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383A - 계단 승·하강용 카트 - Google Patents

계단 승·하강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383A
KR20190131383A KR1020180056181A KR20180056181A KR20190131383A KR 20190131383 A KR20190131383 A KR 20190131383A KR 1020180056181 A KR1020180056181 A KR 1020180056181A KR 20180056181 A KR20180056181 A KR 20180056181A KR 20190131383 A KR20190131383 A KR 2019013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clutch
driving
car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234B1 (ko
Inventor
성정훈
Original Assignee
성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정훈 filed Critical 성정훈
Priority to KR102018005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2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adapt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6Transmiss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물품적재부의 전방에 손잡이가 상부로 돌출 연장되게 형성된 카트 몸체와; 상기 물품적재부의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손잡이의 하부가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부와 대응되게 물품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카트 지지부와; 상기 물품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승·하강 구동부와; 상기 승·하강 구동부의 출력측에 구비되며, 각각 손잡이의 하단부를 관통한 구동축의 양측단부에 결합된 구동휘일; 및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정·역구동시키는 구동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품적재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계단을 용이하게 오르고 내려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 승·하강용 카트{CARTS FOR STEP UP AND DOWN}
본 발명은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트 몸체 하부의 승·하강 구동부 양측에 결합된 구동휘일을 이용하여 물품이 물품적재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계단을 용이하게 오르고 내려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화물을 올려놓기 위한 밑판과, 이 밑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밑판의 저부에 장착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에는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저부에는 보조캐스터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캐스터는 지지프레임의 저부에 장착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수직으로 접이식 보조손잡이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카트의 이용은 먼저, 밑판이 바닥에 닿도록 카트를 위치시킨 후 밑판 위에 화물이 적재되도록 하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카트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인다.
이와 같이 카트가 기울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밀게 되면 캐스터의 구름동작으로 화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서는 윗층으로 화물을 이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언덕과 같이 경사진 곳을 오르는데 인력을 통해서만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화물을 올려 놓는 밑판이 바구니 형태를 갖는 카트가 있고, 이러한 카트는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직각방향으로 적재공간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의 후위 하단부 양측에는 각각 바퀴가 구비되어 바구니 형태의 적재공간에 물품을 싣고 손잡이를 뒤로 당겨 지지프레임과 물품의 무게 중심이 바퀴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가볍게 밀어 물품을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카트는 편평한 장소에서의 물품 이송은 용이하나, 카트에 물품을 싣고 계단을 오르고 내릴 경우, 계단의 단차로 인해 요동이 매우 심하여 주의가 요구되는 물품을 계단으로 이송하기는 곤란하였으며, 신중하게 힘을 주어 계단 한칸씩 이동시킬 수는 있으나,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286(2006.07.19.등록)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정·역 구동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카트 몸체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구동휘일이 선택적으로 정·역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계단을 용이하게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평상시 평지에서 용이하게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물품적재부의 전방에 손잡이가 상부로 돌출 연장되게 형성된 카트 몸체와; 상기 물품적재부의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손잡이의 하부가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부와 대응되게 물품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카트 지지부와; 상기 물품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승·하강 구동부와; 상기 승·하강 구동부의 출력측에 구비되며, 각각 손잡이의 하단부를 관통한 구동축의 양측단부에 결합된 구동휘일; 및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정·역구동시키는 구동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구동 받침판과; 상기 구동 받침판에 착탈되게 구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정·역 구동 가능하게 스위치로 접속된 정·역 구동모터와; 상기 정·역 구동모터의 출력측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며, 구동축이 관통되게 구비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관통한 구동축의 양측으로 구비된 클러치부; 및 상기 구동축의 양측이 구동받침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는 구동축의 일측에 구동축과 일체로 구비되며, 외주연부에 다수개의 클러치홈부가 형성된 고정 클러치부와; 상기 종동기어에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클러치 핀 가이드홀과; 상기 클러치 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클러치 핀과; 상기 클러치 핀이 구비되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가변 클러치부와; 상기 고정 클러치부와 가변 클러치부 사이에 삽입된 클러치 스프링과; 상기 가변 클러치를 축방향으로 가압시키도록 구동 받침판에 힌지 고정된 클러치 가압로드; 및 상기 클러치 가압로드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손잡이에 구비된 작동레버에 연결되게 구비된 작동 케이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휘일은 휘일을 갖는 휘일 아암이 각각 3방향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구동 받침판과; 상기 구동 받침판에 착탈되게 구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정·역 구동 가능하게 스위치로 접속된 정·역 구동모터와; 상기 정·역 구동모터의 출력측에 결합된 구동벨트풀리와; 상기 구동벨트풀리에 구동벨트의 일측이 감겨지며, 구동벨트의 타측이 감겨지면서 구동축이 관통되게 구비된 종동벨트풀리와; 상기 종동벨트풀리를 관통한 구동축의 양측으로 구비된 클러치부; 및 상기 구동축의 양측이 구동받침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적재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계단의 밑에서는 승·하강 구동부의 양측에 결합된 구동휘일이 정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계단을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계단의 상부에서는 승·하강 구동부의 양측에 결합된 구동휘일이 역방향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계단을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는 승·하강 구동부의 양측에 결합된 2개의 휘일이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에 있음으로서 안정되게 카트를 끌고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있어 승·하강 구동부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있어 승·하강 구동부의 구동 전후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4a 내지 도4e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가 계단을 올라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있어 승·하강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카트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있어 승·하강 구동부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있어 승·하강 구동부의 구동 전후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a 내지 도4e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가 계단을 올라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는 평상시 평지에서 용이하게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계단에서도 용이하게 오르고 내려 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몸체(100), 카트 지지부(200), 승·하강 구동부(300), 구동휘일(400) 및 구동 스위치(3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카트 몸체(100)는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품이 직접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더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물품적재부(110)의 전방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끌 수 있는 손잡이(120)가 상부로 돌출되며,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 지지부(200)는 평상시 물품적재부(1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품적재부(110)의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손잡이(120)의 하부가 하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와 대응되게 물품적재부(110)의 하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진 지지다리(21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 구동부(300)는 물품적재부(110)의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 지지 프레임(310)에 구동 받침판(3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 받침판(320)에 배터리(330)가 착탈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330)에 정·역 구동모터(350)가 정·역 구동 가능한 스위치(340)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정·역 구동모터(350)의 출력측에 구동기어(36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구동기어(360)는 웜기어를 이용한 감속부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360)는 구동축(370)이 끼워지며, 상기 구동축(370)이 종동기어(380)를 관통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종동기어(380)를 관통한 구동축(370)의 양측에는 구동력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클러치부(39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380)는 구동축(370)과 같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구동축(370)의 외주연부를 따라 공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별도의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고, 베어링이 내부에 슬리브 또는 부시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어링은 니들 베어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370)은 양측이 구동받침판(320)에 구비된 베어링(BE)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클러치부(390)는 평상시 구동기어(360)의 구동력이 종동기어(380)를 통해 구동축(370)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 구동축(370)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동축(370)의 일측에 구동축(370)과 일체로 구비되며, 외주연부에 다수개의 클러치홈부(391-1)가 형성된 고정 클러치부(39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동기어(380)에는 다수개의 클러치 핀 가이드홀(39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핀 가이드홀(392)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클러치 핀(393)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핀(393)에는 구동축(37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가변 클러치부(39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 클러치부(391)와 가변 클러치부(394) 사이에 삽입된 클러치 스프링(SP)이 형성되어 구동력의 단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변 클러치(394)를 축방향으로 가압시키도록 구동 받침판(320)에 클러치 가압로드(395)가 힌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가압로드(395)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손잡이(120)에 구비된 작동레버(396)에 연결된 작동 케이블(397)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340)는 승·하강 구동부(300)를 정·역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330)의 전원이 정·역 구동모터(350)로 인가되어 정·역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12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휘일(400)은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는 최적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승·하강 구동부(300)의 출력측에 구비되며, 각각 손잡이(120)의 하단부를 관통한 구동축(370)의 양측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휘일(400)은 휘일(411)을 갖는 휘일 아암(412)이 각각 3방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삼각형의 삼각뿔 위치에 휘일(41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계단의 모서리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게 구비된다.
도4a 내지 도4e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가 계단을 올라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계단 승·하강용 카트는 먼저, 평상시나 또는 계단이 시작되는 부분까지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몸체(100) 하부의 승·하강 구동부(300)에 구비된 구동휘일(400)의 2개의 휘일(411)이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끌거나, 세워놓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손잡이(120)를 잡고 카트를 끌게 될 경우, 2개의 휘일(411) 중 일측으로 위치된 휘일(411)이 바닥에 닿아 하나의 휘일(411)이 회전되면서 카트 몸체(100)가 끌려가게 된다.
한편, 카트 몸체(100)를 세워 놓았을 경우, 2개의 휘일(411) 모두가 바닥에 닿아 있음으로서 보다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를 끌어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휘일(411)이 계단이 시작되는 부분에 걸려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 스위치(340)를 정방향으로 ON하게 되면, 배터리(330)의 전원이 정·역 구동모터(350)로 인가됨과 동시에 구동기어(360)가 구동되고, 구동기어(360)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380)가 회전 된다. 이때, 종동기어(380)는 구동축(370)에서 공회전이 이루어짐으로서 종동기어(380)의 회전 또는 구동력은 구동축(370)에 전달되지 않아 구동휘일(400)은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종동기어(380)에 형성된 클러치 핀 가이드 홀(392)에 가변 클러치부(394)에 구비된 클러치 핀(393)이 삽입된 상태에 있음으로서 가변 클러치부(394)가 같이 회전된다.
다음, 손잡이(120)에 구비된 레버(396)를 움켜지게 되면, 레버(396)에 연결된 작동케이블(397)이 당겨지면서 클러치 가압로드(395)가 회동하여 종동기어(380)를 도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가압시켜 이동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클러치 스프링(395)이 압축되면서 가변 클러치부(394)에 구비된 클러치핀(393)이 클러치 핀 가이드홀(39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면서 노출된 부분이 고정 클러치부(391)의 클러치홈부(391-1)에 삽입됨과 동시에 구동기어(360)의 구동력이 구동축(370)으로 전달되면서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휘일(411)이 계단의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다른 하나의 휘일(411)을 윗계단의 모서리에 걸쳐진 상태가 된다.
다음, 구동기어(360)의 구동력이 계속적으로 구동축(370)에 전달됨에 따라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몸체(100)가 들어 올려지게 되며, 이어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휘일(411)이 윗계단에 닿으면서 카트 몸체(100)를 끌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계단을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한편, 계단을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의 역을 통해 내려갈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에 있어 승·하강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정·역 구동모터(350)의 구동력이 구동기어(360) 및 종공기어(380)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력 손실 즉, 미끄러짐 없이 전달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구동부(300)의 전체적인 구성 또는 구조는 동일한 가운데 정·역 구동모터(350)의 출력측에 구동벨트풀리(360')가 결합되도록 하고, 구동벨트풀리(360')에 구동벨트(DB)의 일측이 감겨지며, 구동벨트(DB)의 타측이 감겨지면서 구동축(370)이 관통되게 종동벨트풀리(38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어의 맞물림에 비해 축간거리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승·하강 구동부(3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하강용 카트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카트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구동휘일(400) 및 구동휘일(400)에 결합된 구동축(370)이 손잡이(120)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L)을 갖도록 즉,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화물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120)의 하부측 전방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는, 계단 승·하강용 카트를 조금 앞쪽으로 설치하므로서 화물을 실고 기울였을 때 화물의 중심이 구동축(370)가 일치되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가운데 용이하게 끌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카트 몸체(100)가 물품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바구니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구니가 없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형태를 갖는 화물의 적재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클러치부(390)의 클러치 핀(393)이 종동기어(380)의 클러치 핀 가이드홀(392)를 관통하여 고정 클러치부(391)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클러치홈부(391-1)에 삽입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클러치부(391)의 외주연부 내측으로 다수개의 핀홀(39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선의 단순한 형태를 갖는 클러치 가압로드(395)가 가변 클러치부(394)의 측면을 축방향으로 가압시키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가압로드(395a)가
Figure pat00001
형태를 더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변 클러치부(394)의 측면이 직접 가압되는 것이 아니라, 가변 클러치부(394)의 측면에 별도의 트러스트 판 베어링(TB)이 구비되도록 하고, 트러스트 판 베어링(TB)의 외측면 상,하부가 동시에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지지다리(210)가 단순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다리(210)의 단부에 각각 별도의 보조휘일(220)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서 평지에 세울때 또는 주행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120)에 구비된 작동레버(396)가 단순 기능을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기능 이외에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록킹부(396a)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언록킹부(396a)는 작동레버(396)의 끝단에 가동 후크(396a-1)가 힌지(396a-2)와 스프링(396a-3)으로 결합되어 있고, 가동 후크(396a-1)가 걸려지는 고정 후크(396a-4)가 손잡이(120)에 구비되어 있음으로서 작동레버(396)를 움켜 쥔 상태에서 가동 후크(396a-1)를 회전시켜 고정 후크(396a-4)에 걸려지도록 하면 작동레버(396a)가 록킹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어 작동레버(396a)를 다시 움켜 쥐게 되면 스프링(396a-3)의 탄성력에 의하여 록킹된 작동레버(396a)가 언록킹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거운 화물을 메고 계단을 오르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가운데 혼자서 들수 없는 부피는 작으나 무거운 화물을 혼자서도 계단 위층으로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작은 모터로도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평지를 운행할 때 4개의 휘일(411)이 바닥에 마찰됨으로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회전시 4개의 휘일(411)이 마찰로 인하여 방향전환이 부드럽지 못하거나, 방향이 자주 있을 경우, 정·역구동모터(35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작동레버(396)을 움켜주고 고정시키면 기울였을 때 2개의 휘일(411)만 바닥에 접촉하므로 일반 카트와 다를 바 없이 부드러운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휘일(11)로부터 정·역 구동모터(350)까지 동력전달과정에서 감속기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기어가 맞물려져 있음으로서 구동축이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또한, 화물을 실고 계단을 하강시엔 클러치부(390)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저속으로 하강할 수 있고, 클러치부(390)를 풀고 공회전을 시킨 상태에서 인력으로 속도조절을 하여 하강할 수 있는 가운데 계단도중 멈추고자 할 경우, 작동레버(396)를 움켜쥐고 고정시키면 구동축(370)이 멈추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카트 몸체 110:물품적재부
120:손잡이 200:카트 지지부
300:승·하강 구동부 310:지지 프레임
320:구동 받침판 330:배터리
340:구동 스위치 350:정·역 구동모터
360:구동기어 370:구동축
380:종동기어 390:클러치부
391:고정 클러치부 392:클러치 핀 가이드홀
393:클러치 핀 294:가변 클러치부
395:클러치 가압로드 400:구동휘일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물품적재부의 전방에 손잡이가 상부로 돌출 연장되게 형성된 카트 몸체와;
    상기 물품적재부의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손잡이의 하부가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부와 대응되게 물품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카트 지지부와;
    상기 물품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승·하강 구동부와;
    상기 승·하강 구동부의 출력측에 구비되며, 각각 손잡이의 하단부를 관통한 구동축의 양측단부에 결합된 구동휘일; 및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정·역구동시키는 구동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하강용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구동 받침판과;
    상기 구동 받침판에 착탈되게 구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정·역 구동 가능하게 스위치로 접속된 정·역 구동모터와;
    상기 정·역 구동모터의 출력측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며, 구동축이 관통되게 구비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관통한 구동축의 양측으로 구비된 클러치부; 및
    상기 구동축의 양측이 구동받침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하강용 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구동축의 일측에 구동축과 일체로 구비되며, 외주연부에 다수개의 클러치홈부가 형성된 고정 클러치부와;
    상기 종동기어에 관통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클러치 핀 가이드홀과;
    상기 클러치 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클러치 핀과;
    상기 클러치 핀이 구비되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가변 클러치부와;
    상기 고정 클러치부와 가변 클러치부 사이에 삽입된 클러치 스프링과;
    상기 가변 클러치를 축방향으로 가압시키도록 구동 받침판에 힌지 고정된 클러치 가압로드; 및
    상기 클러치 가압로드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손잡이에 구비된 작동레버에 연결되게 구비된 작동 케이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하강용 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휘일은
    휘일을 갖는 휘일 아암이 각각 3방향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하강용 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구동 받침판과;
    상기 구동 받침판에 착탈되게 구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정·역 구동 가능하게 스위치로 접속된 정·역 구동모터와;
    상기 정·역 구동모터의 출력측에 결합된 구동벨트풀리와;
    상기 구동벨트풀리에 구동벨트의 일측이 감겨지며, 구동벨트의 타측이 감겨지면서 구동축이 관통되게 구비된 종동벨트풀리와;
    상기 종동벨트풀리를 관통한 구동축의 양측으로 구비된 클러치부; 및
    상기 구동축의 양측이 구동받침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하강용 카트.
KR1020180056181A 2018-05-16 2018-05-16 계단 승·하강용 카트 KR102050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81A KR102050234B1 (ko) 2018-05-16 2018-05-16 계단 승·하강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181A KR102050234B1 (ko) 2018-05-16 2018-05-16 계단 승·하강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83A true KR20190131383A (ko) 2019-11-26
KR102050234B1 KR102050234B1 (ko) 2019-11-29

Family

ID=6872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181A KR102050234B1 (ko) 2018-05-16 2018-05-16 계단 승·하강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089A (zh) * 2020-11-25 2021-02-26 杭州师范大学钱江学院 一种具有尾端抬起能力的爬楼物流车及其爬楼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86Y1 (ko) 2006-04-03 2006-07-27 김경환 계단 승강이 용이한 카트
KR20170036299A (ko) * 2015-09-24 2017-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계단 및 언덕용 전동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86Y1 (ko) 2006-04-03 2006-07-27 김경환 계단 승강이 용이한 카트
KR20170036299A (ko) * 2015-09-24 2017-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계단 및 언덕용 전동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089A (zh) * 2020-11-25 2021-02-26 杭州师范大学钱江学院 一种具有尾端抬起能力的爬楼物流车及其爬楼方法
CN112407089B (zh) * 2020-11-25 2021-10-08 杭州师范大学钱江学院 一种具有尾端抬起能力的爬楼物流车及其爬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234B1 (ko)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595A (en) Hand truck
US4027889A (en) Stair-climbing carrier
US1464131A (en) Crane for vehicles, trucks, and the like
KR102050234B1 (ko) 계단 승·하강용 카트
US4321004A (en) Self-loading carpet cart
US1732153A (en) Hoisting and transporting device
KR101131382B1 (ko)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EP3166837B1 (en) Stair climber
US7841603B2 (en) Hand truck
KR102113506B1 (ko) 계단 승·하강용 카트
US2928501A (en) Stair climbing device
EP3838712A1 (en) Trolley for transporting a load
EP2256014A1 (en) Mobile stairlift device
GB2568820A (en) Load handling apparatus
CN214742873U (zh) 一拖二齿轮离合器及含它有的举升机
CN205708905U (zh) 一种快捷装卸货车
US3804275A (en) Stair climber moving method
JP6469921B1 (ja) 階段昇降運搬装置及び自走キャリーバッグ
JPH0220256B2 (ko)
CN110466585A (zh) 三轮爬楼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KR0130937B1 (ko) 다기능 전동 손수레
WO2002094703A9 (en) Lifting apparatus
KR101852545B1 (ko) 리프트 겸용 운반 사다리
CN210391216U (zh) 用于建筑物楼梯处的材料运输装置
JP2000233754A (ja) 改良型階段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