작도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용 컨텐츠는, 낙서, 정보, 홍보, 광고,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용 컨텐츠에는 패스워드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서버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가 광고인 경우, 상기 실사에 정합되는 부가용 컨텐츠의 위치에는 새로운 부가용 컨텐츠가 생성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10. 객체로부터 획득되는 실사에 정합시킬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사와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관련시키는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서로 관련시켜서 공유서버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2사용자 디바이스가 객체로부터 실사를 획득하는 단계;
    제2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획득한 실사에 대한 기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2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생성한 기준 위치 정보를 상기 공유 서버로 전송하면서 상기 전송하는 기준 위치 정보와 관련된 부가용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공유 서버는 제2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기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용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제2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부가용 컨텐츠를 전송받아서, 상 기 획득한 실사에 정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의 상기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 정보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의 제1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객체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로부터 획득한 실사에 정합할 부가용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제작도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디바이스는, 부가용 컨텐츠를 생성할 때,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서버는, 상기 부가용 컨텐츠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패스워드도 같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0090095711A 2009-10-08 2009-10-08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8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711A KR20110038425A (ko) 2009-10-08 2009-10-08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711A KR20110038425A (ko) 2009-10-08 2009-10-08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425A true KR20110038425A (ko) 2011-04-14

Family

ID=4404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711A KR20110038425A (ko) 2009-10-08 2009-10-08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8425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9855A2 (en) * 2011-09-30 2013-04-04 Ioculi, Inc.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US20130263016A1 (en) * 2012-03-27 2013-10-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tagged user interface for media sharing
KR20140023975A (ko) * 2011-06-03 2014-02-27 찰스 디. 휴스턴 현장 관람시에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메시지를 삽입 및 개선하는 시스템과 방법
KR20160145976A (ko) * 2015-06-11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690311B1 (ko) * 2015-12-30 2017-01-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증강현실객체 배치, 공유 및 전시 시스템 및 배치, 공유 및 전시 방법
KR20190047922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아이티원 혼합현실을 이용한 정보 공유 시스템
KR200489627Y1 (ko) * 2019-06-11 2019-07-12 황영진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KR20190120611A (ko) * 2018-04-16 2019-10-24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상 스티커 부착 게임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3909A (ko) * 2018-05-24 2019-12-04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KR20190133908A (ko) * 2018-05-24 2019-12-04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 인식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KR20200142385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디지포레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197615B1 (ko) * 2019-08-12 2020-12-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US11538443B2 (en) 2019-02-11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3975A (ko) * 2011-06-03 2014-02-27 찰스 디. 휴스턴 현장 관람시에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메시지를 삽입 및 개선하는 시스템과 방법
US10481758B2 (en) 2011-09-30 2019-11-19 Ioculi, Inc.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WO2013049855A3 (en) * 2011-09-30 2013-07-11 Ioculi, Inc.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US9626070B2 (en) 2011-09-30 2017-04-18 Ioculi, Inc.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WO2013049855A2 (en) * 2011-09-30 2013-04-04 Ioculi, Inc.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based on location sensing and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US20130263016A1 (en) * 2012-03-27 2013-10-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tagged user interface for media sharing
KR20160145976A (ko) * 2015-06-11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690311B1 (ko) * 2015-12-30 2017-01-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증강현실객체 배치, 공유 및 전시 시스템 및 배치, 공유 및 전시 방법
KR20190047922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아이티원 혼합현실을 이용한 정보 공유 시스템
KR20190120611A (ko) * 2018-04-16 2019-10-24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가상 스티커 부착 게임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3908A (ko) * 2018-05-24 2019-12-04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 인식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KR20190133909A (ko) * 2018-05-24 2019-12-04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US11538443B2 (en) 2019-02-11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489627Y1 (ko) * 2019-06-11 2019-07-12 황영진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KR20200142385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디지포레 위치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197615B1 (ko) * 2019-08-12 2020-12-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8425A (ko)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114494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sharing a location based experience
CN105376442B (zh) 云系统以及由云系统显示内容的方法
US106002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sharing a location based experience
CN109067839B (zh) 推送游览指导信息、创建景点信息数据库的方法及装置
EP2863364A1 (en) Cloud 3D model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7710197A (zh) 在通信网络上共享图像和图像相册
US20140225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software application
KR20150113974A (ko) 동적 홍보 배치 관리와 배포 규칙
KR102014761B1 (ko) 공간객체 검색결과 정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독취가능 저장장치
CN105930912A (zh) 一种基于3d全景app的酒店预订系统
US9578188B1 (en) Enterprise photo / video experience platform and kiosk systems
CN109257589B (zh) 远程三维扫描全息动画特效生成立显系统及其方法
US20220129976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2009223B1 (ko) 위치기반 공간객체 원격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35016A1 (en) Method for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content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20170171322A1 (en) Session hand-off for mobile applications
KR20200038023A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JP5927822B2 (ja) 画像通信システム
TWI603227B (zh) 移動物件的虛擬訊息遠距管理方法與應用系統
CN108198099A (zh) 增强现实的导游方法及系统、装置、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049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pace design
US20230351711A1 (en) Augmented Reality Platform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KR102230685B1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KR10128109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컨텐츠 찾기 게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