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035A -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 Google Patents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035A
KR20190132035A KR1020180057213A KR20180057213A KR20190132035A KR 20190132035 A KR20190132035 A KR 20190132035A KR 1020180057213 A KR1020180057213 A KR 1020180057213A KR 20180057213 A KR20180057213 A KR 20180057213A KR 20190132035 A KR20190132035 A KR 20190132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s
test
test scenario
hos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905B1 (ko
Inventor
배현섭
오승욱
조민성
정연수
Original Assignee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9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n embedded system,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in mobile devices, printers,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METHOD ESTIMATING EFFECTIVENEESS BETWEEN A PLURALITY OF PARTITIONS OF CONTROLLING APPARATUS USING TEST SCENARIO OF HOST, HOST AND SYSTE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SAME}
본 발명은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의 가상화 환경에서 구현되는 복수의 파티션 간의 시스템 영향도를 별도의 호스트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서 복수의 파티션 간 영향도를 검증하기 위한,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는 정보(Information)와 오락 (Entertainment)의 합성어로 정보와 오디오 및 시각적인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 텔레메틱스(Telematics),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자율 주행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Vehicle Infotainment, IVI)은 단순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뛰어넘어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알려주거나 직접 차량을 제어하는 등 역할과 중요도가 크게 높아졌다.
차량 제어의 역할이 중요해짐과 동시에 차량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지게 되었고, 차량에 설치된 ECU의 개수가 상당수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ECU를 통합하여 통합된 ECU를 포함하는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을 기초로한 가상화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가상화 시스템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가상화 솔루션에 기반한 차량내 제어장치를 자동으로 테스트하여,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으로도 별개의 파티션 간에 독립성이 보장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한 프로세스의 프로세서 사용률,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한 데이터의 메모리 사용률,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실행 대기 중인 프로세스의 평균 개수를 나타내는 평균로드량(Load Average), 또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각 파티션 Guest OS 별로 성능 및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에 소정의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1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의 Guest OS 또는 Guest OS상에 동작하는 App이 불능(crash)이 된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2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의 메모리 할당이 변경된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3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 자체가 재부팅된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4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용량을 변경시킨 변경된 데이터 통신 용량에 따른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 률을 도출하기 위한 제5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 측정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나타내는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는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테스트 시나리오 생성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는 모니터링 결과 비교부, 및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나타내는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 보고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호스트 및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제어장치 내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화 환경에서 하나의 파티션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타 파티션에 영향을 끼친 정도를 수치화한 영향도 측정이 선행됨으로서,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으로 분할된 각 파티션들간의 독립성(isolation)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파티션 모니터링 과정을 통해 파티션 마다 에러 검출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 시나리오 구동으로 자동 테스트 수행 및 해당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파티션 상에서 동작하는 제어장치 및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를 포함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파티션 상에서 동작하는 제어장치 및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상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다양한 종류의 테스트 시나리오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테스트 수행창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테스트 수행 결과창을 나타낸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1)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2)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파티션 상에서 동작하는 제어장치(2) 및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2)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1)를 포함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1)는 입력부(10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출력부(140), 및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1)는 실시예에 따라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경로가 되는 것으로, 키보드, 마우스, 포인팅 장치,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00), 메모리부(130), 출력부(140)와 연동되어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2)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1)를 제어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테스트 시나리오 생성부(121), 모니터링 결과 비교부(122), 및 결과 보고서 생성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도 내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후술한다.
메모리부(130)는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2)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1)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30)는 호스트(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터치스크린, 모니터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120)를 통해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호스트(1) 및 통신부(2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경우, 이더넷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장치(2)는 멀티코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코어별로 파티션을 이용하여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을 분할한 가상화솔루션에 기반해 구현될 수 있다. 가상화솔루션에 의해 분할된 각 파티션별로 각기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싱글코어에서도 구현 가능하며,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각 파티션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가상화솔루션 기반 시스템에서 중요한 것은,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으로 분할된 각 파티션들간의 독립성(isolation)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각 파티션들간의 간섭, 에러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파티션들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는지, 하나의 파티션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타 파티션에 영향을 끼친 정도를 수치화한 영향도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제어장치(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상화솔루션에 기반한 논리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티션으로 구동되는 임의의 전자디바이스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서버,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 등의 구체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2)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Vehicle Infotainment, IVI)에 기반하여 차량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파티션 상에서 동작하는 제어장치(2)는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PU, 200) 및 통신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 (MPU, 200)은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SoC(system on chip, SoC)상에서 통합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 (MPU, 200)은 메모리(202)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1)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1)는 하나의 서비스프로세서(201b)와 복수의 시스템프로세서(201a)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프로세서(201a)는 각 파티션에 포함된 운영체제(GuestOS1, GuestOS2, GuestOS3) 및 어플리케이션(APP1, APP2, 또는 태스크들)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서비스프로세서(201b)는 시스템 초기 프로그램 로드를 관리하는 펌웨어 코드를 구동하고, 하드웨어 시스템을 모니터하고 진단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02)는 하나 또는 이상의 데이터 레벨, 명령 및/또는 조합 캐시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202)는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논리적 파티션(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파티션을 3개로 분할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4개, 5개 등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각 논리적 파티션은 정적 및 또는 동적으로 할당된 제어장치(2)내의 유효한 자원의 부분이다. 예컨대, 각 논리적 파티션은, 유효한 메모리(202) 공간의 부분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이상의 프로세서(201) 및/또는 하나 또는 이상의 하드웨어 스레드에 할당될 수 있다. 논리적 파티션은, 프로세서(201)와 같은 특정한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으며, 소정의 프로세서(201)가 하나 이상의 논리적 파티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하드웨어 자원은 한번에 오직 하나의 논리적 파티션에 할당될 수 있다.
각 논리적 파티션은 개별적 또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에서 실행되므로, 개별적인 어플리케이션 구동과 개별적인 운영체제 구동이 가능하다.
논리적 파티션이 분리된 물리적 머신 상에 있는 것처럼, 논리적 파티션들이 서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더넷 프로토콜(Ethernet protocol)과 같은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통해 논리적 파티션 간의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로토콜 이외의 통신 방법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호스트(1)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PU, 200)와 연결되어 이들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통신부(210)는 이더넷 프로토콜(Ethernet protocol)을 통해 호스트(1)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PU, 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파티션 상에서 동작하는 제어장치(2) 및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2)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1) 상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1)의 테스트 시나리오 생성부(121)는 제어장치(2)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한다(S210).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호스트(1)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수행하기 위해, 제어장치(2)의 운영체제에 상응하여 테스트를 실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App1)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테스트 시나리오 및/또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App1)은 C/C++, JAVA 등의 코드로 작성될 수 있다.
테스트 시나리오는 테스트 데이터 및 테스트 스크립트로 구성된 테스트 케이스들의 집합이다. 테스트 데이터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App1)에 포함된 변수의 자료형 별로 테스트할 값의 범위를 지정한 변수 자료형 정보 및 변수 자료형 정보와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API에 포함된 함수의 변수 별로 테스트할 값의 범위를 지정한 API 변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스크립트는 API에 포함된 함수에 대한 호출 순서와 호출들간의 관계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데이터와 테스트 스크립트는 조합되어 복수의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들을 생성할 수 있고, 하나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복수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시나리오는 도 3의 각 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호스트(1)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시나리오 전송은 이더넷 통신에 기반할 수 있다. 제어장치(2)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복수의 논리적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S22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테스트 시나리오인 스트레스 테스트 수행 과정에 대한 참조도면이다. 도 4는 테스트 수행창(400)을 도시하고 있으며, 테스트 수행창(400)에는 각 테스트 시나리오의 종류가 탭 형태(410)로 선택될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으며, 플레이와 종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플레이 버튼이 선택시 도 4c와 같이 테스트가 수행되며 로그 데이터가 형성된다. 테스트 수행을 완료한 제어장치(2)는 각 파티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230).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는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한 프로세스의 프로세서(201) 사용률,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한 데이터의 메모리(202) 사용률,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실행 대기 중인 프로세스의 평균 개수를 나타내는 평균로드량(Load Average), 또는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종류의 모니터링 결과도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는 실시간 자동 생성되며, 실시간 생성된 모니터링 결과는 호스트(1)로 실시간 자동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후, 테스트 수행이 완료된 이후 자동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모니터링 결과 정보는 호스트(1)에서 결과 보고서에 도 5와 같은 그래프 정보로 표현된 자료로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테스트 시나리오인 스트레스 테스트로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 3a 및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1 테스트 시나리오는 파티션-1의 부하가 다른 파티션-2 및 파티션-3에 미치는 영향도를 검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제1 테스트 시나리오가 구현되기 위한 각각의 파티션은 별개의 다른 운영체제로 구현되며, 파티션-1은 부하를 발생시키기 위한 테스트 애플리케이션(Test App) 및 상기 Test App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 적용으로 테스트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인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2는 파티션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파티션-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단위가 아닌 소정의 작업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이 3개로 분할 생성되거나, 각 파티션의 운영체제가 모두 상이하게 구현된 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파티션의 분할 생성 개수 및 파티션간 운영체제의 동일 여부는 가상화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 구조 하에서, 제1 테스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테스트 시나리오>
호스트(1)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수행 명령을 기반으로,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부하가 가해진 파티션-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2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 ->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부하를 발생시키 위한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을 이용하여 파티션-1에 부하를 발생시킴(부하 발생 Test App는 1개 이상 사용 가능하며 이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테스트 수행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 파티션-2의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3의 데이터 통신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 변화 정도 확인 -> 파티션-1의 모니터링 결과와 파티션-2의 모니터링 결과가 각각 호스트(1)로 전송.
이러한 제1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수행 후 모니터링 결과는 결과보고서에 각각의 파티션의 영향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과 보고서에 도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5a는 파티션-1의 부하가 파티션-2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경우의 결과 그래프이고, 도 5b는 파티션-1의 부하가 파티션-2에 영향을 미친 경우의 결과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와 같이, 스트레스(stress1, stress2, stress3)가 가해진 구간 동안의 파티션-1의 CPU가용률, 메모리 사용률,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실행 대기 중인 프로세스의 평균 개수를 나타내는 평균로드량(Load Average), IPC 전송률은 소정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으나, 이에 반해 파티션-2는 상기 구간 동안에도 파티션-1과 다르게 CPU가용률, 메모리 사용률,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실행 대기 중인 프로세스의 평균 개수를 나타내는 평균로드량(Load Average), IPC 전송률이 거의 동일한 기록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IPC 전송률에도 거의 변화가 없다. 한편, 도 5b와 같이 스트레스(stress1, stress2, stress3)가 가해진 구간 동안의 파티션-1의 CPU가용률, 메모리 사용률, 평균로드량, IPC 전송률은 소정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파티션-2 역시 상기 구간 동안에 CPU가용률, 메모리 사용률, 평균로드량, IPC 전송률 측면에서 파티션-1과 거의 유사한 기록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으므로, IPC 전송률에도 소정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제2 테스트 시나리오인 파티션 불능 테스트로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 3b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2 테스트 시나리오는 파티션-1의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 1) 가 불능(crash)이 된 상태에서 다른 파티션-2 및 파티션-3에 미치는 영향도를 검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특히, 파티션-1의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1)가 불능이 된 경우, 다른 파티션이 영향을 받는지를 검사한다. 제2 테스트 시나리오가 구현되기 위한 각각의 파티션은 별개의 다른 운영체제로 구현 될 수 있으며, 파티션-1은 테스트 시나리오 적용으로 테스트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인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2는 파티션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파티션-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단위가 아닌 소정의 작업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이 3개로 분할 생성되거나, 각 파티션의 운영체제가 모두 상이하게 구현된 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파티션의 분할 생성 개수 및 파티션간 운영체제의 동일 여부는 가상화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 구조 하에서, 제2 테스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2 테스트 시나리오>
호스트(1)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수행 명령을 기반으로,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커널 모듈을 이용해 운영체제(Guest OS1)에 불능이 가해진 파티션-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2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 -> 파티션-1이 불능이 되면 파티션-2의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파티션-1을 리부팅 시킴 ->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파티션-1 상태 모니터링 및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파티션-2의 상태 모니터링 재시작하여 각각의 모니터링 결과가 호스트(1)로 전송 (이 때, 각 단계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제2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수행 후 모니터링 결과는 각각의 파티션의 영향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과 보고서에 도 5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테스트 시나리오인 파티션 불능 테스트로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는 또 다른 과정을 도 3c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도 3c에 따른 제2 테스트 시나리오는 파티션-1이 불능(crash)이 된 상태에서 다른 파티션-2 및 파티션-3에 미치는 영향도를 검사하기 위한 또 다른 알고리즘이다. 특히, 파티션-1의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1)상의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이 불능이 된 경우, 다른 파티션이 영향을 받는지를 검사한다. 제2 테스트 시나리오가 구현되기 위한 각각의 파티션은 별개의 다른 운영체제로 구현되며, 파티션-1은 테스트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Test App) 및 Test App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 적용으로 테스트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인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2는 파티션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파티션-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단위가 아닌 소정의 작업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이 3개로 분할 생성되거나, 각 파티션의 운영체제가 모두 상이하게 구현된 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파티션의 분할 생성 개수 및 파티션간 운영체제의 동일 여부는 가상화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 구조 하에서, 도 3c에 따른 제2 테스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2 테스트 시나리오>
호스트(1)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수행 명령을 기반으로,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 1)상에 수행중인 애플리케이션(Test App)이 불능이 된 파티션-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2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 -> 파티션-2의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3의 데이터 통신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 변화 정도 확인 -> 파티션-1의 모니터링 결과와 파티션-2의 모니터링 결과가 각각 호스트(1)로 전송.
(이 때, 각 단계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제2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수행 후 모니터링 결과는 각각의 파티션의 영향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과 보고서에 도 5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테스트 시나리오인 파티션의 메모리 할당 변경 테스트로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는 또 다른 과정을 도 3d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도 3d에 따른 제3 테스트 시나리오는 파티션-1의 메모리 할당이 변경 된 상태에서 다른 파티션-2 및 파티션-3에 미치는 영향도를 검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특히, 파티션-1의 게스트 운영체제(Guest OS1)에서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에 할당이 가능할 때까지 메모리(202)를 최대로 할당한 경우, 다른 파티션이 영향을 받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제3 테스트 시나리오가 구현되기 위한 각각의 파티션은 별개의 다른 운영체제로 구현되며, 파티션-1은 테스트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Test App) 및 Test App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 적용으로 테스트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인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2는 파티션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파티션-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단위가 아닌 소정의 작업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이 3개로 분할 생성되거나, 각 파티션의 운영체제가 모두 상이하게 구현된 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파티션의 분할 생성 개수 및 파티션간 운영체제의 동일 여부는 가상화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 구조 하에서, 도 3d에 따른 제3 테스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3 테스트 시나리오>
호스트(1)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수행 명령을 기반으로,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메모리 할당이 변경된 파티션-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2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 -> 파티션-1의 모니터링 결과와 파티션-2의 모니터링 결과(메모리 사이즈의 변화 확인 결과)가 각각 호스트(1)로 전송. (이 때, 각 단계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제3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수행 후 모니터링 결과는 각각의 파티션의 영향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과 보고서에 도 5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4 테스트 시나리오인 파티션의 리부팅 테스트로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는 또 다른 과정을 도 3e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도 3e에 따른 제4 테스트 시나리오는 파티션-2가 파티션-3을 불능(crash)으로 만든 상태에서 파티션-1에 미치는 영향도를 검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제4 테스트 시나리오가 구현되기 위한 각각의 파티션은 별개의 다른 운영체제로 구현되며, 파티션-1은 테스트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Test App) 및 Test App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 적용으로 테스트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인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2는 파티션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파티션-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단위가 아닌 소정의 작업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이 3개로 분할 생성되거나, 각 파티션의 운영체제가 모두 상이하게 구현된 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파티션의 분할 생성 개수 및 파티션간 운영체제의 동일 여부는 가상화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 구조 하에서, 도 3e에 따른 제4 테스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4 테스트 시나리오>
호스트(1)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수행 명령을 기반으로, (a) 파티션-2가 파티션-3을 불능(crash)으로 만든 상태에서 파티션-1에 미치는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해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파티션-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2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 -> (b)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부하를 발생시키 위한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을 이용하여 파티션-1에 부하를 발생시킴(부하 발생 Test App는 1개 이상 사용 가능하며 이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테스트 수행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 (c) 하이퍼바이저에 파티션-3에 대한 리부트 요청(하이퍼바이저에서 제공하는 파티션 리부트 관련 시스템 콜 호출) -> (d) (b) 과정 반복 수행 -> (e) 파티션-1의 모니터링 결과와 파티션-2의 모니터링 결과가 각각 호스트(1)로 전송.
이러한 제4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수행 후 모니터링 결과는 각각의 파티션의 영향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과 보고서에 도 5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5 테스트 시나리오인 IPC를 변경하여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 3f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5 테스트 시나리오는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용량을 변경시킨 변경된 데이터 통신 용량에 따른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 을 검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제5 테스트 시나리오가 구현되기 위한 각각의 파티션은 별개의 다른 운영체제로 구현되며, 파티션-1은 테스트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Test App) 및 상기 Test App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 적용으로 테스트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인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2는 파티션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파티션-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단위가 아닌 소정의 작업 단위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이 3개로 분할 생성되거나, 각 파티션의 운영체제가 모두 상이하게 구현된 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파티션의 분할 생성 개수 및 파티션간 운영체제의 동일 여부는 가상화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 구조 하에서, 제5 테스트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5 테스트 시나리오>
호스트(1)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수행 명령을 기반으로,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파티션-1에서 파티션-2로 점차 데이터 통신 용량을 증가시켜가면서 버퍼의 크기를 늘려 파티션-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파티션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파티션-2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 -> 파티션- 1과 파티션-2 사이의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 변화 속도 확인 -> 파티션-1의 모니터링 결과와 파티션-2의 모니터링 결과가 각각 호스트(1)로 전송. (이 때, 각 단계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제5 테스트 시나리오에서는 점차 데이터 통신 용량을 증가시켜가면서 파티션 상태를 모니터링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점차 데이터 통신 용량을 감소시켜가면서 파티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5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테스트 수행 후 모니터링 결과는 각각의 파티션의 영향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과 보고서에 도 5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1 내지 5 테스트 시나리오 알고리즘을 통해 테스트 수행을 완료한 제어장치(2)가 상기와 같은 각 파티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생성하면, 제어장치(2)는 해당 정보를 호스트(1)로 전송하고, 호스트(1)는 이를 수신하여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할 수 있다(S240). 호스트(1)의 모니터링 결과 비교부(122)는 모니터링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는 실시간 생성되어 전송되며, 이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 비교도 실시간 자동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이 제약되어 실시간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장치(2)의 내부 메모리 상 저장 및 테스트 완료 후에 다운로드 받아 실시간과 동일하게 보고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소정의 임계값은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입력된 값일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비교부(122)는 모니터링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영향있음' 상태로 판단하여(S241), 해당 결과를 결과 보고서 생성부(123)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모니터링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영향없음' 상태로 판단하여(S242), 해당 결과를 결과 보고서 생성부(123)로 전송할 수 있다(S250). 한편, 실시예에 따라, 테스트 수행 이후의 모니터링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테스트 수행 이전의 각 모니터링 대상에 대한 기본변화량의 평균을 초과하는 경우, '영향있음'상태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경우, 파티션-2의 프로세서 사용률(CPU 가용률: 4)이 소정의 임계값(예를 들어 '6')을 초과하지 않고, 테스트 수행 이전의 파티션-2의 프로세서 사용률(CPU 가용률)의 기본변화량의 평균인 '5' 범위 안에 들어와 '영향없음' 상태로 보고되지만, 실시예에 따라 테스트 수행 이전의 파티션-2의 프로세서 사용률(CPU 가용률)의 기본변화량의 평균이 '3'으로 설정된 경우, 소정의 임계값('6') 범위안에 있더라도 '영향있음' 상태로 보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향도 평가는 1) 각 모니터링 대상에 대한 최초 영향도 평가 수행 및 2) 각 최초 영향도 평가 결과에 가중치를 계산하여 획득된 최종 영향도 평가 수행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 모니터링 대상에 대해 '영향있음' 상태와 '영향없음' 상태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각 해당 결과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하여 최종 영향도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미도시)
결과 보고서 생성부(123)는 S230단계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결과를 도 5와 같은 그래프로 생성하고, S240단계 내지 S242단계에서 생성된 영향도 평가 결과(영향있음 또는 영향없음)를 도 6b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기록하여 도 6a와 같은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형태로 기록된 영향도 평과 결과는 각 테스트 시나리오의 종류와 각 모니터링 결과 비교 대상 항목을 기준으로 영향 있음 정보와 영향 없음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도 6a의 결과 보고서에는 도 6b의 영향도 평가 결과가 반영되어 있지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결과 보고서는 영향도 평가 결과 테이블을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결과 보고서는 MS-WORD, HWP 한글문서, PDF 등의 포맷으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된 결과 보고서는 출력부(140)상에 결과창(600)으로 출력될 수 있다(S260). 결과창(600)에는 시나리오 절차(610), 함수 테이블(620), 모니터링 결과 그래프(630)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a는 스트레스 테스트인 제1 테스트 시나리오가 수행되었을 경우의 결과 보고서로, 시나리오 절차(610)는 제1 테스트 시나리오의 수행 내용,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 수행 테이블(620)은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 의 종류,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 수행 시작 시각, 테스트 어플리케이션(Test App) 수행 종료 시각 등의 정보, 모니터링 결과 그래프(630)는 도 5에 도시한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테스트 시나리오 1 내지 5 별로 테스트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 형태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한 프로세스의 프로세서 사용률,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한 데이터의 메모리 사용률,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실행 대기 중인 프로세스의 평균 개수를 나타내는 평균로드량(Load Average), 또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을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에 소정의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1시나리오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이 불능(crash)이 된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2시나리오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의 메모리 할당이 변경된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3시나리오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이 재부팅된 상태에서 나머지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생성되기 위한 제4시나리오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 률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 용량을 변경시킨 변경된 데이터 통신 용량에 따른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간의 데이터 통신IPC(InterPartitionCommunication)률을 도출하기 위한 제5시나리오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 측정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나타내는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테스트 시나리오 생성부;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는 모니터링 결과 비교부; 및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나타내는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 보고서 생성부;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호스트.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테스트 시나리오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호스트; 및
    상기 테스트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수행으로 생성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는,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180057213A 2018-05-18 2018-05-18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KR10209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13A KR102098905B1 (ko) 2018-05-18 2018-05-18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213A KR102098905B1 (ko) 2018-05-18 2018-05-18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035A true KR20190132035A (ko) 2019-11-27
KR102098905B1 KR102098905B1 (ko) 2020-04-09

Family

ID=6873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213A KR102098905B1 (ko) 2018-05-18 2018-05-18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9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8599A (zh) * 2020-09-16 2020-12-29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性能压测方法、装置及设备
CN116705129A (zh) * 2023-05-08 2023-09-05 深圳市晶存科技有限公司 固态硬盘的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847A (ko) * 2005-10-04 2007-04-09 엘지노텔 주식회사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KR20100128005A (ko) * 2009-05-27 2010-12-07 주식회사 카네스 차량 전자 시스템 자동 평가 장치
KR20150117634A (ko) * 2013-02-14 2015-10-20 마린 사이버네틱스 에이에스 해양 설비 또는 선박의 2개 이상의 제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상호연동을 테스팅하기 위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2182A (ko) * 2015-06-29 2017-02-02 시아오미 아이엔씨. 마스터 mcu를 깨우는 회로,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847A (ko) * 2005-10-04 2007-04-09 엘지노텔 주식회사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KR20100128005A (ko) * 2009-05-27 2010-12-07 주식회사 카네스 차량 전자 시스템 자동 평가 장치
KR20150117634A (ko) * 2013-02-14 2015-10-20 마린 사이버네틱스 에이에스 해양 설비 또는 선박의 2개 이상의 제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상호연동을 테스팅하기 위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2182A (ko) * 2015-06-29 2017-02-02 시아오미 아이엔씨. 마스터 mcu를 깨우는 회로, 방법 및 디바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한상현 외 2, 혼합 파티셔닝의 효율적 지원을 위한 파티션 스케쥴링 기법, 정보과학회논문지(2013.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8599A (zh) * 2020-09-16 2020-12-29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性能压测方法、装置及设备
CN116705129A (zh) * 2023-05-08 2023-09-05 深圳市晶存科技有限公司 固态硬盘的测试方法
CN116705129B (zh) * 2023-05-08 2024-05-07 深圳市晶存科技有限公司 固态硬盘的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905B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8609B2 (en) Health monitoring of applications in a guest partition
US8683440B2 (en) Performing dynamic software testing based on test result information retrieved in runtime using test result entity
US10203974B2 (en) Probe insertion via background virtual machine
US797120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assigning a physical device from one virtual machine to another
KR101438990B1 (ko) 시스템 테스트 방법
US10963267B2 (en) Bootstrapping profile-guided compilation and verification
US11924117B2 (en) Automated local scaling of compute instances
US201502204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ystem agnostic hardware validation
US9619288B2 (en) Deploying software in a multi-instance node
CN109324962B (zh) 一种基于云物联技术的应用程序的测试方法及设备
US20140068341A1 (en) Introspection of software program components and conditional generation of memory dump
KR102098905B1 (ko)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US10725839B2 (en) Helping a hardware accelerator using software
US20130097412A1 (en) Performing A Boot Sequence In A Multi-Processor System
EP3077910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optimize platform simulation resource consumption
CN113703913B (zh) 设备测试方法及装置
US7539839B1 (en) Method to test error recovery with selective memory allocation error injection
US11567751B2 (en) Providing system updates in automotive contexts
US116046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le flow measurement and control
US11995471B2 (en) Resource integration system and resource integration method
CN111522692B (zh) 一种基于虚拟机的多操作系统输入及输出设备冗余保障系统
US20220050721A1 (en) Resource integration system and resource integration method
EP4187380A1 (en) Translating intermediate code to provide machine code by selecting suitable translation options
US10102094B2 (en) Simulating legacy bus behavior for backwards compatibility
KR20240009786A (ko)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os 가상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