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161A -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161A
KR20190133161A KR1020197026430A KR20197026430A KR20190133161A KR 20190133161 A KR20190133161 A KR 20190133161A KR 1020197026430 A KR1020197026430 A KR 1020197026430A KR 20197026430 A KR20197026430 A KR 20197026430A KR 20190133161 A KR20190133161 A KR 2019013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ubcutaneous
skin
unit
simulate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스케 쿠와하라
요시오 무라오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3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nductiv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 가능한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모의 피부 장치는,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모의 피부 부재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검출 가능한 피하 온도 검출부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가지는, 피하 유닛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모의 피부 부재의 내면의 온도(피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본 기술은,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웨어러블 기기 등의 장착형의 전자기기에서는, 장착 시에 전자기기가 발열한 경우, 비록 저온이더라도, 장시간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저온 화상이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안전성 확보의 관점에서, 발열한 전자기기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에 의한 피부에의 영향 평가를 인체에 대해 행하는 것은 윤리상이나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피험자의 개인차에 의해 측정 결과에 편차가 생겨서, 효율적으로 피부 온도 특성을 취득할 수 없다.
피부와 접촉하는 대상물이 피부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창상 치유에 관한 피복재와 창상부와의 사이의 온습도 특성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인간 피부와 창상 피복재와의 사이의 미소 공간의 환경을 모의적으로 측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의복에 이용하는 천의 보온 특성이나 증산(transpiration) 특성 등의 물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의 피부의 표면 온도를 리얼타임으로 조절 가능한 모의 피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8-8946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7-171036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 2에서는, 피부의 표면 온도를 일정 온도로 조정할 수 있지만, 전자기기가 피부에 접촉한 때의 피부 온도 특성에 대해 검토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기술의 목적은,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 가능한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모의 피부 장치는,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모의 피부 부재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검출 가능한 피하 온도 검출부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가지는, 피하 유닛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모의 피부 부재의 내면의 온도(피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모의 피부 장치는, 상기 피하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내면의 온도를 취득하는 피하 온도 취득부를 갖고, 상기 피하 온도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내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상기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해, 자동으로 피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를 취득하는 입력 온도 취득부를 더 가져도 된다.
이에 의해, 개인차나 피부의 부위에 따른 인체의 피하의 온도의 차이를 재현할 수 있고,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피하 온도 조정 기구는, 상기 내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내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모의 피부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수냉식 히트 싱크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피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모의 피부 장치는, 상기 피하 유닛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보유 지지부는, 인체의 형상이 재현된 형상을 가져도 된다.
모의 피부 장치는 상기 피하 유닛을 복수 포함해도 된다.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을 접속해도 된다.
모의 피부 장치는, 상기 보유 지지부가,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와,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접속하는 가동부를 가져도 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표면 형상을 재현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모의 피부 부재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피부의 열전도율이나 탄성률을 재현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평가 방법은, 모의 피부 부재의 내면의 온도를 취득한다. 상기 내면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조정하면서, 전자기기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모의 피부 부재의 외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에 의해, 모의 피부 부재의 내면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자기기를 평가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은,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모의 피부 부재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검출 가능한 피하 온도 검출부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가지는 피하 유닛과, 전자기기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외면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접촉면 온도 측정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모의 피부 부재의 내면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자기기를 평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의하면,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모의 피부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상기 모의 피부 장치의 피하 온도 조정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상기 모의 피부 장치를 이용한 피하 온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 상기 모의 피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상기 모의 피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평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 상기 전자기기 평가 방법에 의한 측정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보유 지지부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의 구성예 1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b] 보유 지지부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의 구성예 2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a] 보유 지지부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의 구성예 3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b] 보유 지지부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의 구성예 3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인체의 손 형상을 재현한 보유 지지부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의 구성예 4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a] 인체의 머리 부분의 형상을 재현한 보유 지지부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의 구성예 5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b] 상기 모의 피부 장치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기술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모의 피부 장치(10)]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모의 피부 장치(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모의 피부 장치(10)는, 모의 피부 부재(11)와, 피하 온도 검출부(12)와,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와, 제어부(14)와, 온도 입력부(15)를 구비한다. 또한, 모의 피부 장치(10)는, 제어부(14)와, 온도 입력부(15)를 외부 구성으로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피하 온도 검출부(12) 및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는, 피하 유닛(U)을 구성한다
(모의 피부 부재(11))
모의 피부 부재(11)는, 인체의 피부를 본뜬 시트 형상의 부재이다. 모의 피부 부재(11)는, 외면과 내면을 가진다. 외면은, 인체의 피부의 표면(외부 환경에 노출하는 면)에 상당한다. 내면은, 인체의 피하측의 면에 상당한다. 본 기술에 있어서의 피하 온도란, 인체의 피하의 온도이다. 모의 피부 부재(11)의 내면이, 피하에 상당하고, 모의 피부 부재(11)의 내면의 온도가, 피하 온도에 상당한다.
모의 피부 부재(11)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인체의 피부에 보다 가까운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모의 피부 부재(11)는, 그 외면이 인체의 피부와 동일한 정도의 탄성률을 가지는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의 피부 부재(11)는, 인체의 피부와 동일한 정도의 열적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모의 피부 부재(11)는, 인체의 피부에 가까운 접촉 압력이나, 표면의 미끄러짐 등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이 인체의 피부에 가까운 재료를 선정함으로써, 인체의 피부에 대해서 외부로부터의 열이나 압력에 의한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피부에 가까운 열적 특성을 가지는 모의 피부 부재(11)로서는, 예를 들면, 인체의 피부의 열저항값에 가까운 값을 가지는 재료가 이용된다. 피부의 열저항값은, 피부의 열전도율을 0.25[W/mK]로 하고, 피부의 두께를 5.4[mm]로 하고, 인체에 접촉하는 면적을 25mm×25mm로 한 경우, 두께 방향으로 34.6[K/W]가 된다. 예를 들면, 모의 피부 부재(11)의 외면에, 후술하는 전자기기(E)를 접촉시키고,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외면의 온도가 45℃로 일정하게 되고, 정상 상태가 된 때를 기준으로 하여, 열저항값이 측정된다. 엄밀한 측정을 행하는 경우는, 허용하는 정상 오차를 ±1℃ 이내로 하고, 모의 피부 부재(11)의 열저항값이 30.3 ~ 38.8[K/W]에 들어가도록 모의 피부 부재(11)의 선정과 설계를 행한다. 또한, 개인차에 의한 편차를 고려할 경우에는, 허용하는 정상 오차를 ±3℃로 하고, 모의 피부 부재(11)의 열저항값이 21.8~47.3[K/W]에 들어가도록 모의 피부 부재(11)의 선정과 설계를 행한다.
인체의 피부의 영률이, 4.2×105[Pa] ~ 8.5×105[Pa]이다. 이 때문에, 인체의 피부에 가까운 탄성체로서, 예를 들면, 영률이 1.5×106[Pa] ~ 5.0×106[Pa]의 연질인 탄성 고무나, 인체의 피부의 영률에 보다 가까운 영률을 가지는 재료 등이 이용된다. 금속재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영률이 7.03×1010[Pa]이고, 황동의 영률이 10.06×1010[Pa]인 것처럼, 경질이므로, 모의 피부 부재(11)에 적합하지 않다.
이상을 고려하여, 인체의 피부에 가까운 열적 특성과 탄성률을 가지는 모의 피부 부재(11)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이용한 경우, 두께가 7.8[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 고무를 이용한 경우, 두께가 5.4[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부틸 고무를 이용한 경우, 두께가 2.8[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모의 피부 부재(11)는,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되고, 그 외의 재료와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모의 피부 부재(11)는, 상기에 나타낸 허용되는 열저항값이나 영률에 따라, 모의 피부 부재(11)의 조성이나, 그 두께에 대해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모의 피부 장치(10)에 있어서의 모의 피부 부재(11)는, 모의 피부 장치(10)에 대해서 적절히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개인차나 피부의 부위에 따른 차이를 적절히 재현할 수 있고, 각 케이스에 따른 피부 온도 특성의 평가를 할 수 있다.
(피하 온도 검출부(12))
피하 온도 검출부(12)는, 모의 피부 부재(11)와,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의 사이에 배치되고, 피하 온도를 검출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전대, 열유속 센서, 서미스터 등을 이용하여 실현 가능하다. 피하 온도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되는 피하 온도는, 모의 피부 부재(11)의 외면으로부터의 전열과, 후술하는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로부터의 전열의 영향을 받아 변동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된 피하 온도에 관한 데이터는, 제어부(14)에 송신되어도 된다.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는, 피하 온도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된 피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는, 바깥 기온 등이 변화한 때에 피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는 인체의 기구를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는, 가열부(20)와, 냉각부(21)를 가진다. 이에 의해, 피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피부 온도 특성이 보다 정확하게 재현된다.
가열부(20)는, 도 2의 모의 피부 부재(11) 아래에 배치된다. 가열부(20)로서는,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냉각부(21)는, 가열부(20) 아래에 배치된다. 냉각부(21)는, 수냉식 히트 싱크(21a)와, 펌프(21b)와, 냉각 기구(21c)를 구비하고 있다. 이 냉각부(21)의 구성에 의해, 피하 온도가 보다 정밀하게 조정된다.
수냉식 히트 싱크(21a)는, 가열부(20)와 접촉하도록 하여, 가열부(20) 아래에 배치된다. 수냉식 히트 싱크(21a)는, 수냉식 히트 싱크(21a) 내부에 유통하는 냉각수와 열교환함으로써, 피하가 냉각된다.
펌프(21b)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도록,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냉각수의 유량이 변화함으로써, 방열량이 조정된다.
냉각 기구(21c)는, 예를 들면, 팬이나 라디에이터이고, 냉각수가 흡수한 열을 냉각할 수 있는 기구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인체에서는, 혈관을 확장, 수축시켜, 혈액의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인체의 피하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냉각부(21)에서는, 냉각수의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방열량을 제어하여, 피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본 기술에서는, 인체에 가까운 기구가 재현된다. 이에 의해, 개인차나 피부의 부위에 따라 다른 인체의 피하의 온도를 재현할 수 있고, 피부 온도 특성을 보다 정확하고, 또한, 보다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다.
냉각부(21)는, 피하를 냉각 가능한 구성이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펠티어 소자(peltier device)를 이용한 구성이어도 된다.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는, 피하를 효율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 가능하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열확산판을 가져도 된다. 열확산판으로서, 예를 들면, 동박 테이프나, 알루미늄판이 이용되어도 된다. 열확산판은, 가열부(20) 위에 배치되어도 되고, 또는, 가열부(20)와 냉각부(21)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는, 각 구성을 접착하는, 접착제 등의 접착부를 가져도 된다. 접착부는, 예를 들면, 가열부(20)와 상술한 열확산판 사이에 설치되어도 되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치된다. 접착부로서, 열전도율이 높은 것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서는, 모의 피부 부재(11), 피하 온도 검출부(12), 가열부(20), 냉각부(21)의 각 평면 형상이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가, 모의 피부 부재(11)보다 크고, 모의 피부 부재(11)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온도 입력부(15))
온도 입력부(15)는, 유저에 의해 목표 온도를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온도 입력부(15)는, 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이고,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목표 온도는, 실제의 인체의 피하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인체의 피하의 온도는, 예를 들면, 피하 5.4mm에서 36.9℃이다. 인체의 피하의 온도는, 개인차나 피부의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 케이스에 따른 목표 온도가 입력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사람에 대응한 인체의 피하의 온도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모의 피부 장치(10)를 동작시키는 경우는, 모의 피부 장치(10)는 온도 입력부(15)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부(14))
제어부(14)는, 피하 온도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된 피하 온도, 및 온도 입력부(15)에 의해 입력된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를 조정한다. 제어부(14)는, 입력 온도 취득부(16)와, 피하 온도 취득부(17)와,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산출부(18)와,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제어부(19)를 가진다.
입력 온도 취득부(16)는, 온도 입력부(15)에 의해 입력된 목표 온도를 취득한다.
피하 온도 취득부(17)는, 피하 온도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된 피하 온도를 취득한다.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산출부(18)는, 피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도록,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란, 예를 들면, 검출된 피하 온도와 목표 온도의 정상 편차가 0℃가 되도록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를 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구체적으로는,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가열부(20)에 대한 출력 전압이나, 냉각수의 유량이나, 그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력량 등이다.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모의 피부 부재(11)를 교환하지 않고, 개인차나 피부의 부위에 따른 인체의 피하의 온도가 재현되고, 효율적으로 피부 온도 특성을 취득할 수 있다.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제어부(19)는,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산출부(18)에 의해 산출된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에 의해,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피하 온도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되는 피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피하 온도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피하 온도 제어 방법]
도 3은, 모의 피부 장치(10)의 피하 온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S101에서는, 유저가 온도 입력부(15)에 의해 목표 온도를 입력한다. 목표 온도는, 예를 들면, 피하 5.4mm의 인체의 피하의 온도 36.9℃로서 설정된다.
S102에서는, 제어부(14)의 입력 온도 취득부(16)가, 온도 입력부(15)에 의해 입력된 목표 온도를 취득한다.
S103에서는, 피하 온도 검출부(12)가 피하 온도를 검출한다.
S104에서는, 제어부(14)의 피하 온도 취득부(17)가, 피하 온도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된 피하 온도를 취득한다. 또한, S104와, S102의 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S105에서는, 입력된 목표 온도 및 검출된 피하 온도에 기초하여,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산출부(18)가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S106에서는,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에 의해,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제어부(19)가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를 제어한다.
이후, S103으로 돌아와, S103 ~ S106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피하 온도가 목표 온도로 유지되고, 인체의 피하의 온도를 재현할 수 있다.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100)]
도 4는, 본 기술에 관한 실시형태의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1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100)은, 전자기기(E)를 평가하기 위해 이용된다.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100)은, 모의 피부 장치(10)와, 접촉면 온도 측정부(101)를 가진다.
전자기기(E)는, 발열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기기(E)로서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의 장착형 전자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전자기기(E)는, 모의 피부 부재(11)에 접촉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또한, 전자기기(E)가 모의 피부 부재(11)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란, 예를 들면, 전자기기(E)와 모의 피부 부재(11) 사이에 의복 등을 개재시킨 상태여도 되고, 전자기기(E)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는 정도로 모의 피부 부재(11)와 근접하고 있는 상태여도 된다.
접촉면 온도 측정부(101)는, 예를 들면, 열전대, 서미스터, 체온계 등이고, 접촉면 온도 측정부(101)는, 모의 피부 부재(11)와 전자기기(E)의 접촉면(모의 피부 부재(11)의 외면)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구성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면 온도 측정부(101)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의해, 인체의 피부 온도 특성을 취득할 수 있고, 전자기기(E)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100)은, 접촉면 온도 측정부(101)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가능한 기록부를 더 가져도 된다. 또한,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100)은,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출력부를 더 가져도 된다.
[전자기기 평가 방법]
도 5는, 상기 모의 피부 장치(10)를 이용한 전자기기 평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S201에서는, 모의 피부 장치(10)를 작동시킨다.
S202에서는, 전자기기(E)의 모의 피부 부재(11)에 대한 접촉면에, 접촉면 온도 측정부(101)로서, 열전대를 설치한다. 또한, S201과 S202의 조작의 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S203에서는, 전자기기(E)에 설치된 접촉면 온도 측정부(101)에 의해, 전자기기(E)의 접촉면의 온도의 측정을 개시한다. 측정을 행할 때, 전자기기(E)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재현하기 위하여, 끈 등으로 전자기기(E)를 공중에 매달고, 다른 접촉면이 없는 상태에서, 온도 측정을 개시해도 된다.
S204에서는, 전자기기(E)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전원을 온으로 함은,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전원을 온으로 하는 동작으로서, 측정 기준이 되는 기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동, 설정, 동작 실행 등의 조작을 행한다. 또한, 저온 화상의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전자기기(E)의 온도 상승에 있어서의 최대 부하 조건을 설정하고 나서, 전원을 온으로 해도 된다. 또한, S203과 S204의 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S205에서는, 전자기기(E)를 모의 피부 부재(11)에 접촉시킨다. 클램프 등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자기기(E)가 모의 피부 부재(11)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 시의 접촉 압력은, 전자기기(E)의 사용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S206에서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전자기기(E)로부터의 열전달, 및 피하 온도 조정 기구(13)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전자기기(E)의 접촉면(모의 피부 부재(11)의 외면)의 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되어, 정상 상태에 이른다.
S207에서는, 전자기기(E)의 접촉면의 온도의 측정을 종료한다.
도 6은, 전자기기 평가 방법에 따른 측정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을 시간[분], 종축을 접촉면 온도[℃]로 하여, 피부 온도 특성을 취득한 결과이다. 모의 피부 부재(11)로서, 부틸 고무를 이용했다. 전자기기(E)로서, 스마트폰을 사용했다.
시각(t1)에서, 전자기기(E)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S204). 이에 의해, 전자기기(E) 내부로부터의 발열에 의해, 전자기기(E)의 표면의 온도가 상승한다.
시각(t2)에서, 전자기기(E)와 모의 피부 장치(10)를 접촉시킨다(S205). 이에 의해, 전자기기(E)로부터의 열이 피하에 전달되어, 접촉면의 온도가 일시적으로 저하한다. 그 후, 서서히 접촉면의 온도가 상승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정상 상태에 이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평가 방법에서는, 정상 상태에 이른 접촉면의 온도에 의해 전자기기(E)를 평가 가능해진다. 즉, 정상 상태에 이른 접촉면의 온도가, 기준값을 넘고 있는지 아닌지를 평가할 수 있다. 기준값으로서는, 저온 화상에 대한 리스크에 따른 값이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전자기기(E)의 열설계 시, 인체와 접촉한 때의 전자기기 내부의 온도 특성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열한 전자기기(E)를 인체의 피부에 장착하는 행위는, 본래 안전성의 관념에서 피해야 할 행위인 바, 본 기술에 의해, 비침습으로 접촉 시의 전자기기(E)의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온 환경 하에서의 실험이나 히트 사이클 시험 등의 인체에 대해 현저하게 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는 시험도 시행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저온 화상 리스크뿐만 아니라, 고온 화상의 리스크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모의 피부 장치(10)는, 보유 지지부(30)를 가져도 된다. 보유 지지부(30)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10)의 구성예(1 ~ 5)에 대해, 도 7 ~ 도 1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보유 지지부(30)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10)의 구성예 1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에서는, 모의 피부 장치(10)가, 피하 유닛(U)이 고정되고, 피하 유닛(U)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0)를 더 구비한다.
보유 지지부(30)에 피하 유닛(U)을 고정하는 방법은, 특정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유 지지부(30)는, 피하 유닛(U)과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30)는, 클램프나 벨트나 테이프나 의복 등을 이용하여 피하 유닛(U)을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나아가, 보유 지지부(30)는, 상기의 열확산판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b는, 보유 지지부(30)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10)의 구성예 2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성예 2에서는, 하나의 보유 지지부(30)에 대해서, 복수의 피하 유닛(U)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모의 피부 부재(11)의 복수의 위치에서, 피부 온도 특성의 평가를 할 수 있다.
모의 피부 부재(11)는, 도 7b와 같이, 복수의 피하 유닛(U)에 대해서 공통의 부재로서 이용되어도 좋고, 피하 유닛(U)마다 분할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피하 유닛(U)마다 다른 목표 온도가 설정되어도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보유 지지부(30)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10)의 구성예 3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보유 지지부(30)는, 복수의 고정부(31)와, 가동부(32)를 가진다. 복수의 피하 유닛(U)이, 복수의 고정부(31)에 각각 고정된다. 가동부(32)는, 복수의 피하 유닛(U)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복수의 고정부(31)를 접속한다. 즉, 가동부(32)를 지점으로 하여, 고정부(31)가 이동함으로써, 고정부(31)에 고정된 복수의 피하 유닛(U)의 상대 위치가 바뀐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복수의 피하 유닛(U)에 각각 모의 피부 부재(11)가 배치되어 있다. 도 8a에서는, 모의 피부 부재(11)가 평면을 형성한다. 도 8b에서는, 모의 피부 부재(11)가, 상측에 볼록한 곡면 형상과, 하측에 오목한 곡면 형상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인체의 피부의 곡면 형상이 재현된다. 예를 들면, 도 8b와 같이 손가락이나 팔을 굽힌 상태 등, 인체의 관절 부분의 형상이 재현된다. 또한, 고정부(31)에 고정되는 복수의 피하 유닛(U)의 배치는, 재현하고 싶은 인체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9는, 인체의 손 형상을 재현한 보유 지지부(30)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10)의 구성예(4)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에서는, 보유 지지부(30)를 인체의 손 형상으로서 재현하고 있다. 모의 피부 장치(10)는, 예를 들면, 보유 지지부(30)에 설치된 오목부에 매입되어 있다. 모의 피부 장치(10)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복수 설치해도 된다. 전자기기(E)의 사용 상황에 따라, 모의 피부 장치(10)를 설치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필요한 부위만의 피부 온도 특성을 적절히 취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유 지지부(30)의 전면(全面)에 모의 피부 장치(10)를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전자기기(E)의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30)의 형상은, 예를 들면, 3D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형성시켜도 된다.
구성예 4에서는, 냉각부(21)는, 튜브(40a)와, 펌프(40b)와, 냉각 기구(40c)를 가진다. 튜브(40a)는, 모의 피부 장치(10), 펌프(40b), 냉각 기구(40c)를 거쳐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튜브(40a)는, 피하에 도처로 연장하는 혈관과 같이, 보유 지지부(30)의 내측에 퍼져나가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기구가 보다 정확하게 재현된다.
도 10A는, 인체의 머리 부분의 형상을 재현한 보유 지지부(30)를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10)의 구성예 5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B는, 모의 피부 장치(10)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구성예 5에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장착했을 때의 피부 온도 특성의 평가를 한다. 모의 피부 장치(10)의 설치 위치는, 전형적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접촉하는 위치이지만, 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머리 부분 등의 대부분이 공기에 접하고 있는 부위에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더라도, 체표면으로부터의 충격 열(fanned heat)에 의해, 저온 화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모의 피부 장치(10)를 설치하여, 피부 온도 특성의 평가를 해도 된다. 모의 피부 장치(10)의 설치 위치로서, 예를 들면, 이마 부분이나, 후두부 등에 모의 피부 장치(10)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실제의 사용 상황에 가까운 상태에서 저온 화상에 대한 리스크를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본 기술에 관한 특징 부분 중, 적어도 2개의 특징 부분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다양한 특징은, 각 실시형태의 구별 없이,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다양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모의 피부 부재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검출 가능한 피하 온도 검출부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가지는 피하 유닛을,
구비하는,
모의 피부 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피하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내면의 온도를 취득하는 피하 온도 취득부를 갖고, 상기 피하 온도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내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상기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를 취득하는 입력 온도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하 온도 조정 기구는, 상기 내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내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를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모의 피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의 피부 장치.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수냉식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하 유닛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8)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인체의 형상이 재현된 형상을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
(9)
상기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피하 유닛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을 접속하는,
모의 피부 장치.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가,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와,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접속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의 피부 부재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모의 피부 장치.
(12)
전자기기 평가 방법으로서,
모의 피부 부재의 내면의 온도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내면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조정하면서, 전자기기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모의 피부 부재의 외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평가 방법.
(13)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으로서,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모의 피부 부재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검출 가능한 피하 온도 검출부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가지는 피하 유닛과,
전자기기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외면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접촉면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10: 모의 피부 장치
11: 모의 피부 부재
12: 피하 온도 검출부
13: 피하 온도 조정 기구
14: 제어부
15: 온도 입력부
16: 입력 온도 취득부
17: 피하 온도 취득부
18: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산출부
19: 피하 온도 조정 파라미터 제어부
20: 가열부
21: 냉각부
21a: 수냉식 히트 싱크
21b: 펌프
21c: 냉각 기구
30: 보유 지지부
31: 고정부
32: 가동부
100: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101: 접촉면 온도 측정부
U: 피하 유닛
E: 전자기기

Claims (13)

  1.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모의 피부 부재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검출 가능한 피하 온도 검출부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가지는 피하 유닛
    을 구비하는,
    모의 피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하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내면의 온도를 취득하는 피하 온도 취득부를 갖고,
    상기 피하 온도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내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상기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목표 온도를 취득하는 입력 온도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하 온도 조정 기구는, 상기 내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내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를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냉각부와 상기 모의 피부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의 피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수냉식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하 유닛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인체의 형상이 재현된 형상을 가지는,
    모의 피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하 유닛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을 접속하는,
    모의 피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가,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와, 상기 복수의 피하 유닛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부를 접속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모의 피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피부 부재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모의 피부 장치.
  12. 전자기기 평가 방법으로서,
    모의 피부 부재의 내면의 온도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내면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로 조정하면서, 전자기기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모의 피부 부재의 외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평가 방법.
  13.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으로서,
    외면과 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모의 피부 부재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검출 가능한 피하 온도 검출부와, 상기 내면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피하 온도 조정 기구를 가지는 피하 유닛과,
    전자기기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외면의 온도를 측정 가능한 접촉면 온도 측정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KR1020197026430A 2017-03-27 2018-01-29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KR20190133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0941 2017-03-27
JPJP-P-2017-060941 2017-03-27
PCT/JP2018/002714 WO2018179779A1 (ja) 2017-03-27 2018-01-29 模擬皮膚装置、電子機器評価方法、及び電子機器評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161A true KR20190133161A (ko) 2019-12-02

Family

ID=6367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430A KR20190133161A (ko) 2017-03-27 2018-01-29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19793B2 (ko)
KR (1) KR20190133161A (ko)
WO (1) WO20181797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678A (zh) * 2021-12-07 2022-04-08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用于卫星承力筒的检测装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9527B (zh) * 2020-03-02 2022-05-10 嘉兴学院 面向贴片式柔性电子监测设备可靠性检测的人体模拟器
CN112197932B (zh) * 2020-12-07 2021-03-12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飞机防除冰试验模型表面温度修正方法及测量方法
CN113324678A (zh) * 2021-05-28 2021-08-31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模拟装置、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603965A (zh) * 2022-02-09 2022-06-10 深圳鹏行智能研究有限公司 一种用于调节皮肤温度的机器皮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1036A (ja) 2005-12-22 2007-07-05 Bunka Gakuen 模擬皮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特性評価方法
JP2008089465A (ja) 2006-10-03 2008-04-17 Teikoku Seiyaku Co Ltd 皮膚における創傷被覆材の環境模擬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9157A (ja) 1984-04-03 1985-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環境評価装置
US5862669A (en) * 1996-02-15 1999-01-26 Springwell Dispensers, Inc. Thermoelectric water chiller
JP3340989B2 (ja) * 2000-03-23 2002-11-05 一夫 深井 床暖房の評価装置
US6543657B2 (en) * 2001-03-20 2003-04-08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Thermal manikin
US9514658B1 (en) * 2014-07-31 2016-12-06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ynthetic skin and tissue model
JP2016057198A (ja) * 2014-09-10 2016-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熱流計測装置及び代謝計測装置
JP6464523B2 (ja) 2015-01-07 2019-02-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瞬間的接触温冷感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1036A (ja) 2005-12-22 2007-07-05 Bunka Gakuen 模擬皮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特性評価方法
JP2008089465A (ja) 2006-10-03 2008-04-17 Teikoku Seiyaku Co Ltd 皮膚における創傷被覆材の環境模擬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678A (zh) * 2021-12-07 2022-04-08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用于卫星承力筒的检测装备
CN114295678B (zh) * 2021-12-07 2023-09-19 北京卫星制造厂有限公司 一种用于卫星承力筒的检测装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11745A1 (en) 2020-01-09
US11519793B2 (en) 2022-12-06
WO2018179779A1 (ja)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3161A (ko) 모의 피부 장치, 전자기기 평가 방법, 및 전자기기 평가 시스템
US20170095158A1 (en) Temperature Sensor Structure
US1168662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thermal interrogation
US8651734B2 (en) Open-loop vertical drywell gradient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JP4805773B2 (ja) 電子温度計
JPWO2009107209A1 (ja) 測定装置及び熱伝導率推定方法
CN109997032B (zh) 热传导率测定装置、热传导率测定方法及真空度评估装置
US20140142462A1 (e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JP2018080920A (ja) 温度測定装置、検査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4085185A (ja) 固定装置、固定方法、及び流量計測装置
Okabe et al. Development of a guard-heated thermistor probe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surface temperature
WO2017090165A1 (ja) 処置システム、及び処置具
JP3920662B2 (ja) 電子体温計
CN105867448A (zh) 具有取向传感器的温度调节控制设备
TWI792273B (zh) 熱導管的非接觸式檢測設備及其方法
JP5971394B2 (ja) 温度測定システム及び温度算出方法
JP2016217885A (ja) 温度測定装置、熱伝導率測定装置および熱伝導率測定方法
JP6634546B2 (ja) 熱伝導率測定装置、熱伝導率測定方法、及び真空度評価装置
US11147707B2 (en) Fluid warming apparatus
EP3855141A1 (en) Method, apparatus for termperature detection and wearable device
US20230091586A1 (en) Thermal measurement of materials
JP2016125784A (ja) 熱処理装置および熱処理方法
JP6670134B2 (ja) 加熱試験装置
KR20150003102A (ko)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
JP2020148673A (ja) 温度調節器、仕様周囲温度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