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973B1 -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973B1
KR102169973B1 KR1020180093764A KR20180093764A KR102169973B1 KR 102169973 B1 KR102169973 B1 KR 102169973B1 KR 1020180093764 A KR1020180093764 A KR 1020180093764A KR 20180093764 A KR20180093764 A KR 20180093764A KR 102169973 B1 KR102169973 B1 KR 10216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strap
acquisition device
main body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040A (ko
Inventor
김진범
김광배
박삼열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장치 및 그 부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 가능하고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제1 탄성재질의 내골격 및 상기 골격을 둘러싸는 제2 탄성재질의 외골격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를 상기 신체에 고정시킨 경우, 상기 내골격에서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moment)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생성되고, 상기 내골격은,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지지부에 부착 또는 상기 본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BIOMETRIC SIGNAL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BODY}
본 발명은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부착하여 고품질의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조기에 이를 발견하여 처치를 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응급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산소포화도와 같은 생체신호(Biometric signal)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체신호의 모니터링은 생체신호 센서를 포함하는 의학 장비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 장비는 고가이고 대형이어서, 병원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 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 사람이 지켜보는 대신 영유아 또는 환자의 몸에 부착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했을 때 보호자에게 알려주어 긴급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호흡과 관련된 중요한 생체신호인 맥박 및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영아돌연사증후군과 같은 위급 상황에 의한 사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PPG센서와 같은 생체신호 센서들이 소형화되어 저가로 생산되고,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 폰,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단말기에 생체신호 획득 기능이 내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말기의 경우 영유아 또는 환자의 응급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즉,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센서 밀착의 유지가 어렵고, 피부와 위생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847342호(등록일 2018.04.03)에는 이러한 문제가 발견된다.
센서가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빛샘과 동잡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빛샘 현상이 있는 경우, 생체 신호가 정상적으로 획득되지 못하고 왜곡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랩(strap; 끈)과 같은 신체 고정 수단을 바짝 조이는 등으로 센서와 피부를 강하게 밀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여린 피부가 충혈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센서와 피부가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생체신호 획득의 신뢰도와 피부의 건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의료용 실리콘 수지는 피부 건강을 고려한 탄성 재질로써,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피부에의 자극을 최소화하고 피부 건강을 유지 하기 위해서는 무른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무른 의료용 실리콘 수지만으로 스트랩을 제작할 경우에는 탄성복원모멘트를 생성하기 어려워 센서 밀착을 위해서 상기와 같이 바짝 조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형상 및 크기의 차이를 극복하여, 생체신호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고, 잦은 운동에도 신체에서 이탈되거나, 미끌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탈착 시, 부드러운 탈착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가 장착된 경우에, 적절한 힘으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랩에 무른 재질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착용에도 피부의 건강과 위생을 유지하면서 생체신호를 안정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 가능하고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제1 탄성재질의 내골격 및 상기 골격을 둘러싸는 제2 탄성재질의 외골격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를 상기 신체에 고정시킨 경우, 상기 내골격에서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moment)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골격은,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지지부에 부착 또는 상기 본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다중 형성된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 상호 인접한 것들 사이에 상기 외골격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연접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에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한 쌍의 벽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연접하지 않고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에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한 쌍의 벽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호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벽들은 각기 하나 또는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다중 형성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한 쌍의 벽은 높이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 상기 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벽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골격의 전부 또는 일부의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변형 시 상기 내골격과 외골격이 일체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는, 상기 내골격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타원(oval) 모양, 털 모양, 생선가시 모양, 낚시바늘 모양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이상이 혼용된 형상일 수 있다.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타원형 및 상기 신체 표면에 가까운 쪽의 곡률이 상기 신체 표면에 먼 쪽의 곡률보다 큰 유선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골격은,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에 부착 또는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탈착부의 측면 중 상호 반대 방향인 두 면으로부터 각각 길게 뻗어나온 형상의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탈착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는 상기 스트랩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는 상기 스트랩 내에서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양 끝단은 복수 개의 가닥으로 나뉘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착부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스트랩이 상기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스트랩과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상기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을 눌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을 제거하거나 상기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의 누름을 해제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형상이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재질의 강도는 상기 제2 탄성재질의 강도 보다 제1 기준치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랩은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재질은 의료용 실리콘 수지인 것을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신체는 사람의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및 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탄성 복원 모멘트를 이용하여 센서의 피부 밀착을 유지함으로써 생체신호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움직임 또는 외부의 일시적인 힘이 작용하여 빛샘 또는 이탈이 발생한 경우에도 움직임 또는 외부힘이 멈춘 경우 복원력으로 신체 밀착이 회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고정부에 본체를 탈착 하는 경우, 부드러운 탈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본체가 장착된 경우에, 적절한 힘으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는 장시간 착용에도 피부의 건강과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 및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는, 신체(90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가 체결 및 이탈 가능하고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300)는 제1 탄성재질의 내골격(320) 및 상기 골격을 둘러싸는 제2 탄성재질의 외골격(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골격(320)을 이루는 제1 탄성재질은 합성수지(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력을 갖추어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나, 상기 외력을 제거할 경우,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외골격(330)에 비해 강도가 높아, 형태를 유지하는 골격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제1 탄성재질이 반드시 한가지 재질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강도가 다른 복수의 재질을 접합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골격(320)은 상기 외골격(330)의 사출 성형시에 내입되어 상기 외골격에 둘러싸인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00)의 제작 시에는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 공법을 통해 상기 외골격(330)의 내부에 상기 내골격(320)이 인서트 물로서 내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서트 사출 공법을 활용하여, 상기 외골격(330)의 두께를 얇게 생성하여 가벼워지면서도 필요한 강도 및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생체신호가 산소포화도인 경우, 상기 센서(110)는, 포토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모듈(PPG센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외선과 적색 광 신호를 피부에 투과 혹은 반사를 시켜서 얻어지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적외선과 적색 광신호의 전류값의 비율을 계산하면 산소헤모글로빈의 비율이 구해지며, 이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아랫부분(신체(900)에 부착 시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센서(110)를 신체(900)의 동맥혈관이 지나가는 피부의 부위에 잘 밀착시키고 동작을 시켜야 정상적인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110)가 신체(900)의 표면에 잘 밀착되도록 본체(100)의 표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구조는 신체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는,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를 상기 신체(900)에 고정시킨 경우, 상기 내골격(320)에서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moment)(800)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850)이 생성될 수 있다.
모멘트(moment)란, 물체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의 작용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 복원 모멘트(800)라 함은, 탄성력을 지닌 외팔보(cantilever)의 한쪽 끝단에 상기 외팔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외력을 가했을 때,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외팔보의 변형을 복원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모멘트를 의미한다.
도 1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골격(320)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고정부(300)에 체결할 경우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지지부(321), 및 상기 본체 지지부(321)에 부착 또는 상기 본체 지지부(3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800)를 발생시키는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지지부(321)의 모서리는 라운딩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착된다 함은, 따로 형성하여 상호 조립되는 것을 의미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사출성형 등의 방법을 통해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와 본체 지지부(321)에 다른 강도 또는 탄성력이 필요한 경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와 본체 지지부(321)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상호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 지지부(321)는 강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탄성 모멘트 생성부(325)는 탄성력이 좋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331)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와 상기 신체(900)의 표면 사이에 공간(400)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는 상기 외팔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00)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331)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한 경우, 마치 활의 시위가 당겨진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지지부(321)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 방향으로 다중 형성된 복수의 벽(32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322) 중 상호 인접한 것들 사이에 상기 외골격(330)이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드러운 제2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외골격(330)이 사이사이에 충진된 수겹의 벽(322)을 형성함으로써, 본체(100)의 탈착 시, 부드러운 탈착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가 장착된 경우에, 적절한 힘으로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지지부(321)는,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와 연접하고 상기 본체(100)를 상기 고정부(300)에 체결할 경우에 상기 본체(100)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한 쌍의 벽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323) 및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와 연접하지 않고 상기 본체(100)를 상기 고정부(300)에 체결할 경우에 상기 본체(100)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한 쌍의 벽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3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323)과 상기 제2 프레임(324)은 상호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323) 및 제2 프레임(324) 각각에 포함되는 벽들은 각기 하나 또는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다중 형성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프레임(324)에 포함되는 한 쌍의 벽은 높이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프레임(324)에 포함되는 한 쌍의 벽 각각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종아리나 팔과 같이, 굴곡진 신체(100)에 본 장치(10)를 부착할 경우에도,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신체(100)의 표면에서 일부가 들뜨지 않고 밀착이 가능해 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지지부(321)는, 상기 본체(100)를 상기 고정부(300)에 체결할 경우, 상기 본체(100)의 측면을 지지하는 벽(322)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3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322)는 상기 본체(100)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내벽과 내벽의 바깥을 둘러싸는 외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내벽과 외벽은 같은 두께, 같은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내벽과 외벽은 서로 다른 두께,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바깥쪽으로 갈 수록 벽(322)의 높이가 줄어드는 실시 예가 나타나 있다. 이는 높은 내벽을 통해 상기 본체(100)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벽과 외벽의 전부 또는 일부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기의 형상은 타원형, 털형, 생선가시형, 낚시바늘형 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골격(320)의 전부 또는 일부의 표면에 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300)(300)의 변형 시 상기 내골격(320)과 외골격(330)이 일체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310)는, 타원(oval) 모양, 털 모양, 생선가시 모양, 낚시바늘 모양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이상이 혼용된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타원(oval)모양으로 형성된 실시 예이다. 이러한 돌기(310)의 표면에는 다시 작은 2차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310)의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더욱 외골격(330)과의 부착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기(310)는 내골격(320)의 밑면과 수평방향으로, 내골격(320) 표면과 수평방향 또는 직각방향으로 형성하여, 제조시에 외골격(330) 형성후 외골격(330)과 일체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기(310)는, 인서트물인 상기 내골격(320)이 상기 외골격(330)의 내부에서 따로 노는 현상(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외골격(330)과 일체로 동작하게 해준다.
상기 외골격(330)을 이루는 제2 탄성 재질은 의료용 실리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의료용 실리콘 수지는 외형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탄성 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실리콘 수지는 유해하지 않고 위생적이며, 부드러워 피부에 자극이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 및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타원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원형의 단면을 포함함으로써, 내골격(320)의 일부로서 적절히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탄성 복원 모멘트(800)를 발휘하기에 유리하다. 인서트 사출 가공시에도 공기방울의 생기는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현상으로서의 장점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체 표면에 가까운 쪽의 곡률이 상기 신체 표면에 먼 쪽의 곡률보다 큰 유선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신체(900)에 잘 밀착되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골격(330)은, 상기 본체(100)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331), 및 상기 탈착부(331)에 부착 또는 상기 탈착부(3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탈착부(331)의 측면 중 상호 반대 방향인 두 면으로부터 각각 길게 뻗어나온 형상의 스트랩(332)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지지부(321)는 상기 탈착부(331)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는 상기 스트랩(332)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332)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341, 342)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341, 342)들은 상기 신체(900)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위치의 조절에 의해 상기 신체(900)에 부착 시에 상기 스트랩(3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위치의 조절 및 그에 따른 스트랩(332)의 길이 조절은 상기 체결구(341, 342)들에 벨크로(velcro)나 버클(buckle), 또는 복수 개의 단추(button), 똑닥단추(snap fastner), 자석(magnet)을 구비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도 1(b)에는 체결구(341,342)의 형태가 구멍(342)과 상기 구멍에 끼울 수 있는 돌출구(341)로 도시되어 있으나, 명칭 여하에 구애 받지 않고,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오목형과 볼록형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는 상기 스트랩(332) 내에서 상기 본체(100)와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의 신체(900) 부착 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가 탄성 복원 모멘트(800)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를 상기 신체(900) 표면에 밀착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의 상기 스트랩(33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은 상기 본체(100)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끝단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차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800)가 길이 방향으로 본체에서 점차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게 되고, 상기 장치(10)의 신체(900) 부착 시, 상기 스트랩(332)에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가 없는 부분과 연속적인 곡선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내구성 및 미관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골격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의 양 끝단은 복수 개의 가닥으로 나뉘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가닥으로 나뉘어지는 형상을 통해, 상기와 같이,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의 상기 스트랩(33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상기 본체(100)에서 멀어질수록 감소되게 하면서도, 상기 스트랩(332) 내에서 내골격으로서의 외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더욱 발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양 끝단은 양 갈래로(두 개의 가닥으로) 나뉘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331)의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스트랩(332)이 상기 신체(900)를 휘감은 경우 상기 스트랩(332)이 상기 신체(900)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턱(3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턱(340)은 또한 센서(110)의 돌출된 형상으로 인해 센서(110)에 닫는 피부 부위에 집중될 수 있는 압력을 분산시켜 주는 기능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턱(340)과 상기 센서(110) 사이에 놓인 상기 탈착부의 아랫면은 마찰면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신체(900)의 표면에서 상기 장치(10)가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의 신체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332)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 및 상기 탈착부(331)를 상기 신체(900)에 결속한 경우, 상기 스트랩(332)과 상기 신체(900)의 표면 사이에 공간(700)을 형성하거나 상기 스트랩(332)의 상단부 양측을 눌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공간(700)을 제거하거나 상기 스트랩(332)의 상단부 양측의 누름을 해제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325)의 형상이 복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손목 시계나 허리띠를 착용할 경우에 본 발명의 도 1(b)에 도시된 형태의 체결구를 상호 체결하기 위해서는 신체를 파고드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신체(900)가 여린 유아의 것인 경우에는 피부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서는 공간(700)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341, 342)를 체결함으로써, 체결구의 압력에 의해 신체(800)의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2(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332)의 체결구(341, 342)는 볼록형의 제1 체결구(341) 및 상기 제1 체결구(341)를 끼울 수 있는 구멍 형태의 제2 체결구(34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체결구(341)를 스트랩(332)의 바깥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구(341)를 상기 신체(900)의 표면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341, 342)의 구성을 통해 피부를 상하게 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상이 복원된 이후에는 여전히 탄성 복원 모멘트(800) 및 이에 따른 압력(850, 860)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재질의 강도는 상기 제2 탄성재질의 강도 보다 제1 기준치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준치는 상기 제1 탄성 재질이 내골격(320)으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차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탄성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와 상응하는 강도를 지니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332)은 상기 탈착부(3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재질은 의료용 실리콘 수지인 것을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신체(900)는 사람의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및 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유아 또는 환자로부터 PPG 신호와 같은 생체신호를 얻기 위해서, 기존 병원용 장비에서는 발가락을 이용하여 왔다. 근래에는 발바닥 및 허벅지, 손목을 이용하는 등 시도들이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생체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탈착 및 지지가 용이하면서도 영유아 또는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부착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또는 발은 이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은, 가장자리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미도시). 특히 상기 일면은, 4개의 귀퉁이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일면의 형상은 상기 신체(900)와 기구의 이격과 빛샘에 의한 센서(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331)의 네 모서리에 소정 곡률의 라운딩(roundin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곡률은, 상기 탈착부(331)로부터 상기 스트랩(332)으로 이어지는, 스트랩(33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유효 단면적의 변화를 최소화, 이상적으로는 상기 변화를 없도록 할 수 있는 곡률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효 단면적의 변화를 최소화 또는 없게 함으로써 상기 장치(10)를 상기 신체(900)에 부착 시 특정 부위에서 꺾임이 나타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체(900)에 부착시에는 상기 장치(1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타원형 또는 곡선형을 이루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유리하다.
더 나아가, 상기 스트랩(332)의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 또는 홈은 통풍을 가능하게 하여, 피부에 땀이 차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스트랩(332)과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신체(900)를 휘감을 수 있는 보조스트랩(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트랩(332) 및 상기 보조스트랩 사이의 간격은, 상기 스트랩(332) 및 상기 보조스트랩의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팔과 같이 벌어지는 구조는 중간이 볼록한 유선형 형상의 신체를 휘감는 경우에, 상기 스트랩들 신체(900)의 표면에서 들뜨지 않게 하는 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10)를 신체(900)에 부착하는 방법(미도시)은, 상기 고정부(330)으로 상기 신체(900)를 휘감아 상기 본체(100)를 상기 신체(900)의 표면에 밀착하는 단계(S200); 상기 스트랩(332)의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S210); 상기 스트랩(332) 양 끝단의 체결구(341, 342)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S220); 및 상기 탄성 부재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800)에 의해 상기 센서(110)가 상기 신체(900)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850)이 발생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0)의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단계(S210)에서, 제1 외력 및 제2 외력을 통해 상기 상단부 양측을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341, 342)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S220)에서 제3 외력을 통해 상기 체결구(341, 342)를 상호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트랩(332) 및 상기 보조스트랩 각각은 그 양 끝단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332)의 양 끝단 각각에 제1 체결구(341)와 제2 체결구(342)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332)이 신체(900)를 휘감을 경우, 상기 제1 체결구(341)와 제2 체결구(342)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스트랩의 양 끝단 각각에도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스트랩이 신체(900)를 휘감을 경우, 상기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332) 및 상기 보조스트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체결구들은,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이 상기 신체(900)를 휘감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개인의 특성에 따라 신체의 곡률이 다르므로, 스트랩의 양 측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종아리 굴곡면을 따라 고른 압력으로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임의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는, 체결구들에 벨크로(velcro)나 버클(buckle), 또는 복수 개의 단추(button), 똑닥단추(snap fastner), 자석(magnet)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똑딱단추나 자석단추를 구비한 경우에는, 상호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랩들이 의료용 실리콘 수지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과 마찰력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생체신호 획득 장치 100: 본체
110: 센서 300: 고정부
310: 돌기 320: 내골격
321: 본체 지지부 322: 벽
323: 제1 프레임 324: 제2 프레임
325: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 327: 받침
330: 외골격
331: 탈착부 332: 스트랩
340: 턱 341: 제1 체결구
342: 제2 체결구 400: 공간
700: 공간 710: 제1 외력
720: 제2 외력 730: 제3 외력
800: 탄성 복원 모멘트 850: 압력
860: 압력 900: 신체

Claims (19)

  1. 신체에 부착하는 생체신호 획득 장치에 있어서,
    신체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 가능하고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제1 탄성재질의 내골격 및 상기 골격을 둘러싸는 제2 탄성재질의 외골격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를 상기 신체에 고정시킨 경우, 상기 내골격에서 발생하는 탄성 복원 모멘트(moment)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신체의 표면을 누르는 압력이 생성되고,
    상기 내골격은,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지지부에 부착 또는 상기 본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다중 형성된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 상호 인접한 것들 사이에 상기 외골격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연접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에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한 쌍의 벽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와 연접하지 않고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에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는 한 쌍의 벽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호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되는 벽들은 각기 하나 또는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다중 형성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한 쌍의 벽은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본체를 상기 고정부에 체결할 경우, 상기 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벽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골격의 전부 또는 일부의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변형 시 상기 내골격과 외골격이 일체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내골격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타원(oval) 모양, 털 모양, 생선가시 모양, 낚시바늘 모양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이상이 혼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타원형 및 상기 신체 표면에 가까운 쪽의 곡률이 상기 신체 표면에 먼 쪽의 곡률보다 큰 유선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골격은,
    상기 본체가 체결 및 이탈되는 탈착부, 및
    상기 탈착부에 부착 또는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탈착부의 측면 중 상호 반대 방향인 두 면으로부터 각각 길게 뻗어나온 형상의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탈착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는 상기 스트랩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는 상기 스트랩 내에서 상기 본체와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상기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양 끝단은 복수 개의 가닥으로 나뉘어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의 상기 신체의 표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스트랩이 상기 신체를 휘감은 경우 상기 스트랩이 상기 신체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는, 산소포화도, 심박, 심전도, 체온, 혈당 및 체액분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신체를 휘감아 상기 본체 및 상기 탈착부를 상기 신체에 결속한 경우,
    상기 스트랩과 상기 신체의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상기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을 눌러,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을 제거하거나 상기 스트랩의 상단부 양측의 누름을 해제한 경우, 상기 탄성 복원 모멘트 생성부의 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재질의 강도는 상기 제2 탄성재질의 강도 보다 제1 기준치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탈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재질은 의료용 실리콘 수지인 것을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는 사람의 상완(上腕), 하완(下腕), 손목, 하각(下脚), 발목 및 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0180093764A 2018-08-10 2018-08-10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16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64A KR102169973B1 (ko) 2018-08-10 2018-08-10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64A KR102169973B1 (ko) 2018-08-10 2018-08-10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40A KR20200018040A (ko) 2020-02-19
KR102169973B1 true KR102169973B1 (ko) 2020-10-26

Family

ID=6966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764A KR102169973B1 (ko) 2018-08-10 2018-08-10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4860B (zh) * 2024-02-06 2024-04-30 佳木斯大学 一种心衰患者用便携式心率监测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065A (ja) 2006-09-05 2008-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圧力印加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生体信号測定装置
JP2008168054A (ja) * 2007-01-15 2008-07-24 Citizen Holdings Co Ltd 手首装着型の生体測定装置用のバンド
US20160209875A1 (en) 2015-01-15 2016-07-21 Samsung Display Co., Ltd. Wearabl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20B1 (ko) * 2015-01-29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KR102169975B1 (ko) * 2018-07-02 2020-10-2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065A (ja) 2006-09-05 2008-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圧力印加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生体信号測定装置
JP2008168054A (ja) * 2007-01-15 2008-07-24 Citizen Holdings Co Ltd 手首装着型の生体測定装置用のバンド
US20160209875A1 (en) 2015-01-15 2016-07-21 Samsung Display Co., Ltd. Wear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40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1180A1 (en) Wrist-worn blood pressure monitor
KR102062259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JP6073776B2 (ja) 生体電気信号モニタ用衣類
JP6858789B2 (ja) 生理学的測定のためのアダプティブ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これを使用する方法
JP2010519008A (ja) 折畳可能なセンサ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30229375A1 (en) Device for establishing hemostasis of an open artery and/or vein of an extremity of a person
US20190365257A1 (en) Wrist blood pressure monitor
JP6220016B2 (ja) 生体電気信号モニタ用衣類
CN110300545A (zh) 腕部传感器式脉搏血氧测量装置和方法
KR102169975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및 그 부착 방법
KR102169973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169979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1680197B1 (ko) 손목 혈압계
CN206543181U (zh) 绑带式血氧探头
KR102062257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2170343B1 (ko) 신체 부착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US20170332968A1 (en) Location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s) for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20160022212A1 (en) Reusable respiratory effort sensor module
JP7459862B2 (ja) 生体信号取得用具
US20220409070A1 (en) Proximity sensor circuits and related sensing methods
KR101842915B1 (ko) 웨어러블 생체리듬 측정장치
CN216318394U (zh) 预防手部术后瘢痕增生的压力指套
CN219629899U (zh) 一种手臂约束带
CN201042554Y (zh) 一种留置针保护装置
Mastro et al. Non-invasive neonatal vital acquisi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