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847A -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847A
KR20070037847A KR1020050092938A KR20050092938A KR20070037847A KR 20070037847 A KR20070037847 A KR 20070037847A KR 1020050092938 A KR1020050092938 A KR 1020050092938A KR 20050092938 A KR20050092938 A KR 20050092938A KR 20070037847 A KR20070037847 A KR 2007003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pc
state
processing module
asc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수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7847A/ko
Publication of KR2007003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를 신속히 진단하여 해당 장애가 발생된 IPC를 복구하도록 한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ASCFA(ATM Subscriber Controller Front Board Assembly) 내의 칩의 상태를 검출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칩 오류 처리 모듈과; 상기 ASCFA 내의 IPC 통신 수행 중인 링크가 활성 링크인지의 여부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여 링크 상태를 진단하는 링크 상태 처리 모듈과; 대기모드 측의 ASCFA와 ASCRA(ATM Subscriber Controller Rear Board Assembly)의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보드 실탈장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 구성 처리 모듈과; 상기 ASCFA 내의 IPC 링크의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링크 실탈장 상태를 진단하는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칩 오류 처리 모듈, 링크 상태 처리 모듈, 장치 구성 처리 모듈 및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에서 진단한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ASCFA의 보드 절체 여부를 결정하는 보드 상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기존의 IPC 장애 시에 발생했던 운용자에 의한 장애 복구 행위 완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공 중인 서비스에도 장애를 가져오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의 서비스 유효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and Repairing an IPC}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장애(Failure) 진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칩 오류 처리 모듈(Chip Fault Handler Module)
22: 링크 상태 처리 모듈(Link Status Handler Module)
23: 장치 구성 처리 모듈(Unit Config Handler Module)
24: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Cable Equip Handler Module)
25: 보드 상태 처리 모듈(Board State Handler Module)
본 발명은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IPC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를 신속히 진단하여 해당 장애가 발생된 IPC를 복구하도록 한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WCDMA(Wideband Code-Division Multiple-Access)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서 이중화로 구성된 프로세스간 통신(즉, IPC) 채널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해당 발생된 장애를 운용자 인터페이스(즉, MMI(Man Machine Interface))로 통보만 수행함으로써, 운용자가 직접 물리적인 행위를 수행하여 해당 발생된 장애를 해결해야만 하였다.
다시 말해서, 운용중인 IPC 채널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MP(Main Processor) 내의 소프트웨어 블록에서는 해당 발생된 장애를 감지한 후에 이를 MMI로 통보하며, 이에 운용자가 보드/링크 실탈장 및 교체 등을 수행하여 직접 장애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IPC 채널에 발생되는 장애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MP에서는 주기적으로 활성화 상태 메시지(Keep-alive Message)를 생성시켜 ASCFA(ATM Subscriber Controller Front Board Assembly)로 송신하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Ack Message)를 해당 ASCFA로부터 수신했는지의 여부로 상기 IPC 채널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해당 활성화 상태 메시지는 상기 MP와 ASCFA 사이 에서 주고받는 메시지로서, IPC 연결의 활성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그러면, 종래 기술에서의 IPC 장애 진단을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상태 메시지를 생성시켜 송신하는 MP(11)와, 해당 MP(11)로부터 활성화 상태 메시지를 수신받아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해당 MP(11)로 송신하는 ASCFA(12)와, 해당 MP(11)의 제어에 따라 IPC 장애를 운용자에게 통보하는 MMI(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MP(11)에서 상기 ASCFA(12)로의 활성화 상태 메시지를 통해 IPC가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때 상기 MP(11)는 상기(ASCFA(12)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즉 상기 MP(11)에서 상기 ASCFA(12) 방향으로 활성화 상태 메시지를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상기 ASCFA(12)에서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다시 상기 MP(11)로 송신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MMI(13)로 장애를 통보하게 되며, 이에 MMI 창을 통하여 운용자에게 통보되어진다. 이에 따라, 운용자는 직접 조치를 취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IPC 장애가 발생했을 때에 MMI로 통보만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운용자가 장애에 대한 복구 행위를 신속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막대한 운용상의 손실을 초래할 소지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IPC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모든 제어 메시지가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정상적인 서비스가 불가능하게 되는데, 즉 IPC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시스템은 물론이고 이에 관련된 시스템의 제어 메시지 통신에 지장을 초래하여 서비스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시스템 운용자들이 IPC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서 직접 물리적인 환경이나, 설정 및 상태를 점검하며, 그 원인 파악을 정확히 하지 못한 상태에서 조치를 취하여 IPC 장애 해결을 시도하게 되며, 결국에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많은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IPC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를 신속히 진단하여 해당 장애가 발생된 IPC를 복구하도록 한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CDMA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중화로 구성된 IPC가 두절된 위급(Critical)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시스템 내부적으로 진단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IPC 장애를 자동적으로 복구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IPC 장애 시에 발생했던 운용자에 의한 장애 복구 행위 완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공 중인 서비스에도 장애를 가져오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CDMA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중화로 구성된 IPC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이중화의 절체 동작을 통해서 시스템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새로운 링크를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서비스 유효성(Availability)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 장치는 ASCFA 내의 칩의 상태를 검출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칩 오류 처리 모듈과; 상기 ASCFA 내의 IPC 통신 수행 중인 링크가 활성 링크인지의 여부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여 링크 상태를 진단하는 링크 상태 처리 모듈과; 대기모드 측의 ASCFA와 ASCRA(ATM Subscriber Controller Rear Board Assembly)의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보드 실탈장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 구성 처리 모듈과; 상기 ASCFA 내의 IPC 링크의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링크 실탈장 상태를 진단하는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 장치는 상기 칩 오류 처리 모듈, 링크 상태 처리 모듈, 장치 구성 처리 모듈 및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에서 진단한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ASCFA의 보드 절체 여부를 결정하는 보드 상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 방법은 ASCFA 내의 IPC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각 이벤트 처리 모듈에서 해당 ASCFA 내의 칩의 상태, IPC 통신 중인 링크 상태, 보드 실탈장 상태 및 링크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IPC 장애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상태 및 링크 실탈장 상태의 검출 결과로 IPC 링크 절체가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IPC 링크 절체가 가능한 경우에 ASCFA 내의 이중화된 두 개의 링크 중에서 IPC 통신 중인 활성 링크를 대기 링크로 절체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 방법은 상기 활성 링크를 대기 링크로 절체한 후에, 상기 ASCFA 내의 칩의 상태, IPC 통신 중인 링크 상태, 보드 실탈장 상태 및 링크 실탈장 상태를 다시 검출하여 상기 IPC 장애가 해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IPC 링크 절체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상기 IPC 장애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ASCFA의 보드 절체를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WCDMA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의 내부 제어 메시지 연결 구간에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멀티플렉서(Multiplexer)/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의 ATM 스위치 인터페이스 링크(Switch Interface Link) 또는 포트(Port)의 이중화 기능에 관련된 것으로서, WCDMA 코어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스하는 각 종단 블록들과 외부 시스템 사이의 링크 이중화 기능을 시스템 내부의 AT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와 ATM 스위칭 블록의 조합에도 확장하여 적용한 것인데, 각 셀프(Shelf)를 ATM 스위치와 연결하여 시스템 전체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ATM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가 이중화된 링크들 중 한쪽 링크를 선택하여 제어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때 만약에 해당 링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자신이 알고 있는 이중화된 대기 링크(Standby Link)로 해당 제어 메시지 데이터를 순간적으로 절체시켜 주며, 그런 후에 해당 절체 동작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장애를 복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이중화된 다른 보드(Board)로 보드 절체 및 링크 절체를 병행하여 수행함으로써, 제어 메시지를 전송 하고 수신할 수 있는 새로운 링크를 확보하여 시스템의 서비스 유효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해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은 IPC의 장애 여부를 세분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4 가지 모듈, 즉 칩 오류 처리 모듈(Chip Fault Handler Module), 링크 상태 처리 모듈(Link Status Handler Module), 장치 구성 처리 모듈(Unit Config Handler Module) 및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Cable Equip Handler Module)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해당 IPC 장애를 복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링크 절체와 보드 절체를 사용하는데, 이때 해당 보드 절체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4 가지 모듈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보드 상태 처리 모듈(Board State Handler Module)을 추가로 사용하여 IPC 장애를 진단 및 복구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를 위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오류 처리 모듈(21)과, 링크 상태 처리 모듈(22)과, 장치 구성 처리 모듈(23)과,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24)과,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을 포함하여 ATM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 이중화 자동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ATM 스위치 링크 인터페이스 이중화 자동 제어 기능은 ASCFA 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인 ACIF(ATM Subscriber Interface)로 유입되는 이벤트 세트(Event Set)들에 대한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의 형태로 동작하게 되며, 해당 ACIF 내부에서의 이벤트 흐름의 처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해당 칩 오류 처리 모듈(21)과, 링크 상태 처리 모듈(22)과, 장치 구성 처리 모듈(23)과,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24)은 이벤트 처리 모듈로서 서로 각각 독립적이며, 해당 4 가지 이벤트 처리 모듈들(21 ~ 24)을 해당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에서 종합하여 최종 ASCFA 보드 절체 판단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해당 ASCFA 보드 절체가 필요 없이 IPC 활성 링크의 절체만으로 IPC 장애 복구가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각 이벤트 처리 모듈(21 ~ 24)에서 수행되는 선에서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진단 및 복구 기능을 종료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칩 오류 처리 모듈(21)은 ASCFA 내의 주요 칩인 'APC/RCMP/VITESSE' 칩의 상태를 다루는 모듈로서, ASCFA 내의 APC 칩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로컬 APC 장애 검출 이벤트(Local APC Failure Detect Event), ASCFA 내의 RCMP 칩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로컬 RCMP 장애 검출 이벤트(Local RCMP Failure Detect Event) 등을 검출하여 ASCFA 내의 주요 칩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며, 이를 상기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에 통보해 준다.
상기 링크 상태 처리 모듈(22)은 ASCFA 내의 IPC 통신 수행 중인 링크가 활성 링크(Active Link)인지 아니면 대기 링크인지의 여부에 대한 상태를 다루는 모듈로서, 다수 개의 ASCFA에서 각각 자기 자신으로의 루프 백 결과가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루프 백 결과 장애 이벤트(Loop Back Result Failure Event), 임의의 한 ASCFA에서 임의의 다른 ASCFA로의 통보 메시지(Broadcasting Message)를 주어진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통보 메시지 수신 타임아웃 이벤트 (Advertising Message Receive Time-out Event), 임의의 한 ASCFA에서 임의의 다른 ASCFA로 통보 메시지의 송신을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통보 메시지 송신 장애 이벤트(Advertising Message Transfer Failure Event), 임의의 한 ASCFA로부터 동작중인 IPC 링크 정보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마스터 동작 이벤트, ASCRA 내의 VSC 칩의 송신 라인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VSC 송신 장애 이벤트(VSC Transfer Abnormal Event), ASCRA 내의 VSC 칩의 수신 라인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VSC 수신 장애 이벤트(VSC Receive Abnormal Event) 등을 검출하여 활성 링크인지의 여부에 대한 상태를 인식하며, 이를 상기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에 통보해 준다.
여기서, 해당 하나의 ASCFA에는 두 개의 링크가 존재하는데, 동작 중에는 하나의 링크만 선택되어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해당 링크를 활성 링크라고 한다.
상기 장치 구성 처리 모듈(23)은 대기모드 측의 전면 보드(Front Assembly)인 ASCFA와 후면 보드(Rear Assembly)인 ASCRA(ATM Subscriber Controller Rear Board Assembly)의 실탈장 상태를 다루는 모듈로서, 대기모드 측의 ASCFA가 탈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전면 보드 탈장 이벤트(RMT FA Extraction Event), 대기모드 측의 ASCRA가 탈장되었음을 나타내는 후면 보드 탈장 이벤트(RMT RA Extraction Event) 등을 검출하여 원격 측 보드(Far Side Board)의 전면 보드 또는 후면 보드의 실탈장 상태를 인식하며, 이를 상기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에 통보해 준다.
상기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24)은 ASCFA 내의 IPC 케이블(또는 링크)의 실탈장 상태를 다루는 모듈로서, IPC 케이블이 탈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스위치 케이블 탈장 이벤트(Switch Cable Extraction Event), IPC 케이블이 실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스위치 케이블 실장 이벤트(Switch Cable Insertion Event) 등을 검출하여 IPC 케이블의 실탈장 상태를 인식하며, 이를 상기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에 통보해 준다.
상기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은 상기 4 가지 이벤트 처리 모듈들(21 ~ 24)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ASCFA의 보드 절체 여부를 결정하는 모듈로서, 상기 모든 이벤트 처리 모듈들(21 ~ 24)로부터 인가되는 IPC 장애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ASCFA 보드 절체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C 진단 및 복구 방법을 도 3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발생된 특정 이벤트는 이벤트 처리 모듈들, 즉 칩 오류 처리 모듈(21), 링크 상태 처리 모듈(22), 장치 구성 처리 모듈(23) 및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24)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모듈에 변화를 야기시켜 주게 된다.
첫 번째, 로컬 APC 장애 검출 이벤트는 ASCFA 내의 APC 칩의 동작 상태 및 해당 APC 칩의 주변 장치(Peripheral) 부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이다.
두 번째, 로컬 RCMP 장애 검출 이벤트는 ASCFA 내의 RCMP 칩의 동작 상태 및 해당 RCMP의 주변 장치 부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이다.
세 번째, 루프 백 결과 장애 이벤트는 ASCFA 자체적으로 TGSFA(즉, 스위치 보드) 방향으로의 루프 백 셀(Loop Back Cell)을 발생시켜 되돌아온 셀을 검사하여, ASCFA에서 스위치 보드로, 그리고 스위치 보드에서 ASCFA로의 물리적 링크 동작 상태를 점검하는 동작 수행 중에 있어서, 루프 백 셀이 깨졌거나 빠진 경우(Corruption Case), 루프 백 셀 패턴(Pattern)이 들어오지 않은 경우(Time-out Case) 등의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에 생성되는 이벤트이다.
네 번째, 통보 메시지 수신 타임아웃 이벤트는 IPC 게이트웨이(Gateway)인 임의의 한 ASCFA에서 송신하는 ATM 스위치 인터페이스 포트(Switch Interface Port) 정보의 수신에 대한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이다.
다섯 번째, 통보 메시지 송신 장애 이벤트는 IPC 게이트웨이인 임의의 한 ASCFA가 자신의 스위치 포트 상태를 통보(Broadcasting)하는 동작이 실패한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로, 해당 이벤트의 파라미터(Parameter)로는 송신 동작에서 발생한 에러 값(Error Value)이 적용되도록 한다.
여섯 번째, 마스터 동작 이벤트는 IPC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임의의 한 ASCFA가 절체되었음을 통보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 생성되는 이벤트로, ASCFA 보드 절체와 해당 보드 내부의 스위치 인터페이스 링크 절체가 있는 경우이다.
일곱 번째, VSC 송신 장애 이벤트는 ASCFA와 TGSFA 간의 스위치 연결 케이블 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Vittesse' 트랜시버 칩(Transceiver Chip)의 송신 모듈 불량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생성되는 이벤트이 다.
여덟 번째, VSC 수신 장애 이벤트는 ASCFA와 TGSFA 간의 스위치 연결 케이블 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Vittesse' 트랜시버 칩의 수신 모듈 불량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생성되는 이벤트이다.
아홉 번째, 보드 탈장 이벤트는 로컬 측 하드웨어(Local Side Hardware)와 짝을 이루어 이중화 동작을 구성하는 원격 측 보드의 전면 보드 또는 후면 보드가 탈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로, 대기모드 측의 ASCFA가 탈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전면 보드 탈장 이벤트와 대기모드 측의 ASCRA가 탈장되었음을 나타내는 후면 보드 탈장 이벤트가 있다.
열 번째, 스위치 케이블 탈장 이벤트는 ASCFA와 스위치 보드 간의 스위치 연결 케이블이 탈장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이다.
상술한 이벤트 외에도, SFCU(Switching Fabric Control Unit) 장애 이벤트로 스위칭 패브릭 제어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 보드 실장 이벤트로 원격 측 보드의 전면 보드 또는 후면 보드가 실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 스위치 케이블 실장 이벤트로 ASCFA와 스위치 보드 간의 스위치 연결 케이블이 실장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벤트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처리 모듈(21 ~ 24)에서는 해당 발생된 이벤트를 검출하여(단계 S31) IPC 장애를 인식하게 된다(단계 S32).
다시 말해서, 상기 칩 오류 처리 모듈(21)은 상기 로컬 APC 장애 검출 이벤 트, 상기 로컬 RCMP 장애 검출 이벤트 등을 검출하여 ASCFA 내의 주요 칩, 즉 APC 칩, RCMP 칩 등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상태 처리 모듈(22)은 상기 루프 백 결과 장애 이벤트, 상기 통보 메시지 수신 타임아웃 이벤트, 상기 통보 메시지 송신 장애 이벤트, 상기 마스터 동작 이벤트, 상기 VSC 송신 장애 이벤트, 상기 VSC 수신 장애 이벤트 등을 검출하여 ASCFA 내의 IPC 통신 수행 중인 링크가 활성 링크인지 아니면 대기 링크)인지의 여부에 대한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구성 처리 모듈(23)은 상기 전면 보드 탈장 이벤트, 상기 후면 보드 탈장 이벤트, 상기 전면 보드 실장 이벤트, 상기 후면 보드 실장 이벤트 등을 검출하여 대기모드 측의 전면 보드인 ASCFA와 후면 보드인 ASCRA의 실탈장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24)은 상기 스위치 케이블 탈장 이벤트, 상기 스위치 케이블 실장 이벤트 등을 검출하여 ASCFA 내의 IPC 케이블(또는 링크)의 실탈장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그런 후에, 상기 이벤트 처리 모듈들(21 ~ 24)은 상술한 바와 같은 ASCFA 내의 대기모드 측의 IPC 링크(즉, 대기 링크)의 실탈장 상태를 인식함으로써 IPC 링크 절체가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에(단계 S33), 해당 제33단계(S33)에서 IPC 링크 절체가 가능한 경우에 링크 절체를 수행하게 되는데, 즉 이중화된 두 개의 링크 중에서 현재의 활성 링크에 문제가 생긴 경우로 해당 활성 링크를 이중화된 대기 링크로 전환시켜 주게 된다(단계 S34).
그런 후에, 상기 이벤트 처리 모듈들(21 ~ 24)은 발생되는 이벤트를 다시 검출함으로써, 상기 IPC 활성 링크 절체만으로 상기 제32단계(S32)에서 인식된 IPC 장애가 해결(즉, 복구)되었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35), 이때 해당 제35단계(S35)에서 IPC 장애가 해결된 경우에는 진단 및 복구 기능을 종료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33단계(S33)에서 IPC 링크 절체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상기 제35단계(S35)에서 IPC 장애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벤트 처리 모듈들(21 ~ 24)은 상기 제32단계(S32)에서 인식된 IPC 장애에 대한 정보를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에 통보해 주게 된다.
이에, 상기 보드 상태 처리 모듈(25)은 상기 모든 이벤트 처리 모듈들(21 ~ 24)로부터 인가되는 IPC 장애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ASCFA의 보드 절체 여부를 결정한 후에, ASCFA 보드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3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WCDMA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중화로 구성된 IPC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시스템 내부적으로 진단 동작을 수행한 후에, 해당 이중화의 절체 동작을 통해서 시스템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새로운 링크를 확보하여 해당 IPC 장애를 자동적으로 복구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IPC 장애 시에 발생했던 운용자에 의한 장애 복구 행위 완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공 중인 서비스에도 장애를 가져오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의 서비스 유효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4)

  1. ASCFA(ATM Subscriber Controller Front Board Assembly) 내의 칩의 상태를 검출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칩 오류 처리 모듈과;
    상기 ASCFA 내의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통신 수행 중인 링크가 활성 링크인지의 여부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여 링크 상태를 진단하는 링크 상태 처리 모듈과;
    대기모드 측의 ASCFA와 ASCRA(ATM Subscriber Controller Rear Board Assembly)의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보드 실탈장 상태를 진단하는 장치 구성 처리 모듈과;
    상기 ASCFA 내의 IPC 링크의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링크 실탈장 상태를 진단하는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 오류 처리 모듈, 링크 상태 처리 모듈, 장치 구성 처리 모듈 및 케이블 장비 처리 모듈에서 진단한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ASCFA의 보드 절체 여부를 결정하는 보드 상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3. ASCFA 내의 IPC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각 이벤트 처리 모듈에서 해당 ASCFA 내의 칩의 상태, IPC 통신 중인 링크 상태, 보드 실탈장 상태 및 링크 실탈장 상태를 검출하여 IPC 장애를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상태 및 링크 실탈장 상태의 검출 결과로 IPC 링크 절체가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IPC 링크 절체가 가능한 경우에 ASCFA 내의 이중화된 두 개의 링크 중에서 IPC 통신 중인 활성 링크를 대기 링크로 절체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진단 및 복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링크를 대기 링크로 절체한 후에, 상기 ASCFA 내의 칩의 상태, IPC 통신 중인 링크 상태, 보드 실탈장 상태 및 링크 실탈장 상태를 다시 검출하여 상기 IPC 장애가 해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IPC 링크 절체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상기 IPC 장애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ASCFA의 보드 절체를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진단 및 복구 방법.
KR1020050092938A 2005-10-04 2005-10-04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KR20070037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938A KR20070037847A (ko) 2005-10-04 2005-10-04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938A KR20070037847A (ko) 2005-10-04 2005-10-04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847A true KR20070037847A (ko) 2007-04-09

Family

ID=3815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938A KR20070037847A (ko) 2005-10-04 2005-10-04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7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35A (ko) * 2018-05-18 2019-11-27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35A (ko) * 2018-05-18 2019-11-27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호스트의 테스트 시나리오로 제어장치의 복수의 파티션간 영향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동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및 시스템, 그리고 동일 방법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03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fault reporting in switched networks
CN101488844B (zh) 一种板间通信链路切换控制的方法和系统以及一种接口板
US200901990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link pass through in point-to-multipoint network
EP1592187B1 (en)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7436291B2 (en) Protection of devices in a redundant configuration
CN112436885B (zh) 基于kvm坐席的光纤链路互备方法及系统
CN104283718B (zh) 网络设备及用于网络设备的硬件故障诊断方法
US8111625B2 (en) Method for detecting a message interface fault in a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37847A (ko) Ipc 진단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JP5548160B2 (ja) 障害監視用ノード装置および障害検知回復方法
JP2002064490A (ja) 故障部位切り分け方法
KR100310297B1 (ko) 프로세서간통신메시지를이용한상태관리방법
KR100328758B1 (ko) 유한상태머시인을 이용한 동기식 광전송 장치의 보호절체 방법
JP7417773B1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カード、および送信性能監視方法
KR960010879B1 (ko) 공통의 버스 자원을 공유한 다수 프로세서의 버스 이중화 제어 및 버스 이상 상태 발생시 복구 처리방법
JP3781523B2 (ja) 光加入者線伝送装置および予備系光伝送路監視方法
KR100827065B1 (ko) 네트워크 결함관리시스템
US79298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net equipment fault management
JP3623404B2 (ja) 伝送路切替制御装置および伝送路切替制御方法
KR0174406B1 (ko) 비동기전달모드 전전자 교환기의 경보취합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274201B1 (ko) 교환기에 있어서 넘버 세븐 신호링크 자동 복구장치
KR100751643B1 (ko) 이동 통신 가입자 처리 장치의 비정상 동작을 감시하는방법
JP3317278B2 (ja) Fddi障害監視方法、fddi障害監視装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20085051A (ko) 이중화 시스템에서 링크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51279A (ko) 에이티엠 교환기의 셀 처리기의 고장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