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538A - 단일편 신발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편 신발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538A
KR20190132538A KR1020197033527A KR20197033527A KR20190132538A KR 20190132538 A KR20190132538 A KR 20190132538A KR 1020197033527 A KR1020197033527 A KR 1020197033527A KR 20197033527 A KR20197033527 A KR 20197033527A KR 20190132538 A KR20190132538 A KR 2019013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ie
suture
sewing
artic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바스티안넬리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에이 알테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에이 알테어, 엘엘씨 filed Critical 비에이치에이 알테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13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43B23/022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with waterproof breath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Laminated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부티, 부티 제조 방법 및 부티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이 제공된다. 부티는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신발류 물품의 갑피를 제공한다. 부티는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되는 바닥 부분을 갖는다. 본체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이 그를 통해 뻗을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한다. 단일 바닥 봉합부는 본체의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본체의 바닥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연장된다.

Description

단일편 신발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발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발의 단일편 갑피 및 신발의 단일편 갑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일부 공지된 신발 갑피는 층으로 조립될 때 통기성이 제한되는 다양한 직물 및 접착제를 포함하는 특정 재료로 구성된다. 유사하게, 방수성 및 통기성으로 판매되는 신발류는, 방수성일 수 있고 수증기 투과성일 수 있으나 공기 투과성은 아닌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방수 라이너는 가장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또는 공기 투과성이 아닌 일부 다른 재료의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 투과성 부족은 신선한 공기에 대한 접근로 없이 착용자의 발을 밀봉한다.
통상적인 갑피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재료로부터 절취된 패턴 또는 재료로부터 절단된 다수의 단편을 사용하는 것을 수반하며, 단일편 또는 다수의 단편이 재봉 또는 접착제로 조립되어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도록 성형된 체적을 형성한다. 종종, 갑피는 라이너와 신발 쉘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방수 라이너는 신발의 전체 갑피를 완성하기 위해 신발 쉘의 하나 이상의 층 내부에 조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발의 통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신발의 방수 능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011619호('619 공보)의 도 3(본원에 재현됨)은, '619 공보의 부티(bootie)(302) 봉합부(320 및 330)에 깔창(304)이 부착되는 것 같이, 신발의 갑피가 종종 하나 이상의 깔창 봉합부에 의해 깔창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부티(302)에 별도의 깔창 단편을 영구적으로 부착하면 신발 제조에 추가 비용이 추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깔창을 형성하는 추가 재료에 대한 추가 비용이 있다. 또한, 봉합부(320 및 330)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티(302)와 깔창(304) 사이의 봉합부(320, 330)는 깔창(304)의 전체 주변을 둘러싼다. 따라서, 제조는 깔창(304)을 나머지 부티(304)에 완전히 부착시키기 위해 부티(302)의 토우(toe) 및 힐 사이의 부티(302)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2개의 봉합부 통과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봉합부 통과부는 토우 및 힐 사이의 부티 바닥 길이의 80 내지 100% 사이에서 연장될 것이다.
또한, 부티(302) 및 깔창(304)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619 공보에는 또한 깔창(304) 및 봉합부(320, 330)를 덮는 밀봉 개스킷(360)의 추가가 필요하다. 이는 신발 제조에 추가 비용을 추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용의 최신 기술에 비해 개선점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 불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신발류 구성요소, 특히 신발류 물품의 갑피를 형성하는 부티를 제공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신발류 구성요소 및 신발류 구성요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에서,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로부터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부티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된 바닥 부분을 갖는다.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티의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부티의 바닥 부분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단일 바닥 봉합부만을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이 착용자의 발에 사용시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되도록 부티를 바닥창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바닥 봉합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스티칭 봉합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봉합부는 부티의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바닥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80%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바닥 봉합부를 가로질러 밀봉 재료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재료는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내부 표면 상에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티의 힐 단부에 근접한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시 착용자의 발이 그를 통해 뻗을 수 있는 부티로의 개구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티의 토우 단부의 만곡된 부분 위로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봉합부,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연속 봉합부로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멤브레인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층; 및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패딩 재료를 포함하고, 신발류 물품이 완성될 때 제1 층과 외부 환경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층을 외부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층을 포함한다. 제1 층은 제2 층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티를 바닥창에 부착하는 단계는 적어도 대부분의 단일 바닥 봉합부를 바닥창으로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보강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지지 프레임을 성형, 재봉, 접착제 결합, 열 용접(예를 들어, 핫 프레스 사용) 및 고주파 용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10%가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이 제공된다. 부티는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신발류 물품의 갑피를 제공한다. 부티는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되는 바닥 부분을 갖는다. 본체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이 그를 통해 뻗을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한다. 단일 바닥 봉합부는 본체의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본체의 바닥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봉합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스티칭 봉합부가 바닥 부분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봉합부는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바닥 부분 길이의 적어도 80%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재료가 바닥 봉합부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바닥 봉합부가 방수되게 한다. 밀봉 재료는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내부 표면에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티는 부티의 힐 단부에 근접한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를 포함한다.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티로의 개구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티는 부티의 토우 단부의 만곡된 부분 위로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봉합부,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연속 봉합부로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멤브레인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층을 포함한다. 시트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제2 층을 포함한다. 제2 층은 신발류 물품이 완성될 때 제1 층과 외부 환경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층은 외부 주변 환경으로부터 제1 층을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층은 제2 층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발류 제품이 제공된다. 신발류 제품은 바닥창 및 바닥창에 결합된 위에서 개요 설명된 바와 같은 부티를 포함한다. 부티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을 둘러쌀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성형, 재봉, 접착제 결합, 열 용접(예를 들어, 핫 프레스 사용) 및 고주파 용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부티의 외부 표면에 결합된 보강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10%가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갑피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의 확대 단면이다.
도 3은 내부가 외부를 향한 상태의, 구성 도중의 종래 기술 갑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내부가 외부를 향한 상태의, 구성 도중의 부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티를 형성하기 전의 재료 단편 절단 형상의 단순화된 도면이다.
방수성 및 습기 투과성 신발류의 일반적인 한계는 이러한 신발류가 공기 불투과성이라는 점이다. 일반적인 공기 불투과성 제한을 나타내지 않는 실시예의 일 예는 방수성, 수증기 투과성 및 공기 투과성인 다층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단일편 갑피를 갖는 신발류이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는 이러한 단일편 갑피 및 이러한 단일편 갑피를 구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100)의 사시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운동화로서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다른 유형의 신발, 부츠 또는 신발류일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은 바닥창(102), 및 사용자(착용자라고도 지칭됨)의 발(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갑피(104)를 포함한다. 갑피(104)는 사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부티(106)로 형성된다.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부티(106)는 부티(106)에 부착된 별도의 깔창이 없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창(102)은 사출 성형 및 가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갑피(104)에 형성되고 결합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0)은 복수의 체결구(110)를 사용하여 갑피(104)에 맞물리는 전방 레이싱(108)을 포함한다.
또한, 신발류 물품(100)은 신발류 물품(100)이 발의 삽입 및 제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신발류 물품(100)의 갑피(104)의 수축 및 팽창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설상부(112)를 포함한다. 설상부(112)는 또한 전방 레이싱(108)이 고정될 때 신발류 물품(100)이 사용자의 발에 단단히 접촉하고 부착되도록 갑피(104)의 조절을 제공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전방 레이싱(108)은 벨크로(Velcro®)와 같은 후크 및 루프 체결구 재료일 수 있다. 설상부(112)는 설상부 재봉(114)에 의해 기존 재료로 형성된다. 체결구(110)는 설상부(112)의 에지에서 갑피(104)에 부착된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체결구(110)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아일릿, 아이 스테이, 루프 체결구 및 후크.
신발류 물품(100)은 또한 통상적으로 갑피(104)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거나 성형된 재료를 포함하는 외골격(116)을 포함한다. 외골격(116)은 갑피(104)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갑피(104)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외골격(116)은 또한 체결구(110)가 갑피(104)에 부착되는 위치에만 힘을 격리시키는 것과 반대로 외골격(116)이 부착되는 위치 주변의 영역을 가로질러 외향으로 체결구(110)에 작용하는 레이싱 장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골격(116)은 고주파 용접에 의해 갑피(104)에 부착된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외골격(116)은 재봉, 접착제 결합, 열 용접(예를 들어, 핫 프레스를 사용) 및 고주파 용접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부착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갑피(104)의 상단 에지(119) 위로 접어 겹쳐짐으로써 형성되고 예를 들어, 그러나, 비제한적으로, 캡 재봉(120)을 사용하여 제 위치에 유지되는 캡(11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갑피(104)는 접착 프로세스와 같은 부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바닥창(102)에 고정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및 가황 중 하나 이상과 같은 갑피(104)를 바닥창(102)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방수성' 및 '액체 불투과성'은 본 개시내용 전체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액체 불투과성'은 200 밀리바(2.901 p.s.i.g.)의 최대 압력을 갖는 물이 인가될 때 깔창을 포함하여 갑피(104)가 갑피(104)의 외부에서 검출 가능한 액체의 존재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누설이 1분 동안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시적인 의미에서, 부티(106)의 '공기 투과성'은 미국 시험 재료 협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 의해 ASTM D737-96으로 지정된 시험 방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Frazier 공기 투과성 테스터, Textest FX 3300 공기 투과성 테스터 또는 동등한 유형의 시험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공기 투과성은 갑피(104)에서 부티(106) 부분을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제곱 센티미터당 분당 0.03 세제곱 센티미터(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제곱 피트당 분당 0.05 세제곱 피트)의 압력의 공기 유동을 제공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티(106)를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제곱 센티미터당 분당 0.05 세제곱 센티미터(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제곱 피트당 분당 0.1 세제곱 피트)의 압력의 공기 유동이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티(106)를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제곱 센티미터당 분당 0.15 세제곱 센티미터(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제곱 피트당 분당 0.3 세제곱 피트)의 압력의 공기 유동이 존재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티(106)를 통해 1.27 센티미터 수주 압력에서 적어도 제곱 센티미터당 분당 0.51 세제곱 센티미터(0.5 인치 수주 압력에서 제곱 피트당 분당 1.0 세제곱 피트)의 압력의 공기 유동이 존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갑피의 구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층 적층 시트(2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층 적층 시트(200)는 5개의 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아래에 개요 설명된 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른 수의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통기성 및 방수 특성을 제공하는 3개 및 4개 층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1 층(210)은 제1 측면(211) 및 제2 측면(212)을 갖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멤브레인 재료이다. 제2 층(220)은 방수성인 패딩 재료이며, 패딩 재료를 천공함으로써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으로 만들어졌다. 제2 층(220)은 제1 측면(221) 및 제2 측면(222)을 포함한다. 제2 층(220)은 제1 층(210)을 천공하거나 물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는 암석 및 다른 외부요인과 같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제1 층(210)을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층(230)은 제1 측면(231) 및 제2 측면(232)을 갖는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결합 재료이다. 또한, 제3 층(230)은 방수성일 수 있다. 제4 층(240)은 제1 측면(241) 및 제2 측면(242)을 갖는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재료이다. 제4 층(240)은 착용자의 발 또는 양말에 의한 마모와 같은 내부 주변 환경으로부터 제1 층(210)을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4 층(240)은 방수성일 수 있다. 제5 층(250)은 제1 측면(251) 및 제2 측면(252)을 갖는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재료이다. 제5 층(250)은 (도 1에 도시된) 갑피(104)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5 층(250)은 방수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층(210)은 미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eVENT® 패브릭이며, 이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ePTFE라고도 지칭됨) 멤브레인이며, 미국 몬테나주 캔자스 시티 소재의 BHA Technologies,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다층 적층 시트(2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재료는 VISI000001으로도 알려져 있는 Gore-TexTM XCRTM, TETRATEX®, SUPOR®, VERSAPOR®, PORELLE®, MILLIPORE®, ENTRANT®, FOLIO ITM, ACE-SIL®, FLEX-SIL®, MICROPOR-SIL® 및 CELLFORCE®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층(220)은 Nu-foam®으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발포체와 같은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한다. 다양한 대안 실시예에서, 제2 층(220)은 개방 셀 발포체 또는 다른 패딩형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폐쇄 셀 발포체는 방수성이지만, 이는 또한 특정 변형 없이 공기 불투과성 및 수증기 불투과성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2 층(220)이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인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재료는 다층 적층 시트(200)로 적층되기 전에 천공된다. 제2 층(220)은 공기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이지만 방수성이 아니도록 복수의 구멍으로 천공되지만, 다층 적층 시트(200)의 하나 이상의 층 및 적어도 제1 층(210)은 여전히 방수성이고 따라서 다층 적층 시트(200)가 방수성인 것을 보장한다.
제3 층(230)은 제1 층(210)과 제2 층(2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 재료를 포함한다. 제3 층(230)은 제3 층(230)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다른 방식에서는 종종 신뢰할 수 없는 강한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층(230)은 예를 들어 스크림, 트리코 니트 및 부직포와 같은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4 층(240)은 (도 1에 도시된) 갑피(104)의 내부 표면 또는 라이닝을 형성하고 착용자의 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로부터 제1 층(210)을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4 층(240)은 착용자의 발로부터의 주기적 마모를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발에 대한 소정 수준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4 층(240)은 직조, 부직 또는 편성 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텍스타일 직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층(240)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직물은 모두가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소재의 Tempo Shain Corporat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ECLIPSE 100HTM(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조합 직물), ECLIPSE 200STM(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 조합 직물) 및 ECLIPSE 400HTM(경량, 나일론 직물)을 포함하는 경편성 직물이다.
제5 층(250)은 (도 1에 도시된) 갑피(104)의 외부 표면 또는 쉘(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신발(100)(도 1에 도시됨)의 외부로서 보인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5 층(250)에 사용되는 재료는 직조, 부직 및 편성 직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단일 층 시트는 5개의 층을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이는 단일 층 시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갑피(400)의 도면이다. 갑피(400)는 중창과 바닥창(102)(도 1에 도시됨)의 임의의 조합을 부착하기 전에 내부가 외부를 향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갑피(400)는 사용자의 발 아래뿐만 아니라 상단 위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발을 둘러쌀 것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전체 갑피(400)가 부티(402)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전체 부티(402)는 단일편의 다층 적층 시트(200)로 형성된 본체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갑피(400)는 외골격 또는 부티(402)의 외부 표면(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마모성 라이너와 같은 내부 라이너가 부티(402)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내부 라이너는 도시되지 않음).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422),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440) 및 바닥 재봉 봉합부(442)는 단일편의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도 2에 도시됨)를 부티(402)로 형성한다. 단일편의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로부터 부티(402)의 형상을 추가로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힐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및 토우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8)가 추가될 수 있다. 이들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448)는 바닥 재봉 봉합부(442)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며, 일반적으로 바닥 재봉 봉합부(442)에 대해 80 내지 90도 사이에서 연장될 것이다.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448)는 일반적으로, 봉합부(442)와 정렬된 길이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폭 방향과 정렬되며, 예를 들어, 발의 내부와 발의 외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448)는 대응하는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448)에 근접한 부티(402)의 바닥 부분의 국소 폭의 50 내지 100% 사이로 연장된다.
종래 기술의 구성과 달리, 갑피(400)는 도 3의 종래 기술의 설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티(302)에 부착된 별도의 깔창(304)(도 3 참조)이 없다. 대신에, 사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된 갑피(400)의 부분(449), 예를 들어 다른 방식에서는 부티 또는 뱀프(vamp) 및 쿼터(quarter)에 고정된 별도의 깔창(304)에 의해 제공되었던 부분은 단일편의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에 의해 직접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단일 봉합부, 즉, 바닥 재봉 봉합부(442)만이 부티 바닥의 전체 길이, 예를 들어 토우 단부(460)로부터 힐 단부(470)까지의 전체 길이의 약 80 내지 100%와 정렬되고 연장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깔창을 부티 또는 뱀프 및 쿼터에 고정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부티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통과부를 사용한다.
재봉 봉합부(422, 440, 442, 446, 448 및 450)는 스트랜드 또는 코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스레드 유형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사 섬유, 코어 필라멘트를 둘러싸는 방사 섬유, 결합 섬유 및 액체 불투과성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는 모노필라멘트형 재료를 포함한다. 재봉 봉합부(422, 440, 442, 446, 448 및 450)는 또한 지그재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단일편의 무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재봉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다이 밀봉 방법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봉합부(422, 440, 442, 446, 448 및 450)의 정확한 위치 및 수는 생산되는 신발류 물품의 유형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재봉 봉합부(422, 440 및 442)는 3개의 별개의 봉합부보다는 단일 재봉 봉합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지 2개의 크로스-스티칭 봉합부 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적인 크로스-스티칭 봉합부가 부가되어 부티(402)의 형상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448)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재봉 봉합부(422, 440, 442, 446, 448 및 450)는 각각 재봉 봉합부(422, 440, 442, 446, 448 및 450) 위에 위치한 봉합부 테이프(424, 444, 451, 452, 453 및 454)로 밀봉될 수 있다. 그 후, 열풍을 인가하여 열을 인가한 다음, 닙 롤을 통한 압력을 봉합부 테이프(424, 444, 451, 452, 453 및 454)의 상단에 가한다. 열풍으로부터의 열은 갑피(400)에서 발견되는 임의의 원하는 품질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봉합부 테이프(424, 444, 451, 452, 453 및 454)의 접착제를 연화시시키도록 미리 선택된다. 열의 인가는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응용에서 약 섭씨 150도(화씨 302도) 내지 약 섭씨 250도(화씨 482도) 범위이다. 그러나, 온도는 섭씨 750도에 도달하거나 그를 초과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압력의 인가는 약 3 킬로그램/제곱 센티미터(42.67 파운드/제곱 인치) 게이지에서 약 5 킬로그램/제곱 센티미터(71.12 파운드/제곱 인치) 게이지이다. 그러나, 인가된 온도 및 압력은 갑피(400)에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 봉합부(422, 440, 442, 446, 448 및 450)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레드, 접착제 및 봉합부 테이프(424, 444, 451, 452, 453 및 454)에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에 의존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봉합부(422, 440, 442, 446, 448 및 450)에서 나머지 갑피(400)의 액체 불투과성 품질과 대략 동등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품질을 제공하는 고체 구조 용접이 형성된다.
도 5는 부티(402)를 형성하기 전에 형상으로 절단된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단일편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모두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440)의 적어도 일부는 화살표(440C)로 도시된 방향으로 꿰메어 에지 부분(440B)에 대해 에지 부분(440A)을 먼저 고정하여 형성될 것이다.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440)가 형성될 때, 완성된 신발류 물품(100)을 착용할 때 사용자의 발이 그를 통해 뻗는 부티(402)의 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그 후, 일 실시예에서, 토우의 전방이 화살표(422C)로 도시된 방향으로 꿰메어 에지 부분(422B)에 대해 에지 부분(422A)을 고정하는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422)를 사용하여 재봉된다. 이 재봉은 부티(402)의 토우 영역의 상단 위로 뿐만 아니라 부티(402)의 토우의 곡선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재봉 봉합부(442)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422)는 단일 연속 봉합부이다. 이와 같이, 화살표(422C)로 도시된 토우의 전방 주위를 통과한 후에, 재봉공은 연속 재봉으로 바닥 에지 부분(442A)을 따라 바닥 에지 부분(442B)에 대해 화살표(442C)로 도시된 방향으로 꿰메어 바닥 재봉 봉합부(442)를 형성하기 위해 계속 꿰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재봉 봉합부(440, 442 및 422)는 단일 봉합부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티를 꿰메는 사람은 통상적으로 힐 단부에서 시작하여 힐 아래로 진행하는 에지 부분(440A, 440B)을 꿰멜 것이고; 그 후, 힐 단부로부터 토우 단부로 바닥을 따라 진행하는 에지 부분(442A, 442B)을 꿰메고; 그 후, 토우를 따라 상향으로 그리고 토우 위로 연장하여 설상부 부근에서 종료되는(도 1의 설상부(112)의 베이스 참조) 에지 부분(422A, 422B)을 꿰멜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는 토우 단부에 근접하여 시작한 다음 힐를 따라 올라가며 재봉하여 마무리하는 것으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부티(402)는 일반적으로 도 4의 형상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바닥 재봉 봉합부(442)를 형성한 후에, 사용자는 힐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및 토우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8)를 바닥 재봉 봉합부(442)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예를 들어, 80-90도 사이)으로 추가할 수 있다.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448)는 부티(402)에 최종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스티칭 봉합부(446, 448)는 토우 단부와 힐에 인접한 시트의 절취부인 에지(422A, 442A; 422B, 442B; 442A, 440A; 422B, 440B) 사이에 형성된 노치를 폐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분(449)은 재봉 이전에 점선 및 섹션(449A, 449B)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섹션(449A, 449B)은 완전히 조립될 때 절첩되어지고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될 것이며, 이전 깔창(304)의 위치를 취할 것이다.
이러한 봉합부가 재봉된 후, 봉합부 테이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종래의 실시예로부터 부티를 형성할 때 형성된 봉합부 양의 길이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는 단일편의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를 통한 잠재적 누설 경로를 감소시킨다. 이는 부티를 형성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이는 또한 깔창 밀봉 개스킷(360)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 후, 부티(402)의 내부 표면을 보호하고 특히 사용자의 발 또는 양말이 단일편의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내부 층을 직접적으로 마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가 부티(402)에 부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부티(402)를 형성한 후, 부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창(102)에 부착된다. 바닥창(102)에 대한 부티(402)의 부착은 바닥 재봉 봉합부(442)를 덮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창(102)은 바닥 재봉 봉합부(442)의 적어도 80%를 덮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외골격(116)과 같은 외골격이 추가되는 경우, 이는 부티를 형성하기 전에 부티의 외부 표면에 적용될 것이다. 또한, 외골격의 일부는 외골격에 의해 제공되는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부분(449)과 바닥창(102) 사이에 위치되도록 부티(402)의 바닥을 향해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부티(402)가 일반적으로 전체 갑피를 형성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부티(402)의 외부 표면, 특히,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단일편에 적용된, 임의의 외골격(116) 또는 다른 재료, 예를 들어 로고 등을 위한 것 같은 디자인 재료는 신발류 물품이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부티(402)의 외부 표면을 가능한 적게 덮는다. 이는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단일편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추가된 재료가 부티(402) 및 궁극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통기성을 억제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티(402)의 많은 표면적이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 즉, 외부 주변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신발류 물품이 완전히 조립될 때, 다층 라미네이트 시트(200)의 단일편의 외부 표면의 10%만큼 적은 양이 주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15%가 외부 주변 환경에 노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가 외부 주변 환경에 노출된다. 이 백분율은 바닥창(102)의 부착 전에 부티(402)의 총 표면적으로부터 측정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방법 및 구성요소는 여기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또는 방법의 단계는 여기에 설명된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와 독립적으로 그리고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또한 다른 신발류 구성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 방법으로만 실시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예시적인 실시예는 많은 다른 신발류 응용과 관련하여 구현되고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특정 특징이 일부 도면에 도시되고 다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도면의 임의의 특징은 임의의 다른 도면의 임의의 특징과 조합하여 참조 및/또는 청구될 수 있다.
본원에 인용된 간행물,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고 문헌은 각각의 참고 문헌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참조로서 통합되고 본원에 그 전체가 제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맥락에서(특히, 다음의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관사 및 유사한 지시어의 사용은 본원에 달리 명시되거나 맥락 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포함하는", "갖는" 및 "함유하는"이라는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방형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함). 본원에서 값의 범위의 언급은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단지,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것의 약기 방법으로서 기능하도록 의도되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원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원에 달리 지시되거나 맥락 상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어떤 언어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를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자가 알고 있는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은 전술한 설명을 읽으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이러한 변형을 적절히 채택할 것을 기대하며, 본 발명자는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이 실시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인용된 주제의 모든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맥락 상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그 모든 가능한 변형의 앞서 설명된 요소의 임의의 조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24)

  1.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로부터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부티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된 바닥 부분을 갖고,
    부티의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부티의 바닥 부분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단일 바닥 봉합부만을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이 착용자의 발에 사용시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되도록 부티를 바닥창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는 바닥 봉합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스티칭 봉합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는 부티의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바닥 부분 길이의 적어도 80%로 연장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는 바닥 봉합부를 가로질러 밀봉 재료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밀봉 재료는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내부 표면에 적용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티의 힐 단부에 근접한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이 그를 통해 뻗을 수 있는 부티로의 개구를 형성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부티를 형성하는 단계는 부티의 토우 단부의 만곡된 부분 위로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연속 봉합부로서 형성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멤브레인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층으로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제1 층; 및
    패딩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층으로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고, 신발류 물품이 완성될 때 제1 층과 외부 환경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층을 외부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층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부티를 바닥창에 부착하는 단계는 적어도 대부분의 단일 바닥 봉합부를 바닥창으로 덮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보강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지지 프레임을 성형, 재봉, 접착제 결합, 열 용접(예를 들어, 핫 프레스 사용) 및 고주파 용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10%가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방법.
  14. 신발류 물품이며,
    부티로서,
    함께 적층된 복수의 재료 층으로 형성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로 형성되는 본체- 본체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되는 바닥 부분을 가지며, 본체는 사용시 착용자의 발이 그를 통해 뻗을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함 -; 및
    본체의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본체의 바닥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단일 바닥 봉합부를 포함하는, 부티; 및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이 착용자의 발에 사용시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되도록 부티에 부착되는 바닥창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스티칭 봉합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는 토우 단부와 힐 단부 사이에서 바닥 부분 길이의 적어도 80%로 연장되는, 신발류 물품.
  17. 제14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를 방수성이 되게 하도록 바닥 봉합부를 가로지르는 밀봉 재료를 더 포함하고, 밀봉 재료는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내부 표면 상에 적용되는, 신발류 물품.
  18. 제14항에 있어서, 부티의 힐 단부에 근접한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를 더 포함하고,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는 부티로의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신발류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부티의 토우 단부의 만곡된 부분 위로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 후방 조립체 재봉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신발류 물품.
  21. 제20항에 있어서, 바닥 봉합부 및 전방 토우 재봉 봉합부는 연속 봉합부로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는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멤브레인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층으로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제1 층;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제2 층으로서, 신발류 물품이 완성될 때 제2 층이 제1 층과 외부 환경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층을 외부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층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23. 제14항에 있어서, 성형, 재봉, 접착제 결합, 열 용접(예로서, 핫 프레스 사용) 및 고주파 용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에 결합된 보강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24. 제14항에 있어서, 단일 공기 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시트의 외부 표면의 표면적의 적어도 10%가 외부 주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신발류 물품.
KR1020197033527A 2017-04-18 2018-04-18 단일편 신발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325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86715P 2017-04-18 2017-04-18
US62/486,715 2017-04-18
US15/955,452 US20180295940A1 (en) 2017-04-18 2018-04-17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US15/955,452 2018-04-17
PCT/US2018/028076 WO2018195147A2 (en) 2017-04-18 2018-04-18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538A true KR20190132538A (ko) 2019-11-27

Family

ID=6379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527A KR20190132538A (ko) 2017-04-18 2018-04-18 단일편 신발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95940A1 (ko)
EP (1) EP3612051A4 (ko)
KR (1) KR20190132538A (ko)
CN (1) CN110636771A (ko)
WO (1) WO20181951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902375A (zh) * 2017-06-13 2019-01-16 双邦實業股份有限公司 編織提花布面之透濕防水鞋
TWM589470U (zh) * 2019-06-28 2020-01-21 張中豪 雙結構舒適透濕防水鞋
USD936351S1 (en) * 2021-02-02 2021-11-23 Nike, Inc. Shoe
TWM624979U (zh) * 2021-07-12 2022-04-01 王宏榮 高密合性透濕防水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70765A (fr) * 1906-10-25 1907-02-19 Louis Ernest Trotry Latouche Chaussons en feutr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qui s'y rapporte
US2076285A (en) * 1935-05-18 1937-04-06 Holder Wiggin & Folan Inc Article of footwear
GB603346A (en) * 1946-01-11 1948-06-14 Albert Max Welter Improvements in shoes
FR1044528A (fr) * 1951-11-07 1953-11-18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haussures à tige et première d'un seul tenant
US20050034330A1 (en) * 1996-11-12 2005-02-17 Baychar Running shoes, hiking shoes and boots,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having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characteristics
DE19917369A1 (de) * 1999-04-16 2000-10-26 Gore W L & Ass Gmbh Bekleidungsteil
US20030044563A1 (en) * 2000-02-18 2003-03-06 Kocinec James A. Waterproof seam sealing tape
US6446360B1 (en) * 2001-04-09 2002-09-10 Rocky Shoes & Boots, Inc. Waterproof footwear l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347011B2 (en) * 2004-03-03 2008-03-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FR2889035B1 (fr) * 2005-07-26 2007-09-28 Salomon Sa Procede d'assemblage de panneaux textiles lamines et produits obtenus a l'aide de ce procede
US20100011619A1 (en) * 2008-07-16 2010-01-21 Peter Bastianelli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KR101202558B1 (ko) * 2010-10-22 2012-11-19 정진열 덧버선 제조방법
EP2934215B1 (en) * 2012-12-21 2019-03-13 NIKE Innovate C.V. Woven footwear upper with lockout
US9936757B2 (en) * 2013-03-04 2018-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integrally knit contoured portion
US10143260B2 (en) * 2014-02-21 2018-12-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durable water repellant properties
TW201701789A (zh) * 2015-06-15 2017-01-16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鞋面、及鞋面之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5147A3 (en) 2019-01-03
EP3612051A4 (en) 2020-12-16
CN110636771A (zh) 2019-12-31
EP3612051A2 (en) 2020-02-26
WO2018195147A2 (en) 2018-10-25
US20180295940A1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1041B2 (en) Footwear uppers and other textile components including reinforced and abutting edge joint seams
US20100011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piece footwear construction
US7055267B2 (en) Waterproof footwear construction
KR20190132538A (ko) 단일편 신발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30200679A1 (en) Shoe construction utilizing a bootie with an impervious sole and method of production
US20210291473A1 (en) Footwear and method of formation
US20040139629A1 (en) Waterproof footwear
US20180317605A1 (en) Footwear item and methods using strobel stitching
EP4298945A1 (en) Article with at least two layers
US20220386741A1 (en) Cemented waterproof footwear
TWI706740B (zh) 防水透氣鞋
US20230354961A1 (en) A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US20230091843A1 (en)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resistant to post-treatment
WO2021164834A1 (en)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comprising a toe cap and a heel cap
JP2024029765A (ja) 防水性かつ通気性履物
WO2024112733A1 (en) Waterproof upper components of shoes, and methods of making waterproof shoes and waterproof upper component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