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083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083A
KR20190132083A KR1020180057315A KR20180057315A KR20190132083A KR 20190132083 A KR20190132083 A KR 20190132083A KR 1020180057315 A KR1020180057315 A KR 1020180057315A KR 20180057315 A KR20180057315 A KR 20180057315A KR 20190132083 A KR20190132083 A KR 2019013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se
water
vertical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768B1 (ko
Inventor
정지선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768B1/ko
Priority to PCT/KR2018/012714 priority patent/WO2019221344A1/en
Priority to US17/043,122 priority patent/US11738984B2/en
Publication of KR2019013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by 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49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에 급수 배관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음용수가 취출되는 워터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슈트는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과 같은 유해 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아래의 선행기술 문헌에 따르면, 출수 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정수기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정수기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되는 종래의 정수기에 따르면, 출수 모듈이 좌우 회동과 상하 승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만이 수행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출수 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만 가능한 정수기의 경우, 물컵의 길이가 출수구의 높이보다 클 경우 출수 모듈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물컵이 출수 모듈에 부딪혀서 파손되거나 옆으로 굴러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컵의 바닥으로부터 출수구까지의 거리가 길 경우, 출수되는 물의 일부가 물컵의 바닥에 부딪힌 후 튀어서 물컵 외부로 비산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출수 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만 가능한 정수기의 경우, 출수구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정수기가 벽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물취출시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가 벽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용량이 크되 물주입구가 작은 형태의 용기에 물을 담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즉, 출수구를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용기의 물주입구 쪽으로 회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용기의 체적이나 물 주입구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상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출수 모듈 자체가 승하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출수 모듈의 최대 하강 지점은 용기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지점이 된다. 따라서, 출수 모듈의 출수구가 용기의 상단부 아래로 하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출수 모듈 자체가 승하강하는 구조의 경우, 정수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출수 모듈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홀 또는 가이드 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야 하고, 그 결과 상기 가이드 홀 또는 가이드 홈을 통해서 이물질이 상기 정수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 모듈의 승하강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홀 또는 가이드 홈이 차폐되도록 차폐막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출수 모듈 자체가 승하강하는 구조의 경우, 정수기 본체 내부의 급수관과 상기 출수 모듈의 입구단이 연결되는 부분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정수기 본체 내부의 급수 배관의 길이도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설계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출수 모듈 모두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체적이 큰 반면 목 부분이 좁은 용기에 물을 담을 경우 출수 모듈의 출수구가 용기의 입구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여, 물 취출 과정에서 물이 비산되거나, 사용자가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8390(2018년 01월0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에 급수 배관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음용수가 취출되는 워터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슈트는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워터 슈트는, 일단이 상기 급수 배관에 연결되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토출 파이프 유닛;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의 타단에 연결되며, 음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부;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과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며,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과 함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슈트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슈트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노즐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정수기가 가지는 문제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물이 취출되는 워터 슈트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다단 인출 가능하고,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설치 위치 또는 사용하는 용기의 형상이나 크기에 맞게 출수구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히, 출수구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 취출 과정에서 취출되는 물의 일부가 용기 외부로 비산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수구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 워터 슈트 자체가 승강하는 구조가 아니라, 워터 노즐만 승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워터 슈트의 수평 부분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수직 부분만 다단 인출 가능하므로, 워터 노즐부가 용기의 내부까지 인입될 수 있어서 물 비산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노즐부의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므로, 용기의 체적 또는 물을 받는 목부분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노즐부를 용기의 입구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적이 큰 반면 입구 면적이 작은 용기에 물을 담기 위해서 사용자가 용기를 비스듬히 기울여서 잡고 있을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워터 슈트의 다단 인출 동작을 위해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워터 슈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워터 슈트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워터 슈트를 구성하는 슈트 케이스의 분해도.
도 6은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워터 슈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슈트를 구성하는 토출 파이프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파이프 유닛의 길이가 축소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의 길이가 늘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바닥부를 이루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상면 가장자리에 놓이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13)와, 상기 커버(13)의 상면에 형성되는 컨트롤 패널(14) 및 상기 하우징(1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워터 슈트(water chute)(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워터 슈트(20)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정수기(10)의 전면으로 정의되고, 그 반대 면이 배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슈트(20)를 제외한 정수기(10)의 부분을 본체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급수되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수단과 급수 배관 및 각종 전장 부품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4)은 상기 정수기(10)의 전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정수기(10)의 상면 중앙부 또는 후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4)은 상기 워터 슈트(2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눈에 쉽게 인지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패널(14)은 상기 정수기(10)의 상면으로부터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패널 본체(141)와, 상기 패널 본체(141)의 상면을 덮는 패널 커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본체(141)에는 다수의 버튼부들이 장착되기 위한 홀 또는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 또는 홈들에 버튼들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슈트(20)는 상기 정수기(10)의 전단부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최대 9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회전 각도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워터 슈트(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워터 슈트(20)의 후단에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1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워터 슈트(20)와 상기 회전 가이드(16)는 한 몸으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에 의하여 한 몸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는 상기 워터 슈트(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1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워터 슈트(20)는 상기 가이드 홀(121)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1)의 전단부에는 트레이(17)가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17)의 직상방에 상기 워터 슈트(2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을 담을 용기를 상기 트레이(17)의 상면에 안착시킨 다음 물 취출 버튼을 눌러 상기 워터 슈트(20)로부터 물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17)는 상기 워터 슈트(20)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만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7)와 상기 워터 슈트(20)가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한 몸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워터 슈트(20)를 회전하면 상기 트레이(17)도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워터 슈트(20)의 회전 중심과 상기 트레이(17)의 회전 중심이 연결 바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워터 슈트(20)와 상기 트레이(17)가 동축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트레이(17)와 상기 워터 슈트(20)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워터 슈트(2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슈트(20)는, 슈트 케이스(30)와, 상기 슈트 케이스(30)에 수용되는 토출 파이프 유닛(5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은,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 배관의 토출단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16)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2)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은, 다수의 파이프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슈트 케이스(30)는,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을 감싸서 보호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다단 인출 가능하게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슈트 케이스(30)를 구성하는 각각의 케이스들이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욱 상세히, 상기 슈트 케이스(30)는, 상기 회전 가이드(16)에 고정되는 고정 케이스(31)와, 상기 고정 케이스(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케이스(31)와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수평 케이스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케이스(31)의 후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16)의 전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회전 가이드(16)와 한 몸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케이스(31)의 전면은 개구되어,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가 삽입된다.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는, 한 개가 상기 고정 케이스(31)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출 거리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수평 인출 케이스(32)가 다단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는 상기 고정 케이스(31)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 케이스(31)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설계된다.
또한, 가장 앞쪽의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저면에는 가이드 홀(321 : 도 5 참조)이 형성되어, 후술할 수평 인출 케이스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슈트 케이스(30)는, 가장 앞쪽의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수직 인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다수의 수직 인출 케이스는,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인출되는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와,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인출되는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수직 인출 케이스(33,34)를 수직 케이스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잡아당기거나 뒤로 밀어 넣어 상기 슈트 케이스(30)의 전방 인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수직 인출 케이스(33,34)를 손으로 잡고 상측으로 밀어 올리거나 하측으로 끌어내려서 상기 슈트 케이스(30)의 하방 인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출 케이스들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워터 슈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워터 슈트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워터 슈트를 구성하는 슈트 케이스의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워터 슈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와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와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는 랙/피니언 구조에 의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와 상기 수직 인출 케이스가 접촉하는 면들 중 어느 일 면에 상기 랙/피니언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인출 케이스에는 피니언이 장착되고, 이동하는 인출 케이스에는 상기 피니언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안쪽 면에는 피니언(35)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안쪽 면에는 피니언 가이드(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니언(35)은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하단부에 가까운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가 최대한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5)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안쪽 면에는 상기 피니언(35)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하는 피니언 가이드(3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5)과 피니언 가이드(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영역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출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또는 좌측 면과 우측 면에 각각 피니언과 피니언 가이드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피니언 가이드(36)는,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배면에서 상기 피니언(35)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로 함몰되는 피니언 수용부(361)와, 상기 피니언 수용부(36)의 측면에 형성되는 랙기어부(363), 및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의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3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는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가 인출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는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의 상단이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상단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인출 길이가 최대화되고,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의 하단이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하단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인입 시 외부 노출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랙기어부(363는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의 폭을 상기 피니언(35)의 직경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랙기어부(363)가 모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릿(362)은,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니언(35)의 회전축이 상대 이동하는 경로로 정의된다. 상세히, 상기 피니언(35)의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 슬릿(362)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안쪽 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5)의 회전축과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 간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가 자중에 의하여 저절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의 자중에 의한 자유 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35)의 회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설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여야만 상기 피니언(35)이 회전하도록 상기 피니언(35)의 회전축을 구속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기 피니언(35)의 회전축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회전축의 외주면에 마찰링 또는 마찰 패드와 같은 마찰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의 하단부 지점, 즉 상기 피니언 수용부(361)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피니언(37)이 장착되고,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의 안쪽 면에 피니언 가이드(3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 가이드(38)는 피니언 수용부(381), 가이드 슬릿(382), 및 랙기어부(3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의 바닥에는 노즐홀(341)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홀(341)에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의 노즐부(61)가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61)는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와 한 몸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케이스(31)의 안쪽 면에도 피니언(39)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31)에 연결되는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안쪽 면에 피니언 가이드(40)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가 상기 고정 케이스(31)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고정 케이스(31)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피니언 가이드(4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피니언 수용부(401), 가이드 슬릿(402), 및 랙기어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수의 케이스들이 중첩되는 부분에는 피니언과 피니언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케이스들이 다단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슈트를 구성하는 토출 파이프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가이드(16)의 전면에는 관통홀(16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62)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있는 급수 배관과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의 입구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62)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리브(161)가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161)에 상기 슈트 케이스(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은, 일단이 상기 급수 배관의 토출구에 고정되는 고정 파이프(51)와, 상기 고정 파이프(51)에 연결되고 "L"자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연장 파이프와, 다수의 연장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파이프와, 다수의 연장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엘보우, 및 음용수가 취출되고 슈트 케이스(30)의 하단에 고정되는 노즐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61)를 제외한 구성을 토출 파이프 유닛(50)으로 정의하고, 상기 노즐부(61)는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연장 파이프는, 제 1 내지 제 4 연장 파이프(52,54,58,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연결 파이프는 제 1 및 제 2 연결 파이프(53,5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521)와, 상기 연장부(52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5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부(522)는 상기 고정 파이프(5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53)의 일단은 상기 연장부(52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연장부(521)와 직교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54)도,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와 같이, 연장부(541)와 절곡부(5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고,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53)의 타단이 상기 연장부(541)의 단부에 직교하는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엘보우는, 제 1 내지 제 3 엘보우(55,56,57)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엘보우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둔다.
상기 제 1 엘보우(55)의 일단은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54)의 절곡부(54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엘보우(56)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엘보우(56)의 타단은 상기 제 3 엘보우(57)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엘보우(57)의 타단은 상기 제 3 연장 파이프(58)의 절곡부(58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연장 파이프(58)의 연장부(581)에는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59)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59)의 타단은 상기 제 4 연장 파이프(60)의 연장부(6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연장 파이프(60)의 절곡부(602)에 상기 노즐부(61)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노즐부(61)는 마지막 수직 인출 케이스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지막 수직 인출 케이스는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61)의 토출단은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의 바닥에 형성된 노즐홀(34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부(61)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플랜지(61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플랜지(611)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가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의 바닥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부(61)가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 파이프(52,54)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53)의 결합체는 수평 방향 길이 조절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3 및 제 4 연장 파이프(58,60)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59)의 결합체는 수직 방향 길이 조절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엘보우들(55,56,57)의 결합체는 연결부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길이 조절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파이프 유닛의 길이가 축소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의 길이가 늘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의 전후 방향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수직 인출 케이스(33,3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50)의 상하 방향 길이가 가변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엘보우(55,56,57)는 상기 인출 케이스들의 이동에 관계없이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상기 고정 케이스(31) 내부로 밀어 넣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의 절곡부(522)가 상기 고정 파이프(5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의 연장부(521)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θ)은 증가하고,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의 연장부(521)와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54)의 연장부(541)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53)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의 절곡부(522)와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54)의 절곡부(542)가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엘보우 결합체(55,56,57)는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52)의 절곡부(522)와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54)의 절곡부(542)가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52)가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521,541)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θ)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도이며, 상기 고정 케이스(31) 또는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 내부의 상하 폭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53)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설계된다.
또한,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521,541)가 수평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밀어 넣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가 최대 인출되었을 때 상기 각(θ)은 0도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이 좋다. 즉, 수평 인출 케이스(32)의 최대 인출 상태에서, 연장부(521,541)는 수평면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수평 인출 케이스(32)를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53)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 파이프(52,54)가 회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 또는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33)를 아래로 잡아당기거나 위로 밀어 올리면, 상기 제 3 및 제 4 연장 파이프(58,60의 연장부들(581,601)이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59)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59)는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상기 노즐부(61)의 높이가 상승 또는 감소하게 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 인출 케이스들(34,35)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및 제 4 연장 파이프(58,60)의 연장부(581,601)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φ)이 90도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직 인출 케이스들의 최대 인출 상태에서, 상기 제 3 연장 파이프(58)의 연장부(581)와 제 4 연장 파이프(60)의 연장부(601)가 수직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수직 인출 케이스를 다시 밀어 올리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581,601)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φ)이 90도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좋다.
바꾸어 말하면, 수직 인출 케이스의 최대 인출 상태에서, 연장부(581,601)가 수직면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61)의 상승 또는 하강 과정에서 상기 엘보우 결합체(55,56,57)는 움직이지 않고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워터 슈트(2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61)의 출구단이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므로 용기의 크기에 맞게 상기 노즐부(61)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용기의 입구 면적이 상기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34)의 횡단면 크기보다 큰 경우,상기 노즐부(61)를 용기 내부까지 인입할 수 있기 때문에, 물 취출시 물 비산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노즐부(6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워터 슈트(20) 자체를 승하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고정 파이프(51)와 상기 하우징(12) 내부의 급수 배관의 연결 부위의 높이를 가변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상기 워터 슈트(2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절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1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막을 장착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내부에 급수 배관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음용수가 취출되는 워터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슈트는,
    일단이 상기 급수 배관에 연결되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토출 파이프 유닛;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의 타단에 연결되며, 음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부;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과 상기 노즐부를 수용하며,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과 함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슈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슈트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노즐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 슈트는 상기 회전 가이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케이스는,
    전후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수평 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 케이스와,
    상기 수평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단 인출되어 수직 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케이스는,
    상기 회전 가이드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 인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케이스는,
    상기 수평 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와,
    상기 제 1 수직 인출 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수직 인출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케이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케이스들이 중첩되는 부분에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는 피니언 가이드가 형성되고,
    중첩되는 두 개의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의 안쪽 면에는 상기 피니언이 장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다른 하나의 케이스의 안쪽 면에는 상기 피니언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가이드는,
    상기 피니언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연장되는 피니언 수용부와,
    상기 피니언 수용부의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부와,
    상기 피니언 수용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파이프 유닛은,
    상기 급수 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정 파이프와,
    상기 고정 파이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노즐부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방향 길이 조절부와,
    상기 노즐부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 방향 길이 조절부와,
    상기 수평 방향 길이 조절부와 상기 수직 방향 길이 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 길이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 1 연장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 파이프 및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가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연결 파이프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노즐부의 전후 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 길이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연장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제 3 연장 파이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3 연장 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연장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연장 파이프의 타단은 상기 노즐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장 파이프 및 상기 제 4 연장 파이프가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연결 파이프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노즐부의 상하 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장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 1 엘보우와,
    상기 제 3 연장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 3 엘보우, 및
    상기 제 1 엘보우와 제 3 엘보우를 연결하는 제 2 엘보우를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 방향 길이 조절부의 동작 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직 방향 조절부의 동작 과정에서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케이스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 파이프는 수평면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고,
    상기 수직 케이스가 하측으로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및 제 4 연장 파이프는 수직면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80057315A 2018-05-18 2018-05-18 정수기 KR10256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15A KR102560768B1 (ko) 2018-05-18 2018-05-18 정수기
PCT/KR2018/012714 WO2019221344A1 (en) 2018-05-18 2018-10-25 Water purifier
US17/043,122 US11738984B2 (en) 2018-05-18 2018-10-25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15A KR102560768B1 (ko) 2018-05-18 2018-05-1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083A true KR20190132083A (ko) 2019-11-27
KR102560768B1 KR102560768B1 (ko) 2023-07-27

Family

ID=6854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15A KR102560768B1 (ko) 2018-05-18 2018-05-18 정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38984B2 (ko)
KR (1) KR102560768B1 (ko)
WO (1) WO20192213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114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세스코 액체 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444B1 (ko) * 2019-04-23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USD973835S1 (en) * 2019-08-30 2022-12-27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973836S1 (en) * 2020-11-25 2022-12-27 Youngone Corporation Water purifier
USD977609S1 (en) * 2021-01-13 2023-02-07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1025287S1 (en) * 2021-09-08 2024-04-30 Ceragem Co., Ltd. Water purifier
USD1027531S1 (en) * 2021-09-29 2024-05-21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1027532S1 (en) * 2021-09-29 2024-05-21 Coway Co., Ltd. Water purif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98A (ko) * 2002-01-25 2002-03-29 이원식 분사노즐의 높낮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동력 분무기
KR20060107706A (ko) * 2005-04-11 2006-10-16 강선우 출몰식 급수장치
KR100939310B1 (ko) * 2009-08-18 2010-01-28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출수 각도와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정수기 및 이온수기용 출수 배관 구조
KR101818390B1 (ko)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5085B2 (en) * 2004-06-04 2008-11-25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KR102218018B1 (ko) * 2014-04-21 2021-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71284B1 (ko) *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98A (ko) * 2002-01-25 2002-03-29 이원식 분사노즐의 높낮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동력 분무기
KR20060107706A (ko) * 2005-04-11 2006-10-16 강선우 출몰식 급수장치
KR100939310B1 (ko) * 2009-08-18 2010-01-28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출수 각도와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정수기 및 이온수기용 출수 배관 구조
KR101818390B1 (ko)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114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세스코 액체 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1344A1 (en) 2019-11-21
US11738984B2 (en) 2023-08-29
KR102560768B1 (ko) 2023-07-27
US20210017009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083A (ko) 정수기
KR102095026B1 (ko) 정수기
KR101971284B1 (ko) 정수기
KR20180023790A (ko) 청소기
KR101948726B1 (ko) 정수기
KR102614610B1 (ko) 냉장고
US12096887B2 (en) Blender and container for blender
EP3231335A1 (en) Screw extrusion juicer
JP2010179107A (ja) 飲料注出のための装置
EP2392240B1 (en) Coffee machine
KR20190023954A (ko) 정수기
US9526131B2 (en) Microwave oven having hood
EP3137824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level of a shelf
IT201700001996A1 (it) Cappa e assieme di cappa e cucina perfezionata
KR20210125265A (ko)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KR102615046B1 (ko) 정수기
JP2017128953A (ja) 水栓装置および吐水ヘッド
JP2008011986A (ja) 遊技機
CN220571965U (zh) 一种进料机构
JP6416716B2 (ja) 自動水栓
KR102069174B1 (ko) 정수기
CN215686968U (zh) 烹饪器具
CN209935990U (zh) 一种针管自动切割机
CN216984572U (zh) 一种蒸制烹饪装置的排气结构及蒸箱
JP7117206B2 (ja) 吐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