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844A -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844A
KR20190133844A KR1020180058730A KR20180058730A KR20190133844A KR 20190133844 A KR20190133844 A KR 20190133844A KR 1020180058730 A KR1020180058730 A KR 1020180058730A KR 20180058730 A KR20180058730 A KR 20180058730A KR 20190133844 A KR20190133844 A KR 2019013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iosignal
obtaining apparatus
attache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979B1 (ko
Inventor
김진범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79B1/ko
Priority to CN201920441935.1U priority patent/CN210158584U/zh
Publication of KR2019013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9Foot or ank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상호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에서 상기 본체가 체결되는 면에는, 상기 센서와 상기 신체의 표면 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지지 가능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BIOMETRIC SIGNAL ACQUISTIION DEVICE ATTACHED TO BODY}
본 발명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의 다리와 같은 신체에 부착하여 고품질의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의 경우 미숙아로 태어나거나 정상아로 태어나도 3개월 이전에는 선천적인 이유 혹은 자다가 실수로 엎어져서 숨을 못쉬고 사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영아돌연사증후군(SIDS)라고 한다. 영유아의 부모는 영아돌연사증후군과 같은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조기에 이를 발견하여 처치를 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응급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산소포화도와 같은 생체신호(Biometric signal)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체신호의 모니터링은 생체신호 센서를 포함하는 의학 장비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 장비는 고가이고 대형이어서, 병원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 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사람이 지켜보는 대신 영유아의 몸에 부착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했을 때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긴급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영유아의 호흡과 관련된 중요한 생체신호인 맥박 및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영아돌연사증후군과 같은 위급 상황에 의한 사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PPG센서와 같은 생체신호 센서들이 소형화되어 저가로 생산되고,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 폰,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단말기에 생체신호 획득 기능이 내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말기의 경우 영유아의 응급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즉,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센서 밀착의 유지가 어렵고, 피부와 위생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센서가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빛샘과 동잡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빛샘 현상이 있는 경우, 생체 신호가 정상적으로 획득되지 못하고 왜곡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랩(strap; 끈)과 같은 신체 고정 수단을 바짝 조이는 등으로 센서와 피부를 강하게 밀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영유아의 여린 피부가 충혈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의 월령차, 개인차에 따라 신체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센서와 피부가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생체신호 획득의 신뢰도와 피부의 건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그러나 위에 기술된 기존의 장치들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유아의 월령차, 개인차에 따른 신체 형상 및 크기의 차이를 극복하여, 생체신호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유아의 잦은 운동에도 영유아의 신체에서 이탈되거나, 미끌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착용에도 영유아 피부의 건강과 위생을 유지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상호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에서 상기 본체가 체결되는 면에는, 상기 센서와 상기 신체의 표면 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지지 가능한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체는 사람의 아랫다리(下脚)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을 연결하거나 상기 탈착부 및 상기 제2 스트랩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의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각각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들에서 체결이 되는 위치 또는 면적은, 상기 신체의 둘레의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각각과 상기 신체의 표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체결구들은,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랩의 양 측 각각의 표면 중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턱 및 하나 이상의 골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철의 단면은 곡선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요철의 단면은 'S'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랩 또는 상기 제2 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부의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이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영유아의 월령차, 개인차에 따른 신체 크기의 차이를 극복하고, 신체의 입체형상을 고려하여 스트랩의 들뜸을 방지한 구조를 통해, 생체신호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영유아의 잦은 운동에도 영유아의 신체에서 이탈되거나, 미끌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장시간 착용에도 영유아 피부의 건강과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구들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구들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착부의 요철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는, 신체(90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110)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200), 및 상호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신체(900)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310)과 제2 스트랩(320)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200)를 신체(900)에 결속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트랩(320)이 상기 제2 스트랩(320)과 병렬로 배치됨으로써, 장치(10)가 발목 아래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생체신호가 산소포화도인 경우, 상기 센서(110)는, 포토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모듈(PPG센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외선과 적색 광 신호를 피부에 투과 혹은 반사를 시켜서 얻어지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적외선과 적색 광신호의 전류값의 비율을 계산하면 산소헤모글로빈의 비율이 구해지며, 이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아랫부분(신체(900)에 부착 시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센서(110)를 신체(900)의 동맥혈관이 지나가는 피부의 부위에 잘 밀착시키고 동작을 시켜야 정상적인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110)가 신체(900)의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본체(100)의 표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구조는 신체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스트랩(310)은, 상기 탈착부(200)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부착된다 함은, 따로 형성하여 상호 조립되는 것을 의미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사출성형 등의 방법을 통해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탈착부(200)에서 상기 본체(100)가 체결되는 면에는, 상기 센서(110)와 상기 신체(900)의 표면 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지지 가능한 요철(210)이 형성된다. 이처럼 요철(210)을 형성함으로써, 부드러운(탄성) 재질로 탈착부를 형성하였음에도, 상기 센서(110)와 신체(900)가 상호 밀착되어 발생하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신체(900)는 사람의 아랫다리(下脚)일 수 있다. 특히 영유아의 아랫다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랫다리라 함은, 사람의 다리 중에서 무릎 관절 아래의 부위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센서(110)는, 발목 안쪽 또는 발목 바깥쪽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의 아랫다리는 중간이 볼록한 유선형이므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를 부착할 경우, 상기 제2 스트랩(320)이 효과적으로 장치(10)가 발목 아래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영유아로부터 PPG 신호와 같은 생체신호를 얻기 위해서, 기존 병원용 장비에서는 발가락을 이용하여 왔다. 근래에는 발바닥 및 허벅지, 손목을 이용하는 등 시도들이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생체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탈착 및 지지가 용이하면서도 영유아가 느끼는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부착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아랫다리는 이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을 연결하거나 상기 탈착부(20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구(330)의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서 와 같이, 신체가 작은 경우에는 연결구(330)를 짧게 조절하고, 도 2(b)에서와 같이 신체가 큰 경우에는 연결구(330)를 길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조절은 상기 연결구(330)에 벨크로(velcro)나 버클(buckle), 또는 복수 개의 단추(button), 똑닥단추(snap fastner), 자석(magnet)을 구비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명칭 여하에 구애 받지 않고,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오목형과 볼록형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b)에는 연결구(330)의 형태가 하나의 직선형 스트랩(strap)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구애 받지 않고 2열 또는 3열의 스트랩,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의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나팔과 같이 벌어지는 구조는 중간이 볼록한 유선형 형상의 아랫다리를 휘감는 경우에, 상기 스트랩들(310, 320)이 아랫다리의 표면에서 들뜨지 않게 하는 데 기여한다.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각각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들(311, 312, 321, 322)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310)의 양 끝단 각각에 제1 체결구(311)와 제2 체결구(31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트랩(310)이 신체(900)를 휘감을 경우, 상기 제1 체결구(311)와 제2 체결구(312)가 상호 체결된다. 또한 제2 스트랩(320)의 양 끝단 각각에도 제1 체결구(321)와 제2 체결구(322)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트랩(320)이 신체(900)를 휘감을 경우, 상기 제1 체결구(321)와 제2 체결구(322)가 상호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구들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들(311, 312, 321, 322)에서 체결이 되는 위치 또는 면적은, 상기 신체(900)의 둘레의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도 4 (a) 및 (b))에도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각각과 상기 신체(900)의 표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체결하는 위치 또는 면적의 조절은 상기 체결구들(311, 312, 321, 322)에 벨크로(velcro)나 버클(buckle), 또는 복수 개의 단추(button), 똑닥단추(snap fastner), 자석(magnet)을 구비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능하다. 다만, 명칭 여하에 구애 받지 않고,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오목형과 볼록형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 (b)는 도 4(a)의 경우보다 신체(900)의 둘레의 길이가 줄어든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 스트랩(310)의 제1 체결구(311)와 제2 체결구(312)가 체결되는 면적이 도 4(a)의 경우보다 넓게 조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구들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 및 상기 제2 스트랩(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체결구들(311, 312, 321, 322)은,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이 상기 신체(900)를 휘감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영유아의 월령에 따라, 또한 영유아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입체적인 아랫다리의 반경이 다르고 종아리의 곡률이 다르므로,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종아리 굴곡면을 따라 고른 압력으로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는, 체결구들(311, 312, 321. 322)에 벨크로(velcro)나 버클(buckle), 또는 복수 개의 단추(button), 똑닥단추(snap fastner), 자석(magnet)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똑딱단추나 자석단추를 구비한 경우에는, 상호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랩(310, 320)이 의료용 실리콘 수지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과 마찰력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트랩(310)의 양 측 각각의 표면 중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1 스트랩(310)이 상기 신체(900)를 휘감은 경우 상기 제1 스트랩(310)이 상기 신체(9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턱(315) 및 하나 이상의 골(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턱(315)과 골(314)은 제1 스트랩(310)이 휘는 경우에 적절한 탄성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장치(10)를 부착하는 영유아의 월령에 따른 신체(900)의 크기 변화에 융통성 있게 피부에 적정한 세기의 압박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턱(315)과 골(314)은 또한 센서(110)의 돌출된 형상으로 인해 센서에 닫는 피부 부위에 집중될 수 있는 압력을 분산시켜 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장치(10)를 부착하는 영유아의 월령이 늘어나 신체(900)의 크기가 커질 수록, 상기 턱(315)또는 골(314)의 개수가 늘어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턱(315)과 골(314)의 구성을 가변적으로 추가하거나, 제1 스트랩(310) 전체를 교환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턱(315) 및 골(314)은 상기 제1 스트랩(310)의 끝단 보다 상기 탈착부(20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턱(315)의 단면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률을 갖는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1개월 미만부터 12개월까지의 영유아의 발목 곡면에 잘 맞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착부의 요철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요철(210)의 단면은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단면을 곡선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본체(1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6(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210)의 단면은 'S'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S'자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센서(110)와 신체(900)의 피부 사이에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본체를 지지하는 면을 크게하거나(도 6(a)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을 참조), 본체를 지지하는 면이 복수 개가 되도록 하여(도 6(b)의 화살표들이 가리키는 부분을 참조), 상기 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트랩(310) 또는 상기 제2 스트랩(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또는 홈은 통풍을 가능하게 하여, 피부에 땀이 차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부(200)의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은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탈착부(200)에서 본체(100)에 닿는, 요철(210)이 생성된 부분은 탄성 재질이어서 상기 본체(10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 재질의 재료는 의료용 실리콘 수지일 수 있다. 의료용 실리콘 수지는 유해하지 않고 위생적이며, 탄성의 재질이면서도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형태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탈착부(200), 제1 스트랩(310)을 의료용 실리콘 수지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생체신호 획득 장치
100: 본체 110: 센서
200: 탈착부 210: 요철
300: 고정부 310: 제1 스트랩
311: 제1 스트랩의 제1 체결구 312: 제1 스트랩의 제2 체결구
314: 골 315: 턱
320: 제2 스트랩 321: 제2 스트랩의 제1 체결구
322: 제2 스트랩의 제2 체결구 330: 연결구
900: 신체

Claims (12)

  1.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상호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신체를 휘감을 수 있는 제1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신체에 결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탈착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에서 상기 본체가 체결되는 면에는, 상기 센서와 상기 신체의 표면 간에 발생하는 압력을 지지 가능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는 사람의 아랫다리(下脚)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을 연결하거나 상기 탈착부 및 상기 제2 스트랩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의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각각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들에서 체결이 되는 위치 또는 면적은, 상기 신체의 둘레의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각각과 상기 신체의 표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체결구들은,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의 양 측 각각의 표면 중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제1 스트랩이 상기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턱 및 하나 이상의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단면은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단면은 'S'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또는 상기 제2 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의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이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0180058730A 2018-05-24 2018-05-24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169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30A KR102169979B1 (ko) 2018-05-24 2018-05-24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CN201920441935.1U CN210158584U (zh) 2018-05-24 2019-04-02 身体附着型生物信号取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30A KR102169979B1 (ko) 2018-05-24 2018-05-24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844A true KR20190133844A (ko) 2019-12-04
KR102169979B1 KR102169979B1 (ko) 2020-10-26

Family

ID=6900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730A KR102169979B1 (ko) 2018-05-24 2018-05-24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9979B1 (ko)
CN (1) CN2101585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43B1 (ko) * 2020-03-19 2020-10-2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891A (zh) * 2021-12-31 2022-04-29 江苏普迈思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婴幼儿用多参数穿戴式监护装置及监护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662A (ja) * 2011-10-17 2013-05-13 Sharp Corp ベルト及びベルトシステム
KR20150099667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US20180296834A1 (en) * 2017-04-18 2018-10-18 Ebt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pelvic floor disorder therap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662A (ja) * 2011-10-17 2013-05-13 Sharp Corp ベルト及びベルトシステム
KR20150099667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US20180296834A1 (en) * 2017-04-18 2018-10-18 Ebt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pelvic floor disorder therap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43B1 (ko) * 2020-03-19 2020-10-2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979B1 (ko) 2020-10-26
CN210158584U (zh)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9204A1 (en) Gear for holding a physiological sensor
KR102062259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JP6513708B2 (ja) モジュール型センサー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調整可能なウェアラブルシステム
CN110300545B (zh) 腕部传感器式脉搏血氧测量装置和方法
US10321879B2 (en) Multiple sensor wireless wearable pulse oximeter-based device
US20200015746A1 (en) Wear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ne or more vital signs of a human body
KR20190133844A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JP2019118460A (ja) 動脈血酸素飽和度測定装置
US20140275883A1 (en) Wireless sensors
KR102169975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
CN103432006A (zh) 一种胃管固定装置
CN206543181U (zh) 绑带式血氧探头
KR102169973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062257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170343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US20170332968A1 (en) Location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s) for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methods using the same
CN213406027U (zh) 一种血氧饱和度监测探头及血氧饱和度监测仪
US20150230754A1 (en) Restraint System
KR101842915B1 (ko) 웨어러블 생체리듬 측정장치
CN214967398U (zh) 肢体固定装置
CN219629899U (zh) 一种手臂约束带
RU27800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зального питания пациента
CN213525778U (zh) 改良约束带
CN221060651U (zh) 婴儿窒息报警设备
CN217744744U (zh) 一种小儿约束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